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8885A - 딤플 우회 도관을 갖는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딤플 우회 도관을 갖는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8885A
KR20020028885A KR1020017015289A KR20017015289A KR20020028885A KR 20020028885 A KR20020028885 A KR 20020028885A KR 1020017015289 A KR1020017015289 A KR 1020017015289A KR 20017015289 A KR20017015289 A KR 20017015289A KR 20020028885 A KR20020028885 A KR 2002002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mples
flow
bypass conduit
height
m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3531B1 (ko
Inventor
알렉스에스. 청
용엔 리
Original Assignee
윌리엄 피이.너스봄
롱 매뉴팩쳐링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엄 피이.너스봄, 롱 매뉴팩쳐링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윌리엄 피이.너스봄
Publication of KR2002002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3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 F28D1/033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plates having lateral openings therein for circulation of the heat-exchange medium from one conduit to another the plates having integrated connect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5/00Heating, cooling, 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lubricant; Lubrication means facilitating engine starting
    • F01M5/002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2001/027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dimp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916Oil cooler

Abstract

열교환기는 각각 소정의 내부 저온 흐름 저항을 갖는 복수의 적층 판 쌍 또는 튜브(12)를 갖는다. 우회 도관(38)은 적층 판 쌍 또는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우회 도관은 저온 흐름 조건하에서, 상기 우회 도관을 통해 우회 흐름을 위해 딤플의 일측에 길이 방향 흐름 도관(72,74)을 한정하는 공간이 분리되는, 짝지어진 딤플 (68,78,80,82)중심 열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방향 흐름 도관(72,74)은 저온 흐름 저항이 적층 판 쌍 또는 튜브(12)를 통한 저온 흐름 저항보다 작은 높이와 폭을 갖는다. 정상 또는 고온 흐름 조건에서, 상기 딤플(68,78,80,82)은 상기 우회 도관 (38)을 통해 유체 흐름이 속도와 방향을 변화하도록 부세하는 흐름 저항을 만든다. 이것은 열 전달 성능이 증가하는 상기 적층 판 쌍 또는 튜브를 통해 오일을 더욱 부세한다.

Description

딤플 우회 도관을 갖는 열교환기{HEAT EXCHANGER WITH DIMPLED BYPASS CHANNEL}
열교환기는 자동차 적용품의 엔진이나 변속기 오일등과 같은 냉각유에 사용되며, 냉각유를 필요로 하지 않는 주위의 온도에서조차, 열교환기는 언제든지 흐름회로에 항상 연결되어있어야 한다. 보통, 엔진이나 변속기는 윤활을 위해 유압을 만들기 위한 일종의 펌프형태를 포함하며, 그것에 의해 만들어진 펌프 또는 유압은 열교환기를 통해 순환된 오일을 펌프의 기름통 및 유입구로 복귀시킨다. 저온 환경 조건하에서, 오일은 매우 점성이 있게되며, 때로는 젤과 같으며, 이러한 조건하에서, 열교환기를 통한 흐름 저항은 오일이 따뜻해 질 때까지 열교환기를 통해 오일이 흐르지 못할 정도로 크다. 변속기 또는 엔진의 복귀 흐름은 변속기 또는 엔진이 손상을 야기하는 윤활유가 부족하게 될 수 있거나, 엔진 또는 변속기의 내부 오일이 열교환기가 작동하기 전에 과열상태가 될 수 있는, 엔진 또는 변속기의 손상이 뒤이어 일어나는 지점의 저온 조건들이 대체로 감소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한 방법은 저온 흐름 조건에서 열교환기를 우회하는 흐름을 허용하는 파이프나 튜브를 설치하는 것이다. 가끔, 우회 도관은 열교환기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서 열교환기에 적당히 끼워 넣어진다. 우회 도관은 , 저온 환경 조건하에서조차, 낮은 흐름 저항을 가지며, 그로 인해, 상기 언급한 것과 같이, 우회 또는 짧은 순환 흐름이, 일부의 손상이 발생되기 이전에 성립된다. 