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0775A -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 Google Patents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0775A
KR20020030775A KR1020020020130A KR20020020130A KR20020030775A KR 20020030775 A KR20020030775 A KR 20020030775A KR 1020020020130 A KR1020020020130 A KR 1020020020130A KR 20020020130 A KR20020020130 A KR 20020020130A KR 20020030775 A KR20020030775 A KR 20020030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noble metal
weight
metal solu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홍대
Original Assignee
신홍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홍대 filed Critical 신홍대
Priority to KR102002002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0775A/ko
Publication of KR20020030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775A/ko
Priority to KR10-2002-0038887A priority patent/KR100478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51Metallising, e.g. infiltration of sintered ceramic preforms with molten metal
    • C04B41/5111Ag, Au, Pd, Pt or Cu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9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re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8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0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e.g. sheet met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 및 석판의 표면에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용액을 도포한 후 낮은 온도에서부터 점차적으로 가열하여 소성시킴으로서, 타일 및 석판의 표면에 다른 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귀금속을 그 자체만으로 석출시키게 되며, 귀금속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고급스러움을 살릴 수 있는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금(Au) 파우더 또는 백금(Pt) 파우더 64.52~46.5중량%, 물 12.9~23.26중량%, 저온용융제 9.68~6.98중량%, 스크린 오일 12.9~23.26중량%를 교반기에서 혼합하는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10)과, 상기 제조된 귀금속 용액을 타일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도포공정(20)과, 상기 도포공정(20)을 거친 타일을 100~600℃에서 30~45분간 가열하여 예열하는 예열공정(30)과, 상기 예열공정(30)을 거친 타일을 800~1000℃에서 20~30분간 가열하여 소성하는 소성공정(40)과, 상기 소성공정(40)을 거친 타일을 750~250℃에서 30~45분간 냉각하는 냉각공정(50)을 거쳐 귀금속타일을 제조하며, 다른 예로서 은(Ag) 파우더를 혼합하여 귀금속용액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각공정(50) 다음에 냉각공정(50)을 거친 타일의 표면을 연마 가공하는 연마공정(60)을 더 포함하여 귀금속타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금(Au) 파우더 또는 백금(Pt) 파우더를혼합하여 귀금속용액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각공정(50)에 금 및 백금 도금층을 보호하는 마모방지제를 코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Method for fusion plating a tile with precious metal}
본 발명은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및 석판의 표면에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용액을 도포한 후 낮은 온도에서부터 점차적으로 가열하여 소성시킴으로서, 타일 및 석판의 표면에 다른 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귀금속을 그 자체만으로 석출시키게 되며, 귀금속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고급스러움을 살릴 수 있는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일은 내, 외장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도기 및 세라믹 등을 이용하여 특정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목욕탕, 마루, 거실 또는 건물의 외벽에 부착접착되어 부착된 장소의 미적 기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미관을 수려하게 한다. 이러한 타일은 크게 자기질 타일, 석기질 타일, 도기질 타일로 구분되며 사용용도에 따라 상기 타일을 시공하고자 하는 곳에 타일시멘트 또는 타일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킨다.
