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7194A -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7194A
KR20020027194A KR1020010060690A KR20010060690A KR20020027194A KR 20020027194 A KR20020027194 A KR 20020027194A KR 1020010060690 A KR1020010060690 A KR 1020010060690A KR 20010060690 A KR20010060690 A KR 20010060690A KR 20020027194 A KR20020027194 A KR 20020027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ght
grooves
linear
protrusions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2060B1 (ko
Inventor
마사오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스기야마 마사오
스기야마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야마 마사오, 스기야마 킨조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야마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20027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2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의 연소에너지의 열교환을 통해 단시간내에 소정의 끓이기, 삶기, 굽기 등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경제적인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1)의 바닥(11) 외표면에만 그 전역에 걸쳐 다수의 직선돌출부(21)를 평행하게 돌출 형성하여 화염과의 접촉 면적인 외표면전열면적을 확장함과 동시에 각 직선돌출부(21, 21) 사이에 그 화염의 유로가 되는 직선홈(31)을 평행하게 구성하고 각 직선홈(31)은, 상기 화염의 열에너지가 용기(1)의 바닥부분(11)으로 전열되고 바닥(11) 외측으로 방산되지 않도록 하는 적정한 깊이 사이즈 및 폭 사이즈로 설정되어 끝쪽이 넓어지는 용기(1)의 바닥부분(11)에는 화염의 용기(1)의 바닥(11) 외측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열에너지 방산을 억제하고 불필요한 열손실을 방지하며, 화염의 흐름을 저해하지 아니하도록 유로를 구성하여 대류전열계수의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Cooking utensil}
본 발명은 조리용 냄비, 조리용 솥, 주전자 등의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효율의 열교환이 가능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스연소기를 사용한 조리용기는 조리시 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그 바닥 부분이나 주면부에 요철부를 형성하여 전열면적을 넓힘으로써 조리시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여러 형태의 고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 주요 제안 기술로는 일본 특허 제2743134호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냄비 바닥의 외표면 중심부로부터 외주를 향해 다수의 방사상 돌출부를 설치한 구조(A 구조), 냄비 바닥의 외표면에 다수의 돌기를 설치하여 이 돌기를 Z 형상으로 점배치하는 구조(B 구조), 또는 냄비 바닥의 외표면에 소용돌이 모양의 동심원상의 돌출부를 형성한 구조(C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A 구조, B 구조, C 구조는 모두 냄비 등의 조리용기 바닥부분의 표면적을 확장시켜 외표면의 전열면적을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A 구조의 조리용기는 용기로 전해지지 않고 대기중으로 방산 소비되는 연소에너지를 가능한한 포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조리용기의 바닥 외표면에 중심부로부터 외주를 향해 다수의 방사상 홈을 설치하고 전체 외주면에 상하방향의 다수의 홈을 설치하고 이들 홈이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류전열계수의 저하를 방지하고 외표면 전열면적을 확장시켜 대류전열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연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이고 있다.
즉,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이 냄비의 바닥부분으로 유입될 때 그 흐름을 저해하지 않도록 방사상 홈을 형성하여 대류전열계수의 저하 방지와 함께 상기 방사상 홈으로 형성된 돌부에 의한 외표면 전열면적의 증가를 통해 연소에너지의 효과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에 반해 B 구조, C 구조는 냄비 바닥부분의 외표면 전열면적은 증대되지만 돌부 및 돌출부가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의 진행에 커다란 장애요소로 작용하여 대류전열계수를 현저히 저하시키므로 대류 전열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없고 결과적으로는 조리용기의 내용물에 전달되는 열량을 증가시킬 수 없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A 구조의 경우 대류전열계수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사상 홈을 형성하는 것은, 그 방사상홈이 고온 연소가스, 즉 화염의 흐름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방사상홈에서 형성되는 방사상 돌부가 화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고 하는 관점에서 볼 때는 바람직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상홈이 방사상 돌부의 폭을 일정 두께 사이즈로 할 경우 끝쪽이 넓어지는 형태가 되고 이러한 외주부 확장 형상성으로 인해 고온연소가스, 즉 화염이 조리용기 바닥부분의 외표면에서 방사상으로 확산되어 흐르게 되므로 그 열에너지가 용기로 전열되지 않고 대기중으로 방산될 확률(새어나가게 될 확률)이 높아 특히 가열효율을 크게 좌우하는 냄비 바닥의 외표면 외연부(外淵部) 부근이 급속하게 확산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닥 중앙부에서 방사상 돌출부의 간격이 매우 작아져 화염의 포획효율이 감소되어 원하는 고효율의 열교환을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소에너지의 고효율의 열교환을 통해 짧은 시간에 소정의 끓이기, 삶기, 굽기 등의 조리를 수행할 수 있는 경제적인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우묵한 냄비의 저면도.