일반적으로, 우회 도관들이 필수 저온 흐름을 제공하는 동안, 이러한 우회 도관들은 도관을 통해 저온 흐름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선이나 평탄한 튜브이며, 오일이 가열되고, 점성이 떨어지고, 과도한 흐름이 우회 도관을 통과하여, 열을 방산하는 열교환기의 능력이 감소되는 해로운 결과를 갖는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열교환기는 훨씬 크게 만들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비용이 증가하고, 종종 엔진 컴파트먼트 또는 다른 종류의 것에 큰 열교환기를 고정하기에는 불충분한 공간이 허용되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내에 저온 흐름을 허용하기 위해 바람직한 저온 흐름 저항을 만들기 위한 높이, 폭 및 공간을 가질 뿐만 아니라, 우회 도관내의 유체의 온도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고온 흐름 저항을 갖는 딤플(dimple) 우회 도관을 설치함으로써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것을 시도한다.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든 작동 조건들 하에서 열교환기를 통한 일부 흐름을 제공하는 붙박이 우회 도관을 갖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언급되는 실시예는, 예로서, 첨부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좌측면을 확장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사슬망점으로 된 원(3)에 의해 지시된 도 1을 확장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우회 도관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판 중의 하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 5-5를 따라 선택된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 6-6을 따라 선택된 수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부상에 포개진 도 5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8은 사슬망점으로된 원(8)에 의해 지시된 도 4 부분의 확장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해 우회하는 도관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판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선 10-10을 따라 선택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해 우회하는 도관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판들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선 11-11을 따라 선택된 수직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에 대해 우회하는 도관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판들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선 14-14를 따라 선택된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흐름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적층 관형 부재를 구비하는 열교환기가 제공된다. 상기 관형 부재는 각각의 입출구의 개구를 한정하는 양각 원주의 종단부를 갖으며, 그로 인해, 적층 관형 부재에서, 각각의 입출구의 개구들이 입출구 매니폴드를 한정하도록 연결한다. 상기 관형 부재는 소정의 내부 저온 흐름 저항을 갖는다. 우회 도관은 적층 관형 부재에 부착된다. 상기 우회 도관은 대향 종단부 및 한정한 우회 도관 사이에서 확장한 관형 중간 벽을 갖는다. 우회 도관의 대향 종단부는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 우회 도관을 통해 유체의 흐름에 대한 각각의 유출입 매니폴드와 통해있는 유출입구를 한정한다. 중간 벽은 길이 방향으로 공간이 분리되어, 내측으로 배치되며, 중간 벽에 형성된 복수의 짝지어진 딤플을 갖는다. 짝지어진 딤플은 중간 벽의 짝지어진 딤플과 근접한 영역 사이의 흐름 구속을 한정한다. 짝지어진 딤플은 흐름 구속 이상의 저온 흐름 저항이 소정의 관형 부재의 소정의 내부 저온 흐름 저항보다 작도록 소정의 높이와 횡단 폭을 갖는다. 또한, 짝지어진 딤플은 우회 도관의 유체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딤플을 통과하는 고온 흐름 저항을 증가하도록 공간이 분리되어 있다.
먼저 도 1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우선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참조 숫자(10)로 나타낸다. 열교환기(10)에는 관형 부재를 통해 흐름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적층 관형 부재(12)가 형성된다. 관형 부재(12)들은 상부 및 하부 판(14,16)을 형성하며, 따라서, 판 쌍으로 언급될 수 있다. 판(14,16)은 양각 외주 종단부(18,20)를 갖는다. 종단부(18,20)는 각각의 입구 또는 출구의 개구(22)(도 3을 참조)를 갖으며, 그로 인해, 적층 관형 부재(12)들, 입출구 개구 (22)들은 입출구 매니폴드(26,28)를 한정하도록 연결한다. 관형 부재 (12)들은 또한, 입출구 매니폴드(26,28)의 연결사이에서 확장하는 중심 관형 부(30)를 갖는다. 입출구 매니폴드 (26,28)는 교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일측이 입구가 될 수 있고, 타측이 출구가 될 수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유체는 관형 부재(12)의 중심부 (30)를 통해 매니폴드(26 또는 28)중의 일측으로부터 매니폴드(26,28)중의 타측으로 흐른다.
