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1958A -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1958A
KR20020031958A KR1020000062762A KR20000062762A KR20020031958A KR 20020031958 A KR20020031958 A KR 20020031958A KR 1020000062762 A KR1020000062762 A KR 1020000062762A KR 20000062762 A KR20000062762 A KR 20000062762A KR 20020031958 A KR20020031958 A KR 2002003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oil
wastewater
microorganisms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2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선
권용철
문기호
Original Assignee
김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선 filed Critical 김일선
Priority to KR1020000062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1958A/ko
Publication of KR2002003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195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Multistep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Abstract

본 발명은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생물 활성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산폐수를 토양미생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과 부식전구물질을 이용하여 생물 활성수로 제조함으로써, 폐수처리를 함과 동시에 그 결과 얻어진 처리수가 토양미생물의 활성 촉진으로 인해 토양 개량과 동식물의 생장에 매우 유익한 작용을 나타내게 되므로 토양 개량과 동식물의 성장 촉진 및 농산물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신 개념의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 활성수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a Bio-activating Water for Organism}
본 발명은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생물 활성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산폐수와 같은 유기폐수를 토양미생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미생물의 대사산물과 부식전구물질을 이용하여 생물 활성수로 제조함으로써, 폐수처리를 함과 동시에 그 결과 얻어진 처리수가 토양미생물의 활성 촉진으로 인해 토양 개량과 동식물의 생장에 매우 유익한 작용을 나타내게 되므로 토양 개량과 동식물의 성장 촉진 및 농산물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신 개념의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표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 자연적인 부식과정은 그 작용과 원리가 불명하여 부식화된 토양이나 물질을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은 일부 분야에 극히 제한적으로 이용되어 왔다. 이것은 부식이라 불리우는 물질의 조성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이며, 화학 조성이 비슷한 부식이라 해도 그 존재 형태가 다르면 발현되는 기능이 이질적이라는 사실 때문에 반드시 부식의 기능을 좌우하는 주 요인이 화학조성에만 있다고 할 수도 없다.
그러나, 기존의 미생물학적 폐수처리로 대표되는 활성 오니법 등에서는 세균류, 원생 동물류, 후생 동물류 등과 같은 3종류 형태의 미생물 중에서 특정 성상의 미생물을 생육환경으로 유도하거나, 적절히 환경을 조정하여 오염원을 분해하는 방식으로 적용되어 왔는 바, 이러한 활성 오니법의 경우는 운용상 전문적 기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폐수처리과정에서 반응 촉진제나 종균제 등과 같은 보조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아니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이렇게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 공정에서 생성된 미생물의 대사산물은 당연히 토양에서의 조정기능이 미약하거나 오히려 미생물상의 불균형과 같은 역효과를 나타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미생물을 이용한 폐수처리 과정에서 생성된 처리수는 단순히 방류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를 재활용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고, 일부 재활용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특별한 기능이 부여된 것이 아니라 단순한 사용에 불과하여 특별한 효용성을 가지지는 못하였다.
