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4260A -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 Google Patents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4260A
KR20020034260A KR1020000064357A KR20000064357A KR20020034260A KR 20020034260 A KR20020034260 A KR 20020034260A KR 1020000064357 A KR1020000064357 A KR 1020000064357A KR 20000064357 A KR20000064357 A KR 20000064357A KR 20020034260 A KR20020034260 A KR 20020034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duct
injection
air
fib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687B1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김원묵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묵,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원묵
Priority to KR102000006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68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6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45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on the non-perforated outside surface of which the material is being dried by convection or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송되어지는 섬유원단을 따라 고온의 열풍을 균일하게 송풍시킴으로서 우수한 품질의 섬유건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구성의 열풍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레임 및 벽판에 의해 소정공간을 이루는 장치의 하부에서 열교환을 통해 주변 공기를 가온시키는 열원부; 상기 열원부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대향측의 수평방향으로 흡인한 후 수직방향으로 강제 송풍시키되, 각기 독립된 구동원을 갖는 한쌍의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고온의 열풍을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열풍 안내덕트; 상기 열풍 안내덕트의 상단에서 연통 설치됨으로서 상기 안내되어진 열풍이 복수의 경로로 분기된 후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상호 대향측으로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용 덕트; 상기 분사용 덕트의 유입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열풍 안내덕트를 통해 안내되어진 열풍을 선택적으로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단일의 개폐판; 상기 분사용 덕트로 유입되는 열풍을 복수의 경로로 분기시키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분기되는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조절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A HOT AIR DRYING MACHINE FOR TEXTILE}
본 발명은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원부로 부터 발생된 고온의 열풍을 송풍팬을 이용하여 강제 송풍시킨 후 공기 분사용 덕트를 통해 소정 면적에서 균일하게 분사시킴으로서 섬유원단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열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의 생산시 수행되는 여러가지 공정에 있어 염색, 날염되어져 나오는 섬유는 염색액에 의해 젖어있기 때문에 열풍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섬유를 신속하게 건조시킨 후 다음 후공정으로 이송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건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써, 슈링크(SHRINK) 또는텐터기(TENTER)가 주로 이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중 텐터기를 주된 실시예로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텐터기는 일반 섬유업체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다소비형 설비의 하나로써 염색가공공정에서 사용하는 전체 소비에너지의 약 1/4을 사용하며 섬유원단의 가공처리시 염색전처리공정으로 행하는 히트셋팅(Heat Setting)공정이나 염색후처리공정으로 행하는 건조(Drying)공정 및 열처리에 의한 수축공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되고 있는데,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텐터기의 일 예가 도시되어져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섬유 건조용 텐터기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사각 챔버(1)의 하부 일측에 구동모터(M)가 구비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M)의 모터축(2)에는 송풍팬(3)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송풍팬(3)은 공기의 흡입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축류팬(Axial Fan)이 사용된다. 상기 구동모터(M)가 설치된 반대편에 해당되는 사각 챔버(1)의 하부 일측에는 열원인 버너(B)가 구비되어 있다.
이 버너(B)와 구동모터(M)의 송풍팬(3)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덕트부재(4)가 고정 설치되어 있되, 그 일단부는 송풍팬(3)의 전체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송풍팬(3)이 회전될때 버너(B)에서 발생된 열기가 화살표 방향으로 송풍팬(3)측으로 흡입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된다.
