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6181A - 복합 흡수 시트 - Google Patents

복합 흡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6181A
KR20020026181A KR1020017015978A KR20017015978A KR20020026181A KR 20020026181 A KR20020026181 A KR 20020026181A KR 1020017015978 A KR1020017015978 A KR 1020017015978A KR 20017015978 A KR20017015978 A KR 20017015978A KR 20020026181 A KR20020026181 A KR 20020026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
absorbent
sheet
absor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까떼라요시까즈
호리까와나오끼
Original Assignee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이 쇼사꾸
Publication of KR20020026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618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68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reus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32B7/09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by stitching, needling or s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2013/512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zed by the dimension of 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2013/5376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 A61F2013/5378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zed by its geometry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6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by needling, sewing, blow-needl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2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hydrophy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층, 보수층 및 물 불투과층이 피부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흡수 시트에서, 흡수층과 보수층 사이에 도수공을 갖는 물 불투과성 시트재로 이루어진 수분 역류 방지층을 배치하고, 또한 수분 역류 방지층의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도수공의 합계 면적 비율이 3% 이상 40% 미만임으로써 흡수량이 충분하고 또한 피부로의 수분 역류가 적은 쾌적한 복합 흡수 시트를 얻는다.

Description

복합 흡수 시트{WATER-ABSORBING COMPOSITE SHEET}
종래부터 인체에서 배출되는 체액을 포함한 배설물을 흡수하는 시트는 그 편의성 면에서 고분자 흡수 폴리머 재료를 사용한 1회용 타입이 많다. 이러한 종래 제품은 흡수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수분 역류가 적어서 쾌적성이 우수하고 또한 경량이라 취급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종이 기저귀로서 보급되어 왔다. 그러나, 이 종이 기저귀는 한번 사용한 후에 버려지기 때문에 쓰레기량을 증대시킨다는 문제와, 수분을 흡수한 종이 기저귀는 잘 타지 않기 때문에 연소 온도가 낮은 일부 쓰레기 소각로에서는 타다 남는 경우가 있는 것 이외에도, 노 내의 연소 온도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노 내의 염소함유 폐기물로부터의 다이옥신 등과 같은 유해물질의 발생을 조장할 우려가 있어 환경면에서 문제가 많다.
한편, 재사용 가능한 이른바 천 기저귀는 면 소재를 사용한 직물이 일반적인데, 흡수성은 양호하나 수분 역류가 많아 차가워서 불쾌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흡수층, 수분 역류 방지층, 보수(保水)층 및 물 불투과층으로 이루어진 4층 구조를 갖는 복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유아, 아동이나 노인의 간호용 기저귀, 배뇨 패드, 베드 패드 또는 페트용 오줌 흡수 시트로서 적합한 복합 흡수 시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 중앙부의 횡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 는 흡수층과 보수층이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사이에 두고 결착된 복합 흡수 시트 중앙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횡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를 구성하는 흡수층, 수분 역류 방지층, 보수층 및 물 불투과층의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를 구성하는 물 불투과성 시트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를 사용한 배뇨 패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는 예컨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이 적하되는 방향에서부터 (a) 흡수층 (1), (d) 수분 역류 방지층 (4), (b) 보수층 (2) 및 (c) 물 불투과층 (3) 이 순서대로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에서, (a) 흡수층은 수분을 일단 흡수하지만 계속해서 보수하지는 않고, 그 다음의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통해 (b) 보수층으로 수분을 이행시키고, 흡수한 후 (a) 흡수층 표면을 될 수 있는 한 드라이 터치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표면에 포백 조직에 의한 요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모 처리, 커트 파일, 루프 파일, 고랑 및 메시 조직에 의한 요철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a) 흡수층을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천연섬유, 합성섬유 및 이들 조합을사용할 수 있다. 합성섬유가 높은 혼합율로 함유된 것이 표면의 드라이한 느낌이 양호하다. 한편, 피부 접촉을 양호하게 하여 피부 자극을 일으키지 않기 위해서, (a) 흡수층 표면을 구성하는 실의 총 섬도는, 바람직하게는 222.2dtex 이하, 단사 섬도는 5.5dtex 이하이다.
이어서, (b) 보수층 구조로서는 수분을 흡수하여 유지해야 할 섬유 사이에 모세관 현상에 의한 충분한 흡수 장소를 갖는 포백 구조가 필요하고, 편물 구조가 바람직하다.