본 발명자는 위와 같이 종래의 폐수처리 과정에서 얻어지는 처리수를 보다 바람직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본질적으로는 효과적으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오랜 동안 연구하던 끝에, 폐수처리에 사용하는 미생물을 특정하고 활성화조건으로 환경을 조성하여 자연과 동일한 조건을 유지하여 활성화시킨다면 효과적인 폐수처리는 물론 처리수의 미생물 대사산물이나 부식물질이 생물의 생육과 토양개량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산분뇨를 포함하는 폐수로서의 유기물을 자원화 하여 유기물을 분해시기고, 악취제거 및 유해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성을 갖는 미생물을 활성 배양시켜 그 대사산물을 포함한 부식전구물질들을 유용하게 이용함으로서 정화의 기능은 물론 토양중의 식물 뿌리 부분의 유효이용 무기물의 증가를 도모하고, 동식물의 성장을 촉진하여, 일반적인 작물 및 동물의 생육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비료, 농약의 사용량을 절감하고 사료효율을 증가시켜 종래에는 농업 소득 향상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신개념의 생물활성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생물 활성수를 제조하는 설비를 구성하여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집수조 111 : 반송라인
102 : 폭기조 112 : 반송라인
103 : 제1 미생물 활성배양조 113-1, 113-2 : 미생물 배양 반응기
104 : 제1 침전조 114 : 미생물 안정 반응기
105 : 제2 미생물 활성배양조
106 : 제2 침전조
107 : 생물활성수 안정조
본 발명은 미생물의 대사산물과 부식화 물질 및 부식전구물질을 포함하는 토양미생물의 활성배양액의 제조공정과, 이 활성배양액을 유기 폐수에 유입시켜서 폐수를 정화하여 활성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활성수를 안정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토양미생물의 활성배양액은 규산성분을 함유하는 암석성분과 부식전구물질이 충전된 토양미생물 활성반응기에서 토양미생물이 폐수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정화되면서 킬레이트화 하고 토양미생물의 대사산물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의 활성배양오니 물질로 얻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의 성장 환경을 원시의 지구사적 자연 환경과 유사한 조건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인 바, 유기물은 분해되기 쉬운 것부터 미생물에 의해 발효, 분해되기 시작하는데 분해물은 일부가 합성되어 생체에 고정되고, 생물 활동에 의한 노폐물, 분비물, 미생물 유체 등의 영향으로 환경 유기물이 변화되어 다음세대의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것도 있다.
즉, 자연에서 우기물질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 부식되면서 정화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유기물 분해 시작 단계, 부식 전구 물질화 단계, 부식물 단계의 과정을 거처 변화되면서 자연스럽게 정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미생물상과 유기물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변화해 가는데, 이러한 과정 중에서 비페놀계 대사로 이루어지는 오염의 진행과 페놀계 대사로 이루어지는 정화의 진행이 발생하는 바, 본 발명은 정화가 이루어지는 페놀계 대사의환경을 만들어서 폐수를 정화하면서 그 처리수가 계속적으로 생물의 생육 환경을 조성하는 기능을 가지는 상태로 제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 활성수의 제조방법은 축산폐수의 정화처리 과정으로 이용되는 토양미생물의 활성 배양공정과 활성수의 안정화 공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할성수를 제조하는 것은 유기 폐수를 정화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바, 일차적으로 정화처리 과정은 일반적인 폐수처리과정 (활성오니법)과는 달리 자연환경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독특한 처리 과정중에 일어나는 물질의 변화 및 미생물의 대사산물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다음 단계로는 위에서 처리된 최종 처리수를 2차적으로 더욱 안정화시키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미생물 활성 배양물질인 활성수를 만들어내는 단계로 구성 되어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되면, 유기폐수, 축분뇨, 인분뇨 등이 정화 처리되면서 그 결과로 얻어지는 처리수가 단순한 배출수로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토양 개량제, 성장촉진제, 사료 효율 향상 등의 기능을 발현하는 생물활성수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폐수및 분뇨내의 유기물을 반응조(폭기조)에서 토양미생물과 접촉시켜서 미생물을 