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8939A - 갭 형성 흡수성 패드를 갖는 흡수성 제품 - Google Patents

갭 형성 흡수성 패드를 갖는 흡수성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8939A
KR20040068939A KR10-2004-7009149A KR20047009149A KR20040068939A KR 20040068939 A KR20040068939 A KR 20040068939A KR 20047009149 A KR20047009149 A KR 20047009149A KR 20040068939 A KR20040068939 A KR 20040068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side liner
absorbent article
absorbent
outer cover
absorben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0361B1 (ko
Inventor
부쉬맨리사
마한케이엘.
넬슨브렌다엠.
니켈리사엘.
Original Assignee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040068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0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03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7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having a continuous closed form, e.g. circle, ellipse, recta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2013/150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 A61F2013/1501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zed by the use for breast; pads for b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2013/5118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 A61F2013/51195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specially shaped topsheets not contacting the absor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2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being elastomeric or stret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4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 A61F13/51401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2013/51409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lm
    • A61F2013/51429Backsheet, i.e. the impermeable cover or layer furthest from the sk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eing a film being elastomeric or stretchable 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흡수성 제품은 흡수된 수분으로부터 피부를 분리시키고 통풍을 촉진하도록 구성된다. 신체 배설물을 포획하도록 착용되는 흡수성 의복의 형태인 특정 적용을 갖는 제품은 하중 받은 흡수성 본체의 중량 하에서 신축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 및 흡수성 본체를 가진다. 흡수성 본체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의 신체측 라이너는 하중 받은 흡수성 본체 및 외부 커버보다 더 적은 정도로 신축한다. 이에 따라, 신체측 라이너와 흡수성 본체의 사이의 갭이 발생된다. 갭은 수분 적재 흡수성 본체를 피부로부터 제거하고, 공기 및 증기가 피부 주위에서 순환하도록 돕는 갭을 형성하여, 건조를 촉진한다.

Description

갭 형성 흡수성 패드를 갖는 흡수성 제품{ABSORBENT ARTICLES WITH ABSORBENT PAD GAPPING}
각질층은 피부의 최외층이며, 피부 수분 레벨을 조절하고 환경에서 발견되는 화학 물질 및 다른 스트레스 작용 물질에 대항하는 장벽(barrier)으로서 기능을 할 책임이 있다. 각질층의 세포 사이 공간 내의 지질의 복합 배열체는 정상 장벽 기능 설정에 대한 책임이 있다. 다중층을 이룬 구조의 콜레스테롤, 세라미드, 지방산 및 몇몇 다른 소 지질(minor lipids)은 피부를 통해 또는 그 안으로 물질의 이송에 대한 주 장벽을 제공한다. 각질층의 전체 구조는 피부에 대한 최전선 장벽으로서 작용한다. 피부 장벽 기능과 피부 건강 사이의 관계는 피부로부터의 지질 추출로 인해 야기된 피부 염증으로부터 알 수 있다. 즉, 피부 장벽 기능이 손상될 때, 피부의 다른 층은 상처를 입을 수 있으며, 염증의 형태로 상처에 대한 반응을 보인다.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실금 제품 및 여성 케어 제품 등의 흡수성 제품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도록 착용된다. 흡수성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피할수 없는 결과는 생물학적 손상에 더욱 직접 노출된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흡수성 제품에 의해 덮인 피부의 장벽 기능은 위험한 상태에 놓인다. 소변 등의 생물학적 체액은 피부 장벽을 손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기저귀 피부염은 많은 부분이 손상된 피부 장벽 기능으로부터 발생되는 피부 상태 유형이다. 피부 장벽의 손상은 기저귀에 의해 야기된 피부의 폐색으로 인해 증가된 피부 수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생긴다. 피부의 과잉 수화는 피부 장벽 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기저귀 착용 피부의 수화 레벨은 기저귀 미착용 피부보다 5배 내지 10배에 이른다. 기저귀 착용 피부와 소변의 빈번한 접촉이 증가된 피부 수화를 가져온다고 믿어진다. 증가된 피부 수화는 각질층의 피부 지질 조직을 분열시킨다. 이 분열은 대변 및 소변으로부터의 자극물에 대한 피부의 침투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서, 피부 염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기저귀, 트레이닝 바지, 성인 실금 제품, 흡수성 언더 팬츠, 여성 케어 제품 및 치료 패드 등의 일회용 흡수성 제품은 신체 체액을 흡수하고 피부를 건조하게 하는데 이용되었다. 이 유형의 일회용 흡수성 제품은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 흡수성 본체,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를 통상 포함한다. 신체측 라이너는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며, 피부와 흡수성 본체 사이에 개재된다. 통상, 신체측 라이너는 보유되는 흡수성 본체로 신체측 라이너를 통과하는 액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신체측 라이너에 바로 인접한 흡수성 본체의 위치는, 신체측 라이너에 바로 인접한 흡수성 본체 내에 보유되는 수분(예를 들어, 소변)에 의해 피부가 수화되게 할 수 있거나, 피부의 적절한 통풍을 최소로 억제할 수 있다. 이들 상태의 존재는 피부 건강에 해롭다고 믿어진다.