상기 (b) 보수층의 보수량은 보수층 자체 중량의 1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자체 중량의 180% 이상이다. (b) 보수층은 반드시 1층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로 하는 흡수량에 따라 복수개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b) 보수층에 사용되는 실의 소재로서는 임의의 합성섬유, 천연섬유 및 이들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b) 보수층의 보수량과 수분 흡수성은 세탁 반복에 의해 저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합성섬유를 사용한 경우에는 세탁 후 마무리제로서 친수가공제를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어서, (d) 수분 역류 방지층은 도 1 내지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흡수층 (1) 과 (b) 보수층 (2)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d) 수분 역류 방지층 (4) 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줄의 도수공 (5) 을 갖는 물 불투과성 시트로 구성되고, 이 도수공의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합계 면적 비율은 3% 이상 40% 미만인 것이 필요하다. 이 비율이 3% 미만이면, (b) 보수층으로부터 표면의 (a) 흡수층으로의 수분 역류는 적으나, (a) 흡수층으로 적하된 수분이 상기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잘 통과하지 못하여 표면의 축축한 느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조장한다. 반대로, 도수공의 합계 면적 비율이 40% 이상이 되면, (a) 흡수층으로부터 (b) 보수층으로의 수분 이행성은 양호하나 수분 역류가 많아 불쾌감이 문제시된다.
상기 도수공 크기는 기저귀에 사용된 경우의 길이방향을 세로로 하여 세로 (열) 방향으로 5㎜ 미만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 열에 수직인 가로방향 크기는 3㎜ 이상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도수공의 세로방향 크기가 5㎜ 이상이 되면, 하층의 (b) 보수층에 고인 수분이 약간의 가압에 의해 상기 도수공을 통해 (a) 흡수층으로 역류되어 축축한 느낌,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한편, 도수공의 가로방향 크기가 3㎜ 미만이 되면, (a) 흡수층으로부터 (b) 보수층으로의 신속한 수분 이행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표면의 (a) 흡수층에 다량의 수분이 고여 또다시 축축한 느낌이나 차가운 느낌 등의 불쾌감 발생의 원인이 된다.
여기에서, 도 5 에 나타낸 도수공의 열 간격 X 와 행 간격 Y 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수공의 열 간격 X 는 좁을수록 (a) 흡수층으로부터 (b) 보수층으로의 수분 이행 속도는 향상되지만, 반대로 (b) 보수층으로부터의 수분 역류가 많아지기 때문에 열 간격 X 는 10㎜ 이상 3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 열 간격 X 가 30㎜ 를 초과하면, 수분 역류 방지성은 향상되지만, (a) 흡수층의 흡수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 도 5 에 나타낸 도수공의 행 간격 Y 는 좁을수록 수분 이행 속도는 향상되나 수분 역류 방지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3㎜ 이상 10㎜ 이하이다.
또한, 도수공 크기는 세로방향이 5㎜ 미만, 가로방향이 4㎜ 이상이 바람직한 것을 서술하였으나, 도수공 형상은 사각형, 원, 슬릿을 포함한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단, 장기간의 도수공 형상의 내구성을 고려하면 타원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수공이 사각형인 경우에 비하면 각부가 없어서, 외력의 응력 집중이 잘 일어나지 않아 균열이 잘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또, (a) 흡수층으로부터 (b) 보수층으로의 수분 이행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a) 흡수층과 (b) 보수층 중 적어도 1층을 (d) 수분 역류 방지층을 사이에 두고 결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a) 흡수층과 (b) 보수층 중 적어도 1층을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사이에 두고 결착시키면 된다.
이 결착은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a) 흡수층으로 적하된 수분을 신속하게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통과시키고, (b) 보수층으로 이행시키기 때문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먼저, (a) 흡수층은 이 결착부에서 오목부로 되어 적하 수분이 집중되고,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통과하기 쉽게 하는 것을 보조한다. 또한, (a) 흡수층 하부와 (b) 보수층 표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수분의 신속한 이행을 돕는다.
상기 결착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가장 일반적인 것이 미싱을 사용한 재봉실에 의한 결착이다. 그러나, 이 결착 방법은 (a) 흡수층과 (b) 보수층이 밀착, 접합되어 있으면 되고, 반드시 재봉실에 의한 결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어떠한 결착이어도 된다.
(a) 흡수층에 결착되는 (b) 보수층이 복수개의 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그 중 적어도 1층이 결착되어 있으면 되지만, 복수개의 층 구조 중 복수개 층 또는 모든 보수층이 결착되어 있어도 전혀 상관없다.