도 2는 도 1의 (2)-(2)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우묵한 냄비의 종단면도.
도 5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우묵한 냄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용기(냄비)11:바닥
21:직선돌출부51:손잡이
31:직선홈11':바닥판
본 발명은 용기 바닥의 외표면적을 확장하여 전열면적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그 외표면적을 확장하는 요철부, 즉 돌출부와 홈이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의 진행에 저항요소로 작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염이 용기 바닥의 외연부로부터 방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개념을 합리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실험을 거듭한 결과 평행한 홈이 최적의 대안이라는 점을 발견, 조리용기의 바닥 외표면에만 평행한 직선 돌출부를 설치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외표면적을 확장하면 냉각작용이 발생되는 용기 몸체의 주면부는 제외하고 용기 몸체의 바닥부분의 외표면에만 그 전역에 걸쳐 필요한 두께 사이즈의 다수의 직선 돌출부를 평행하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과의 접촉 면적을 확장함과 동시에 각 직선 돌출부 사이에 상기 화염의 유로가 되는 직선홈을 평행하게 구성하고, 상기 각 직선홈은 그 직선홈으로 포획되어 흐르는 화염의 열에너지의 대부분이 용기 바닥으로 전열되고 또한 용기 바닥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적정한 두께 사이즈 및 홈폭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한다(청구항 1).
본 발명은 전체 길이에 걸쳐 직선홈이 적정 깊이 사이즈 및 홈폭 사이즈로 형성되며 이 직선홈이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을 용기 주면부(周面部)측에 방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닥부분 외부로의 열에너지 방산을 억제하여 에너지 손실을 회피함과 아울러 직선 돌출부가 화염의 흐름을 저해하지 않는 유로를 구성함으로써 대류전열계수의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각 직선홈 사이에 설치되는 직선 돌출부가 표면전열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직선돌출부는 용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용접 등에 의해 용기에 용착시키는 경우 등 다양한 제조패턴이 존재하는데, 주조성형이 일반적이다. 또한 용기와 함께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주철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스텐레스제의 용기 바닥에 상기 직선돌출부와 직선홈을 갖는 알루미늄제 바닥판을 적절한 수단을 이용해 부착하거나 상하가 개방된 몸통부를 스텐레스로 제작하고 그 하측 개방부를 상기 직선돌출부와 직선홈를 갖는 알루미늄제 바닥판으로 덮어서 용기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냄비, 주전자, 솥 등의 경우, 가정용(예를 들어 직경을 16cm∼29cm로 함)은 그 직선홈의 홈폭 사이즈를 3∼6 mm, 깊이 사이즈를 8∼17 mm, 직선돌출부의 두께 사이즈를 3∼6 mm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특히 직선홈의 홈폭 사이즈 4 mm, 깊이 사이즈 13 mm, 직선돌출부의 두께 사이즈를 4 mm정도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30cm 이상의 직경을 갖는 업소용 냄비, 주전자, 솥 등의 경우에는 그 직선홈의 홈폭 사이즈나 직선돌출부의 두께 사이즈는 상술한 가정용의 것과 동일하나 업소용은 연소기구(가스버너 등)의 화력이 강하여 화염의 높이가 높아지므로 화염이 용기 바닥부분에서 반사 방산되는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그 바닥부분을 효과적으로 가열시키기 위해 직선홈의 깊이 사이즈를 화염의 높이에 비례하는 12 cm∼25 c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직선돌출부는 그 하단 주면을 모두 균일하게 일치시킴으로써 가스버너 상에 안정되게 놓여진다(청구항 2).
또한 예를 들어 각 직선돌출부의 양단연부을 모서리 깍음 처리하면 그 양단연 부분에서 화염의 접촉저항이 감소되어 화염이 용기 바닥 외부로 방산되기 쉽고 따라서 열교환 효율이 저하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직선홈 전체길이에 걸쳐 일정한 접촉저항으로 화염의 열에너지가 포획되도록 하고, 각 직선돌출부의 그 양단연을 모서리 깍음하지 않은 모서리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직선홈의 단면적을 증가시키고 바닥 외연부 부근에서의 열접촉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열에너지 포획이 강화되므로 고효율의 열교환에 적합하다(청구항3, 4).
