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215A -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215A
KR20020033215A KR1020000063831A KR20000063831A KR20020033215A KR 20020033215 A KR20020033215 A KR 20020033215A KR 1020000063831 A KR1020000063831 A KR 1020000063831A KR 20000063831 A KR20000063831 A KR 20000063831A KR 20020033215 A KR20020033215 A KR 2002003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 wave
user
data
wave generation
alph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6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3215A/ko
Publication of KR2002003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2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61B5/377Electroencephalography [EEG] using evoked responses
    • A61B5/38Acoustic or auditory stimul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리듬 결과에 적합한 알파파를 발생하므로써, 사용자의 긴장을 이완시켜 피로를 회복하게 하거나 정신건강을 이롭게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며, 무선으로 통신신호를 송수신 함과 동시에 알파파를 발생하는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신체리듬 감지부와;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고주파부로부터 수신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읽고 해당되는 알파파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알파파 발생부와; 알파파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알파파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고주파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독하여 출력하는 코덱과; 제어부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신체리듬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비정상인 경우는 해당 알파파 발생신호를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피로를 용이하게 회복하게 함과 동시에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A METHOD AND A DEVICE OF GENERATING ALPHA WAVE BY USING PCP}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신체리듬을 검사하며, 그 결과에 적합한 알파파를 발생하므로써, 사용자의 긴장을 이완시켜 피로를 회복하게 하거나 정신건강을 이롭게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회에서 이동통신용 휴대 단말기는 점차 필수품화 되어 있으므로,일반적으로 각 개인이 항상 휴대하게 되며, 또한, 복잡한 현대 사회생활은 정신적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므로, 상기와 같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하여서는 수면, 운동, 취미생활, 오락 등을 하기 위한 적절한 장소를 선택하고, 시간을 할당하여야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소정의 비용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여가생활을 통하여 축적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어려운 경우는 인위적으로 알파파의 활동을 증진시켜, 긴장완화 및 수면을 취하므로써, 신체리듬을 정상화시키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알파파는 두뇌활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이며, 알파파가 활발하게 활동하는 경우, 두뇌는 깊은 수면상태에 있거나 또는 피로를 회복하게 되는 것이므로, 인위적으로 상기와 같은 알파파를 활성화 시켜, 피로회복 또는 스트레스 해소에 이용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것으로, 알파파를 활성화시키는 장치는 별도의 알파파 발생 전용장치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책상 등에서 사용되는 스탠드 등에 고정 부착된 것으로써, 그 크기가 매우 크고, 휴대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피로를 회복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특정한 장소를 이용하여야 하며, 원하는 장소와 필요한 시간에 사용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알파파 발생 장치는 사용방법이 복잡하고, 비교적 고가의 장비이어서 일반적으로 용이하게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기술은 휴대단말기에 신체리듬 감지부와 알파파 발생부 및 해당데이터 베이스를 부가하여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한 알파파를 발생하게 하고, 새로운 알파파 발생의 조건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수신하여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 저장 및 사용하도록 하는 알파파 발생 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통신신호를 송수신 함과 동시에 알파파를 발생하는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신체리듬 감지부와;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수신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읽고 해당되는 알파파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알파파 발생부와; 상기 알파파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알파파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독하여 출력하는 코덱과;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에 의하여 고주파부가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제2 과정과; 사용자의 신체 리듬을 판별한 후, 해당되는 알파파를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신체리듬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의 신체리듬 데이터가 감지되어 입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4 과정과; 상기의 제4 과정에서 신체리듬의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신체리듬을 감지하고 해당 데이터가 입력하도록 하는 요구메시지를 표시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신체리듬이 감지되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의 신체리듬의 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는 정상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종료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6 과정과; 상기 제6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리듬의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는 해당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신체리듬의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자동 선택하는 제7 과정과; 상기 제7 과정에 의하여 선택된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발생부에 인가 하므로써, 해당 알파파가 발생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8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기능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순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고주파부20 : 신체리듬감지부
30 : 제어부40 :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
50 : 알파파 발생부60 : 증폭부
70 : 코덱80 : 키패드부
이하,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의 기능 구성도이고, 도2 는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 을 참조하면, 본 발명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파파 발생 장치는, 무선으로 통신신호를 송수신 함과 동시에 알파(α)파를 발생하는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고주파(RF: Radio Frequency)부(10)와,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신체리듬 감지부(20)와,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상기 고주파부(10)로부터 수신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에 기록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읽고 해당되는 알파파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알파파 발생부(50)와,
상기 알파파 발생부(50)로부터 출력되는 알파파를 소정의 레벨(Level)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60)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고주파부(1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독(Decode)하여 출력하는 코덱(CODEC)(70)과,
상기 제어부(30)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Keypad)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파파 발생 방법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해당 제어부(30)에 의하여 상기 고주파부(10)가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S10)과,