관형 부재(12)의 중심부(30)는 중심부에 위치된 터뷸레이터 또는 터뷸라이져 (32)를 선호하여 갖는다. 터뷸라이져(32)는 관형 부재(12)의 열 이송 능력을 증가하기 위한 파상 흐름 통로를 만들기 위해 확장된 금속 및 다른 재료로 형성된다. 터뷸라이져(32) 및 판 중심부(30)의 내부 치수는 관형 부재(12)에 의해 소정의 내부 저온 흐름 저항을 갖게 하며, 상기 저항은 유체가 저온일 때, 관형 부재(12)를 통한 유체 흐름에 대한 저항이다. 열교환기(10)는 일반적으로 엔진 또는 변속기 오일을 냉각하는데 이용되며, 상기 오일은 저온일 때, 점성이 매우 크다. 오일이 가열됨에 따라, 오일의 점성은 떨어지고 정상적인 흐름이 관형 부재(10)를 통해 발생한다.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것과 같이, 판(14,16)의 양각 종단부(18,20)는 관형 부재(12)의 중심부에 의해 관형 부재사이에서 횡단의 외부 흐름 관(34)을 한정하도록 공간이 분리되어진다. 물결모양의 냉각 핀(36)은 외부 흐름 관(34)에 위치된다. 보통, 대기는 냉각 핀(36)을 통과하며, 그래서, 열교환기(10)는 대기에 대한 오일 형 열교환기로써 언급될 수 있다.
열교환기(10)는 또한, 딤플 우회 도관(38) 및 상하부 종단 판 또는 장착 판(40,42)을 구비한다. 상부 장착 판(40)은 입출구 매니폴드(26,28)의 유출입 흐름을 위한 입출구 피팅 및 니플(44,46)을 포함한다. 저부 장착 판(42)은 저부 관형 부재(12)의 저부 판(16)에 입출구 개구(22)를 막는 평탄 중심 평면부(48)를 갖는다.
도 2와 도 3에 참조된 것과 같이, 절반 높이 냉각핀(50)은 우회 도관(38)과 상부 관형 부재(12)사이에 놓여 있다. 다른 절반 높이 냉각핀(52)은 저부 관형 부재(12)와 저부 장착 판(42) 사이에 놓여 있다. 바람직하게는, 절반 높이 냉각 핀 (50,52)은 열교환기(10)를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서로 다른 요소들의 수를 줄이기 위해 터뷸라이져(32)를 만드는데 사용한 재료와 동일한 재료로 형성된다. 그러나, 냉각 핀(50,52)은 다른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감소된 높이를 제외하고 냉각 핀(36)과 같은 동일한 형태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관형 부재(12)는 서로 마주보는 판(14,16)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판 쌍으로 언급될 수 있다. 판(14,16)은 아주 동일하다. 이러한 판 쌍 (12)의 중심부(30) 사이에 터뷸라이져(32)를 사용하지 않고, 중심부(30)는 관형 부재 내부에 필수 흐름 난류를 만들기 위해 내측에 배치된 짝지어진 딤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관형 부재(12)는 판 쌍으로 만들어 질 필요는 없다. 관형 부재는 매니폴드(26,28)를 한정하기 위해 적절하게 연장된 종단부를 갖는 튜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또한, 냉각 핀(36,50,52)은 필요하다면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측으로 배치된 딤플은 다수의 필수 강화 또는 관형 부재(12)사이 기류 또는 다른 유체의 길이 방향 흐름을 위한 난류를 제공하는 관형 부재 중심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장착 판(40,42)이 열교환기(10)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적층 관형 부재(12)는 코어로 언급될 수 있다. 코어는 요구되는 폭 또는 높이로 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열 이송 능력을 얻기 위해 가능하면 소형 크기의 코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의 참조에서, 우회 도관(38)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회 도관(38)은 서로 마주보며, 동일한 두개의 판(54,56)으로 형성되며, 중심 평면부(58)와 양각 외주 플랜지(60)를 각각 갖는다. 외주 측벽(61)은 중심 평면부(58)를 플랜지(60)에 결합한다. 적어도 우회 도관(38) 또는 판(54,56)은, 입출구 개구(64)를 한정하는 대향 종단부(62)를 갖는다. 중심부(58) 및 외주 측벽(61)은 각각의 입출구 개구(64) 사이를 연장하는 우회 도관(65)을 한정하기 위해 , 대향 종단부(62) 사이를 연장하는 관형 중간 벽에 형성된다.
도 3에 참조된 것과 같이, 우회 도관(38)의 입출구 개구(64)는 각각의 입출구 매니폴드(26,28) 및 입출구 피팅(44,46)과 통해 있다. 그래서, 예컨대, 피팅 (44)에 들어오는 흐름은 관형 부재(12)를 관통하기 위해 매니폴드(26) 내를 통과하지만, 흐름의 일부는 관형 중간 벽(66)에 의해 한정된 우회 도관(65)을 관통한다.