또한, 재봉실에 의한 결착 형상에 대해서는 직선 형상이 가장 간단하지만, 곡선, 격자 및 육각형 등의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 물 불투과층과 (d) 수분 역류 방지층은 다음 물 불투과성 시트재로 이루어진 것이면 어떤 조합이어도 된다.
즉, 직ㆍ편물에 폴리우레탄필름,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불소계의 필름 등과 같은 물이 잘 투과되지 않는 필름을 라미네이트법 등으로 접착한 것 또는 직ㆍ편물에 우레탄 등의 수지 코팅한 것이면 된다. 단, (d) 수분 역류 방지층에 관해서는 라미네이트 천이나 코팅 천 이외에도 세탁 내구성이 있는 강한 발수 천이어도 되고, W 러셀 편지 (編地) 와 같이 공기층을 포함한 것이어도 되고, (a) 흡수층의 수분을 쉽게 (c) 보수층으로 이행시키지 않는 시트형 재료이면 어떠한 소재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의 쾌적 기능에 대한 각 구성층의 작용에 대해서 서술한다.
복합 흡수 시트를 구성하는 (a) 흡수층은 수분을 빨리 흡수하여 신속하게 그 수분을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통해 (b) 보수층으로 이행시킴으로써, 쾌적성을 저해하는 여분의 수분을 함유하지 않고 항상 표면층을 드라이 터치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어서,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역할은 상술한 바와 같이 (a) 흡수층의 과잉 수분을 (b) 보수층으로 빨리 이송시키는 것을 보조하고 또한 (b) 보수층에 축적된 수분이 (a) 흡수층 표면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d) 층을 사이에 둔 (a) 흡수층과 (b) 보수층의 결착, 바람직하게는 (d) 층의 도수공을 사이에 둔 (a) 흡수층과 (b) 보수층의 결착은 (a) 흡수층의 과잉 수분을 신속하게 (b) 보수층으로 이행시키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c) 물 불투과층은 (b) 보수층에 함유된 수분이 이 복합 흡수 시트 밖으로 새나가지 않는 작용을 한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세탁 가능하며 재이용 가능하고 또한 수분 역류가 적으며, 흡수한 후 피부에 닿아도 차가운 느낌이 적어 쾌적한 복합 흡수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표면의 흡수층과 보수층 사이에 수분 역류 방지층을 배치할 때에 원하는 복합 흡수 시트를 얻을 수 있음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키는 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a) 흡수층, (b) 보수층 및 (c) 물 불투과층이 피부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흡수 시트에서, (a) 층과 (b) 층 사이에 도수공을 갖는 물 불투과성 시트재로 이루어진 수분 역류 방지층 (d) 가 배치되고, 또한 (d) 층의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도수공의 합계 면적 비율이 3% 이상 4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흡수 시트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a) 층과 (b) 층 중 적어도 1층이 상기 (d) 층을 사이에 두고 결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a) 층과 (b) 층의 결착부는 (d) 층의 도수공을 사이에 두고 결착되어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결착 방법은 재봉실을 사용하여 결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이 복합 흡수 시트의 평가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1) 수분 역류 방지성
흡수 시트 (길이 50㎝ ×폭 25㎝) 의 (a) 흡수층측에서부터 물 150cc 를 10cc/sec 속도로 적하한 후, 30sec 방치하고, 수분이 적하된 부분을 중심으로 98Pa(100g/㎠) 로 가압하고, 그리고 도오요 로시 (東洋濾紙) (주) 제조의 수분 시험지를 압력 49Pa(50g/㎠) 로 표면에 접촉시켜 수분 역류 상태를 관찰함과 동시에, 실제로 손 바닥을 접촉시켜, 수분 역류 부착에 의한 축축한 느낌을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관능 판정한다.
◎ : 수분 역류가 거의 없어 드라이 터치로 매우 쾌적한 상태
O : 수분 역류가 적어 거의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한 상태
△ : 수분 역류은 다소 있으나 가벼운 불쾌감으로 참을 수 있는 상태
×: 수분 역류가 많아 축축한 느낌, 차가운 느낌이 강하여 불쾌한 상태
(2) 흡수성
흡수 시트 (길이 50㎝ ×폭 25㎝) 에 (a) 흡수층측에서부터 물 150cc 를 10cc/sec 속도로 적하하고, 그 종료 후부터 흡수층 표면의 물에 의한 특별한 반사 (경면 반사) 가 소실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 (sec) 으로 계측한 값을 흡수성이라고 한다. 값이 짧을수록 흡수성은 양호하다.
