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099Y1 -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099Y1
KR200284099Y1 KR2020020014284U KR20020014284U KR200284099Y1 KR 200284099 Y1 KR200284099 Y1 KR 200284099Y1 KR 2020020014284 U KR2020020014284 U KR 2020020014284U KR 20020014284 U KR20020014284 U KR 20020014284U KR 200284099 Y1 KR200284099 Y1 KR 200284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conveyor
section
spr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4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균
Original Assignee
김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균 filed Critical 김동균
Priority to KR2020020014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099Y1/ko

Links

Landscapes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체인 컨베이어 형태는 상측 구간만을 이용하여 반제품이나 완제품 등의 물체를 이송하는 이송 수단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물체의 단순한 이송의 경우는 무방하지만, 열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건조시킨 다던가 일정 시간 자연 냉각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의 설치 면적을 크게 해야만 하였던 것이다.
예컨대, 생산 라인에 있어 이송 물체를 챔버 내에서 분당 1m/min의 속도로 1시간 건조 또는 자연 냉각시킬 경우는 상부 구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60m의 컨베이어 길이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공간이 없을 때는 컨베이어를 다층 구조로 구성해야 하고, 이 경우는 물체의 이송 후 리턴 시는 아무런 기능 없이 처음 위치로 되돌아오는 형태이므로 이때에는 반대편에서 처음 투입구 쪽으로 이송하는 형태의 컨베이어를 추가 설치하고, 이에 따른 이송 물체의 투입 및 인출(낙하) 작업을 되풀이해야 하므로 인력의 과부담은 물론 이송 물체의 손상과 설치의 부피가 고층화됨으로 해서 이에 따른 투입 및 인출 작업상에도 많은 불편이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컨베이어의 플레이트 위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물체가 초기 상태의 안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단 레일 구간으로 리턴 될 수 있게 장치 몸체(101)의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2중체인(105)을 설치하고, 이 2중체인(105)의 핀과 연결된 연결 축(103)의 좌우측에는 좌우 플레이트(102)(102a)의 내측 중간부에 체결 축끼움부(103-1)가끼움되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고, 좌측 플레이트(102)의 외측 우단에 설치된 롤러(104)는 좌측 레일(107)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고, 우측 플레이트(102a)의 외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104)는 우측 레일(108)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되, 좌측 레일(107)의 선단부에는 좌측 스플라켓(106)의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만곡된 벤딩부(107-1)를 형성하고, 우측 레일(108)의 선단부에는 우측 스플라켓(106a)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만곡된 벤딩부(108-1)가 되게 하여 좌우측 플레이트(102)(102a)가 좌우레일 벤딩부(107-1)(108-1)에서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동시 리턴되게 하고, 리턴된 좌우 플레이트는 다음의 다단 레일 구간(B)(C)(D)으로 연속 활주 및 리턴되게 하되, 4단 레일 구간(D)의 끝단부에서는 인출되고, 2단 레일 구간(B)의 투입부(101-1)에서는 몸체가 투입 되어지게 함으로서 설치 면적의 최소화 및 이송 거리를 극대화한 것이다.