상기 제1 과정(S10)에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의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제2 과정(S20)과,
휴대단말기의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신체 리듬을 판별하고, 해당되는 알파파를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3 과정(S30)과,
신체리듬감지부(20)로부터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의 신체리듬 데이터가 감지되어 입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4 과정(S40)과,
상기의 제4 과정(S40)에서 신체리듬의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안은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 신체리듬을 감지한 해당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요구메시지를 표시하는 제5 과정(S50)과,
상기 제4 과정(S40)에서 신체리듬이 감지되어 입력되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30)는 사용자 신체리듬의 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는 상기 정상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종료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6 과정(S60)과,
상기 제6 과정(S60)에서 사용자의 신체리듬의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는 해당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신체리듬의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해당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자동 선택하는 제7 과정(S70)과,
상기 제7 과정(S70)에 의하여 선택된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발생부(50)에 인가 하므로써, 해당 알파파가 발생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8 과정(S80)과,
상기 제3 과정(S30)에서 판단하여,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동으로 알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키패드(80)의 해당 기능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의 해당 버튼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종료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9 과정(S90)과,
상기 제9 과정(S90)에서 상기의 수동 동작을 위하여 키패드부(80)의 해당 기능 버튼이 입력된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10 과정(S100)과,
상기 제10 과정(S100)에서 기존의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해당 기존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8 과정(S80)으로 진행하는 제11 과정(S110)과,
상기 제10 과정(S100)에서 기존의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키패드부(8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8 과정(S80)으로 진행하는 제12 과정(S12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를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다양한 종류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고주파부(10)를 통하여 수신하고, 제어부(30)에 인가하면, 상시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에 기록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알파파 발생데이터는, 일 예로서, 파도소리, 물 흐르는 소리,바람 소리 등과 같은 자연의 소리로써, 사람이 들으면, 두뇌로부터 알파파의 발생을 촉진시키는 것이며, 이동통신 시스템 사업자가 제공할 수도 있고, 유상 전문 서비스 업체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휴대단말기의 상기 신체리듬감지부(20)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체전류를 측정하는 센서와, 뇌파를 측정하는 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상기 각 센서가 측정한 해당 값을 제어부(30)에 인가하면, 상기 제어부(30)는 해당 처리를 하여 사용자에 적당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선택 또는 추출한다.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선택 또는 추출된 신호를 알파파 발생부(50)에 인가하면, 알파파 발생부(50)는 해당되는 알파파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증폭부(60)에 인가하므로써, 적정한 레벨(Level)로 증폭한 후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들려주게 된다.
상기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신체리듬 감지부(2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는, 키패드부(80)를 이용하여,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에 기록저장된 것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다시 이용하거나 또는 임의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선택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알파파 발생부(5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한, 본 발명 기술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는, 알파파 발생 방법을 도1 내지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동통신서비스 업체 또는 유상 서비스 업체를 통하여 알파파 발생데이터가 고주파부(10)를 통하여수신되었는지 판단하고(S10), 수신된 경우는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에 기록저장한다(S20).
상기와 같은 알파파 발생데이터는 이동통신 서비스업체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갱신(Update) 되거나 또는 사용자가 유상서비스 업체를 이용하므로써 수시로 갱신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제어부(30)는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 등을 측정하여 해당되는 알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S30), 상기의 제3 과정(S30)에서 자동모드로 판단 된 경우는 상기 신체리듬감지부(20)로부터 체온, 체전류, 뇌파 등의 신체리듬 신호가 감지되었는지를 판단하고(S40), 상기와 같은 신체리듬 신호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는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신체리듬을 감지하도록 하는 요구 메시지(Message)를 입력하여(S50)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4 과정(S40)에서 신체리듬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30)의 처리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리듬이 정상인지를 판단하고(S60), 정상인 경우는 알파파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종료과정으로 진행하며. 사용자의 신체리듬이 정상이 아닌 경우는 제어부(30)의 처리에 의한 적당한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선택 추출하여(S70), 상기 알파파 발생부(50)에 입력하므로써, 알파파 신호를 발생하고, 증폭부(60)를 통하여 소정의 레벨로 증폭 한 후에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하여 사용자가 해당 알파파 신호를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과정(S30)에서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사용자가상기 신체리듬감지부(2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로써, 키패드부(80)를 이용하여 수동모드로 알파파를 듣겠다는 해당 기능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고(S90), 해당 버튼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종료하며, 상기의 해당 기능버튼이 입력된 경우는 기존에 사용자가 이용하였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다시 사용할 것인지 판단한다(S100).
상기 제10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본 발명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였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선택 및 추출한 후(S110) 상기 알파파 발생부(50)에 출력하므로써(S80), 증폭부(60)에 의하여 소정의 레벨로 증폭되고, 스피커 또는 이어폰을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0 과정(S100)에서 판단하여, 기존에 사용하였던 상기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키패드부(8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임의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선택하며, 제어부(30)는 상기의 선택된 임의의 데이터를 해당 처리에 의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40)로부터 선택 추출하고(S120), 상기 알파파 발생부(50)에 출력하므로써, 해당 알파파를 발생시키며(S80) 증폭부(60)를 통하여 증폭 한 후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을 통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된다.