실시예 1
트리코트 4bar 편기를 사용하고, 프런트 가이드 바 (F) 에 111.1dtex/24 필라멘트 (fil) 의 폴리에스테르 (PET) 사, 미들 가이드 바 (M) 에는 166.7dtex/48fil 의 PET 가공사 및 55.5dtex/24fil 의 PET 사를 사용하고, 백 가이드 바 (B) 에는 166.7dtex/48fil 의 PET 가공사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복합 흡수 시트의 (a) 흡수층을 제편 (製編) 한다.
상기 흡수층 표면에는 10㎝ 당 요철부의 합계수가 11 내지 12 코가 되도록 기모를 실시한다.
(d) 수분 역류 방지층은 PET83.3dtex/36fil 을 사용한 32G 스무스 편지에 2 플루오르화 에틸렌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시트를 사용하고, 아래와 같이 도수공을 뚫어 형성한다. 도수공 크기는 기저귀에 사용된 경우의 길이방향을 세로로 하여 세로 (단경) 3㎜, 가로 (장경) 5㎜ 의 타원형으로 하고, 도수공의 세로방향의간격, 즉 열 간격 X 를 20㎜, 가로방향의 간격, 즉 행 간격 Y 를 5㎜ 로 한 결과 개공율은 8.0% 가 된다.
(b) 보수층은 면 40 번수 단사를 95%, 비등수 수축율이 30% 이상 있는 고수축 폴리에스테르사를 5% 이용하여 20G 의 리플 편지를 제편한다.
또, (c) 물 불투과층은 (d) 수분 역류 방지층과 마찬가지로 83.3dtex/36fil 의 폴리에스테르사를 사용한 스무스 생지 (生地) 에 2플루오르화 에틸렌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시트를 사용한다.
이어서, 상기 (a) 흡수층, (d) 수분 역류 방지층, (b) 보수층 및 (c) 물 불투과층을 도 4 및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저귀 형상으로 봉제한다.
구체적으로는 2개 바늘 오버록 미싱으로 주위를 꿰맨 후, 신축성있는 주변 테이프를 늘린 상태에서 기저귀의 두다리 사이부 (groin piece, 그롯치부) 의 양 사이드에 평 2개 바늘 미싱으로 꿰매고 수축을 해제함으로써 기저귀 전체가 인체의 두다리 사이부를 따라 밀착되도록 도 6 의 입체형상을 형성시킨다.
실시예 2
실시예 1 과 동일한 (a) 흡수층, (b) 보수층, (c) 물 불투과층 및 (d) 수분 역류 방지층을 사용하고, (a) 흡수층과 (b) 보수층 중 1층을 50번수의 3 꼬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미싱실을 사용하여, 코 수 15바늘/3㎝ 로 기저귀의 세로방향으로 무작위로 5열 꿰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이 때 바느질 눈은 도수공을 통과하지 않는다.
실시예 3
실시예 1 과 동일한 (a) 흡수층, (b) 보수층, (c) 물 불투과층 및 (d) 수분 역류 방지층을 사용하고, (a) 흡수층과 (b) 보수층 중 1층을 50번수의 3 꼬임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미싱실을 사용하여, 코 수 15바늘/3㎝ 로 바느질 눈이 도수공을 통과하도록 기저귀의 세로방향으로 5열 꿰맨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이 때 (a) 흡수층과 (b) 보수층 중 적어도 1층은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사이에 두고 결착되어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3 에서,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 크기만 직경 2㎜ 의 원형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비교예 1
실시예 3 에서,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 크기만 직경 1㎜ 의 원형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이 때 도수공의 합계 면적 비율은 0.9% 이다.
또, (a) 흡수층과 (b) 보수층의 결착도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나, 바느질 눈 피치가 2㎜ 이기 때문에 바늘질 눈은 도수공을 통과하지 않는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서, (d) 수분 역류 방지층의 도수공을 5㎜ 폭의 슬릿형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표 1 에 실시예 1 내지 4 와 비교예 1, 2 에 의해 얻은 복합 흡수 시트의 성능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은 도수공 크기와 열 및 행 간격, 즉 개공율이 8.0% 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 내에 있고, 흡수성은 19sec 로 양호하며, 수분 역류가 적어 거의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한 상태의 것이다.
실시예 2 는 (a) 흡수층과 (b) 보수층이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은 15sec 로 빨라지고, 수분 역류가 적어 거의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한 상태의 것이다.