또한 용기가 냄비체에 관계없이 직선돌출부와 직교하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면 손잡이가 타거나 손잡이를 잡을 손 부위 등에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설계를 통해 최적의 사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청구항 5∼8).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의 제1 실시형태를, 도 4는 제2 실시형태를, 도 5는 제3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우선 제1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 형태는 조리 용기의 우묵한 용기 즉, 냄비, 주전자, 솥 등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조리용기(A)는 알루미늄 주조제품의 용기(이하 냄비를 예로 들며 참조부호 (1)로 설명한다)를 도시한 것으로 그 바닥(11) 외표면에 그 전역에 걸쳐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직선돌출부(21)를 평행하게 돌출 형성하고 각 직선돌출부(21,21) 사이에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직선홈(31)을 설치하고있다.
상기 냄비(1)는 그 바닥(11)이 수평한 일반적인 우묵한 형태의 것이 도시되어 있으며, 직선돌출부(21)는 그 냄비(1)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 주면이 모두 균일하게 형성되며 또한 양단부를 모서리 깍음하지 않은 모서리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직선돌출부(21,21) 사이에 형성되는 각 직선홈(31)이, 그 직선홈(31…)으로 포획되어 화염(고온 연소가스)의 열에너지의 대부분이 냄비(1)의 바닥(11)으로 전열되어 냄비(1)의 바닥(11) 바깥으로 방산되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깊이 사이즈 및 홈폭 사이즈로 형성한다.
즉 직선홈(31)에 포획되어 흐르는 화염(고온의 연소 가스)가 그의 열에너지의 대부분을 냄비(1)의 바닥(11)에 전달하고, 냄비(1)의 바닥(11) 바깥으로 방산되지 않도록 하는 정도의 깊이 사이즈 및 홈폭 사이즈를 가지고, 직선홈(31)이 형성될 수 있도록 다수의 직선돌출부(21)를 냄비(1) 바닥의 외표면에만 그 전역에 걸쳐 평행하게 돌출 형성시키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51a)의 장착부(51)를 상기 직선돌출부(21)에 대해 직교하는 위치에 설치하여 손잡이(51a)가 타거나 손잡이(51a)를 잡았을 경우 손부위에 화상을 입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이 실시형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의 바닥(11)에 상기 다수의 직선홈(31)과 직선돌출부(21)를 갖는 바닥판(11')을 그 바닥(11)에 일체로 부착한 경우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5에 도시한 제3 실시형태는 상기 다수의 직선홈(31)과 직선돌출부(21)를 갖는 바닥판(11')과 그 바닥판(11')을 용착시키는 상하가 개방된 몸체(1')로 냄비(용기)(1)를 구성하는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스텐레스제의 냄비(1)의 바닥(11)에 알루미늄제 바닥판(11')을 부착하며, 도 5는 양단이 개방된 스텐레스제 몸통(1')의 하단 개방부에 알루미늄제 바닥판(11')을 부착(예를 들어 납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실시예>
이어서 우묵한 가정용 냄비(1)에 있어서, 그 직선홈(31)의 폭사이즈(W), 깊이 사이즈(H), 직선홈(31)을 간격을 두고 직선돌출부(21)의 두께 사이즈(T)를 설정하고 각종 실험을 수행한 결과, 냄비(1)의 바닥(11)에 형성된 돌출부의 형태에 따라 열교환 효율이 달라지는 결과를 설명하고자 한다(표 1).
이 실험은 가정용 가스버너를 사용하며 그 버너의 화력을 강으로 하여 5℃의 수돗물 2리터를 냄비(1)에 붓고 실온(25℃) 환경하에서 가열하여 85℃(목표설정온도) 혹은 95℃(목표설정온도)로 승온될 때까지의 그 속도(초)를 측정한 것이다.
또한 비교예 12는 두께 사이즈가 4mm인 동심원상의 돌출부에 의해 이격 형성된 4mm의 폭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동심홈이 형성된 우묵한 냄비를, 또한 비교예 9의 방사상 홈은 두께 사이즈를 4mm로 하는 방사상 돌출부를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함으로써 24개의 방사상 홈이 형성된 우묵한 냄비를 사용했다.
여기서 %표시는 실시예 1을 기준으로 하여 목표설정온도인 85℃, 95℃로 승온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에 대한 비율로서 %로 표시하고 있다. 즉 100%에 대하여 105%인 경우에는 5%의 불필요한 시간이 소요되었음을 의미한다.