송풍팬(3)이 설치되는 덕트부재(4)에는 그 상부측으로 연통된 열풍안내덕트(5)가 분기되어 설치되며, 송풍팬(3)에 의해 버너(B)에서 발생된 열기가 열풍으로 전환되어 상기 열풍 안내덕트(5)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열풍 안내덕트(5)는 상하로 소정의 갑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이루어진 한쌍의 상하 분기 덕트(5a,5b)로 이루어져 있고, 상하 분기덕트(5a,5b)와 이어져 상하로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 설치되며 열풍을 섬유원단으로 분사시키기 위한 상하 분사용 덕트(6,7)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하 분사용 덕트(6,7)는 내부가 외부와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되, 상하 마주보는 측면에는 노즐 역할을 하는 다수의 미세한 분사공(미도시)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열풍 안내덕트(5)를 통해 이송된 열풍이 미세한 분사공으로 분사되어 상하 분사용 덕트(6,7) 사이를 통과하는 섬유원단(T)에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열풍에 의해 수축한 상태의 상기 섬유원단(T)은 일정한 폭으로 조정되어 제품의 변형이 방지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구동모터(M)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송풍팬(3)에 의해 버너(B)의 열기가 덕트부재(4)를 따라 강제로 흡입되어 송풍팬(3) 근처에서 대략 90°로 그 유동 경로가 상방향으로 변경되며, 이후 열풍 안내덕트(5)로 송풍되는데, 이때, 송풍팬(3)의 상부에 위치하는 열풍 안내덕트(5)에서는 공간 협소로 인해 열풍의 유동경로가 짧아져 버너(B)의 열기가 제대로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온도의 분포차가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섬유원단에 줄무늬 마크가 생기는 등 직물의 품질에 악영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열풍공급시스템에서는 외부 조건에 의해 공기 분사용 덕트 사이를 통과하는 섬유원단(T)이 갑자기 정지되는 경우가 발생되면, 섬유원단에 열풍이 과공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열원인 버너(B)를 소화시킨 후 구동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며 이어서 송풍팬의 구동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바, 구동모터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여도 구동모터는 잔류전류로 인해 일시적으로 모터축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일시적으로 모터축이 회전됨에 따라 송풍팬에 의해 열풍이 강제로 공기 분사용 덕트를 통해 섬유원단에 공급기 때문에 섬유원단에 스톱마크가 발생되어 직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열원인 버너(B)를 소화시킴에 의해 일정시간 경과시 챔버 내부의 온도가 저하되며 재가동시 일정온도까지 상승하는 동안 섬유원단의 불량을 초래함은 물론 건조시간을 지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스톱마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최근에는 분사용 덕트의 유입측에 별도의 개폐용 도어를 각각 설치함으로서 섬유원단(T)의 이송이 정지됨과 동시에 개폐용 도어를 닫아주어 열풍의 유입을 차단시키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구성은 각각의 덕트에 개폐용 도어 및 이의 구동을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 설치되어야 함으로 인해 장치의 부품수가 증가되고, 따라서 장치의 고장요인이 증가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섬유원단에 열풍이 골고루 분배되어질 수 있는 열풍공급구조를 제공함으로서 건조되어지는 섬유원단의 품질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단순화된 기술구성으로 분사되어지는 열풍을 제어하기 위한 개폐판을 분사용 덕트의 유입측에 설치하여, 섬유원단의 이송이 정지된 경우에 섬유원단으로 직접 열풍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송풍팬에 의해 열풍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열풍을 안내하는 열풍 안내덕트를 수직방향으로 설치함으로서, 전체적인 열풍경로를 연장시켜 열원으로 부터 발생되어 흡입, 송풍되는 열풍의 온도균등효과를 보다 고르게 분포시킴과 동시에 하나의 송풍팬을 사용하는것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를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는, 프레임 및 벽판에 의해 소정공간을 이루는 장치의 하부 챔버내 일측에서 열교환을 통해 주변 공기를 가온시키는 열원부; 상기 하부챔버 일측의 열원부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대향측의 수평방향으로 흡인한 후 수직방향으로 강제 송풍시키되, 각기 독립된 구동원을 갖는 한쌍의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고온의 열풍을 상방향으로 안내하는 열풍 안내덕트; 상기 열풍 안내덕트의 상단에서 연통 설치됨으로서 상기 안내되어진 열풍이 복수의 경로로 분기된 후 상호 대향측으로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용 덕트; 상기 분사용 덕트의 유입측에 설치되어 열풍 안내덕트를 통해 안내되어진 열풍을 선택적으로 유입 또는 차단시키되, 일측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절과 연결되어 회동되어지는 단일의 개폐판; 상기 분사용 덕트로 유입되는 열풍을 복수의 경로로 분기시키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분기되는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조절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로 제시된 열풍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장치의 벽판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열풍장치의 열풍공급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열풍장치의 후면도.
도 5a,b,c는 각각 상기 열풍장치 후면에 설치된 송풍팬의 회전 방향에 따른 열풍기류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개폐판이 분사용 덕트의 입구부를 차폐시켰을 때의 열풍 흐름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열교환장치가 열원부에 적용된 상태도.