실시예 3 은 (a) 흡수층과 (b) 보수층이 도수공을 사이에 두고 결착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성은 7sec 로 더욱 빨라지고 수분 역류는 거의 없어 드라이 터치로 매우 쾌적한 것이다.
실시예 4 는 도수공 크기가 2㎜ 인 원형으로 작아졌기 때문에, 실시예 3 에 비하여 약간 흡수성은 늦어지지만 12sec 로 양호하고, 수분 역류가 적어 거의 만족할 수 있는 쾌적한 상태의 것이다.
그러나, 비교예 1 은 도수공 크기가 1㎜ 이고 개공율이 0.9% 로 작기 때문에, 흡수성이 35sec 로 늦어지고, 또한 (a) 흡수층으로부터 (b) 보수층으로의 수분 이행성이 나빠서 수분 역류 방지성은 불쾌감을 느끼는 레벨이다.
또, 비교예 2 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층 구성을 사용하면서도 도수공을 5㎜ 폭의 슬릿으로 하였기 때문에, 개공율이 40.0% 로 커지고, 흡수층의 수분이 보수층으로 이행되는 속도는 14sec 로 허용 범위 내이지만, 수분 역류 방지성이 악화된다. 또한, 압력이 가해졌을 때 이 넓은 개공부로부터 잘 역류되어 더욱 불쾌감을 조장하는 결과가 된다. 이 결과, 비교예 2 의 착용 쾌적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와는 비교할 것도 없는 불쾌한 레벨까지 저하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a) 흡수층 기모 트리코트프런트 111dtex/24fil미들A 167dtex/48fil미들B 56dtex/24fil백 167dtex/48fil 좌동 좌동 좌동
(d) 수분역류방지층도수공 크기(세로×가로)도수공 열 간격도수공 행 간격면적비율(b) 보수층 (3층)(a)와(b)의 봉착(縫着)도수공을 사이에 둔 봉착(c)물 불투과층 2플루오르화 에틸렌라미네이트 천3㎜×5㎜20㎜5㎜8.0%면 리플 편지없음없음2플루오르화 에틸렌라미네이트 천 좌동좌동좌동좌동8.0%좌동있음없음좌동 좌동좌동좌동좌동8.0%좌동있음있음좌동 좌동2㎜×2㎜좌동좌동3.0%좌동있음있음좌동
흡수성수분 역류 방지성 19sec.O 15sec.O 7sec.◎ 12sec.O
비교예 1 비교예 2
(a) 흡수층 기모 트리코트프런트 111dtex/24fil미들A 167dtex/48fil미들B 56dtex/24fil백 167dtex/48fil 좌동
(d) 수분역류방지층도수공 크기(세로×가로)도수공 열 간격도수공 행 간격개공율(b) 보수층 (3층)(a)와(b)의 봉착도수공을 사이에 둔 봉착(c)물 불투과층 2플루오르화 에틸렌라미네이트 천1㎜ ×1㎜20㎜5㎜0.9%면 리플 편지있음없음2플루오르화 에틸렌라미네이트 천 좌동3㎜ ×5㎜좌동좌동40%좌동없음없음좌동
흡수성수분 역류 방지성 35sec.△ 14sec.X
본 발명에 기재된 바와 같이 흡수층, 보수층, 물 불투과층이 피부측에서부터순서대로 배치된 흡수 시트에서, 흡수층과 보수층 사이에 도수공을 갖는 물 불투과성 시트재로 이루어진 수분 역류 방지층을 배치하고, 또 수분 역류 방지층의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도수공의 합계 면적 비율이 3% 이상 40% 미만이면, 흡수량이 충분하고 또한 피부로의 수분 역류가 적은 쾌적한 복합 흡수 시트를 얻을 수 있다. 이 복합 흡수 시트는 세탁 가능하고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어, 젖먹이ㆍ어린이 및 노인의 간호용 기저귀, 배뇨 패드, 시트 이외에 페트용 오줌 흡수 시트로서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1. (a) 흡수층, (b) 보수층 및 (c) 물 불투과층이 피부측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 흡수 시트에서, (a) 층과 (b) 층 사이에 도수공을 갖는 물 불투과성 시트재로 이루어진 수분 역류 방지층 (d) 가 배치되고, 또한 (d) 층의 전체 면적에서 차지하는 도수공의 합계 면적 비율이 3% 이상 40%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흡수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a) 층과 (b) 층 중 적어도 1층이 (d) 층을 사이에 두고 결착되어 있는 복합 흡수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a) 층과 (b) 층 중 적어도 1층이 (d) 층의 도수공을 사이에 두고 결착되어 있는 복합 흡수 시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a) 층과 (b) 층의 결착이 재봉실에 의한 결착인 복합 흡수 시트.