본 발명은 흡수성 제품, 즉 피부 건조 상태를 유지하는데 용이한 바람직한 일회용 흡수성 제품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되고, 기저귀의 일부가 내부 구성을 보이도록 절결되고, 기저귀가 체결되지 않고 편평하게 높여진 기저귀의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선2-2를 포함하는 평면에서 통상 취해지지만, 착용될 때의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기저귀의 흡수성 패드에 의해 흡수되는 손상을 수용한 후의 기저귀를 도시한 도2의 단면도이다.
도4는 기저귀의 가랑이 영역을 통해 횡방향으로 취해진 개략적인 분리된 단면도이다.
도5는 착용될 때를 도시한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대응하는 참조 부호는 도면의 여러 측면에서 본 대응 부분을 나타낸다.
전술된 문제 및 곤란성에 응답하여, 신규 흡수성 제품이 피부 건강을 향상하기 위해 향상된 통기성 및 피부 수화의 전체 감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서, 흡수성 제품은 제1 양만큼의 하중 인가 시에 신축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신체대면 표면을 한정하고 외부 커버와 통상 중첩되고 동일 공간에 놓이는 액체 및 기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는 제2 양만큼의 하중 인가 시에 신축하도록 구성된다.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는 흡수성 본체는 외부 커버의 신축 시에 외부 커버와 함께 통상 이동 가능하다. 외부 커버의 신축의 제1 양은 신체측 라이너의 신축의 제2 양보다 크며, 이에 의해, 갭이 신체측 라이너와 흡수성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흡수성 본체가 하중 받은 상태로 신체측 라이너를 통해 공기 및 증기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착용될 때 인간의 배설물을 포획하는 흡수성 의복은 제1 양만큼의 하중 인가 시에 신축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를 포함한다. 외부 커버와 통상 중첩되고 동일 공간에 놓이는 액체 및 기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는 제2 양만큼의 하중 인가시에 신축하도록 구성된다. 신체측 라이너는 신체대면 표면을 한정하는 액체 및 기체 투과성 재료의 시트와, 신체대면 표면에 대향하는 시트의 측부 상의 탄력적인 탄성 재료의 복수의 코드를 포함하며, 이 코드는 시트의 신축에 반대하는 탄성력을 인가한다.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는 흡수성 본체는 외부 커버의 신축 시에 외부 커버와 함께 통상이동 가능하다. 외부 커버의 신축의 제1 양은 신체측 라이너의 신축의 제2 양보다 커서, 이에 의해 갭이 신체측 라이너와 흡수성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흡수성 본체가 하중 받은 상태에서 신체측 라이너를 통해 기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한다.
이 명세서의 문맥에서는, 하기의 용어 또는 구문 각각은 하기의 의미 또는 의미들을 포함한다.
(a) "결합된(bonded)"은 2개의 요소의 고정, 접착, 연결, 부착 등을 말한다. 2개의 요소는 각각이 중간 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될 때와 같이,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서로 간접적으로 결합될 때 함께 결합되는 것이 고려될 것이다.