도 8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라 다수의 열풍장치를 동일 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적용예에 따라 다수의 열풍장치를 교번되는 방향으로 배치시킨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101 : 벽판
102 : 이송구103 : 삽입공
104 : 배기구105 : 분사용 덕트
106 : 열풍 안내덕트106a: 가이드부
107 : 개폐판108 : 송풍팬
110 : 제1로드111 : 제2로드
112 : 링크절113 : 작동로드
114 : 덕트부재117 : 통풍구
119 : 풍량 조절댐퍼120 : 에어실린더
121 : 텐션체인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 2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풍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열풍장치의 내부 단면도이며, 도 4는 열풍장치의 후면도, 도 5는 송풍팬의 다양한 회전 방향 설정에 따른 열풍기류의 흐름을 각각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개폐판이 분사용 덕트의 입구부를 차폐시켰을 때의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열풍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 열풍장치는, 골조를 이루고 있는 프레임(100)의 각 면에 다수의 벽판(101)이 결합됨으로서 내부공간을 외부와 격리시키게 되는데, 그중 양 측면 벽판(101a)에는 섬유원단이 투입 및 배출되는 이송구(102)가 형성되어져 있고, 후면 벽판(101b)에는 구동모터 삽입공(103)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면 벽판(101c)에는 배기구(104)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100)의 내부 상측에는 상하로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분사용 덕트(105)가 고정 설치되는바, 이 분사용 덕트(105)는 양 측면 벽판(101a)에 형성된 이송구(102)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하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그 단부가 지지 브라켓(미도시)을 매개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섬유원단(T)은 일측의 섬유원단 이송구(102)를 통해 투입된 후 분사용 덕트(105) 사이를 따라 이송되면서 타측의 섬유원단 이송구(102)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하측 각각의 분사용 덕트(105)에는 섬유원단(T)의 상면과 하면을 향하여 공기가 분사되도록 상호 대향되는 면에 다수의 미세한 공기 분사공(미도시)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사용 덕트(105)의 입구측에는 열풍 안내덕트(106)를 통해 안내되어지는 열풍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개폐판(107)이 1개 설치되었으며, 열풍 안내덕트(106) 하단에는 열풍을 강제 이송시키는 송풍팬(108) 및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09)가 장착되어지게 된다.
상기 개폐판(107)의 힌지축(107')에는 소정길이의 제1로드(110)가 상호 일정 각을 유지하도록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로드(110)의 단부에는 소정길이의 제2로드(111)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로드(111)의 단부는 꺽쇠형태의 링크절(112)의 일단부(112a)와 연결되었다. 상기 링크절(112)의 반대편 타단부(112b)가 에어실린더(120)의 작동로드(11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었으며, 중단의 절곡부(112c)는 열풍 안내덕트(106)의 외측 즉, 양측면 벽판(101a)에 지지됨으로서 회동축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107)의 하부위치인 상/하 분사용 덕트(105)의 분기점에는, 유입되는 열풍을 복수의 경로로 분기시키되 일단(119a)을 중심으로 별도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동되면서 분기되는 풍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풍량조절 댐퍼(119)가 설치되었다.
그리고, 열풍 안내덕트(106)의 내측 선단에는 덕트폭을 점차 감소시키는 만곡된 형태의 가이드부(106a)를 형성함으로서, 송풍팬(108)으로 부터 강제 송풍되는 초기 열풍의 경로를 연장시키면서 열풍이 고르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였다.
장치 하부에 위치하는 덕트부재(114) 내에는 송풍팬(108)과 대향되는 위치에 버너(B)가 설치됨으로서 덕트내 공기를 가온시키게 되는데, 버너(B)의 후단에는 가스 등의 연료가 공기와 혼합되어 점화되도록 외부로 부터 공기를 공급해주는 버너팬(116)이 설치되었다.
또한, 버너(B)의 상부에는 공기의 환수를 위한 통풍구(117)가 형성되었으며, 상기 통풍구(117)에는 환수되는 공기에 포함되어져 있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필터(118)가 2중으로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섬유원단(T)은 소정의 폭내기 또는 텐션체인(121)에 의해 양단이 일정장력으로 지지됨으로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로 분사용 덕트(105) 사이를 통과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풍팬(108)의 회전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을 향하여 각각 대칭형태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기기내부에 열풍을 가장 적절히 분포, 확산 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바깥쪽을 따라 열풍 안내덕트(106) 내로 강제 상승되어지는 초기 열풍은 양측에서 불균일하게 이송되어지나, 덕트내의 기류 통과공간을 점차 감소시키는 가이드부(106a)를 통과하면서 기류간의 혼합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서 열풍이 균일하게 혼합 분포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이 외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 5a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독립된 상태로 동일한 회전수를 유지하여 바깥에서 안쪽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또는 둘다 시계방향(도 5b) 또는 시계 반대방향(도 5c)으로 회전동작시킬 수 있으며, 이는 덕트의 형태에 따라 기기 외부의 제어부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콘트롤될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구성되어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조용 열풍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건조용 열풍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양측벽판(101a)의 이송구(102)를 통해 이송되어지는 섬유원단(T)은 상하 분사용 덕트(105) 사이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버너(B)가 작동되어 화염이 발생되면 덕트부재(114) 내의 공기온도가 점차 상승하게 되고, 순차적으로 구동모터(109)가 전류를 인가받아 구동된다.