배양하는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유기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인 분해 가스화, 생물 고정의 과정이 기술화된 생물학적 활성 오니법과는 달리 토양중에 서식하면서 자연의 자정기능을 발휘하는 토양 미생물군의 부식화 반응을 이용하여 유기성 오염물질을 응집하여 토양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처리수, 오니, 퇴비 등은 각각 사용되는 곳에 따라서 물과 바이오매스(BIOMASS)의 순환과 함께 그 생물활성의 효과를 파급, 진전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폐수처리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상기와 같은 생물 활성수를 얻어내는 매카니즘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 상태에서는 끊임없이 새로운 유기물이 유입되기 때문에 부식화(정화)는 반드시 특정한 순서에 따라 단계별로 진행한다고 할 수는 없다. 늪지대의 자연상태를 관찰해 보면 항상 맑은 물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물질 변화를 보면, 밑바닥에는 부식물 및 규산염이 포함되어 있고, 또 많은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고, 물 속에는 미량의 부식전구물질이 용해되어 있다. 이러한 곳에 유기물이 유입되면, 수중에 용해된 부식 전구물질에 의해 유기물의 응집 고분자화, 오니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이 환경 변화에 따라서 미생물의 분포와 밀도도 변화하게 된다. 유기물의 양이 많아서 변화가 급격한 경우에는 미생물의 환경 조정 기능이 작용하여 대사산물의 방출이 일어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되는 부식 전구물질 및 방향족 유기구성물을 함유한 미생물 대사산물 중에서 응집 고분자화. 오니화에 기여하는 물질은 산화단계가 진행된 화합물이고, 방향족 유기 구성기를 가진 화합물, 또는 그 산화물인 퀴논류, 유기산, 아미노산 등이다. 또, 수중에 규산염이 용해된 경우와 부식전구물질이 충분하게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응집 고분자화, 오니화는 동시에 부식화를 위한 물질 변화의 경로를 밟게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연상태에서 정화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존재하는 부식 전구물질에는 규산염 본래의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정화 과정에서 생성되는 응집고분자화, 오니화한 유기물은 바닥에 침적되고, 침적된 유기물은 응집 고분자화, 오니화된 것을 포함하여 상기한 부식화 과정을 거치면서 부식화의 물질 변화를 찾아간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자연정화과정을 폐수처리계 내로 도입시켜서 인위적으로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진행되게 하여 바람직한 상태의 정화처리수를 얻게 되는 것이고, 이것은 토양미생물의 활성특성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으므로 생물활성수가 되는 것이다.
이하, 위와 같은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시한 도1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서 집수조(101)에 폐수가 유입되면 우선적으로 유기물의 분해 과정이 일어나게 조작되어야 하는데, 유기물을 포함한 폐수(원수)에는 토양미생물이 활성 배양되는 제1 미생물 배양조(103)에서 1차적으로 부식화되거나 부식전구물질의 상태인 미생물 활성 배양액이 반송라인(112)을 통해 반송되면 화학변화에 의해 중간의 화학물질을 생성하고 미생물이 이런 과정에서 자연 정화기능을 나타내게 된다. 이때, 화학반응은 혼합, 교반이 적절하면 상당히 빠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자연생태계에서 일어나는 것보다 처리시간을 대폭 단축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폐수의 악취가 제거되며 미생물의 활동은 산소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다. 그러나, 원시 환경에서 미생물은 산소의 해를 견디면서 극단적으로 산소를 이용하는법을 터득하였기 때문에 산소가 적량이면 부식화로의 진행은 지장이 없고, 오히려 과잉인 양분의 분해와 전환, 혐기 상태로의 이행, C/N비의 조정 등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므로 인위적인 조작을 하는 경우 조건에 맞는 산소의 조정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이 집수조(101)에서 1차적으로 반응한 폐수는 폭기조(102)에서 부식화가 진행되는 바, 이 부식화는 반송라인(111)으로 반송된 활성배양 오니형태의 미생물 활성배양액과 혼합, 교반, 폭기되어 부식화 반응이 진행되는 것이다. 