85℃(목표설정온도) 95℃(목표설정온도)
실시예 1
직선홈(알루미늄제), W4mm, H13mm, T4mm
350(초) 100% 430(초) 100%
실시예 2
직선홈(알루미늄제), W4mm, H13mm, T6mm
361(초) 103% 447(초) 104%
실시예 3
직선홈(알루미늄제), W4mm, H17mm, T4mm
363(초) 104% 455(초) 106%
실시예 4
직선홈(알루미늄제), W3mm, H13mm, T4mm
378(초) 108% 451(초) 105%
실시예 5
직선홈(알루미늄제), 실시예 1의 양단연을 6mm로 모서리를 깍음
388(초) 107% 469(초) 109%
실시예 6
직선홈(알루미늄제), W6mm, H13mm, T3mm
384(초) 110% 481(초) 112%
실시예 7
직선홈(알루미늄제), W4mm, H8mm, T4mm
385(초) 110% 469(초) 109%
비교예 8
직선홈(알루미늄제), W4mm, H13mm, T2mm
420(초) 120% 520(초) 121%
비교예 9
방사상홈(알루미늄제)
421(초) 120% 524(초) 122%
비교예 10
홈 없음(알루미늄제)
451(초) 124% 559(초) 130%
비교예 11
홈 없음(스텐레스제)
462(초) 132% 602(초) 140%
비교예 12
동심원상 홈(알루미늄제)
493(초) 141% 585(초) 136%
상기 실시 결과에 따르면 직선홈(31)의 홈폭 사이즈(W)를 4mm, 깊이 사이즈 (H)를 13mm, 직선돌출부(21)의 두께 사이즈(T)를 4mm로 한 실시예 1의 우묵한 냄비(조리용기)는 85℃로 승온될 때까지 350초, 또한 95℃로 승온될 때까지 430초가 소요됨으로써 각각 승온이 빨리 행하여 져서 최단 소요시간을 보였다.
그리고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7과 같이 직선돌출부(21)의 두께 사이즈(T)를실시예 1과 동일 또는 1.5배, 3/4배 등으로 하거나 직선홈(31)의 깊이 사이즈(H)를 실시예 1과 동일 또는 약 1.3배, 약 0.6배 등으로 하거나 홈폭 사이즈(W)를 실시예 1과 동일 또는 1.5배, 3/4배 등으로 하거나 나아가서는 실시예 1의 직선돌출부(21)의 양단연을 6mm의 R 형상으로 모서리 깍아서 각종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실시예 1에 대해 103%∼112%와 근사한 속도로 목표설정온도까지 승온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홈(31)의 홈폭사이즈를 3∼6 mm, 깊이 사이즈(H)를 8∼17 mm, 직선돌출부(21)의 두께 치수(T)를 3∼6 mm 범위내인 것으로 하여 양호한 열교환 효율을 갖는 것이다.
한편 비교예 8은 평행한 직선홈(31)이 바닥(11)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으나 목표설정온도(85℃, 95℃)로 승온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이 실시예 1에 대해 각각 120%, 121%로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 비해 낮은 열교환 효율을 보였다. 이처럼 열교환 효율이 낮은 이유는 직선홈(31)의 홈폭 사이즈(W), 깊이 사이즈(H)가 각각 3∼6mm, 8∼17mm의 범위내에 있지만 직선돌출부(21)의 두께 사이즈(T)가 2mm로 얇기 때문에 그 직선 돌출부(21)의 얇은 부분이 요인이 되어 동 직선돌출부의 근원부까지 열에너지가 잘 전달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9 내지 비교예 12는 각각 방사상 홈(알루미늄제), 무홈(알루미늄제), 무홈(스텐레스제), 동심원상의 홈(알루미늄제)이 형성된 경우로서 목표설정온도로 승온할 때까지 120%∼141%의 시간을 요하며 따라서 실시예 1에 비해 적어도 8% 이상 열교환 효율이 낮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열교환 효율이 낮은 경우 예를 들어 비교예 9의 방사상홈은 끝쪽이 넓어지는개방 형상을 갖기 때문에 화염이 냄비(1)의 바닥(11) 바깥으로 방산에너지로서 방산되어 특히 필요한 냄비(1)의 외연측 부분의 가열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또한 표면전열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바닥부분의 중앙부에서 방사상 홈 간격이 매우 작아져 화염의 포획효율이 현저하게 감소됨에 따라 열교환 효율이 낮은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비교예 12의 동심원상의 홈의 경우에는 각 홈을 둘러싸는 동심원상의 돌출부가 화염의 흐름을 방해하는 격벽으로 작용하여 대류전열계수를 현저히 저하시키고 이에 의해 대류전열이 양호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더욱이 각 홈에 체류하는 공기층이 단열현상을 초래하기 때문에 열교환 