중간 벽(66)의 중심 평면부(58)에는 길이 방향으로 공간이 분리되고,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짝지어진 딤플(68)이 형성된다. 딤플(68)은 딤플(68)과 중간 벽 (66)의 인접 외주 측벽(61)의 영역 사이 흐름의 구속을 한정한다. 딤플(68)은 내측으로 연장하여, 짝지어진 딤플(68)의 어느 한쪽의 길이 방향 흐름관(72,74, 도 8을 참조)을 한정하도록 길이 방향 중심면(70)에 위치된다.
또한, 중간 벽(66)은 도 7 및 도 8에 참조된 것과 같이, 짝지어진 딤플(68)과 우회 도관(65) 내, 또는, 적어도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에 연장한 부분 통로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며, 외주 및 내측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딤플(76)을 포함한다.
특히 도 7의 언급에서, 사선 영역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단면 형상은 외주 딤플(76)의 위치상에서 다이아몬드 종류의 형상이다. 이러한 사선 영역은 우회 도관(65)의 길이를 따라 흐르는 우회 흐름의 최소 단면 영역을 나타낸다. 사선 영역은 저온 흐름 조건의 우회 흐름의 형상이다.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높이는 미리 정해져 있다. 이것은 딤플(68)의 높이의 두 배와 동일하며, 터뷸라이져(32)를 포함하는 관형 부재(12) 내측의 흐름 통로 높이보다 높다.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폭은, 불규칙한 형상을 고려하여 평균 또는 유효 폭의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평균 또는 유효 폭은 미리 정해져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높이보다 작아야한다. 사실상,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평균 폭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흐름 통로 높이의 반 또는 이하이다.
열교환기(10)의 우선 실시예에서, 장착 판은 우회 도관(38)을 연결하고, 관형 부재(12)는 폭 19mm(0.75inch) 및 재료 두께 0.71mm(0.028inch)를 갖는 경납으로 도포된 알루미늄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소정의 높이는 5.6mm(0.22inch)이며, 이러한 흐름 통로의 소정의 평균 폭은 일반적으로 약 3.2cm (0.0820inch)이다. 딤플(68)은 부여된 금속 변형 한계 내에서 가능하면 정사각형에 가깝다. 고려중인 예의 이러한 딤플의 기부는 약 7mm(0.27inch)정사각형 및 상부는 약 4mm(0.16inch)정사각형이다.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높이는 결합된 짝지어진 딤플(68)의 높이와 동일하며, 이러한 흐름 통로의 유효 폭은 짝지어진 딤플(68)과 외주 딤플(76)사이의 평균 횡단 거리와 동일하거나 미만이다. 이러한 길이 방향 흐름 통로의 유효 폭의 적어도 두배인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판(54,56)이 성형될 때 존재하는 금속성형 한계 때문에 이러한 길이 방향 흐름 통로의 종횡비가 얼마나 큰 것이 가능한가에 관한 한계가 있다.
저온 흐름 조건하에서, 우회 도관(65)을 통한 우회 흐름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어 있다. 딤플(68,76)에 부과된 흐름 제한을 지난 저온 흐름 저항이 관형 부재(12) 내부 저온 흐름 저항보다 작도록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소정의 높이 및 횡단 폭이 있다. 우회 도관(38) 내부에서 유체가 가열되지만, 딤플 (68,76)은 난류 흐름 또는 도관(38) 내부의 흐름 속도 및 방향의 변화 및 우회 도관(65)이 통로를 통하여 단지 직선이라면 발생하는 흐름 저항보다 실제적으로 높은 흐름 저항을 일으킨다.