그러나 상기의 통상적인 타일은 안료를 포함한 유약을 사용하여 타일 표면에 문자나 무늬를 그려넣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타일자체의 문자 및 모양에 의해 외관이 드러나게 되어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충격등에 의해 문자나 무늬를 형성하고 있는 유약성분이 닳게 되어 타일의 표면 외관이 훼손되고,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어 타일의 색채가 변화되므로 미관상 수려하지 못하며, 따라서 제품을 처음 사용할 때에는 타일 자체의 고풍스러움을 유지하나 시간이 흐를수록 타일의 외관상 품격저하를 초래하여 고품질의 수입타일에 비하여 시장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자기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용액을 도포한 후 낮은 온도에서부터 점차적으로 가열하여 소성시킴으로서 타일의 표면에 다른 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귀금속을 그 자체만으로 석출시키게 되며, 귀금속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고급스러움을 살릴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이나 백금타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금이나 백금등의 귀금속을 용액화하는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과, 상기 제조된 귀금속 용액을 타일의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도포공정과, 상기 도포공정을 거친 타일을 100~600℃에서 30~45분간 예열하는 예열공정과, 상기 예열공정을 거친 타일을 800~1000℃에서 20~30분간 소성하는 소성공정과, 상기 소성공정을 거친 타일을 750~250℃에서 30~45분간 냉각하는 냉각공정을 거쳐 제조되고, 다른 예로서 은 파우더를 혼합하여 귀금속용액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각공정 다음에 냉각공정을 거친 타일의 표면을 기계연마기로 가공하는 연마공정을 더 포함하여 귀금속타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금 파우더 또는 백금 파우더를 혼합하여 귀금속용액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냉각공정 다음에 금 및 백금 도금층을 보호하는 마모방지제를 코팅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여 도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귀금속타일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귀금속타일의 제조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귀금속타일의 제조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타일의 일예를 나타내는 표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Au) 도금부 2 : 은(Ag) 도금부
3 : 백금(Pt) 도금부 4 : 귀금속타일
10 :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 20 : 도포공정
30 : 예열공정 40 : 소성공정
50 : 냉각공정 60 : 연마공정
70 : 마모방지제 코팅공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귀금속타일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귀금속타일의 제조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삼실시예를 나타내는 귀금속타일의 제조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타일의 일예를 나타내는 표면도이다.
본 발명은 자기질 타일, 석기질 타일, 도기질 타일 등의 통상의 타일이나 화강암이나 대리석등을 판재로 가공한 석판의 표면에 금, 은, 백금등의 귀금속을 용액화하고, 그 귀금속용액을 타일이나 석판(이하 타일로 통칭한다)의 표면에 도포하며, 귀금속용액이 도포된 타일 낮은 온도부터 점차적으로 가열하면서 소성하여 귀금속타일을 제조한다.
이때, 귀금속의 종류에 따라 제조공정이 부분적으로 상이한데, 그 제조공정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은(Ag) 파우더를 주원료로 하여 은타일을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데,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는 은(Ag) 파우더 64.52~46.5중량%, 물 12.9~23.26중량%, 저온용융제 9.68~6.98중량%, 스크린 오일 12.9~23.26중량%를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귀금속 용액을 제조한다.(귀금속 용액제조공정:10)
상기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10)에서 상기 은 파우더는 도막을 형성하는 주성분으로서 46.5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귀금속의 함량이 부족하여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용액이 전면적으로 도포되지 못하며, 64.52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다른 첨가물의 함량 저하를 초래하여 귀금속 용액의 특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본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은 파우더를 64.52~46.5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물은 귀금속 파우더와 다른 첨가물들이 귀금속 용액 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용제로서 사용되며, 12.9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귀금속 파우더 및 다른 첨가물을 고르게 분산시키지 못하여 균일한 도막을 얻을 수 없으며, 23.26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귀금속 용액의 유동성이 향상되어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용액을 도포할 때 귀금속 용액이 흘러내려 도막 표면의 미려함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물을 12.9~23.26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저온용융제는 후에 설명할 예열공정(30)에서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입자가 잘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프릿(frit)을 사용하며, 상기 저온용융제를 6.98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입자를 잘 접착시키지 못하고, 9.68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저온용융제가 일부 도막의 표면으로 표출되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온용융제를 9.68~6.98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오일은 도자기 전사용 코팅에 사용되는 175~230℃에서 휘발되는 점성액체이며, 귀금속 용액에 점성을 부여하여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용액을 도포할 때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풍산화학』에서 제조하고 있는 『밍콜(MINKOL)』 제품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 사용하는 스크린 오일을 단지 상기 『밍콜(MINKOL)』 제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스크린 오일이라는 일반명으로 칭하는 것에 한하여 해당된다 하겠다.
