KR100724874B1 -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874B1
KR100724874B1 KR1020010042835A KR20010042835A KR100724874B1 KR 100724874 B1 KR100724874 B1 KR 100724874B1 KR 1020010042835 A KR1020010042835 A KR 1020010042835A KR 20010042835 A KR20010042835 A KR 20010042835A KR 100724874 B1 KR100724874 B1 KR 100724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coming call
ringing tone
main body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2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8079A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2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874B1/ko
Publication of KR2003000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착신호 감지시,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호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 정지기능에 대응되는 소정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시키는 과정과, 통화로 형성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착신호 차단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호 착신,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Caller ID(발신자 확인 서비스)

Description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F INCOMING CALL IN FOLDED PORTABL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호 착신 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바타입(bar type) 단말기와 접이형(foldable) 단말기로 구분된다. 바타입 단말기는 키패드가 본체에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접이형 단말기는 키패드부를 보호하기 위해 메인바디(main body)상에 서브바디(sub-body)가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현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통상적으로 접이형 단말기는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플립 업 타입(flip up type) 단말기, 및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로 구분될 수 있다. 플립 타입 단말기는 메인바디 상에 구비된 키패드를 보호하고 송화음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플립커버가 서브바디로서 역할을 한다. 플립 업 타입 단말기는 플립커버를 메인바디 상의 상측으로 개방하게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폴더 타입 단말기는 서브바디 상에 LCD모듈(LCD Modul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단말기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서브바디 상에 외부 LCD창을 하나 더 구비하여 서브바디를 개방하지 않고도 단말기의 기본적인 상태정보 및 날짜, 시각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서브바디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외부측에 구비된 LCD상에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듀얼폴더 타입 단말기가 있다.
한편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는 착신호에 대해서 모두 착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최근에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통화전에 발신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LCD상에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발신자 확인 서비스(Caller ID 기능)를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바타입 단말기와 접이형 단말기 중 플립 타입 단 말기, 듀얼폴더 타입 단말기 등은 LCD창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어, 호 착신 시 플립 타입 단말기나 듀얼폴더 타입 단말기 등은 서브바디를 열지 않고도 Caller ID기능에 따른 발신자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확인된 착신호에 대응하여 외부 기능키 입력 또는 서브바디를 개방함으로써 통화로를 형성하고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한 바와 같은 폴더 타입 단말기에서는 LCD창이 서브바디의 내측에 구비되어 있어, 서브바디를 닫은 상태에서 호 착신시 서브바디를 개방해야만 Caller ID기능에 따른 발신자 정보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Caller ID기능을 구비하는 폴더 타입 단말기에서는 호 착신시 서브바디를 개방하여 사용자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여도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어,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통화키 및 통화키에 대응된 키를 누름으로써 통화로가 형성되고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서브바디를 열고 발신자를 확인한 후에도, 통화키에 대응된 키를 누르지 않거나, 착신호 자체를 거부하고자 하는 전원키를 누르지 않으면, 일정시간 동안 호 착신에 대응된 착신링, 진동 및 LED(Light Emitting Diode)의 깜박임은 계속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신자 정보를 확인한 후에도 지속적으로 착신링, 진동 및 LED깜박임 등이 발생하여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위에 심각한 소음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회의중이거나 기타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인 경우, 그리고 발신자 확인 서비스(Caller ID 기능)를 통하여 확인된 착신호에 대해 통화를 거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아예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배터리(Battery)를 단말기와 분리시켜 전원을 강제로 차단하거나,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야 했다.
따라서 바타입 단말기와 접이형 단말기 중 플립 타입 단말기, 듀얼폴더 타입 단말기에서 착신호에 대해 통화를 거부하기 위해서는, 호 착신 시 외부 기능키 입력 또는 서브바디를 개방함으로써 일단 통화로를 형성한 후 통화로를 차단하여야 한다. 즉, 서브바디를 개방 후 다시 닫거나, 서브바디를 개방 후 종료키를 누름으로써 호 착신 시 이에 대해 통화를 거부할 수 있다.