길이 방향 흐름 통로(72,74)의 치수의 변화, 딤플(68,76)의 치수변화등에 의하여, 모든 열교환기(10)의 감압은 조정되거나 또는 요구되는 적용에 적합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관형 부재(12)는 터뷸라이져(32)를 이용하지 않고, 딤플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관형 부재(12)의 딤플의 높이는 우회도관(38)의 딤플 높이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며, 그로 인해, 우회 도관(38)의 저온 흐름 저항이 관형 부재(12)의 저온 흐름 저항보다 작다. 선택적으로, 관형 부재(12)의 딤플의 수 및 공간은 우회 도관(38)보다 관형 부재(12)의 저온흐름 저항이 높게 주어지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딤플(68)이 우회 도관(38) 내부 고온 흐름 난류를 최대화하기 위해 가능한 정사각형이 바람직하지만, 딤플은 도 9내지 도 14에 도해된 것과 같이,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도9 및 도 10은 반구형 딤플(78)을 갖는 우회 판(77)을 도시한다. 따라서, 딤플(78)은 평면도상에서 원형이다. 도 11 및 도 12는 평면도상에 삼각형 피라미드와 같은 딤플을 갖는 우회 판(79)을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는 횡단 방향에 직사각형의 긴쪽을 갖고 길이 방향에 직사각형의 짧은쪽을 갖는 직사각형 딤플(82)을 갖는 우회 판(81)을 도시하지만, 딤플(82)은 서로 다른 방향, 코너도 요구된다면, 가능하다. 사실상, 이러한 가늘고 긴 딤플(82)은 딤플보다는 오히려 립(rib)에 가깝게 간주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의 실시예에서, 우회 판(81)의 폭은 약 32mm(1.26inch)이다. 한편, 길이 방향 흐름 통로 (72,74)의 치수는 도 1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모든 다른 치수(여울 또는 딤플(82)의 폭을 제외하고)는 도 1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서술된 우선 실시예는, 상술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는 다양한 변형이 높이 평가될 것이다. 예를 들면, 열교환기(10)에서, 우회 도관(38)은 상부 장착 판(40)에 인접한 상부에 도시된다. 그러나, 우회 도관(38)은 판 쌍의 코어또는 적층의 어느 곳에도 위치될 수 있다. 우회 도관(38)은 단면에 일반적으로 직사각형과 같이 묘사되어 왔다. 그러나, 원과 같은 다른 외형도 가능하다. 또한, 짝지어진 딤플(68,78,80 및82)은 수직면보다는 수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 후, 외주 딤플은 중심 짝지어진 딤플을 포함하는 90°인 면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자동차 오일 냉각보다 다양한 적용에 이용되는 것이 높이 평가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는 일부의 저온 흐름 우회 흐름이 요구되는 어떠한 적용에도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명세서의 관점에서 상기 방법이 숙련되는것이 분명해짐에 따라, 많은 선택예 및 변형예가 본 발명의 정신 또는 범위와 빗나가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로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요지와 일치하여 구성된다.

Claims (17)

  1. 관형 부재를 통해 흐름 통로를 한정하는 복수의 적층 관형 부재, 상기 관형 부재는 각각의 입출구의 개구를 한정하는 양각 종단부를 갖으며, 그로 인해, 적층 관형 부재에서, 입출구의 각각의 개구는 입출구 매니폴드를 한정하도록 연결하며, 상기 관형 부재는 소정의 내부 저온 흐름 저항을 갖으며;
    적층 관형 부재에 부착된 우회 도관, 상기 우회 도관은 대향 종단부 및 한정하는 우회 도관 사이에서 확장한 관형 중간 벽을 갖으며, 상기 우회 도관의 대향 종단부는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를 한정하고, 상기 유출입구는 우회 도관을 통해 유체의 흐름에 대한 각각의 유출입 매니폴드와 통해 있으며;
    상기 중간 벽은 길이 방향으로 공간이 분리되어, 내측으로 배치되며, 거기에 형성된 복수의 짝지어진 딤플을 갖으며,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상기 중간 벽의 짝지어진 딤플과 근접한 영역 사이 흐름 제한을 한정하며;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상기 흐름 저항 이상의 저온 흐름 저항이 상기 관형 부재의 소정의 내부 저온 흐름 저항보다 작도록 소정의 높이와 횡단 폭을 갖으며, 및;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우회 도관의 유체온도가 증가하는 것에 따라 딤플 을 지나서 고온 흐름 저항이 증가하도록 공간이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관형 부재 흐름 통로에 놓여진 터뷸라이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뷸라이져는 확장된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벽은 짝지어진 딤플 사이에 놓여지고, 내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외주 딤플을 포함하며, 상기 외주 딤플은 상기 우회 도관의 부분 경로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중심 면을 내측으로 확장하며, 상기 외주 딤플은 상기 짝지어진 딤플과 상기 외주 딤플 사이 길이 방향 흐름 도관을 한정하는 상기 중심 면을 향해 내측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도관은 높이를 갖으며,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상기 우회 도관의 절반의 높이를 갖으며, 상기 적층 관형 부재 흐름 통로는 높이를 갖으며, 상기 우회 도관의 높이는 상기 관형 부재 흐름 통로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회 도관은 길이 방향 중심 면을 갖으며, 상기 짝지어진 딤플에는 상기 짝지어진 딤플의 일측상에 길이 방향 흐름 통로를 한정하는 길이 방향 중심 면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흐름 통로는 소정의 높이와 소정의 평균 폭을 갖으며, 상기 높이는 상기 짝지어진 딤플의 높이의 합과 동일하고, 상기 평균 폭은 소정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폭은 상기 소정의 높이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5.6mm(0.22inch)이며, 상기 소정의 평균 폭은 일반적으로 2.3mm(0.09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관형 부재는 공간이 분리되어, 내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짝지어진 딤플을 형성하며, 상기 딤플은 상기 우회 도관 중간 벽에 형성된 딤플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2. 