이러한 스크린 오일은 12.9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귀금속 용액의 점성이 낮아져 타일의 표면에 도포할 때 흘러내리게 되며, 23.26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귀금속 용액의 점성이 높아져 타일의 표면에 도포할 때 고르게 도포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린 오일을 12.9~23.26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귀금속 용액은 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타일의 표면에 도포하는 도포공정(20)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도포공정(20)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서 스프레이 건을 사용하여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용액을 분사하는 분사도포와 타일을 귀금속 용액에 침지시키는 침지도포 및 붓을 사용하여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용액을 도포하는 페인팅(painting)의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의 세 가지 도포방법에 대한 작업환경은 역시 작업자가 목적하는 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도포공정(20)이 완료되면 표면에 귀금속 용액이 도포된 타일을 소성로로 이동시켜 예열공정(30), 소성공정(40) 및 냉각공정(50)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되며, 예열공정(30) 내지 냉각공정(50)은 소성로 안에서 표면에 귀금속 용액이 도포된 타일을 롤러 킬른에 의해 이동시키며 이루어진다.
상기 예열공정(30)은 도포공정(20)을 거쳐 표면에 귀금속 용액이 도포된 타일을 100℃에서부터 600℃까지의 온도로 설정된 공간부를 이동시키면서 30~45분간 예열하게 되는데, 이는 귀금속 용액을 소성시키기 위하여 급열을 가하게 되면 타일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고, 이때 타일의 표면에 도포된 귀금속 용액 중에서 용제로 사용되는 물과 휘발성인 희석제가 대기 중으로 증발하며, 그 다음으로 끓는점이 175~230℃인 스크린 오일이 증발하고, 550℃ 부근에서는 저온용융제가 용융되어 타일의 표면과 귀금속 입자 사이에 녹아들어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입자를 접착시키게 된다.
상기 소성공정(40)은 예열공정(30)을 거치면서 희석제 및 스크린 오일이 증발한 후 저온용융제에 의해 귀금속 입자가 타일의 표면에 접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소성로 내에서 800~1000℃의 온도 범위로 유지되는 공간부에서 20~30분간 소성하며, 이때 귀금속 입자가 용융되어 상기 예열공정(30)을 거치면서 타일의 표면과 귀금속 입자 사이로 녹아 들어간 저온용융제의 상층으로 퍼지면서 도포된다.
상기 냉각공정(50)은 소성공정(40)을 거치면서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이 용융되어 도포된 타일을 온도가 750℃에서 250℃로 점차적으로 하강되도록 설정된 공간부를 이동시키면서 30~45분간 냉각하여 용융된 귀금속이 타일의 표면에서 경화되어 도막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용융되어 타일의 표면에 퍼지면서 도포된 귀금속 용액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급랭시키게 되면 타일의 표면 및 도막의 표면에 균열이 발생하여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냉각공정(50)을 거친 타일은 귀금속 도막의 표면에는 산화된 귀금속이 존재하여 본래의 색상을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막 표면의 산화된 부분을 제거하여 귀금속 본래의 광택과 표면의 미려함을 유지하기 위하여 도막의 표면을 기계연마기로 가공하는 연마공정(60)을 거쳐 귀금속 도금이 완료된다.