(b) "필름(film)"은 주조 필름 또는 블로운 필름 압출 공정 등의 필름 압출 및/또는 발포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열가소성 필름을 말한다. 이 용어는 천공된 필름, 슬릿 필름, 및 액체를 전달하지 않는 필름뿐만 아니라 액체 전달 필름을 구성하는 다른 다공성 필름을 포함한다.
(c) "친수성"은 섬유와 접촉하여 수성 액체에 의해 젖은 섬유의 표면 또는 섬유를 설명한다. 이어서, 재료의 습윤 정도는 감싸진 재료 및 액체의 표면 장력 및 접촉 각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특정 섬유 재료 또는 혼방 섬유의 습윤성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장비 및 기술은 칸(Cahn) SFA-222 표면력 분석기 시스템(Surface Force Analyzer System) 또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시스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시스템으로 측정될 때, 90도보다 작은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습윤성" 또는 친수성으로 나타내어지고, 90도보다 큰 접촉각을 갖는 섬유는 "비습윤성" 또는 소수성으로 나타내어진다.
(d) 단독을 사용될 때의 "층"은 단일 요소 또는 복수의 요소의 이중 의미를 가질 수 있다.
(e) 층 또는 다중층 적층물을 설명하는데 이용될 때의 "액체 불투과성"은 소변 등의 액체 신체 배설물이 액체 접촉부 지점에서 층 또는 적층물의 평면에 대해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통상 사용 조건 하에서 층 또는 적층물을 통과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한다.
(d) "액체 투과성"은 액체 불투과성이 아닌 임의의 재료를 말한다.
(g) "멜트블로운(meltblown)"은 그의 직경을 감소시키기 위해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의 필라멘트를 가늘게 하는 고속 가열된 기체(예를 들어, 공기) 스트림을 수렴하여 용융된 실 또는 필라멘트로서의 복수의 미세하고 대략 원형인 다이 모세관을 통해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섬유를 말한다. 그 후, 멜트블로운 섬유는 고속 가스 스트림에 의해 운반되고, 불규칙하게 분산된 멜트블로운 섬유의 웨브를 형성하도록 수집 표면상에 퇴적된다. 예를 들면, 이 공정은 부틴(Buti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49,241호에 개시된다 멜트블로운 섬유는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일 수 있는 마이크로섬유이며, 약 0.6 데니어(denier)보다 대체로 작으며, 수집 표면상에 퇴적될 때 대체로 자기 결합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멜트블로운 섬유는 길이가 양호하게 실질적으로 연속적이다.
(h) "부직포" 및 "부직포 웨브"는 직물 제직(weaving) 또는 편성(knitting) 공정의 도움 없이 형성되는 재료 및 재료의 웨브를 말한다.
(i) "유연성(pliable)"은 유순하고, 착용자의 신체의 일반적인 형상 및 윤곽을 용이하게 따르는 재료를 말한다.
(j) "스펀본드(spunbond)"는 원형 또는 다른 구조를 갖는 방적 돌기(spinnerette)의 복수개의 미세한 모세관으로부터 필라멘트로서의 용융된 열가소성 재료를 압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작은 직경 섬유를 말하며, 압출된 섬유의 직경은, 전체가 참조로써 본 명세서에 합체되는 아펠(App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340,563호, 도르쉬너(Dorschn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692,618호, 마쯔끼(Matsuki)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802,817호, 키니(Kinn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338,992호 및 제3,341,394호, 하트만(Hartman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02,763호, 페터슨(Peter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02,538호, 도보(Dobo)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3,542,615호에 개시되는 바와 같은 종래의 공정에 의해 신속하게 감소된다. 스펀본드 섬유는 대체로 연속적이며, 약 0.3보다 큰 데니어, 특히 약 0.6 내지 약 10 사이의 데니어를 종종 갖는다.
(k) "초흡수성"은 가장 유리한 조건 하에서 0.9 중량퍼센트의 염화나트륨을 함유한 수용액을 적어도 자신의 중량의 15배를, 보다 양호하게는 자신의 중량의 약 30배를 흡수할 수 있는 수팽윤성, 비수용성 유기 또는 무기 재료를 의미한다. 초흡수성 재료는 천연, 합성 및 개조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일 수 있다. 또한, 초흡수성 재료는 실리콘 겔과 같은 무기질 재료, 또는 가교 중합체와 같은 유기 성분일 수 있다.