상기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2000과 같이 영상이 동시 지원되는 경우는, 모니터를 통하여 알파파 발생에 도움이 되는 이미지(Image)를 동시에 보여 줌으로써, 알파파 발생을 제고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기술은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 등을 감지하고, 신체리듬이 정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비정상인 경우는 해당 알파파 발생신호를 사용자에게 들려줌으로써, 피로를 용이하게 회복하게 함과 동시에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기록저장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의하여 임의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선택하여 신체리듬에 관계없이 들으므로써,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이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무선으로 통신신호를 송수신 함과 동시에 알파파를 발생하는 해당 데이터를 수신하는 고주파부와,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신체리듬 감지부와,
    휴대단말기의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수신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에 기록저장된 해당 데이터를 읽고 해당되는 알파파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알파파 발생부와,
    상기 알파파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알파파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고주파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해독하여 출력하는 코덱과,
    상기 제어부를 제어하는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키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2.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에 의하여 고주파부가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수신하였는지 판단하는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의 해당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제2 과정과,
    제어부에 의하여 사용자의 신체 리듬을 판별하고, 해당되는 알파파를 자동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신체리듬감지부로부터 사용자의 체온, 체전류, 뇌파의 신체리듬 데이터가 감지되어 입력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4 과정과,
    상기의 제4 과정에서 신체리듬의 데이터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휴대단말기의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 신체리듬을 감지하고 해당 데이터를 입력하도록 하는 요구메시지를 표시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신체리듬이 감지되어 입력되는 경우, 제어부는 사용자 신체리듬의 상태가 정상인지 판단하여 정상인 경우는 정상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종료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6 과정과,
    상기 제6 과정에서 사용자의 신체리듬의 상태가 정상이 아닌 경우는 해당 상태를 표시부에 표시한 후, 상기 신체리듬의 데이터를 분석 처리하여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자동 선택하는 제7 과정과,
    상기 제7 과정에 의하여 선택된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알파파 발생부에 인가 하므로써, 해당 알파파가 발생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제8 과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에서 판단하여, 자동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수동으로 알파파를 발생하도록 하는 키패드의 해당 버튼이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상기의 해당 버튼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는 종료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9 과정과,
    상기 제9 과정에서 상기의 수동 동작을 위한 해당 버튼이 입력된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10 과정과,
    상기 제10 과정에서 기존의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알파파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해당 기존의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8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11 과정과,
    상기 제10 과정에서 기존의 알파파 발생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키패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알파파 발생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 제8 과정으로 진행하는 제12 과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방법.
KR1020000063831A 2000-10-30 2000-10-30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332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831A KR20020033215A (ko) 2000-10-30 2000-10-30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3831A KR20020033215A (ko) 2000-10-30 2000-10-30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215A true KR20020033215A (ko) 2002-05-06

Family

ID=1969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3831A KR20020033215A (ko) 2000-10-30 2000-10-30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321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58A (ko) * 2002-08-23 2004-02-27 주식회사 게임빌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뇌파 조절 모듈
KR100688291B1 (ko) * 2004-12-21 2007-03-02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98113B1 (ko) * 2004-09-11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몸상태를 측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150022080A (ko) * 2013-08-22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뇌파 공유 장치, 그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658A (ko) * 2002-08-23 2004-02-27 주식회사 게임빌 이동통신단말기 내장형 뇌파 조절 모듈
KR100698113B1 (ko) * 2004-09-11 2007-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몸상태를 측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688291B1 (ko) * 2004-12-21 2007-03-02 주식회사 팬택 사용자별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22080A (ko) * 2013-08-22 2015-03-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뇌파 공유 장치, 그를 포함하는 뇌파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6589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lectable alert modes
KR20050000240A (ko) 휴대단말기의 수신 음성레벨 자동제어장치 및 방법
JP2006091869A (ja) 移動通信端末機の文字サイズ調節装置及び方法
CN110459212A (zh) 音量控制方法及设备
JP2012115373A (ja) 脈拍異常通知システムおよび携帯電話機
EP3402215A1 (en) Smart headphone device personal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130023738A1 (en) Mobile phone for health inspection and method using same
JP5217098B2 (ja) ヘルスセンサ機能付携帯端末装置
JP2001086203A (ja) 携帯電話の表示部データ音声出力装置及び方法
JP4114392B2 (ja) 検査センター装置、端末装置、聴力補償方法、聴力補償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聴力補償方法のプログラム
JPH06114038A (ja) 聴覚検査・訓練装置
KR20020033215A (ko) 휴대단말기의 알파파 발생 장치 및 방법
JPH118938A (ja) 携帯無線機の電池残量警告回路
JP2001203783A (ja) 携帯電話機
JP5905141B1 (ja) 音声聴取能力評価装置および音声聴取指標計算方法
JP2012073688A (ja) 日焼け防止対策通知装置、日焼け防止対策通知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50089232A (ko) 시력 검사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JP5351592B2 (ja) 耳栓遮音効果測定装置
KR20030067849A (ko) 청력 테스트 장치, 그 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JP5353964B2 (ja) 携帯端末装置
KR101803467B1 (ko) 보청기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외부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
US200901115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dible Indication of an Active Wireless Link
KR19990048912A (ko) 청력 진단 전화기와 그 제어방법
KR20060133214A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청력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10200259A (ja) 携帯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