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761A - 포장용 완충용구 - Google Patents

포장용 완충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761A
KR20020027761A KR1020000058390A KR20000058390A KR20020027761A KR 20020027761 A KR20020027761 A KR 20020027761A KR 1020000058390 A KR1020000058390 A KR 1020000058390A KR 20000058390 A KR20000058390 A KR 20000058390A KR 20020027761 A KR20020027761 A KR 20020027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se sheet
air
produc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20000058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7761A/ko
Publication of KR2002002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7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 B65D81/05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pillow-like elements filled with cushioning material, e.g. elastic foam, fabric filled with fluid,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상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용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는 비탄력적인 경성재질의 베이스 시트(30)와, 상기 베이스 시트(30)의 일측에 구성된 탄력재질의 에어백(32)과, 상기 에어백(32)에 장착된 공기주입탭(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에 의하면 첫째, 베이스 시트의 재질적인 특성상 에어백이 포장제품 측으로만 팽창되고, 포장상자 측으로는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포장상자가 변형되지 않는 등 제품의 포장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제품의 포장 시 완충용구를 장착하는 별도의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제품을 포장상자에서 꺼내는 작업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포장용 완충용구{Shock absorber for packaging}
본 발명은 가전제품 포장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적인 특성상 포장상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포장용 완충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전제품과 같이 외부충격에 약한 제품을 포장할 때에는 보관 및 운반시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제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박스 내에서 제품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완충작용을 행하는 완충용구를 사용하게 되는데, 도 1의 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완충용구는 대개 탄력적인 재질로서 원반형으로 이루어진 에어백(10)과, 상기 에어백(10)에 부착된 공기주입탭(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백(10)은 구조적 재질적인 특성상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면 도 1의 b에 나타난 것과 같이 양 측면이 부풀어 오른 일종의 오벌(oval)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종래의 완충용구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공기주입탭(12)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에어백(10)을 부풀린 다음,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포장상자 (20)내에 집어넣어 포장제품(22)과 포장상자(20) 사이의 공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장착된 종래의 완충용구에 의하면 에어백(10)이 포장상자(20)와 포장제품(22) 사이에서 포장제품(22)을 압박하여 포장제품(22)의 안착상태를 견고히 할뿐만 아니라, 완충작용을 통해 포장상자(20)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포장제품(22)의 포장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대개 종이재질로 이루어지는 포장상자(20)의 특성상 에어백(10)에 의해 압박되는 부위가 돌출변형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품의 포장외관미가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제품의 포장과정에서 포장용구를 설치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야 하며, 포장된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포장상자에서 꺼낼 때에도 에어백을 먼저 꺼내어 제품이 상자에서 빠질 수 있도록 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포장제품과 접하는 측면만이 팽창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포장상자가 돌출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포장제품의 포장외관미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포장과정의 단순화가 가능토록 하는 포장용 완충용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의 a, b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의 형태를 공기주입 전 후로 구분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가 포장상자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포장상자 22: 포장제품
30: 베이스 시트 32: 에어백
34: 공기주입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는 비탄력적인 경성재질로서 포장상자의 각 방향 내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에 구성되며 서로 통기 가능하게 연결된 탄력재질의 다수개의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구비된 공기주입탭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3부터 도 5까지를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다수개의 베이스 시트(30)와, 상기 베이스 시트(30)에 구성되며 서로 통기 가능하게 연결된 탄력재질의 다수개의 에어백(32)과, 상기 에어백(32)에 구비된 공기주입탭(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시트(30)는 비탄력적인 경성(硬性)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30) 및 에어백(32)은 포장상자의 각 방향 측면의 형태와 일치하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각 에어백(32)의 연결부위는 절곡이 용이하도록 폭이 좁은 통기통로만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공기주입탭(34)은 각 에어백(32)이 서로 통기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에어백(32)에만 구비되며, 공기주입 시의 편의를 위해 베이스 시트(30)를 관통하여 포장상자(20)의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5 참조)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용구는 는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전개된 상태의 포장상자(20) 내면에 베이스 시트(30)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데, 이때에는 에어백(32)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이다.
전개된 상태의 포장상자(20)에 본 완충용구를 장착한 다음에는 포장상자(20)를 조립하여 상면만이 개방된 형태로 만들고, 포장상자(20) 내에 제품(22)을 넣는다.
이어서, 포장상자(20)를 봉한 다음, 공기주입탭(34)을 통해 공기를 에어백(32)으로 주입하게 되는데, 각 에어백(32)은 서로 통기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 모든 에어백(32)에 공기가 주입되어 부풀게 된다.
에어백(32)이 부푼상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베이스 시트(30)의재질적인 특성(비탄력 경성재질)상 에어백(32)에 공기를 주입하여도 상기 베이스 시트(30)가 거의 변형되지 않기 때문에 에어백(32)이 베이스 시트(30)의 일측으로만 팽창되고, 본 완충용구는 옆에서 볼 때 반달형태를 취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백(32)의 팽창방향이 포장상자(20) 내의 제품(22) 측으로만 향하기 때문에 포장상자(20)가 변형되지 않으며, 제품에 대한 압박 및 완충효과도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본 완충용구에 의해 압박지지된 제품(22)을 포장상자(20)에서 꺼낼 때에는 공기주입탭(34)을 개방하여 에어백(32)에서 공기를 빼내어 에어백(32)의 부피가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제품(22)을 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용 완충용구에 의하면 첫째, 베이스 시트의 재질적인 특성상 에어백이 포장제품 측으로만 팽창되고, 포장상자 측으로는 팽창되지 않기 때문에 포장상자가 변형되지 않는 등 제품의 포장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둘째, 제품의 포장 시 완충용구를 장착하는 별도의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제품을 포장상자에서 꺼내는 작업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비탄력적인 경성재질로서, 포장상자의 각 방향 내면에 부착되는 다수개의 베이스 시트와,
    상기 베이스 시트에 구성되며 서로 통기 가능하게 연결된 탄력재질의 다수개의 에어백과,
    상기 에어백에 구비된 공기주입탭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포장용 완충용구.
KR1020000058390A 2000-10-05 2000-10-05 포장용 완충용구 KR200200277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390A KR20020027761A (ko) 2000-10-05 2000-10-05 포장용 완충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390A KR20020027761A (ko) 2000-10-05 2000-10-05 포장용 완충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761A true KR20020027761A (ko) 2002-04-15