또한 폴더 타입 단말기에서는 사용자가 서브바디를 열고 발신자를 확인한 후에도 통화키에 대응된 키를 누르지 않거나, 착신호 자체를 거부하고자 하는 전원키를 누르지 않으면, 일정시간 동안 호 착신에 대응된 착신링, 진동 및 LED(Light Emitting Diode)의 깜박임이 계속된다. 이때에는 플립 타입 단말기, 듀얼폴더 타입 단말기에서와는 달리 서브바디 개방 시 통화로가 형성된 것이 아니므로, 개방된 서브바디를 닫아도 호 착신을 중지시킬 수 없다. 따라서 일정시간 동안 호 착신에 대응된 착신링, 진동 및 LED의 깜박임이 계속되며, 따라서 호 착신이 지속되는 일정시간동안 심각한 소음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서브바디를 일단 개방한 후 다시 닫음으로써 통화를 거부하거나, 종료키 및 전원키를 눌러 통화를 거부하는 방식은, 비록 사용자의 의도에 악의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발신자에게는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거나, 궁금증으로 인해 재 통화를 시도하게 됨으로써 반복적인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Caller ID기능을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호 착신 시, 착신호를 유지하면서 호 착신에 대응된 착신링, 진동을 조기에 자동 종료하도록 하는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aller ID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호 착신 시, 수신측의 통화불가상태를 자동으로 상대방에게 알리고, 호 착신을 자동 종료하도록 하는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Caller ID기능을 구비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호 착신 시, 착신호를 유지하면서 호 착신에 대응된 착신링, 진동을 조기 자동 종료하도록 함으로써 단말기의 소모전력을 최소화하는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착신호 감지시,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 중지기능에 대응되는 소정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시키는 과정과, 통화로 형성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착신호 차단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 내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메인바디 상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된 서브바디가 LCD모듈을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또한 메인바디 상에 구비된 키패드를 보호하고 송화음을 모아주는 기능을 하는 플립커버가 서브바디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착신호 자동제어장치를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착신호 자동제어장치가 다른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본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10)가 메인바디(20)상에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서브바디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통화키(104), 전원키(106) 및 기능키(108, 202)로 구성되는 키입력부를 포함하는 메인바디(20) 및, 스피커(102), 표시부(110, 204)의 LCD을 구비하는 서브바디(10)가 구비되어 있다. 메인바디(20)의 최상단 일측에 안테나(ANT)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도 1의 표시부(110) 및 도 2의 표시부(20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구비한 Caller ID(발신자 확인 서비스)기능에 따라 호 착신 시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도 2의 듀얼폴더형 단말기는 서브바디의 외부에 구비된 LCD창을 통하여 기본적인 단말기의 상태정보 및 Caller ID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Caller ID를 확인하기 위해 서브바디를 개방할 필요가 없으나, 듀얼폴더가 아닌 일반 폴더형 단말기는 호 착신시 Caller ID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바디(10)를 개방하여야 한다.
이때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는 Caller ID를 확인하기 위해 서브바디(10)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계속해서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음 및 착신진동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폴더형 단말기에 보인 바와 같이 서브바디(10)를 개방하거나 도 2의 듀얼폴더형 단말기에 보인 바와 같은 외부 기능키(202)를 이용하여,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은 Caller ID 확인 상태에서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음 및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Caller ID 또는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에 대응하여 통화거부를 수행하며, 통화불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인바디(20)의 일측에 구비된 외부 기능키(108) 및 도 2에 도시된 외부 기능키(202)를 이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어부(300)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무선부(304)는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고, 음성처리부(308)는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무선부(304)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speaker)(102)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rophone)(314)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무선부(304)로 출력한다. 또한 음성처리부(308)는 무선부(304)로부터의 착신호에 대응하여 스피커(102)를 통해 착신음을 출력한다. 진동자(316)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수신대기 상태에 따라 착신호에 대응하여 착신진동을 발생한다.