KR1020017015978A 2000-04-14 2001-03-28 복합 흡수 시트 KR200200261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3056 2000-04-14
JPJP-P-2000-00113056 2000-04-14
PCT/JP2001/002576 WO2001078976A1 (fr) 2000-04-14 2001-03-28 Feuille composite absorbant l'ea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6181A true KR20020026181A (ko) 2002-04-06

Family

ID=1862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978A KR20020026181A (ko) 2000-04-14 2001-03-28 복합 흡수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20198508A1 (ko)
EP (1) EP1190844A1 (ko)
KR (1) KR20020026181A (ko)
CN (1) CN1366489A (ko)
CA (1) CA2376841A1 (ko)
WO (1) WO20010789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1693A1 (en) 2009-07-23 2011-01-27 Chromatin, Inc. Sorghum centromere sequences and minichromosomes
JP5952663B2 (ja) * 2012-07-06 2016-07-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シートおよびペットシート包装体パッケージ
PL2938308T3 (pl) * 2012-12-28 2019-08-30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Wyrób chłonny mający tkaninę oddzielającą jako człon regulujący przepływ płynu
CN104884018B (zh) * 2012-12-28 2018-07-10 Sca卫生用品公司 具有作为流体流动控制构件的间隔织物的吸收性物品
CN104305767A (zh) * 2014-10-10 2015-01-28 浙江芬力针织有限公司 一种吸水防潮的针织面料床垫
TWI639416B (zh) * 2015-12-07 2018-11-01 簡元正 Sanitary cotton
CN109310216B (zh) * 2016-07-28 2022-02-11 爱维福股份有限公司 寝具及寝具用罩单
JP6726135B2 (ja) * 2017-06-15 2020-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CN114699241B (zh) * 2022-04-01 2023-06-30 河南逸祥卫生科技有限公司 一种高扩散吸收婴幼儿纸尿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9835A (ja) * 1987-10-14 1989-04-18 Toray Ind Inc 衛生シート
US5306267A (en) * 1992-01-06 1994-04-26 J & E Enterprise Reusable, all-in-one, multi-layered diaper with wicking action, moisture retention,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H07148876A (ja) * 1993-11-26 1995-06-13 Shinshiyou Kk 積層布帛
JPH11113945A (ja) * 1997-10-14 1999-04-27 Hakuyo:Kk 布製おむつ
JPH11113954A (ja) * 1997-10-17 1999-04-27 Shiseido Co Ltd 吸収性物品の表面素材または濾過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3074134U (ja) * 2000-06-16 2000-12-19 ユアサ株式会社 カバーを一体化したオム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66489A (zh) 2002-08-28
WO2001078976A1 (fr) 2001-10-25
US20020198508A1 (en) 2002-12-26
CA2376841A1 (en) 2001-10-25
EP1190844A1 (en)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13099C (en) Absorbent product
US5677028A (en) Absorbent material
EP0959842B1 (en) An apertured covering sheet for an absorbent articl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covering sheet
US20060178652A1 (en) Incontinence pad and apparel formed therewith
JP2008284190A (ja) 吸収性物品
US20110208145A1 (en) Fluid Management System
PT1632206E (pt) Artigo absorvente descartável
KR19990067181A (ko) 수용 저장소를 갖춘 봉쇄 플랩을 갖는 흡수용품
JPS62161364A (ja) 吸収性物品の網状カバ−
CN1937987A (zh) 展开型纸尿布
JP4035470B2 (ja) 体液吸収性物品
JP6930054B2 (ja) 吸収性物品
KR20020026181A (ko) 복합 흡수 시트
WO2003070142A1 (fr) Produit absorbant le fluide corporel et couche de bebe
KR20040068939A (ko) 갭 형성 흡수성 패드를 갖는 흡수성 제품
US20020032422A1 (en) Washable absorption element suitable for reuse
EP3906906A1 (en) Washable sanitary product
US20070032767A1 (en) Absorbent bed pad
JP5864835B2 (ja) 失禁用下着
JP2008284167A (ja) 吸収性物品
KR102477945B1 (ko) 세탁가능한 유아용 기저귀 팬티
JP2019063323A (ja) 吸収性物品
JP5200290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20220159356A (ko) 흡수성 물품
KR200438090Y1 (ko)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