효율이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바닥부분(11)에 직선홈(31)이 평행하게 형성되는 가정용 조리용기에 있어서 직선홈(31)의 홈폭 사이즈(W) 3∼6mm, 깊이 사이즈(H) 8∼17mm, 직선돌출부(21)의 두께 사이즈(T) 3∼6mm 범위 이외의 비교예에 대해서는 비교예 8을 제외하고는 별도 명기하지 않았으나 직선홈(31)의 홈폭사이즈(W)가 그 하한보다도 좁아지면 화염의 포획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반대로 그 상한보다도 커지면 냄비 바닥의 표면전열면적이 원하는 정도까지 확장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직선홈(31)의 깊이 사이즈(H)가 그 하한보다도 작아지면 원하는 표면 전열면적까지 증대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염이 냄비 바닥으로부터 반사방출되어 효과적인 열전달이 수행되지 않고 반대로 그 상한보다도 커지면 화염이 바닥부분까지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냄비 바닥을 효과적으로 가열할 수 없다. 그리고 직선돌출부(21)의 두께 사이즈(T)에 대해서는 그 하한보다도 얇으면 상기한 바와같이 직선 돌출부(21)의 근원부로의 열에너지 전달이 저하되고 반대로 그 상한보다도 두꺼우면 표면전열면적의 감소가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기타 냄비 형상의 조리용기에 대해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나 본 발명은 용기의 형상에 제한없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용기의 바닥부분 외표면에만 그 전역에 걸쳐 다수의 직선돌출부를 평행하게 돌출 형성하여 화염과의 접촉면적, 즉 외표면 전열면적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각 직선돌출부 사이에서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의 유로가 되는 직선홈을 평행하게 구성하며 각 직선홈을, 화염의 열에너지가 용기 바닥 외측으로 방산되지 않도록 하는 다수 평행상의 적정 깊이 사이즈 및 홈폭 사이즈를 설정하여 평행하게 형성함으로써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을 저해하지 않는 유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대류전열계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아니라 표면전열면적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바닥부분의 끝쪽이 넓어지는 방사상홈이 형성된 용기가 가지는 결점인 화염의 열에너지의 용기 바닥부분 외측으로의 방산이나 화염의 포획 효율 저하 등을 가급적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실험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연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조리(삶기, 끓이기, 구이, 찜 등)를 수행할 수 있는 더욱 경제적인 조리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2와 같이 그 직선돌출부 하단연을 모두 균일하게 일치시키면 가스버너에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으므로 안전하다.
또한 청구항 3, 4와 같이 직선돌출부의 그 양단연을 모서리 깍음하지 않은모서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화염이 전체 길이에 걸쳐 일정한 저항으로 접촉하는 구조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양단연을 R 형태로 모서리 깎음한 경우와 같이 그 부분에서 화염의 접촉저항이 저하되어 화염의 열에너지가 냄비, 주전자, 솥 등의 용기 바닥부분 바깥으로 방산되어 연소에너지가 다량 손실되는 점을 개선하고 양단의 모서리깎음하지 않은 모서리 형상의 부분에서 화염의 흐름을 정체시켜 열에너지를 손실없이 용기에 전열시키므로 효율적인 열교환에 적합하며 조리시 바닥부분의 외연부가 가열효율을 크게 좌우하는 냄비, 주전자, 솥 등의 경우 그 효과는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과 같이 직선돌출부에 직교하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면 상기 이점에 더하여 손잡이가 타는 등의 사용상 불편함과 손잡이를 잡는 손 부위의 화상 등의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조리용기 및 조리자 모두를 배려할 수 있도록 설계한 것이다.