상기에서 각각의 구동모터(109)가 구동됨에 따라 송풍팬(108)을 회전시키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쌍을 이루고 있는 송풍팬(108)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정면 대향측에서 버너(B)의 화염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흡입된다.
이후, 송풍팬(108)으로 흡입된 열풍은 회전하는 한쌍의 송풍팬 내에서 열기가 혼합되어 지면서, 수직방향의 안내유로를 형성하고 있는 열풍 안내덕트(106)내로 토출되어 강제 상승되어진다.
이때, 열풍 안내덕트(106)내로 토출되는 열풍은 만곡형태의 가이드부(106a)에 부딪치면서 다시한번 혼합되어 지게되며, 이로 인하여 열풍 안내덕트(106) 상단에서는 열기의 온도편차 및 풍량편차가 발생되지 않고 더욱 균일한 온도분포를 유지하며 열풍의 유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열풍 안내덕트(106)내를 따라 유동되는 열풍은 가이드부(106a)에 의해 유속의 제한을 받게 되더라도, 송풍팬(108)의 회전력에 의해 분사용 덕트(105)까지 안정적인 풍속을 유지하며 도달된다.
그리고, 일정 풍속으로 상승되어진 열풍은 개폐판(107)이 개방되어진 상태에서 상하 분사용 덕트(105)측으로 유입되어지며, 이때 상기 유입된 열풍은 일단(119a)을 축으로 회동되어지는 풍량 조절댐퍼(119)의 제어에 의해 상/하측으로 분기되어진다.
상기에서 상/하측 분사용 덕트(105)로 분기되어진 열풍은 각각의 분사공을 통해 섬유원단(T)으로 분사되어 건조작업을 수행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온도 편차가 없어 생산되어지는 섬유원단의 품질을 제고 시킬 수 있게된다.
이때, 상기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어지는 풍량이 상/하측에서 상이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상기 풍량 조절댐퍼(119)의 회동각을 조절함으로서 섬유원단(T)의 상하면에 분사되는 풍량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섬유원단의 상하면에 분사되는 풍량을 필요에 따라 다르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풍량 조절댐퍼(119)를 통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어 섬유원단(T)을 건조시킨 폐열풍의 일부는 상면 벽판(101c)에 형성되어진 배기구(10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나머지는 하부의 통풍구(117)를 통해 덕트부재(114) 내로 회수됨으로서 버너(B)에 의해 다시 가온되어 상기한 열풍 건조작업을 순환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때, 통풍구(117)를 통해 환원되는 폐열풍에는 섬유원단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므로 필터(118)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며, 상기 필터(118)는 건조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필터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2중으로 설치됨이 바람직 하다.
즉, 필터(118)가 2중의 구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열풍장치에 의한 섬유건조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하나의 필터 교체가 이루어지더라도 다른 하나의 필터에 이물질이 걸러지게 됨으로서, 가동의 중단 없이 연속적인 건조작업을 이룰 수 있게된다.