(l) "열가소성"은 열에 노출되었을 때 부드러워지며 상온으로 냉각되었을 때 대체로 딱딱한 상태로 복귀하는 재료를 설명한다.
(m) "신축성"은 탄성 또는 연장 가능한 재료, 즉 하나 이상의 치수로 신장되었을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원래 치수로 재료를 이동하려는 힘을 인가하거나(탄성), 또는 신장된 형상을 유지하는(연장 가능한) 재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사람의 배설물을 포획하도록 하부 몸통 및 상부 다리 주위에 착용된 유형의 흡수성 제품의 흡수성 본체에 밀접한(즉, 거의 인접하여 대향하는) 피부의 영역에 대해 적절하게 피부 통풍하기 위한 기회를 유지함으로써 피부 장벽을 보호하는 것과 연관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1은 편평한 비수축 상태의 (즉, 모든 탄성의 유도된 주름과 수축이 제거된) 일회용 기저귀(10)의 형태인 흡수성 제품의 대표적인 평면도이다. 본원에서 사용될 때, 흡수성 제품은 신체로부터 배출된 다양한 액체 배설물을 흡수하고 수용하도록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배치되거나 또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는 (즉, 신체에 접촉할 수 있는) 제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제품들은 세탁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재사용을 위해 복원되는 대신에, 제한된 사용 기간 후에 처분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원리는 (재사용 가능한 의복을 포함하는) 다른 의복과 (도시되지 않은) 흡수성 제품에 적용될 것이다. 그 예로, 트레이닝 바지 및 다른 유아 및 아동 케어 제품, 성인 실금 의복 및 다른 성인 케어 제품, 생리대 및 다른 여성 케어 제품 등과 외과용 붕대 및 스폰지가 있다.
기저귀(10)는 전방 영역(12)과, 후방 영역(14)과, 전방 및 후방 영역(12, 14)을 상호 연결하는 가랑이 영역(16)을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 영역(12, 14)은 사용 중 착용자의 전방 및 후방 복부 영역에 걸쳐 대체로 연장되도록 구성된 기저귀(10)의 부분을 포함한다.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16)은 착용자의 다리 사이의 가랑이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기저귀(10)의 부분을 포함한다. 전방, 후방 및 가랑이 영역(12, 14, 16)은 신체에 착용되었을 때, 기저귀(10)가 중앙 허리 개구(17)와 한 쌍의 다리 개구(19)를 형성하도록 성형되고 배열된다.(도5)
기저귀(10)는 증기 투과성 외부 커버(20)와, 상기 외부 커버와 대면하는 관계로 위치되는 액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22)와, 상기 외부 커버와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위치되는 흡수성 본체(24)를 포함한다. 외부 커버(20)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저귀(10)의 길이와 폭을 형성한다. 흡수성 본체(24)는 외부 커버(20)의 길이와 폭보다 작은 길이와 폭을 갖는다. 따라서, 외부 커버(20)의 여유 섹션과 같은 기저귀(10)의 여유부는 흡수성 본체(24)의 말단 에지를 지나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0)는 기저귀(10)의 측면 여유부 및 종단 여유부를 형성하도록 흡수성 본체(24)의 말단 여유 에지를 넘어 외향 연장된다. 신체측 라이너(22)는 통상 외부 커버(20)와 동일 공간에 형성되지만, 필요한 경우 선택적으로 외부 커버(20)의 면적보다 크거나 또는 작은 면적에 놓일 수 있다. 즉, 신체측 라이너(22)는 외부 커버(20)와 중첩되는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외부 커버와 동일 공간에 놓일 필요는 없다. 외부 커버(20)와 신체측 라이너(22)는 사용 중에 착용자의 의복과 신체와 각각 대면하게 된다.