키입력부(306)는 도 1의 메인바디(20)상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하는 통화키(104), 각종 기능들을 종료하고 단말기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키(106) 및 메인바디(20)의 일측면 상에 구비된 외부 기능키(108)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표시부(110)는 제어부(30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 하며, 특히 본 발명에 적용되는 Caller ID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한다. 메모리부(302)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동작 제어 시 필요한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제어 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도중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의 오픈 센서(open sensor)(310)는 서브바디(10)가 메인바디(20)로부터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는 센서이고, 클로즈 센서(close sensor)(312)는 서브바디(10) 가 메인바디(20)상에 닫혔음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호 착신 시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용자가 서브바디를 열게 되면 제어부(300)는 오픈 센서(310)로부터 이를 인식하고 음성처리부(308)를 제어하여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음 및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호 착신 시 사용자에 의해 메인바디(20)의 일측에 구비된 외부 기능키(108, 202)입력 신호가 있으면, 제어부(300)는 이를 감지하여 호 착신에 따른 착신음 및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하도록 음성처리부(308)를 제어한다. 그리고 호 착신에 대응하여 사용자에 의한 통화키(104)의 입력이 있으면 무선부(304)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형성하고, 음성처리부(308)를 제어하여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한 전원키(106) 또는 외부 기능키(108, 202)입력에 따라 무선부(304)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없는 상태임을 알리는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송출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서브바디(10)를 닫게 되면 제어부(300)는 클로즈 센서(312)로부터 이를 인식하고 무선부(304)를 제어하여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호 착신 시 제어 흐름도로서,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의 무선부(304)를 통해 호 착신이 되면 제어부(300)는 도 4의 400단계의 판단에서 호 착신을 검출하고 40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300)는 402단계에서는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가 전화가 왔음을 인식하도록 하고 404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300)는 도 4의 404단계에서 Caller ID기능을 수행하여 발신자 정보를 도 3의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 후 도 4의 406단계에서 오픈센서(310)로부터 서브바디(10)가 개방되었음을 알리는 서브바디 개방감지신호 수신 또는 도 2의 외부 기능키(108, 202)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서브바디 개방감지신호가 수신되거나 외부 기능키가 입력되면 제어부(300)는 도 4의 408단계로 진행하여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시킨다. 이때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로 수신되는 착신호에 대한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만이 중지되며, 호 착신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일단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으로 인한 소음을 차단시키고, Caller ID기능에 의한 발신자 정보를 확인하여, 적절히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회의 중이거나 기타 사정으로 전화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우선적으로 호 착신 시 발생하는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의 410단계의 판단에서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한 통화키(104)에 대응된 키가 눌림을 감지하여, 키입력이 있을 시 통화로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가 회의 중이거나 기타 사정으로 전화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용자의 상황을 발신자에게 전달하여 오해의 소지를 없애고, 일방적인 통화거부 및 전원키(106)등의 입력에 의한 착신호 차단 등으로 인한 반복된 호 착신을 유발하지 않도록 착신호의 차단과 동시에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상대방에게 송출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300)는 410단계와 414단계 및 418단계의 판단 에서 키입력부(306)로부터 통화키(104), 전원키(106) 및 기능키(108) 입력을 감지하여 이에 따라 416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하고 종료한다. 또한 클로즈센서(310)로부터 서브바디 닫힘에 대응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따라 416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송출하고 종료한다. 그리고 키입력부(306)으로부터의 어떠한 키 입력이나, 클로즈센서(310)으로부터의 서브바디 닫힘에 대응되는 감지신호가 없으면, 제어부(30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일정시간 대기한 후 통화불가 안내메시지 송출없이 종료한다.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는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호 착신 시, 서브바디(10) 개방 또는 외부 기능키(108, 202)의 입력에 따라 호 착신에 따른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을 중지하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전원키(106)입력 또는 서브바디를 닫음에 따라 상대방에게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일 뿐이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기능키(108, 202)를 입력하여 상대방에게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송출하도록 하고, 전원키(106)를 입력하여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송출하지 않고 호 착신을 차단하여 통화를 거부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호 착신시 신속한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의 자동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착신호에 대해 통화를 거부하고자 하는 경우, 종료시 상대방에게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자동 전송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를 구비한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착신호 감지시,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을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 중지기능에 대응되는 소정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시키는 과정과,