따라서, 섬유원단의 생산성 향상은 물론, 열풍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되어 한층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섬유원단(T)의 이송이 일시 정지되는 경우 섬유원단(T)으로의 열풍 분사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에어실린더(120)의 동작에 의한 링크절(112)의 기구학적 운동으로 개폐판(107)이 분사용 덕트(105)의 입구부를 차단하게 되며, 이때 버너(B) 및 송풍팬(108)은 계속적으로 가동이 이루어지면서 송풍되어지는 열풍은 화살표를 통해 표시된 바와같이 상면 벽판(101c)의 내측면을 따라 안내되어 곧바로 배기구(10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거나 통풍구(117)를 통해 회수되면서 계속적인 열풍순환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덕트부재(114) 내의 온도저하가 발생하지 않게됨으로서,섬유원단(T)의 재가동시 일정온도까지 가온시키는 시간이 소요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섬유원단(T)에 스톱마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개폐판(107)의 동작을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확대 도시된 바와같이 에어실린더(120)의 동작에 따라 작동로드(113)가 하강할 경우, 작동로드(113)의 하단부에 타단부(112b)가 연결되어진 링크절(112)이 절곡부(112c)을 회동축으로 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링크절(112)의 일단부(112a)에 연결되어진 제2로드(111)가 링크절(112)의 회동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때 일단에 연결되어진 제1로드(110) 역시 힌지축(107')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개폐판(107)이 일정각을 유지하면서 힌지축(107')을 중심으로 함께 회동됨으로서 분사용 덕트(105)의 입구부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한번 비교예로서 설명하면, 종래 기술에서는 섬유원단(T)의 이송이 정지되는 시점에서 송풍팬과 버너의 구동을 함께 중단시켜 열풍의 공급을 방지하였지만, 이와같은 상태에서 다시 섬유원단(T)의 건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공기를 설정 온도까지 가온시키기 위하여 버너를 다시 구동시키는 시간이 소요되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버너(B)와 송풍팬(108)은 계속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열풍은 설정 온도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된다.
따라서, 다시 섬유원단(T)의 이송이 재개되는 시점에서는 작동로드(113)가 상승되어 지면서 상기의 개폐판(107) 폐쇄동작과 반대의 과정에 따라 개폐판(107)이 개방되어지면, 계속적으로 공급되어지던 열풍이 다시 분사용 덕트(105)측으로 안내됨으로서 섬유원단(T)으로의 열풍 분사가 이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개폐용 도어가 채용된 종래 기술에서는 분기되어지는 2개의 분사용 덕트 유입측에 각각 개폐용 도어가 설치됨으로 인해 복잡한 부품구성을 이루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분사용 덕트(105)의 유입측에 설치된 단일의 개폐판(107) 하나만을 폐쇄하는 동작이 수행됨으로 보다 단순화된 구성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7에 제시된 도면은 본 발명의 열원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에서의 버너(B) 대신에 고온의 스팀 또는 열매체가 순환되는 순환 파이프(201) 및 방열핀(202)으로 이루어지는 열교환장치(200)를 설치함으로서, 방열핀(202)을 통과하는 주변의 공기들을 열교환 작용을 통해 온도를 상승시킬 수도 있게된다.
이때, 송풍팬(108)의 구동시 흡입작용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열교환장치(200)를 통과하면서 방열핀(202)과 자연스럽게 열교환작용이 이루어진 고온상태에서 송풍팬(108)에 의한 강제 송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적용예로서, 상기 실시예의 구성을 이루는 텐터기를 다수개로 연결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갖는 텐터기 어셈블리 다수개를 각각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하되 각 어셈블리 측면 벽판에 형성된 이송구(102)가 상호 연통되어지도록 배치함으로서, 소정폭(D)으로 공급되는 섬유원단(T)이 다수의 텐터기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일정시간동안건조공정이 수행되어질 수 있게된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텐터기 어셈블리를 이송구(102)간 연통되도록 배치함에 있어서 각각의 어셈블리에서 송풍팬(108) 및 버너(B)의 위치가 반대방향으로 서로 교번되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도 9와 같은 배치방법은, 분사용 덕트(105)로 부터 분사되는 열풍의 온도편차(분사용 덕트의 길이에 따라 선단과 끝단간에 열풍온도가 상이할 수 있으므로)를 보상해주어 소정폭(D)으로 공급되는 섬유원단(T) 전체면에 대하여 더욱 균일한 열풍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이로 인하여 더욱 우수한 품질의 섬유원단을 가공할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의 기술구성이 상술되어진 텐터기 뿐만 아니라 슈링크 등의 기타 다른 열풍장치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여러가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건조용 열풍장치는, 열원에 의해 가온된 열풍을 송풍팬이 강제로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경로를 최대한 연장시킨 열풍 안내덕트내의 가이드부에 의해 열풍이 균일하게 퍼진 상태에서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분사용 덕트를 통하여 분사되어지는 열풍의 온도분포가 고르게 형성되어질 수 있게 되어 우수한 품질의 섬유원단으로의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열풍이 공급되어지는 공기 분사용 덕트의 입구부 개폐작동이 하나의 개폐판만으로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단순화된 작동구조를 이룰 수 있고, 이로인하여 해당부위의 부품수를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섬유원단의 이송이 일시 중단된 경우, 열원부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버너는 계속적으로 동작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 섬유원단의 이송이 속개되는 시점에서 바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게된다.