제3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 양각 종단부는 관형 부재 사이의 횡단 외부 흐름 통로를 한정하며, 상기 횡단 통로에 놓여있는 주름 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흐름 도관은 상기 짝지어진 딤플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으며, 상기 짝지어진 딤플과 상기 외주 딤플사이의 평균 횡단 거리와 동일한 유효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 흐름 통로의 높이는 적어도 길이 방향 흐름 통로의 유효 폭의 두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5. 제9항,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평면도상에서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6. 제9항,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평면도상에서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17. 제9항, 제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짝지어진 딤플은 피라미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017015289A 1999-05-28 2000-05-19 딤플 우회 채널을 갖는 열교환기 KR100643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002272804A CA2272804C (en) 1999-05-28 1999-05-28 Heat exchanger with dimpled bypass channel
CA2,272,804 1999-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885A true KR20020028885A (ko) 2002-04-17
KR100643531B1 KR100643531B1 (ko) 2006-11-10

Family

ID=416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289A KR100643531B1 (ko) 1999-05-28 2000-05-19 딤플 우회 채널을 갖는 열교환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220340B1 (ko)
EP (1) EP1181493B1 (ko)
JP (1) JP3671295B2 (ko)
KR (1) KR100643531B1 (ko)
AT (1) ATE262670T1 (ko)
AU (1) AU767330B2 (ko)
CA (1) CA2272804C (ko)
DE (1) DE60009282T2 (ko)
WO (1) WO2000073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9979B1 (en) * 1999-07-02 2002-09-17 Denso Corporation Refrigerant evaporator with refrigerant distribution
US6341649B1 (en) * 2001-02-12 2002-01-29 Delphi Technologies, Inc. Aluminum plate oil cooler
US6478080B2 (en) * 2001-03-29 2002-11-12 Standard Motor Products, Inc. Fluid cooling device
US6856037B2 (en) * 2001-11-26 2005-02-15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dissipated heat to work energy
FR2834336B1 (fr) * 2001-12-28 2006-12-01 Valeo Thermique Moteur Sa Element de circuit pour echangeur de chaleur,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et echangeur de chaleur ainsi obtenu
TW531634B (en) * 2002-03-08 2003-05-11 Ching-Feng Wang Counter flow type heat exchanger with integrally formed fin and tube
US20040173341A1 (en) * 2002-04-25 2004-09-09 George Moser Oil cooler and production method
AT7133U1 (de) * 2003-01-29 2004-10-25 Werner Dipl Ing Pustelnik Plattenkühler
JP3961443B2 (ja) * 2003-04-08 2007-08-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蒸発器
DE102004004975B4 (de) * 2004-01-31 2015-04-23 Modine Manufacturing Co. Plattenwärmeübertrager
US7013962B2 (en) * 2004-07-23 2006-03-21 Homayoun Sanatgar High pressure fluid cooler
JP2006284165A (ja) * 2005-03-07 2006-10-19 Denso Corp 排気ガス熱交換器
DE102005058769B4 (de) * 2005-12-09 2016-11-03 Modine Manufacturing Co. Ladeluftkühler
US20070158055A1 (en) * 2006-01-09 2007-07-12 Man Zai Industrial Co., Ltd. Heat dissipating device
WO2009124400A1 (en) * 2008-04-10 2009-10-15 Dana Canada Corporation Calibrated bypass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JP4485583B2 (ja) * 2008-07-24 2010-06-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8267162B1 (en) 2008-09-16 2012-09-18 Standard Motor Products Bi-directional pressure relief valve for a plate fin heat exchanger
