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9008A -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9008A
KR20020029008A KR1020020015176A KR20020015176A KR20020029008A KR 20020029008 A KR20020029008 A KR 20020029008A KR 1020020015176 A KR1020020015176 A KR 1020020015176A KR 20020015176 A KR20020015176 A KR 20020015176A KR 20020029008 A KR20020029008 A KR 20020029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ails
plate
roll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1020020015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9008A/ko
Publication of KR20020029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900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65G17/18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and move in contact with a guid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792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82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the load-carriers being connected pivotally to the traction means with guiding means to remain in a load-carry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체인 컨베이어는 상부측의 구간만을 이용하여 제품의 이송 수단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이는 단순 이송 수단으로 사용할 때는 무방하지만, 열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건조시킬 경우나 자연 냉각 시는 이의 설치 면적을 크게 해야 하였던 것이다.
예컨대, 어떤 제품을 챔버(chamber) 내에서 분당 1m/min의 속도로 1시간 건조시킨다고 봤을 때는 이의 상부 구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60m의 컨베이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컨베이어 장치 몸체(1) 위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제품이 자연 낙하하지 않고, 초기의 안치 형태 그대로 리턴 사용할 수 있게 플레이트(2)의 좌우측 중간에 설치된 파이프 부시(3-1)에는 체인에 연결된 축(3)이 끼움되어 스플라켓(6)에 의해 플레이트(2)가 이송되게 하되, 플레이트(2)의 일측 후단부에 설치된 로울러(4)는 내접 레일(7)에 안치 활주되고, 플레이트(2)의 타측 선단부에 설치된 로울러(4a)는 외접 레일(8)에 안치 활주되게 하여 이들 로울러(4)(4a)는 내접 및 외접 레일(7)(8)을 따라 플레이트(2)가 수평 이송된 후 벤딩부(7-1)(8-1)에서 접점되어 리턴된 후 하부에 1단 및 2단, 3단으로 설치된 내접 및 외접 레일(8a)(8a)(8b)(8c)을 따라 선단 벤딩부(7-1)(8-1)에서 접점되어 하부 2단 내외접 레일(7b)(8b)의 선단부에는 플레이트(2) 위에 안치된 물체(10)는 밖으로 인출되고, 하부 3단 레일(7c)(8c) 내단부의 벤딩부(7-1)(8-1)에서는 상부 내외접 레일(7)(8)의 머리부와 겹쳐지면서 새로운 물체(10)를 안치, 이송할 수 있게 함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건조 및 냉각 구간을 3배 이상으로 배증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A returning part's applicable device of conveyor}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컨베이어 형태는 체인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구별 없이 상부측의 구간만을 이용하여 제품의 이송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제품의 최종 이송 후의 체인 및 벨트는 체인 기어 또는 드럼에서 리턴(return)되어 처음 위치로 되돌아오면 다시 이송 수단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단순히 제품의 이송만을 위한 컨베이어일 때는 별 관계없으나, 열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건조시킨다든지 일정 기간 자연 냉각을 필요로 하는 컨베이어 형태에 있어서는 설치하는 장소의 많은 면적이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
예컨대, 어떤 제품을 챔버 내에서 분당 1m/min의 속도로 1시간 건조시킨다고 보았을 때 종래의 컨베이어는 상부의 구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60m의 컨베이어가 필요하며, 아울러 60m의 공간이 없을 때는 컨베이어를 다층구조(3단∼4단)로 구성하여 설치 면적을 축소시키는 방법 밖에는 없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다층 구조의 형태는 제품의 이송 후 리턴 시에는 아무런 기능 없이 처음의 상태로 되돌아오는 형태의 구조이며, 반대편에서 제품을 투입쪽으로 보내고자할 때는 자연 낙하로 또 다른 컨베이어의 상부층에 올려 이송하고, 또 다시 제품을 자연 낙하시켜 또 다른 컨베이어의 상부측에 올려 이송하다보니, 컨베이어 높이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져야 하는 것은 필수 조건인 것이다.