다음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인데, 이 이실시예의 경우에는 귀금속용액 제조공정(10)에서 제조하는 귀금속용액을 은(Ag) 파우더 대신에 금(Au) 파우더, 또는 백금(Pt) 파우더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이 이실시예에서의 귀금속용액 제조공정(10)은 청구항 2, 3항에서와 같이 금(Au) 파우더 또는 백금(Pt) 파우더 64.52~46.5중량%, 물 12.9~23.26중량%, 저온용융제 9.68~6.98중량%, 스크린 오일 12.9~23.26중량%를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금 또는 백금을 주원료로 하는 귀금속용액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금 또는 백금을 주원료로 하는 귀금속용액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귀금속용액 제조공정(10)부터 귀금속용액 도포공정(20), 예열공정(30), 소성공정(40), 냉각공정(50)까지 순서대로 거쳐서 금 또는 백금을 주원료로 하는 귀금속 타일이 제조되는데, 이렇게 금 또는 백금을 주원료로 하여 타일을 제조한 경우에는 냉각공정(50)까지 거친 타일의 표면이 변색되지 않고 금 및 백금의 고유광택을 내어 일실시예에서 실시했던 연마공정(60)을 이실시예에서는 실시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금 또는 백금을 주원료로 하였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에서 귀금속용액 제조공정(10) 중 은(Ag) 파우더 대신에 금(Au) 파우더, 또는 백금(Pt) 파우더를 사용한 것과, 연마공정(60)이 삭제된 것만 상이하고 나머지 모든 공정이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한 이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귀금속타일은 금 및 백금이 표면에 노출된 상태이므로 욕실의 바닥면에 설치하면 마모가 우려되므로 욕실의 벽면에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금 및 백금타일을 욕실의 바닥면에 부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표면에 노출되는 금 및 백금코팅부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마모방지제를 추가로 코팅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이 금 및 백금타일의 표면에 마모방지제를 추가로 코팅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3에 그 공정도가 도시되어 있고 청구항 4항에 기재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삼실시예는 이실시예에서의 귀금속용액 제조공정(10)부터 귀금속용액 도포공정(20), 예열공정(30), 소성공정(40), 냉각공정(50)까지 순서대로 거쳐서 금 또는 백금을 주원료로 하는 귀금속 타일이 제조한 뒤에 마모방지용액을 상기 냉각공정(50)을 거친 타일의 표면에 도포한뒤에 가열 소성하여 마모방지제 코팅공정(70)이 추가로 포함되므로, 전단계인 귀금속용액 제조공정(10)부터 냉각공정(50)까지의 공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후속단계인 마모방지제 코팅공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마모방지제 코팅공정(7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공정(50) 다음에 유리분말 55~70중량%, 스크린오일 30~20중량%, 물 15~10중량%를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제조하여 마모방지제 용액을 제조한 뒤에, 냉각공정(50)을 거친 타일의 표면에 마모방지제 용액을 0.01∼0.02mm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며, 상기와 같이 마모방지제 용액을 도포한 타일을 700~900℃에서 20~30분간 가열한 후 상온에서 서서히 냉각하여 귀금속 타일의 제조가 완료된다.
상기 마모방지제 코팅공정(70)에서 사용하는 유리분말은 귀금속 도금층의 색채를 그대로 드러낼 수 있도록 투명유리 분말을 사용하며, 그 크기는 목적하는 마모방지제 코팅층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것이나, 700~900℃에서 용해될 수 있는 작은 입자형의 10~20μ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분쇄된 유리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마모방지제 코팅공정(70)에서 가열온도가 700∼900℃의 온도편차를 갖는 이유는 700℃ 이하에서 가열할 경우 하부의 귀금속 도금층에 마모방지제 도금층이 완전히 접착되지 않게 되어 유리조각들이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며, 가열온도가 900℃를 초과하면 유리의 녹는 정도가 심해져 타일 표면에 마모방지제 코팅층이 고르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700~900℃의 범위에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온에서 냉각하는 것은 가열과정에서 용융된 유리가 냉각시 경화되어 마모방지제 코팅층을 형성하는 바, 급속히 냉각하게 되면 유리의 성질변화로 인하여 표면에 굴곡이 생기거나 균열이 일어나므로 상온에서 대류와 열전도에 의하여 서서히 냉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물은 유리분말과 스크린오일이 마모방지용액 내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용제로서 사용되며, 12.9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유리분말과 스크린오일을 고르게 분산시키지 못하여 균일한 도막을 얻을 수 없으며, 23.26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마모방지용액의 유동성이 향상되어 타일의 표면에 마모방지용액을 도포할 때 마모방지용액이 흘러내려 도막 표면의 