Claims (9)

  1. 용기 바닥의 외표면에만 그 전역에 걸쳐 일정한 두께 사이즈로 다수의 직선돌출부를 평행하게 돌출 형성하여 고온 연소가스의 흐름인 화염과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각 직선돌출부 사이에 상기 화염의 유로가 되는 직선홈을 평행하게 구성하며, 각 직선홈은 그 직선홈에서 포획되어 흐르는 상기 화염의 열에너지의 대부분이 용기 바닥에 전열됨과 동시에 용기의 바닥 외부로 방산되지 않도록 소정 일정 사이즈 및 홈폭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우묵한 냄비, 주전자, 솥 등의 수용체이고 또한 그 직선돌출부의 하단연이 모두 균일하게 일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출부의 양단연을 모서리 깍음하지 않은 모서리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직선홈의 단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출부의 양단연을 모서리깎음하지 않은 모서리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직선홈의 단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출부와 직교하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출부와 직교하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출부와 직교하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출부와 직교하는 위치에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9.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돌출부의 두께 사이즈를 3∼6mm, 직선홈의 홈 폭사이즈를 3∼6mm, 그 직선홈의 깊이 사이즈를 8∼25mm의 범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1020010060690A 2000-10-05 2001-09-28 조리용기 KR100762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05976 2000-10-05
JP2000305976 2000-10-05
JP2001030993A JP3506374B2 (ja) 2000-10-05 2001-02-07 調理器
JPJP-P-2001-00030993 2001-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194A true KR20020027194A (ko) 2002-04-13
KR100762060B1 KR100762060B1 (ko) 2007-10-04

Family

ID=2660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690A KR100762060B1 (ko) 2000-10-05 2001-09-28 조리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06374B2 (ko)
KR (1) KR100762060B1 (ko)
CN (1) CN1177559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545A (ko) * 2003-01-29 2004-08-06 주식회사 세명 주방용 조리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626Y1 (ko) 2008-11-26 2011-12-28 최창호 조리용기
US8806737B2 (en) * 2009-03-27 2014-08-19 Eneron Inc. Methods of making energy efficient cookware
US8037602B2 (en) 2009-03-27 2011-10-18 Eneron, Inc. Methods of making energy efficient cookware
KR101147783B1 (ko) * 2009-10-22 2012-05-21 김영승 이중 바닥을 갖는 조리용기
KR101594671B1 (ko) * 2014-05-19 2016-02-16 박정원 조리용기
CN104337383A (zh) * 2014-10-29 2015-02-11 韦国成 一种节能快热锅及其制造方法
CN105395048A (zh) * 2015-11-30 2016-03-16 无锡市茗雅东方茶艺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率电磁炉和明火两用茶艺煮水壶
CN106166029A (zh) * 2016-08-31 2016-11-30 陆流 一种电火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580Y1 (ko) * 1987-09-02 1991-10-26 태평양제약 주식회사 구중(口中)청량제 용기
KR920007542Y1 (ko) * 1989-11-24 1992-10-15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휴대용 전화기의 내, 외부 안테나 전환장치
KR940021907U (ko) * 1993-03-18 1994-10-19 정태영 가열용 용기
KR980006535U (ko) * 1998-02-16 1998-04-30 조재현 조리용기
KR100334326B1 (ko) * 1999-07-30 2002-04-25 송지훈 맥반석을 용해시킨 세라믹 조리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9545A (ko) * 2003-01-29 2004-08-06 주식회사 세명 주방용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06374B2 (ja) 2004-03-15
CN1177559C (zh) 2004-12-01
KR100762060B1 (ko) 2007-10-04
JP2002177134A (ja) 2002-06-25
CN1347679A (zh) 200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060B1 (ko) 조리용기
GB2419273A (en) Avoiding overheating of cooking utensil
KR101497267B1 (ko) 회전국솥의 국부과열 방지구조
KR200404678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200406372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200204601Y1 (ko) 조리기
US20200096201A1 (en) Ceramic burner cover for stovetops apparatus and method
KR101836984B1 (ko) 숯불 화로
US20070256570A1 (en) Cooking Implement
KR100664659B1 (ko) 육류 구이판
KR100610323B1 (ko) 조리구이판
KR102115958B1 (ko) 조리를 위한 냄비 등의 손잡이 가열을 방지하는 받침판.
JP3079493U (ja) 調理器
KR101364854B1 (ko) 바닥 눌음 방지 조리용 솥
JPH09171890A (ja) 誘導加熱調理用の調理容器
KR100354124B1 (ko) 가스 그릴
JP2010194002A (ja) 加熱用調理容器
KR101652285B1 (ko) 공기순환통이 구비된 냄비
KR200197438Y1 (ko) 조리기구
KR100422414B1 (ko) 가스렌지용 화염유도구
KR200409739Y1 (ko) 가스레인지 기기의 과열방지 복사열반사판
KR200359216Y1 (ko) 조리구이판
KR101668028B1 (ko) 인덕션 렌지용 용기
KR200270942Y1 (ko) 조리용기
JP6588411B2 (ja) 加熱調理用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