Family

ID=1969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390A KR20020027761A (ko) 2000-10-05 2000-10-05 포장용 완충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77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0474A (zh) * 2017-12-20 2018-06-01 科思达(厦门)卫生制品有限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包装结构
CN109826156A (zh) * 2019-03-26 2019-05-31 山东农业大学 水利土木工程新型混凝土联锁砌块及其铺设方法
CN117401298A (zh) * 2023-12-15 2024-01-16 常州知威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抽接废油机的包装组件
KR102664477B1 (ko) * 2023-05-18 2024-05-10 이창복 보온 비닐 부착박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00474A (zh) * 2017-12-20 2018-06-01 科思达(厦门)卫生制品有限公司 一种可重复使用的包装结构
CN109826156A (zh) * 2019-03-26 2019-05-31 山东农业大学 水利土木工程新型混凝土联锁砌块及其铺设方法
KR102664477B1 (ko) * 2023-05-18 2024-05-10 이창복 보온 비닐 부착박스
CN117401298A (zh) * 2023-12-15 2024-01-16 常州知威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抽接废油机的包装组件
CN117401298B (zh) * 2023-12-15 2024-04-12 常州知威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气动抽接废油机的包装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01669A (ja) 包装用インサート
WO2002072447A1 (fr) Materiau de protection pour emballage
CN210455546U (zh) 一种包装箱用带缓冲层的复合纸垫
US20050263426A1 (en) Packaging structure and method of plastic material
KR20020027761A (ko) 포장용 완충용구
KR101601808B1 (ko) 접이식 포장 박스
JP3998804B2 (ja) 緩衝機能付き包装体
CN210913397U (zh) 一种耐压保温型瓦楞纸箱
CN215437579U (zh) 一种台灯包装箱
CN206954710U (zh) 一种灯具缓冲包装纸盒
CN219428560U (zh) 一种抗变形的玩具包装盒
JPH07125773A (ja) 簡易包装装置
CN201610280U (zh) 一种电脑主机的环保缓冲包装
CN214397635U (zh) 一种防震缓冲包装盒
CN2520302Y (zh) 四面展开式纸托缓冲包材
JPH07187247A (ja) 包装資材並びに該包装資材を用いた包装方法
JP3213879B2 (ja) 梱包用具
KR20180106425A (ko) 완충 포장 상자
CN220076964U (zh) 一种缓冲包装盒
CN210392008U (zh) 一种缓冲包装纸箱
JPH0423826Y2 (ko)
CN210417469U (zh) 一种便携印章机的包装盒
CN201049805Y (zh) 一种中空纸护条
JP2658695B2 (ja) 包装装置
JP2001219968A (ja) 包装用緩衝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