    통화로 형성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착신호 차단에 대응되는 신호가 감지되면,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상기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불가 안내메시지 송출 후 상기 호 착신을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신호는 서브바디 개방신호 또는 외부 기능키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호 차단에 대응되는 신호는 서브바디 닫힘 신호 또는 전원키 입력신호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개방 및 닫힘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6.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 상에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바디와, 상기 서브바디가 상기 메인바디로부터 개방 및 닫힘 감지하는 센서를 적어도 구비하며, 호가 착신되면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을 출력하고, 발신자 확인 서비스 기능을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면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을 출력하고, 발신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센서를 구동시켜 상기 서브바디의 개방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센서에 의한 서브바디 개방 및 사용자에 의한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 중지기능에 대응되는 외부 기능키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되면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을 중지시키는 과정과,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 중지 후 사용자의 통화로 형성에 대응된 키 입력에 따라 통화로를 형성하는 과정과,
    상기 호 착신음 및 호 착신진동 출력 중지 후 상기 센서에 의한 서브바디 닫힘 및 사용자에 의한 전원키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감지됨에 따라 통화불가 안내메시지를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고, 호 착신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KR1020010042835A 2001-07-16 2001-07-16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KR100724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835A KR100724874B1 (ko) 2001-07-16 2001-07-16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2835A KR100724874B1 (ko) 2001-07-16 2001-07-16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079A KR20030008079A (ko) 2003-01-24
KR100724874B1 true KR100724874B1 (ko) 2007-06-04

Family

ID=2771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2835A KR100724874B1 (ko) 2001-07-16 2001-07-16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48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175B1 (ko) * 2004-07-10 2008-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기능제어장치 및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85A (ja) * 1997-06-25 1999-01-22 Saitama Nippon Denki Kk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H1168931A (ja) * 1997-08-11 1999-03-09 Kokusai Electric Co Ltd 移動電話装置
JP2000032103A (ja) * 1998-07-15 2000-01-28 Nec Mobile Commun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その着信拒否機能の設定方法
KR20010056429A (ko) * 1999-12-15 2001-07-04 서평원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84259A (ko) * 2000-02-24 2001-09-06 허진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신호 수신에 의한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20015884A (ko) * 2000-08-23 2002-03-02 구자홍 휴대폰의 응답모드 허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785A (ja) * 1997-06-25 1999-01-22 Saitama Nippon Denki Kk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H1168931A (ja) * 1997-08-11 1999-03-09 Kokusai Electric Co Ltd 移動電話装置
JP2000032103A (ja) * 1998-07-15 2000-01-28 Nec Mobile Commun Ltd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その着信拒否機能の設定方法
KR20010056429A (ko) * 1999-12-15 2001-07-04 서평원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084259A (ko) * 2000-02-24 2001-09-06 허진호 이동통신 단말기의 링신호 수신에 의한 덮개 자동 개폐장치
KR20020015884A (ko) * 2000-08-23 2002-03-02 구자홍 휴대폰의 응답모드 허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8079A (ko) 200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48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자동변경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100381139B1 (ko) 폴더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의 메시지 디스플레이 방법
AU673027B2 (en) Cellular telephone
US66620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accidental dialing o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6547620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mory medium and method
CN102547638A (zh) 紧急通话处理方法、装置及移动通信终端
JP3389916B2 (ja) おやすみモード付き携帯電話端末および方法
KR100724874B1 (ko) 폴더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 착신호 자동제어방법
JP4530889B2 (ja) 電話装置
CN104980594A (zh) 一种手机通话方法及使用该方法的手机
JP4423563B2 (ja) 留守番電話装置
WO2001003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swering an incoming call on a cordless or wireless phone
JPH10215303A (ja) 無線通信機
KR100405141B1 (ko) 폴더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엘 씨 디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04549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전 스피커홀을 차단하는 장치 및제어방법
KR101153331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 있어서 헤드 셋을 이용한 전화를 거는방법
KR100399883B1 (ko) 음성인식 프로세서를 내장한 휴대폰의 음성인식 시스템
KR100749748B1 (ko) 통신 채널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21749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알림 모드 변경 방법
JP3398695B2 (ja) 携帯電話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不在着信履歴表示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197058B1 (ko) 전화기의 통화로 자동전환장치
JP2000032103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及びその着信拒否機能の設定方法
KR200308131Y1 (ko) 발신자정보의 음성출력수단을 구비한 전화기
JP2005217477A (ja) 無線通信端末間の呼出接続方法
JP3398029B2 (ja) 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