이와 같은 다층 구조는 자연 낙하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의 품질 저하, 불량품의 증가, 형태 변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의 공간 체적이 필요로 하며, 많은 에너지를 투입하여야 하는 경제적인 과부담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이의 발명 요지는 컨베이어 위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제품이 자연 낙하가 아닌 초기의 안치 형태 그대로 리턴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서 제품의 품질 고급화, 불량률 감소 및 형태의 무변형과 공간 체적의 대폭 축소 및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를 절단한 평면 표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컨베이어 리턴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용 표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동 장치 몸체 1-1. 투입부 1-2. 인출부
2. 플레이트 2-1. 안치부 3,3a. 축
3-1,3a-1. 파이프 부시 4,4a. 로울러4-1,4a-1. 핀
4-2,4a-2. 체결부 5. 체인6. 스플라켓
6a. 축7,7a,7b,7c. 내접 레일7-1. 벤딩부
8,8a,8b,8c. 외접 레일 8-1. 벤딩부9,9a. 겹친부
10. 물체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 구동 장치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서 스플라켓(6)에 의해 구동되는 좌우 체인(5) 사이에 연속하여 설치되는 플레이트(2)의 좌우 중심부에는 파이프 부시(3-1)(3a-1)를 설치하여 전기한 좌우 체인(5)의 핀과 연결된 축(3)(3a)이 끼움되어지고, 플레이트(2)의 일측 후단 체결부(4-2)에 핀(4-1)을 개재시켜 설치된 로울러(4)는 상하 내접 레일(7)(7a)(7b)(7c) 위에 안치되어 활주되게 하고, 플레이트(2) 타측 선단에 체결부(4a-2)에 핀(4a-1)을 개재시켜 설치된 로울러(4a)는 상하 외접 레일(8)(8a)(8b)(8c) 위에 안치되어 활주되게 하며, 전기한 내접 레일(7)의 선단 벤딩부(7-1)는 전기한 외접 레일(8)(8b)(8c)의 선단 벤딩부(8-1)보다 약간 짧은 위치에서 벤딩되어지고, 전기한 벤딩부(7-1)(8-1)의 선단부는 하부 내외접 레일(7a)(8a)의 선단부와 겹쳐지는 겹친부(9)(9a)로 구성 설치되고, 겹친부(9)(9a)를 벗어난 롤러(4)(4a)는 하부에 설치된 1단 및 2단, 3단 내접 및 외접 레일(7a)(7b)(7c)(8a)(8b)(8c)을 따라 수평 이송될 수 있도록 하되, 3단 내접 및 외접 레일(7c)(8c)의 졉친부(9)(9a)에는 상부 내접 및 외접 레일(7)(8)의 머리부가 연결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인 바, 컨베이어 구동 장치 몸체(1)를 가동시키면 다수의 스플라켓(6)의 회동에 의해 좌우 체인(5)이 전진함에 따라 이 체인(5)에 설치된 플레이트(2)는 1차 내접 및 외접 레일(7)(8)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이 플레이트(2)의 일측 후단에 설치된 로울러(4)는 1차 내접 레일(7) 위에서 안치 활주되고, 플레이트(2)의 타측 선단에 설치된 로울러(4a)는 1차 외접 레일(8) 위에 안치 활주되면서 플레이트(2)의 상부에 안치된 물체를 상부 구간에서 전방으로 이송하게 되나, 물체를 안치한 플레이트(2)가 1차 내접 및 외접 레일(7)(8)의 선단 벤딩부(7-1)(8-1)에 이르게 되면 이때에는 전기한 플레이트(2)의 후측단에 설치된 로울러(4)는 비교적 짧은 위치에 설치된 1차 내접 레일(7)의 선단 벤딩부(7-1)에서 리턴되고, 전기한 플레이트(2)의 선단에 설치된 로울러(4a)는 비교적 먼 위치에 설치된 1차 외접 레일(8)의 선단 벤딩부(8-1)에서 접점 리턴되기 때문에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물체를 재치한 플레이트(2)는이의 로울러(4)(4a)가 동시에 리턴되어 초기의 안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벤딩부(7-1)(8-1)의 선단 겹친부(9)(9a)에서 겹쳐진 상태로 되어 있는 하부 1단 내외접 레일(7a)(8a) 위에 안치되어 1단 하부 구간을 활주하여 그 후단에 설치된 벤딩부(도면 표시 생략)에서 2단 하부의 내접 및 외접 레일(7b)(8b)로 리턴되어 2차 상부 구간으로 전진되어 선단 벤딩부(7-1)(8-1)에 이르게 되면 플레이트(2) 위에 안치된 물체(10)는 인출부(1-2)로 투하 인출 수거되고, 물체(10)가 재치되지 않는 플레이트(2)의 로울러(4)(4a)는 3단 하부의 내접 및 외접 레일(7c)(8c)의 벤딩부(7-1)(8-1)에서 물체(10)의 투입부(1-1)인 1차 구간의 내접 및 외접 레일(7)에 접점 리턴되기 때문에 1단 하부 구간과 2단 하부 구간에는 1차 상부 구간인 초기의 안치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약 3배의 건조 및 냉각 라인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플레이트(2)의 좌우측 후단부와 선단부에 대각선상으로 각각 로울러(4)(4a)를 설치하여 비교적 짧은 위치에 있는 내접 레일(7)(7a)(7b)(7c)의 벤딩부(7-1)와 비교적 먼 위치에 있는 외접 레일(8)(8a)(8b)(8c)의 벤딩부(8-1)에서 로울러(4)(4a)가 접점 리턴되게 하였기 때문에 컨베이어의 플레이트(2) 위에 안치되어 이송되는 제품이 자연 낙하가 아닌 초기의 안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품질의 고급화 및 불량률 감소와 공간 체적을 대폭 감소할 수 있고, 또한 에너지 절감을 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1)