여기서, 부식화 반응은 미생물, 물질, 물의 3자가 일체가 되어 진행하게 되는데, 지금까지 오수처리의 경우에서 보면 농축 분리된 고형물을 침전하여 분리해 내는 의미의 반송에 그치기 때문에 반송물이 반응조의 환경을 개선하는 작용이 거의없는 무의미한 반송을 하고 있었던 것과는 전혀 다른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송라인(111)을 통해 반송되는 토양미생물의 활성 배양액은 환경 정화제라는 개념의 물질로 미생물, 물질, 물을 포함한 융합된 물질이며, 자연계 내의 정화과정에서 필수적인 진정 토양성분으로서의 1차 정화제의 의미를 갖는 것이고, 이러한 과정에서 정화가 시작되고 나서 계 내에서 생산하는 부식화 과정물질을 2차 정화제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폭기조(102)에서 일어나는 정화이 단계는 앞에서도 설명하였듯이 여러 가지 단계가 단계별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체화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그리고 정해진 지표의 성격에 따라 부식화의 조정은 필요하게 된다. 만일, 정화의 가속현상을 제어하게 되면 한정된 영역 내에서의 진행, 광역 처리계 내에서의 진행, 지역 전체의 진행 등 그 능력 한계를 넓혀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쇄적인 미생물의 활동과정에서 각 세대의 미생물의 대사 산물과 유기물의 결합의 결과 생성된 부식전구물질 및 부식화 물질은 개개의 미생물의 대사산물과 유기물의 응집 고분자화, 오니화에 있어서 서로 매우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들은 공통적으로 방향족 유기 구성물질을 함유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하고 있는 것은 토양미생물로서, 미생물의 기능은 크게 환경 조정 기능, 영양 섭취 기능, 대사 기능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기능이 유효하게 작용하고 또 유기적으로 제휴하면서 미생물 개체 또는 군체로서 생존번식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미생물의 환경조정기능은 개체 또는 군체가 적합한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외계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이고 극한 상태에서는 방위기능으로서 발현되는 것이다. 이는 주로 미생물에서 배출되는 대사산물과의 사이에 물리적 화학적 반응에 의해 미생물의 생존 번영에 부적합한 상태를 적합한 상태로 변화 고정시켜서 응집, 고분자화, 오니화시키는 형태를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폭기조(102)에서의 조작 반응 기능이 바로 부식화이며, 이 과정 중에 생성되는 부식전구물질이 미생물에게 최적의 환경이 되는 곳이다. 이 부식 물질의 특징은 활성 물질의 집합체이며, 환경소외 물질의 고정화와 불활성화 작용을 부여하는 킬레이트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각종 편성, 혐기성 세균 및 바이러스 등에 대한 억제 멸균 효과를 가지며,세포막 및 생체막에 대한 투과 침투성이 뛰어난 특성을 나타낸다. 만일, 부식물질이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면 그 미생물은 생존 번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집수조(101)와 폭기조(102)에서 반응하는 형태의 기본 조건은 제1 미생물 활성배양조(103)에서 활성 배양된 오니의 첨가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아니 된다. 따라서, 미생물 활성배양조(103)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공정 후단에 설치되는 제2미생물 활성배양조(105)도 기능은 이것과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설치된 제1 미생물 활성배양조(103)의 반응 구조를 살펴보면, 활성 배양 오니(여기에서는 토양미생물의 활성화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진정토양 성분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의 필수 성분인 규산염 물질(규소), 규소를 함유한 유기물, 부식물의 3종류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제1 미생물 활성배양조(103) 내에 내장되어 있는 미생물 배양반응기(113-1)(조105의 113-2도 동일함)에는 부식전구물질의 펠렛과 규산염 성분으로서 예컨대 활성화된 규산염 성분의 경석이 충전되어 있으며, 이 두가지 물질이 미생물의 활성 배양과 부식화 촉진의 자연과 같은 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의 주요 성분이 규산이라는 것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규소는 지구의 조산활동, 화산활동에 의해 커다란 에너지를 밭고 이 에너지가 규산의 고 에너지화,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카와타(川田.1991)는 이러한 에너지가 실리케이트사면체의 모양이 비틀린 상태에서 저장되어 20 옹그스트롱 정도의 미립 결정물로 추출할 수 있다고 하였고, 이것의 생물활성효과에 대해서는 지각의 암석에서 추출한 액은 촉매 기능이 발휘되는 생물 활성을 가지고 있어, 동식물을 불문하고 성장을 촉진하며 질병을 예방하는 특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미립자화된 규소의 분자 집단은 미생물이 이용하기 쉽게 되어 있고 실제로 토양 중에서 활동하는 미생물에는 종속 영양 세균이 많고, 유기물의 형태가 아니면 미생물활동이 충분하게 일어나지 않는다. 규산염 분해세균(bacillus, mucijaginosus, bacterium caidotyticus, proteus milabilis)등은 이러한 규산염 물질을 분해하고 규소와 인 및 각종 미네랄을 원료로 대기중의 질소와 탄소를 고정하여 자신의 유기물을 합성한다. 이것이 규산염이 암석에서 토양에 이르는 일련의 물질 변화, 또 미생물 연쇄의 중요한 고리이다.