착용감을 개선하고 기저귀(10)로부터의 신체 삼출물의 누출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기 위해, 기저귀 측면 여유부와 종단 여유부는 적절한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스트랜드는 천연 또는 합성 고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열 수축성 또는 열 탄성적일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대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귀(10)는 누출을 감소시키고 편안함과 외양을 개선시키기 위해 착용자의 다리 주위에 긴밀하게 맞도록 기저귀(10)의 측면 여유부를 작동식으로 주름을 잡게 구성된다. 유사하게, 허리 탄성부(28)가 탄성적인 허리부를 제공하도록 기저귀(10)의 종단 여유부를 탄성화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허리 탄성부(28)는 착용자의 허리 주위에 탄성적이고 편안하며 긴밀한 맞춤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탄성 부재는 명료함을 위해 도1에서 비수축되고 늘어난 상태로 도시된다.
후크 및 루프 체결구(30)와 같은 체결구들은 아동의 신체 또는 기저귀의 다른 착용자의 신체에 기저귀(10)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다르게는, (도시되지 않은) 버튼, 핀, 스냅 단추, 접착형 체결구, 점착제, 머쉬룸 및 루프 체결구 등과 같은 다른 체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저귀(10)가 사전-체결식 구성을 구비한 경우, 둘 이상의 체결구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루프 요소는 채결을 개선하기 위해 "임의 체결" 기계적 체결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기저귀(10)의 외부 커버(20)에 의해 직접 제공될 수 있다. 다르게는, 기저귀(20)는 도5에서 단일 패널로서 도시되었으며 체결구(30)가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인 하나 이상의 부착 패널(3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체결구(30)가 허리 개구 부근의 후방 영역(14) 내에 위치되는 후크 체결구일 때, 기저귀는 전방 허리부(22) 내의 외향 표면상의 상보적인 루프 요소와 같은 상응 부착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패널은 직포, 부직포, 편성물, 천공식 또는 개구식 층 등과 이들의 조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부착 패널에 적절한 재료는 노스 캘리포니아주 그린스보로에 소재한 상표명이 "#34285"인 "길포드 밀즈, 인크.(Guilford Mills, Inc.)"로부터 입수 가능한 유형의 2 바아 경편성물(2 bar, warp knit fabric)이나 다른 편성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회용 기저귀(10)는 (도시되지 않은) 신체 삼출액의 측면 유동에 장벽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오염물 플랩을 포함할 수 있다. 오염물 플랩은 흡수성 본체(24)의 측면 에지에 인접한 기저귀(10)의 측방향으로 대향한 측면 에지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각 오염물 플랩은 통상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밀봉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16)에서 직립의 수직한 구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비부착식 에지를 형성한다. 오염물 플랩은 흡수성 본체(24)의 전체 길이를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흡수성 본체의 길이를 따라 단지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오염물 플랩이 흡수성 본체(24)보다 짧은 경우, 오염물 플랩은 가랑이 영역(16) 내에 기저귀의 측면 에지를 따라 임의의 장소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오염물 플랩은 신체 삼출물을 더 잘 포함하도록 흡수성 본체(24)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오염물 플랩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오염물 플랩에 대한 적절한 구성 및 배열들은 1987년 11월 3일 케이. 덴로이에게 허여되었으며 참조로서 본원에 합체된 미국 특허 제4,704,96호에 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의 흡수성 본체(24)는 세 개의 층을 포함하지만, 상기 본체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한 개, 두 개 또는 세 개 이상일 수 있다.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은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친수성 섬유 및 초흡수성 입자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본체(24)는 흡수성 본체(24)로부터 외부 커버를 격리하고 공기 순환을 개선하고 외부 커버(20)의 표면과 대면하는 의복의 축축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도록 중앙 흡수층(31)과 외부 커버(20) 사이에 위치된 통풍층(3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풍층(32)은 손상을 직접 받지 않는 흡수성 본체(24)의 일부분에 유체 삼출물을 분배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24)는 액체 삼출물의 고임을 방지하도록 신체측 라이너(22)와 중앙 흡수층(31) 사이에 위치된 서지 관리층(34)을 포함하여, 기저귀(10) 내의 액체 삼출물의 분배 및 공기 변환을 추가로 개선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기저귀(10)는 통상 모래시계 또는 "I"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기저귀(10)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장방형 또는 T자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설명을 위해, 종방향(36)과 측방향(38)이 도1에 나타내어졌다. 본 발명의 흡수성 제품과 합체되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적절한 기저귀 구성 요소들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허리 플랩, 엘라스토머 측면 패널 등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기저귀(10)가 사전 체결된 상태에서 판매될 경우, 기저귀(10)는 후방 영역(14)과 전방 영역(12)을 연결하는 (도시되지 않은) 수동 접착부를 가질 수 있다. 인스턴스 용도와 관련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기저귀 구성의 예들은 참조로서 본원에 합체된, 1989년 1월 17일자로 메이어(Meyer)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4,798,603호와, 1993년 1월 5일자로 버나딘(Bernardi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76,668호와, 1993년 1월 5일자로 브루엠머(Bruemmer)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76,672호와, 1993년 3월 9일자로 프락스마이어(Proxmire)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192,606호와, 1996년 4월 23일자로 한손(Hanson) 등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5,509,915호에 개시된다.