  1. 컨베이어 구동 장치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 플레이트(2)의 좌우측 중간부에 설치된 파이프 부시(3-1)에는 체인(5)의 핀에 연결된 축(3)이 끼움되고, 플레이트(2)의 일측 후단에 설치된 체결부(4-2)에는 핀(4-1)을 개재한 로울러(4)가 설치되어 내접 레일(7)(7a)(7b)(7c)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고, 플레이트(2)의 타측 선단부에 설치된 체결부(4a-2)에는 핀(4a-1)을 개재한 로울러(4a)가 설치되어 외접 레일(8)(8a)(8b)(8c)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되, 전기한 내접 및 외접 레일의 선단부에 형성된 벤딩부(7-1)(8-1)의 선단에는 하부 내접 및 외접 레일(7a)(7b)(7c)(8a)(8b)(8c)과 겹쳐진 겹친부(9)(9a)로 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장치.
KR1020020015176A 2002-03-20 2002-03-20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 KR20020029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176A KR20020029008A (ko) 2002-03-20 2002-03-20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176A KR20020029008A (ko) 2002-03-20 2002-03-20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9008A true KR20020029008A (ko) 2002-04-17

Family

ID=19719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176A KR20020029008A (ko) 2002-03-20 2002-03-20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900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14U (ja) * 1992-02-29 1994-03-29 松本金属株式会社 移動式物品掛け
JPH1120919A (ja) * 1997-07-01 1999-01-26 Tsubakimoto Baruku Syst:Kk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のこぼれ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914U (ja) * 1992-02-29 1994-03-29 松本金属株式会社 移動式物品掛け
JPH1120919A (ja) * 1997-07-01 1999-01-26 Tsubakimoto Baruku Syst:Kk ピボテッドバケットコンベヤのこぼれ回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04963B2 (en) Cardboard web feeding device for corrugator
US4884676A (en) Transferring and sorting apparatus
KR20100017400A (ko) 가로 방향- 롤러 벨트 및 모듈들
CA2534652A1 (en) Motorized roller transverse drive
JP512995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CN105564891A (zh) 一种翻转输送装置
KR20020029008A (ko) 컨베이어의 리턴부 활용 장치
KR20010014243A (ko) 컨베이어 장치
US2685374A (en) Sheet transposing apparatus
TWM545772U (zh) 轉向移載裝置
CN210735283U (zh) 一种pcb板运输装置
CN100444707C (zh) 加热装置
JPH119244A (ja) パストライザ
CN219545783U (zh) 一种滚筒式物流输送机
KR200284099Y1 (ko)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KR200334638Y1 (ko) 컨베이어용 롤러체인 결속장치
CN219065924U (zh) 一种液晶面板流转台及具有其的老化测试炉
CN213706846U (zh) 一种下料传送装置
CN211055212U (zh) 一种板框输送机上的板框限位结构
JP4786055B2 (ja) 物品整列装置
CN219520962U (zh) 一种定子焊接线
CN212528854U (zh) 一种多尺寸瓦楞纸箱供料-弯折成型装置
KR200356779Y1 (ko) 다규격 팔레트용 디버터
FI72283C (fi) Anordning vid en varmpress foer transport av foer pressning avsedda spaonmattor och foerfarande foer beskickning av en varmpress.
KR100604326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