이와 같은, 규산염과 관련된 미생물의 반응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규소 성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재질로서 안산암질의 규산염 성분, 예컨대 경석을 제1 미생물 활성배양조(103) 또는 제2 미생물 활성배양조(105)에 내장된 미생물 배양반응기(113-1, 113-2)에 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반응기(113-1, 113-2)에 충전하여 사용하고 있는 부식전구물질의 경우 토양에서 일반적으로 얻을 수 있는 부식물질보다는 적절한 환경에서 규산염 물질과 유기물로 제조 배양한 생성물이 훨신 뛰어난 효과를 보이므로 이러한 부식전구물질의 펠렛이 그 기능을 유지 지속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 배양반응기(113-1, 113-2) 내에 이를 충전한 것이며, 안정화가 안된 초기에는 유도 배양제를 혼합하여 급속한 반응을 유도하고, 부식을 촉진시켜, 제1 침전조(104)에서 침전된 오니를 반송라인(112)를 통해 공급함으로서 규소를 포함한 유기물까지 동시에 계 내에 공급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내장된 부식전구물질의 펠렛을 구성하는 성분 및 BOD량에 따른 충전량은 발명의 목적에 따라 운용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바, 예컨대 펠렛의 바람직한 성분 구성은 다음 표1과 같이 할 수 있으며, BOD총량에 따라 미생물 활성반응기(113)의 크기와 충전량, 예컨대 BOD 유입총량의 3∼5% 등이 결정될 수 있다.
성분 수분 유기물 T-C T-N C/N C/유기물 pH
함량(%) 9.5 45.0 19.6 1.28 15 44 2.88
성분 SiO2 Al2O3 Fe2O3 K2O CaO MgO 기타
함량(%) 43.7 7.6 4.2 0.4 0.7 0.4
또한, 이때의 산소 공급량은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적정량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제1 미생물 활성배양조(103)에서 이렇게 하여 얻어진 토양미생물의 활성배양액을 반송라인(111)을 통해 각 조로 반송하여 최적의 환경 물질로 작용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미생물 활성 배양조(105)에서는 1차적으로 처리된 폐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미분해된 물질들을 추가로 토양미생물과 반응하게 하여 제1침전조(106)으로 이송한 후 경우에 따라서는 미량의 미네랄성분을 보충하게 하여 생물 활성수로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침전조(106)는 상기 폭기조(102) 및 제1 침전조(104)의 반응과 같은 형태의 반응이 반복된 구조로 배치된 구조물이며 잔류 BOD, SS를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생물 활성수 안정조(107)는 본 발명의 최종단계로서 여기에 생물 활성수 안정기(114)를 내장하여 활성수를 접촉, 폭기시키고, 예컨대 화강암, 맥반석, 마사토, 산호석, 세라믹 등과 같은 유용한 성분을 충전시켜서 미량의 미네랄 성분을 함유하도록 하여 활성수의 성능을 증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물 활성수가 기존의 액비 제조와는 많은 차이를 갖는 것도 이 과정이 추가되어 생물이 유용하게 흡수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하나의 이유로 들 수 있다.