Description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Returning plat's horizontal transference device of chain conveyor}
본 고안은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체인 컨베이어의 형태는 상부측 구간만을 이용하여 물체의 이송 수단으로 이용하였으며, 물체의 최종 이송 후 처음 위치로 되돌아오면 다시 이송 수단으로 재 사용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이송 수단은 물체의 단순 이송의 경우는 무방하지만, 열을 이용하여 일정 시간 건조시킨 다든가 일정 기간 자연 냉각이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이의 설치 면적을 크게 해야만 하였던 것이다.
예컨대, 생산 라인에 있어 어떤 반제품이나 완제품을 챔버 내에서 분당 1m/min의 속도로 1시간 건조시킬 경우는 상부 구간만을 사용하기 때문에 60m의 컨베이어가 필요로 하며, 이와 같은 공간이 없을 때는 컨베이어를 다층 구조로 구성해야 한다. 이 경우는 제품 또는 반제품의 이송 후 리턴 시는 아무런 기능 없이 처음 위치로 되돌아오는 형태이므로 이때에는 반대편에서 처음 투입구 쪽으로 이송하는 형태의 컨베이어를 추가 설치하고, 이에 따른 이송 물체의 투입 및 인출 작업을 되풀이해야 함으로 이는 설치된 컨베이어의 높이가 필요 이상으로 높아지기 마련이고, 또한여러 번 반복 낙하 및 반복 투입되는 과정, 제품 또는 반제품의 손상은 물론 에너지의 과부담이 생기는 등 폐단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컨베이어의 플레이트 위에 재치되어 이송되는 물체가 초기의 안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단 레일 구간으로 리턴될 수 있게 장치 몸체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이중 체인의 핀과 연결된 연결 축에는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설치된 파이프 부시가 끼움되어지고, 좌측 플레이트의 외측 후단에 설치된 롤러는 좌측 레일 위에 안치 활주되고, 우측 플레이트의 외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는 우측 레일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되, 좌측 레일의 선단부에는 체인을 구동시키는 스플라켓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만곡된 벤딩부를 형성하고, 우측 레일의 선단에는 체인의 스플라켓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만곡된 벤딩부를 형성하여 플레이트가 동시 리턴되게 하고, 좌우 레일 벤딩부 선단 하측에는 트임부를 개재한 다음 레일 구간의 레일과 겹쳐진 겹침부가 되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체인 컨베이어 리턴부의 사시도
도 2는 도1의 "E"부분의 확대도
도 3은 도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장치 몸체 101-1. 투입부 101-2. 인출부(낙하부)
102,102a. 플레이트 103. 연결 축 103-1. 축끼움부
103-2-고정핀 104. 롤러 104-1.축핀
104-2. 체결부 105. 2중 체인
106,106a. 스플라켓 107. 좌측 레일
107-1. 벤딩부 108. 우측 레일 108-1. 벤딩부
109. 겹침부 109a. 트임부 A,B,C,D. 레일 구간
110. 이송 물체
이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베이어 장치 몸체(101)를 다단 레일 구간(A)(B)(C)(D)을 구성함에 있어서 장치 몸체(101)의 중심부에 길이 방향으로 2중체인(105)을 설치하여 스플라켓(106)(106a)으로 구동되게 하되, 2중체인(105)의 핀 좌우측에 연결된 연결축(103)에는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02)(102a)의 내측 중간부에 설치된축끼움부(103-1)가 끼움되어 고정핀(103-2)에 의해 고정 되고, 좌측 플레이트(102)의 후측단 체결부(104-2)에는 축핀(104-1)을 개재한 롤러(104)가 설치되어 좌측 레일(107)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고, 우측 플레이트(102a)의 앞측단의 체결부(104-2)에는 축핀(104-1)을 개재한 롤러(104)가 설치되어 우측 레일(108)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며, 전기한 좌측 레일(107)의 선단부에는 전기한 2중 체인의 좌측 스플라켓(106)의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벤딩부(107-1)가 형성되고, 우측 레일(108)의 선단부에는 전기한 2중 체인의 우측 스플라켓(106a)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벤딩부(108-1)를 형성함으로서 즉, 좌측 플레이트(102)(102a)의 롤러(104)와 우측 롤러(104)의 부착 위치에 맞추어 벤딩 함으로서 전기한 좌측 및 우측 플레이트(102)(102a)의 롤러(104)가 대각 선상에서 동시 리턴될 수 있게 하고, 전기한 벤딩부(107-1)(108-1)의 선단부 대항측에는 다음 레일구간(C)(D)의 좌우 레일(107)(108)이 트임부(109a)를 개재한 상태에서 겹쳐진 겹침부(109)로 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인 바, 이를 구동 시키면 다단레일 구간(A)(B)(C)(D)에 설치된 스플라켓(106)(106a)이 동시 회전되면서 다단 레일 구간(A)(B)(C)(D)이 동시에 구동된다. 이때 2단 레일 구간(B)의 투입부(101-1)에서 좌우 플레이트(102)(102a) 위에 이송 물체(110)를 투입하면 투입된 물체(110)는 플레이트(102)(102a) 위에 재치되어 전방으로 이송되어지고, 이송이 완료되어 좌우 레일(107)(108)의 벤딩부(107-1)(108-1)에 이르게 되면 좌측 플레이트(102)의 후단에 설치된 롤러(104)와 우측플레이트(102a)의 선단에 설치된 롤러(104)는 대각 선상에서 벤딩되어 있는 벤딩선상에서 동시 리턴되고, 이때 좌우측 플레이트(102)(102a)는 초기 수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리턴되어 3단 레일 구간(C)에 설치된 좌우 레일(107)(108) 위로 활주되고, 3단 레일 구간(C)에서 이송이 끝나면 이때에는 3단 레일 구간(C)의 후단에 설치된 벤딩부(108-1)(107-1)에서 리턴되어 4단 레일 구간(D)의 좌우 레일(107)(108) 위로 활주되고, 4단 레일 구간(D)에서 이송이 끝나면 이때의 이송 물체(110)는 인출부(101-2)에서 자연 낙하(인출)되고, 이송 물체(110)가 재치되지 않은 상태의 좌우 플레이트(102)(102a)는 4단 레일 구간(D) 위로 활주되어 이의 벤딩부(107-1)(108-1)의 선단부에 이르게 되면 이때에는 초기 구간인 1단 레일 구간(A)으로 재진입되면서 2단레일구간(B)으로 리턴된 다음에는 투입부(101-1)를 통해 좌우 플레이트(102)(102a) 위에는 새로운 물체(110)를 안치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물체의 이송 거리를 멀게 하거나 짧게 하고자 할 때는 레일 구간의 개수를 가감하면 되고, 이송 물체의 중량이 가벼울 때는 단순 체인을 사용할 수 있고, 무거울 때는 이중체인(105)의 재질을 튼튼한 재질로 보강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를 함에 있어 장치 몸체(101)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2중체인(105)의 핀과 연결된 연결 축(103)에는 좌우 플레이트(102)(102a)의 중간부에 체결된 축끼움부(103-1)가 끼움 고정되고, 좌측 플레이트(102)의 외측 후단에 설치된 롤러(104)는 좌측 레일(107) 위에 안치 활주되고, 우측 플레이트(102a)의 외측 선단에 설치된 롤러(104)는 우측레일(108)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되, 좌측 레일(107)의 선단부에는 좌측 스플라켓(106)의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만곡된 벤딩부(107-1)를 형성하고, 우측 레일(108)의 선단부에는 우측 스플라켓(106a)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만곡된 벤딩부(108-1)로 되게 하여 좌우측 플레이트(102)(102a)가 초기 수평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다음 레일 구간(B)(C)(D)으로 리턴될 수 있게 하였기 때문에 이송 구간의 길이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체의 투입부(101-1)는 낮은 위치에 있고, 인출부(101-2)는 높은 위치에 있어 작업상 편리할 뿐만 아니라, 이송 물체(110)가 이송 도중 손상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어 이송 물체의 품질 향상과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설치 면적 및 에너지의 절감을 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장치 몸체(101)를 다단 레일 구간(A)(B)(C)(D)으로 구성함에 있어 장치 몸체(101)의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2중체인(105)을 설치하여 좌우 스플라켓(106)(106a)에 의해 구동되게 하고, 이 좌우 스플라켓(106)(106a)의 핀과 연결된 연결 축(103)에는 좌우 플레이트(102)(102a)의 내측 중간부에 체결된 축 끼움부(103-1)가 끼움 고정되고, 좌측 플레이트(102)의 외측 후단부에 설치된 롤러(104)는 좌측 레일(107) 위에 안치 활주되고, 우측 플레이트(102a)의 외측 선단부에 설치된 롤러(104)는 우측 레일(108) 위에 안치 활주되게 하되, 전기한 좌측 레일(107)의 선단부에는 좌측 스플라켓(106)의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만곡된 벤딩부(107-1)가 형성되고, 우측 레일(108)의 선단부에는 우측 스플라켓(106a)의 중심부에서 외측으로 만곡된 벤딩부(108-1)를 형성하여 좌우 플레이트(102)(102a)가 벤딩부(107-1)(108-1)에서 동시 리턴되게 하고, 이 좌우 벤딩부(107-1)(108-1)의 선단부에는 트임부(109a)를 개재하여 다음 레일 구간(B)의 좌우 레일(107)(108)과 접속되는 겹침부(109)가 되게함을 특징으로 한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KR2020020014284U 2002-05-10 2002-05-10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KR200284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284U KR200284099Y1 (ko) 2002-05-10 2002-05-10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4284U KR200284099Y1 (ko) 2002-05-10 2002-05-10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099Y1 true KR200284099Y1 (ko) 2002-07-31