미려함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상기 물을 12.9~23.26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스크린 오일은 도자기 전사용 코팅에 사용되는 175~230℃에서 휘발되는 점성액체이며, 귀금속 용액에 점성을 부여하여 타일의 표면에 마모방지제용액을 도포할 때 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성분으로서, 이러한 스크린 오일은 12.9중량%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 마모방지제 용액의 점성이 낮아져 타일의 표면에 도포할 때 흘러내리게 되며, 23.26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할 경우 마모방지제 용액의 점성이 높아져 타일의 표면에 도포할 때 고르게 도포되지 않으므로 12.9~23.26중량%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마모방지제 용액이 도포된 타일을 가열하는 과정에서 물은 100~150℃에서 증발이 이루어지게 되고, 스크린 오일은 175~230℃에서 증발되어 700~900℃로 가열하여 마모방지제를 코팅하는 과정에서 귀금속코팅층의 표면에는 유리코팅층이 남아 금 및 백금코팅부의 마모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금 코팅부(1)와, 은 코팅부(2), 백금 코팅부(3)가 1개의 귀금속타일(4) 표면에 부분적으로 코팅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다른 예로서 귀금속타일(4)의 표면에 금 코팅부(1)와, 은코팅부(2), 백금 코팅부(3)를 각각 개별적으로 코팅할 수도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타일의 귀금속 용해도금방법을 통하면 예열공정을 통하여 낮은 온도에서부터 소성공정의 높은 온도까지 서서히 온도를 높여가게 됨으로서 저온용융제와 귀금속 외의 첨가물들 즉, 용제로 사용되는 물 또는 희석제가 먼저 대기 중으로 증발하고, 그 다음 저온용융제가 타일의 표면과 귀금속 입자 사이에 녹아들게 되는 현상이 순차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도막의 표면에는 귀금속만이 그 자체로서 석출되어 도금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타일의 귀금속 용해도금방법은 도자기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 용액을 도포한 후 낮은 온도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온도를 상승시켜 예열하면서 용제 및 스크린 오일을 증발시키고, 저온용융제와 귀금속 입자를 순차적으로 용융시켜 타일의 표면에 귀금속을 소성시킴으로서 타일의 표면에 다른 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귀금속을 그 자체만으로 석출시키게 되며, 귀금속의 사용량을 감소시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도 고급스러움을 살릴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은타일의 경우에는 은이 타일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은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을 발산할 수 있고, 금 및 백금타일의 경우에는 사용용도에 따라 표면에 마모방지 코팅층을 형성하여 고가의 금 및 백금의 손실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은(Ag) 파우더 64.52~46.5중량%, 물 12.9~23.26중량%, 저온용융제 9.68~6.98중량%, 스크린 오일 12.9~23.26중량%를 교반기에서 혼합하는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10)과,
    상기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10)에서 제조된 귀금속 용액을 통상의 타일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타일(4)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귀금속 용액 도포공정(20)과,
    상기 귀금속 용액 도포공정(20)을 거친 타일을 100~600℃에서 30~45분간 예열하는 예열공정(30)과,
    상기 예열공정(30)을 거친 타일을 800~1000℃에서 20~30분간 소성하는 1차소성공정(40)과,
    상기 1차소성공정(40)을 거친 타일을 750~250℃에서 30~45분간 냉각하는 냉각공정(50)과,
    상기 냉각공정(50)을 거친 타일의 표면을 기계연마기로 연마하는 연마공정(60)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2. 금(Au) 파우더 64.52~46.5중량%, 물 12.9~23.26중량%, 저온용융제 9.68~6.98중량%, 스크린 오일 12.9~23.26중량%를 교반기에서 혼합하는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10)과,
    상기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10)에서 제조된 귀금속 용액을 통상의 타일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타일(4)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귀금속 용액 도포공정(20)과,
    상기 귀금속 용액 도포공정(20)을 거친 타일을 100~600℃에서 30~45분간 예열하는 예열공정(30)과,
    상기 예열공정(30)을 거친 타일을 800~1000℃에서 20~30분간 소성하는 1차소성공정(40)과,