기존의 액비 제조는 제1 침전조(104)에 유입된 처리액을 필터를 통과시키거나, 제1침전조(104)의 상등액을 그대로 이용하여 왔으며, 그렇기 때문에 완벽한 폐수처리 즉, 안정된 물질이 아닌 단순한 비료로서의 효과만을 기대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물 활성수는 폐수처리 단계에서부터 자연환경과 동일 조건의 시스템으로 페놀계 대사기능이 발현되는 토양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토양화 반응을 통해 폐수를 정화 처리하여 토양미생물이 충분히 그 대사산물을 배출하게 하였고, 더욱이 화학적인 처리나 정화처리 조작을 위해 별도의 약품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물 활성수는 유기 폐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것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인 잇점이 있기도 하지만, 그 폐수처리 과정이 자연의 정화 과정과 동일한 매카니즘으로 이루어져서 자연친화적인 것이며, 특히 폐수처리로 얻어진 처리수가 종래의 폐수처리 방출수나 액비와는 달리 토양미생물의 폐놀계 대사산물과 부식전구물질, 규산염 성분을 포함하여 자연 정화기능의 활성성분으로서 기능하고, 동식물의 식생과 성장 및 토양 개량에 유익한 여러 가지 성분이 혼재된 토양 개량제로서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서 생물의 활성수로서 매우 유용한 특징을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생물 활성수는 식물에 적용하는 경우 통상적인 액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직접 살포하는 것보다는 적정농도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식물의 성장과 균형있는 토양 개량에 효과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생물 활성수는 토양미생물의 페놀계 대사 산물과 부식 전구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동식물 모두에게 이용할 수 있는 유효 무기염류와 영양물질을 제공하고 또 토양에 살포되었을 때에는 양질의 토양 개량제로 작용하게 되는 바, 특히 토양에 대해서는 흙이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변하고, 보수력, 보비력이 향상되며, 배수 상태가 양호해진다. 또한, 식물에 적용하는 경우 잎의 색과 윤택성이 향상되고 수세가 좋아지며 열매의 맛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길항작용에 의해 병충해에 강해지고 해충이 접근하는 요인이 제거되어 해충 발생이 거의 없다. 그리고, 뿌리의 생육상태가 양호하여 성장기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생물 활성수는 동물에 적용하여도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사료 등에 적용하는 경우 동물의 피부 상태가 양호해지고 털에 윤택이 나며, 사료의 소화 효율이 증가되고 육질과 난질이 향상되며 질병 발생이 줄어든다. 또한, 축사와 같은 오염지역에 적용하면 축사 내에서 냄새 발생이 억제되어 축사 환경이 개선되고, 해충 발생이 억제되어 동물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아 성장이 좋아지는 등의 효과를 볼 수 있다.
그 외에, 인간에게도 적용하는 경우 건강에 좋고 성장을 촉진하며, 질병과환경 적응력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발명의 생물 활성수는 위와 같은 효과만으로도 충분히 우수성과 효용 가치를 인정 할 수 있으며, 여기에 더하여 지금까지 환경오염의 주요 요인이 되었던 축산폐수를 본 발명의 생물 활성수 제조 과정으로 이용하여 폐수처리과정을 거치게 되면 경제적 방법으로도 훌륭한 자원으로 기능하는 생물 활성수로 제조하여 소득증대를 이룩하는 새로운 물질로 탄생하게 되는 것이다. 나아가서, 폐수로 문제가 되어 왔던 것을 오히려 생물 활성수로 활용하게 되므로서 축사환경 개선 등의 경영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의 향상과 인접의 경종 농업과 연계하여 훌륭한 복합영농의 기틀이 될 수 있으며, 2차적 오염을 막고 환경 관련 님비 현상까지도 줄어들게 될 것이므로 그 효용 가치면에서 매우 큰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미생물의 대사산물과 부식화물질 및 부식전구물질을 포함하는 토양미생물의 활성배양액의 제조공정과,
    토양미생물의 활성배양액을 유기 폐수에 유입시켜서 폐수를 정화하여 활성수를 제조하는 공정 및,
    상기 활성수를 안정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미생물을 이용한 생물 활성수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미생물의 활성배양액은 규산성분을 함유하는 암석성분과 부식전구물질이 충전된 토양미생물 활성반응기에서 토양미생물이 유기폐수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부식 정화되면서 킬레이트화 하고 토양미생물의 대사산물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의 활성배양오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수 안정화 공정은 활성수를 화강암, 맥반석, 마사토, 산호석, 세라믹을 포함하는 성분과 접촉, 폭기시키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4. 유기성 폐수를 토양미생물로 처리한 처리수로 얻어지며, 토양미생물의 폐놀계 대사산물과 부식전구물질 및 규산염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 활성수.