Family

ID=73075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4284U KR200284099Y1 (ko) 2002-05-10 2002-05-10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0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48B1 (ko) * 2005-09-14 2007-02-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압출물의 자체 터닝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2548B1 (ko) * 2005-09-14 2007-02-1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트레드 압출물의 자체 터닝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02988B (zh) 螺旋带输送机
KR20030022018A (ko) 반송장치
JP2553999B2 (ja) 物品の幅寄せ搬送方法および装置
JPS623042B2 (ko)
KR101225138B1 (ko) 트윈 벨트 컨베이어
US6612425B1 (en) Multiple drive conveyor system
KR200284099Y1 (ko) 체인 컨베이어의 리턴부 플레이트 수평 이송 장치
CA2980175C (en) Self-stacking spiral modular plastic conveyor belt with intermediate support
US8905228B2 (en) Self-supporting conveyor belt
CN210682337U (zh) 一种连续升降生产线
CA2768630C (en) Helical conveyor
GB1201592A (en) Sorting installation
US5263574A (en) Interlocking flight for conveyor systems
KR920008458A (ko) 다수개의 탄약실의 탄약을 합체시켜서 속사포로 공급하기 위한 탄약 취급 시스템
US9254968B2 (en) Inverting vacuum conveyor system
CN109733806B (zh) 一种追踪输送主体
JP2585139B2 (ja) コンベヤ装置
CN217779895U (zh) 一种药瓶传输装置
US3606943A (en) Conveyor
KR100604326B1 (ko) 텔레스코픽 컨베이어 시스템
JPH0644893Y2 (ja) スパイラルスラットコンベヤ
KR0114213Y1 (ko) 계란이송 켄베이어의 방향전환 구조
KR100213700B1 (ko) 제품용 캐비넷의 이송장치
JPS6240972Y2 (ko)
US1094281A (en) Cane-conve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