    상기 1차소성공정(40)을 거친 타일을 750~250℃에서 30~45분간 냉각하는 냉각공정(50)을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귀금속 용액 제조공정(10)에서 혼합되는 용액은 금(Au) 파우더 64.52~46.5중량% 대신에 백금(Pt) 파우더 64.52~46.5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공정(50) 다음에 유리분말 55~70중량%, 스크린오일 30~20중량%, 물 15~10중량%를 교반기에서 혼합하여 제조한 마모방지제 용액을 냉각공정(50)을 거친 타일의 표면에 0.01∼0.02mm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마모방지제 용액을 도포한 타일을 700~900℃에서 20~30분간 소성하는 마모방지제 코팅공정(70)을 더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KR1020020020130A 2002-04-12 2002-04-12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KR200200307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130A KR20020030775A (ko) 2002-04-12 2002-04-12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KR10-2002-0038887A KR100478515B1 (ko) 2002-04-12 2002-07-05 귀금속 타일의 용해도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0130A KR20020030775A (ko) 2002-04-12 2002-04-12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775A true KR20020030775A (ko) 2002-04-25

Family

ID=197203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0130A KR20020030775A (ko) 2002-04-12 2002-04-12 귀금속타일의 용해도금방법
KR10-2002-0038887A KR100478515B1 (ko) 2002-04-12 2002-07-05 귀금속 타일의 용해도금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887A KR100478515B1 (ko) 2002-04-12 2002-07-05 귀금속 타일의 용해도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2003077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249B1 (ko) * 2005-11-28 2008-06-23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금속 타일 제조 방법
KR102081263B1 (ko) * 2019-07-03 2020-02-25 신홍대 금 성분이 포함되는 기능성 세라믹 액세서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713B1 (ko) * 1996-10-04 1999-06-15 전우연 항균 및 방미성 타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0068102A (ko) * 2001-04-23 2001-07-13 신홍대 은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0446477B1 (ko) * 2001-08-02 2004-08-30 김민호 수금으로 코팅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100411950B1 (ko) * 2001-09-12 2003-12-18 신홍대 은도금 타일의 제조방법
KR100436748B1 (ko) * 2001-10-29 2004-06-22 신홍대 그릇의 귀금속 용해도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8515B1 (ko) 2005-03-28
KR20020063539A (ko) 2002-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95540A (ja) ガラス又は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施釉、琺瑯掛けもしくは装飾用の鉛及びカドミウムを含有しないガラス組成物、及び該ガラス組成物で被覆された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
CN102803172A (zh) 铜红玻璃料和颜料
CN105837253B (zh) 陶瓷物品和用于制造这种陶瓷物品的方法
CN104891808B (zh) 一种咖啡色结晶釉组合物
CN1521145A (zh) 建筑卫生陶瓷用金属光泽结晶釉
EP1970357A1 (en) Materials for coating ceramic bodie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and ceramic bodies comprising them
WO2017169905A1 (ja) セラミック装飾用の赤絵具
DE1290784B (de) Versilberungspraeparat zur Herstellung eines Silberueberzuges durch thermische Zersetzung
KR101911408B1 (ko) 도자기 표면을 갖는 법랑 제품의 제조방법
KR100443035B1 (ko) 귀금속-보석 타일 및 그 제조방법
Bondarenko et al. Plasma-chemical modification of concrete processed by colorific metal salts
JPH0648772A (ja) 複合体製品の製造方法
KR100478515B1 (ko) 귀금속 타일의 용해도금방법
CN109894337A (zh) 一种膜层结构制作方法及膜层结构、外壳及移动终端
KR100436748B1 (ko) 그릇의 귀금속 용해도금방법
KR200273589Y1 (ko) 귀금속-보석 타일
CN114014697A (zh) 一种金属装饰釉面大理石瓷砖及其制备方法
US20040018932A1 (en) Composition for producing a porcelain enamel having a metallic appearance
KR100446477B1 (ko) 수금으로 코팅된 도자기류의 제조방법
KR100478583B1 (ko) 금속 타일용 유약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금속 타일 및 그제조방법
CN108706883B (zh) 一种玻化陶瓷用金属釉及其制备方法
EP1130006A1 (de) Beschichteter Formkörper aus Siliciumnitrid
KR20020096141A (ko) 점토 및 고령토 벽돌용 분장소지 조성물
JP2001342581A (ja) メタリック調琺瑯製品とその製造方法
JP2005089221A (ja) 金属溶着タイル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