KR1020000062762A 2000-10-25 2000-10-25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KR20020031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62A KR20020031958A (ko) 2000-10-25 2000-10-25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2762A KR20020031958A (ko) 2000-10-25 2000-10-25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1958A true KR20020031958A (ko) 2002-05-03

Family

ID=19695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2762A KR20020031958A (ko) 2000-10-25 2000-10-25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195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154A (ko) * 2002-06-10 2003-12-18 김미경 식물플랑크톤(미세조류)의 장기 계대 배양액(kepⅱ) 개발
KR100433303B1 (ko) * 2001-02-07 2004-05-27 아오키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배수 정화 장치
KR100968551B1 (ko) * 2009-11-18 2010-07-08 씨앤지환경기술 (주) 생태도랑
KR101019034B1 (ko) * 2008-06-19 2011-03-04 박준수 토양 효소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9280A (ko) * 1997-04-22 1998-11-25 후지마쓰아끼라 오니 개질방법(汚泥 改質方法)
KR0170038B1 (ko) * 1995-07-20 1999-02-01 아키라 후지마쯔 폐수처리 방법
JPH1190468A (ja) * 1997-09-17 1999-04-06 Otsu Kiko:Kk 有機廃棄物の生物学的分解処理用微生物材料
KR20010064953A (ko) * 1999-12-20 2001-07-11 강신탁 오니 배양조(B.M.W.Reactor)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038B1 (ko) * 1995-07-20 1999-02-01 아키라 후지마쯔 폐수처리 방법
KR19980079280A (ko) * 1997-04-22 1998-11-25 후지마쓰아끼라 오니 개질방법(汚泥 改質方法)
JPH1190468A (ja) * 1997-09-17 1999-04-06 Otsu Kiko:Kk 有機廃棄物の生物学的分解処理用微生物材料
KR20010064953A (ko) * 1999-12-20 2001-07-11 강신탁 오니 배양조(B.M.W.Reactor)를 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303B1 (ko) * 2001-02-07 2004-05-27 아오키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배수 정화 장치
KR20030095154A (ko) * 2002-06-10 2003-12-18 김미경 식물플랑크톤(미세조류)의 장기 계대 배양액(kepⅱ) 개발
KR101019034B1 (ko) * 2008-06-19 2011-03-04 박준수 토양 효소의 제조방법
KR100968551B1 (ko) * 2009-11-18 2010-07-08 씨앤지환경기술 (주) 생태도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8851B2 (en) Process for manufacturing liquid and solid organic fertilizer from animal manure
González et al. Efficiency of ammonia and phosphorus removal from a Colombian agroindustrial wastewater by the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and Scenedesmus dimorphus
EP0641297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liquid nitrogen rich organic waste product, thereby obtained fertilizer solution and use thereof
US3855121A (en) Biochemical process
KR101164987B1 (ko) 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자가 발열 호기 공법에 의한 가축분뇨 액비화 방법
JP2015167912A (ja) 畜産糞尿処理システム
CN108404647A (zh) 复合微生物除臭剂
KR20130123276A (ko) 유기성 폐기물의 폐수처리와 퇴비화하는 방법
CN106976985A (zh) 一种用于水产养殖水体净化的微生态浮床及其使用方法
CN108033574A (zh) 一种用于城市河道净化的生态净水剂及其制备方法
JP3732089B2 (ja) 廃水処理用微生物培養物の調製方法
KR100472969B1 (ko) 액비를 제조하는 방법
WO1993024418A1 (en) Method for processing liquide manure
KR20020031958A (ko)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활성수의 제조방법
RU2140735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комплексов, ферм и птицефабрик с помощью адаптированного комплекса микроводорослей, высшей водной растительности, зоопланктона и рыбы
KR100487582B1 (ko) 하수 또는 유기성 폐수의 슬러지 처리시설 및 처리방법
JP3607925B2 (ja) 高胞子種汚泥の製造方法
KR100850677B1 (ko) 하수 또는 유기성 폐수의 슬러지 처리방법
KR100727392B1 (ko) 부들을 이용한 수처리 방법 및 재배된 부들의 활용 방법
TW202126588A (zh) 小球藻、其用於廢水處理的方法及含其之生物製劑
KR102376447B1 (ko) 기능성 발효액비의 제조방법
Nayak et al. Bioremediation: An Ecofriendly Technology for Sustainable Aquaculture
KR101657211B1 (ko) 개질된 활성오니, 이를 이용한 하수 및 오폐수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한 처리수의 이용
KR930011713B1 (ko) 미생물을 이용한 계분 및 인분 정화제
KR100515473B1 (ko) 유기성 폐기물과 불가사리, 폐 표고목을 이용한 액비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