JP4879292B2 (ja) * 2009-04-10 2012-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レート式熱交換器及び冷凍空調装置
US9033030B2 (en) * 2009-08-26 2015-05-19 Munter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equalizing hot fluid exit plane plate temperatures in heat exchangers
US9239195B2 (en) * 2011-04-26 2016-01-19 Hyundai Motor Company Heat exchanger for vehicle
GB2497139B (en) * 2011-12-02 2015-11-11 Vkr Holding As Phase change material pack
CA2956845A1 (en) * 2014-07-31 2016-02-04 Dana Canada Corporation Battery cell heat exchanger with graded heat transfer surface
JP6423507B2 (ja) * 2017-10-25 2018-11-14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空冷装置
KR20200124577A (ko) * 2019-04-24 2020-11-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력변환 장치용 냉각 시스템
US11280559B2 (en) * 2020-05-12 2022-03-22 Hanon Systems Dumbbell shaped plate fi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15172A (en) * 1939-12-04 1940-09-17 Clarence A Christensen Control valve
US4337737A (en) * 1980-05-09 1982-07-06 Murray Pechner Temperature regulator for oil cooling system
US4443188A (en) * 1981-05-20 1984-04-17 Bbc Brown, Boveri & Company, Ltd. Liquid cooling arrangement for industrial furnaces
DE3805692A1 (de) * 1988-02-24 1989-09-0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Waermetauscher mit oel als waermeabgebendes medium
DE4212070A1 (de) * 1992-04-10 1993-10-14 Laengerer & Reich Gmbh & Co Wärmeaustauscher, insbesondere Kühler, z. B. Ölkühler
JP3358250B2 (ja) * 1992-10-21 2002-12-16 株式会社デンソー 冷媒蒸発器
CA2113519C (en) 1994-01-14 1999-06-08 Allan K. So Passive by-pass for heat exchangers
SE9502189D0 (sv) * 1995-06-16 1995-06-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Plattvärmeväxlare
US5797450A (en) * 1996-05-02 1998-08-2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Oil cooler for automobiles
JPH10325645A (ja) * 1997-05-26 1998-12-08 Denso Corp 冷媒蒸発器
CA2215172C (en) * 1997-09-11 2005-11-29 Sean Terence Brooks Baffle insert for heat excha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73725A1 (en) 2000-12-07
DE60009282D1 (de) 2004-04-29
JP3671295B2 (ja) 2005-07-13
AU767330B2 (en) 2003-11-06
ATE262670T1 (de) 2004-04-15
EP1181493B1 (en) 2004-03-24
CA2272804A1 (en) 2000-11-28
AU4904100A (en) 2000-12-18
EP1181493A1 (en) 2002-02-27
JP2003500632A (ja) 2003-01-07
KR100643531B1 (ko) 2006-11-10
US6220340B1 (en) 2001-04-24
DE60009282T2 (de) 2005-01-27
CA2272804C (en) 200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8885A (ko) 딤플 우회 도관을 갖는 열교환기
CA1313183C (en) Embossed plate heat exchanger
US5538077A (en) In tank oil cooler
CA2329408C (en) Finned plate heat exchanger
US4945981A (en) Oil cooler
US7011142B2 (en) Finned plate heat exchanger
AU693694B2 (en) Plate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undulating passageway
US8857503B2 (en) Calibrated bypass structure for heat exchanger
JPH0648150B2 (ja) 熱交換器及びそれによる自動車用オイルクーラーとその製造方法
US11274884B2 (en) Heat exchanger module with an adapter module for direct mounting to a vehicle component
US5369883A (en) Method for making an in tank oil cooler
US20030131979A1 (en) Oil cooler
US5062474A (en) Oil cooler
KR960005784B1 (ko) 열교환기
US5373895A (en) Heat exchanger
WO2007009220A1 (en) Heat exchangers with corrugated heat exchange elements of improved strength
JPH07504967A (ja) 熱交換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04114B2 (ja) 波形循環流路群を備える熱交換器、及びその熱交換器を備える自動車用オイル冷却器とその製造方法
JPS6242293Y2 (ko)
CA2261451A1 (en) Plate-type oil coo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