이외에도, 상기 개폐판이 위치하는 공기 분사용 덕트의 분기점에 풍량 분배를 제어하는 조절댐퍼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서, 상/하측 분사용 덕트의 분사공을 통해 섬유원단에 분사되어지는 열풍이 상호 동일한 풍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됨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프레임 및 벽판에 의해 소정공간을 이루는 장치의 하부 일측에서 주변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열원부;
    상기 열원부에 의해 가온된 공기를 대향측의 수평방향에서 흡인한 후 수직방향으로 강제 송풍시키되, 각기 독립된 구동원을 갖는 한쌍의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강제 송풍되는 고온의 열풍을 장치내의 상부로 안내하는 열풍 안내덕트;
    상기 열풍 안내덕트의 상단에서 연통 설치되되, 복수의 경로로 분기됨으로서 상기 안내되어진 열풍이 다수의 분사공을 통해 상호 대향측으로 분사되는 복수의 분사용 덕트;
    상기 분사용 덕트의 유입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열풍 안내덕트를 통해 안내되어진 열풍을 선택적으로 유입 또는 차단시키는 단일의 개폐판;
    상기 분사용 덕트로 유입된 열풍을 복수의 경로로 분기시키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분기되는 풍량을 제어하는 풍량조절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풍 안내덕트는, 송풍팬에 의해 열풍이 강제 송풍되어지는 선단에서 덕트폭을 점차 감소시키는 만곡된 형태의 가이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은, 다단으로 연결되어진 로드의 일단에 힌지연결되어 회동이 가능하게 되되, 상기 회동력은 에어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유동되는 작동로드로 부터 전달받도록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1020000064357A 2000-10-31 2000-10-31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100357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357A KR100357687B1 (ko) 2000-10-31 2000-10-31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357A KR100357687B1 (ko) 2000-10-31 2000-10-31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260A true KR20020034260A (ko) 2002-05-09
KR100357687B1 KR100357687B1 (ko) 2002-10-19

Family

ID=1969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357A KR100357687B1 (ko) 2000-10-31 2000-10-31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6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1917A (zh) * 2019-10-16 2020-01-10 东莞市坚华机械有限公司 一种织带烘干装置
KR20220061731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과학기술원 내화성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화성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960B1 (ko) * 2014-03-25 2015-03-12 일성기계공업 주식회사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71917A (zh) * 2019-10-16 2020-01-10 东莞市坚华机械有限公司 一种织带烘干装置
CN110671917B (zh) * 2019-10-16 2024-03-08 东莞市坚华机械有限公司 一种织带烘干装置
KR20220061731A (ko) * 2020-11-06 2022-05-13 한국과학기술원 내화성 콘크리트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내화성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687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3898B1 (ko) 텐터기의 열풍공급 분배구조
KR101497960B1 (ko) 섬유건조 셋팅기용 열풍 공급장치
CN207496233U (zh) 一种印刷机的干燥装置
KR100320004B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
MXPA04002340A (es) Maquina y metodo para el tratamiento continuo de una tela.
KR100357687B1 (ko) 섬유 건조용 열풍장치
KR100475663B1 (ko) 텐터기 열풍 시스템
US6282811B1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hermal treatment of a continuous product web by blowing of steam
KR101492912B1 (ko) 직물 웨브의 열처리 장치
CN210257645U (zh) 一种印刷用干燥设备
CN110725090A (zh) 双层拉幅定型装置及系统
KR101075353B1 (ko) 텐터기용 열풍 공급장치
CN209801941U (zh) 拉幅定型机烘箱系统
KR200175927Y1 (ko) 텐터기의 열풍 공급시스템의 버너 열기 배출구조
KR101548652B1 (ko) 섬유 건조 및 셋팅기용 열풍 공급구조체
CN109945602B (zh) 拉幅定型机烘箱系统
KR200224666Y1 (ko) 열풍 건조시스템
CN211142511U (zh) 出气机构以及复式定型装置
KR19990068344A (ko) 텐터기의열풍공급시스템
KR100499363B1 (ko) 의류 건조기
KR102252867B1 (ko) 텐터기용 하부노즐 승강구조체
CN217330567U (zh) 纺织烘燥装置
CN212860813U (zh) 一种包装袋印刷机烘干装置
CN220153191U (zh) 一种网带式烘干机送风装置及烘干机
JPH0623912Y2 (ja) 布帛の移動式乾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