기저귀(10)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접착제, 초음파 접착, 열 접착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부착의 적절한 형태를 사용하여 함께 일체식으로 조립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0)와 흡수성 본체(24)는 고온 용융 또는 압력 감지식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39)의 라인과 서로에 대해 부착된다. 또한, 신체측 라이너(22)는 외부 커버(20)에 연결되고, 동일한 부착 형태를 사용하여 흡수성 본체(2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신체측 라이너(22)는 가랑이 영역(16)에서 외부 커버와 흡수성 본체(24)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신체측 라이너(22)는 가랑이 영역(16)의 측방향(38) 에지 여유부에서 외부 커버(20)에 연결될 수 있지만, 적어도 중앙 부분은 이러한 연결로부터 자유롭다. 이러한 연결이 전체적으로 없다기보다는, 신체측 라이너(22)는 사용 시 파손되는 약한 접착제에 의해 가랑이 영역(16)에서 흡수성 본체(24) 및/또는 외부 커버(20)에 연결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신체측 라이너(22)를 외부 커버(20)에 연결하는 것은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한 라이너와 커버의 독립적인 신축 운동을 증진하도록 라이너와 외부 커버의 주연 에지 여유부를 중첩하는 것을 제한한다.
외부 커버(20)는 신축 가능해야만 하며, 약간 탄성적이거나 또는 탄성적이 아닐 수 있다. 양호하게는, 외부 커버(20)는 소변에 의해 하중 받은 흡수 패드의 중량 하에서 일단 신축되도록 연장 가능하며, 대체로는 그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이하에서 설명되는 재료로 구성된 외부 커버(20)는 연장하기 위해 요구되는 매우 낮은 힘으로 원래 길이의 25% 내지 150%까지 신축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외부 커버(20)는 원래 길이의 50% 내지 100%까지 신축될 수 있으며, 더욱 양호하게는, 외부 커버는 낮은 신축력 하에서 원래 길이의 약 50%까지 신축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25% 신장은 범위가 약 76.2g/cm(30g/in) 내지 약 508g/cm(200g/in)인 힘을 적용하여 달성될 수 있으며, 더욱 양호하게는 요구되는 힘은 약 177.8g/cm(70g/in) 내지 약 381g/cm(150g/in) 사이이며, 특히 양호하게는, 이러한 신장을 생성하는데 요구되는 힘은 약 254g/cm(100g/in)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은 액체 불투과성인 다중층 적층물 구조이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의 외부 커버(20)는 적층물 접착제(44)와 같이 적절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되는 증기 및 액체 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외부층(40)과 액체 불투과성 재료로 구성된 내부층(42)을 포함하는 두 개의 층 구조이다. 외부 커버(20)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도시되지 않은) 단일층의 불투과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외부 커버(20)의 액체 투과성 외부층(40)은 임의의 적절한 신축 가능한 재료일 수 있으며 양호하게는 통상 천과 같은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료의 일 실시예는 0.4 osy(제곱 야드당 온스) 또는 0.14 gsm(제곱 미터당 그램)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웨브이다. 양호하게는, 외부층(40)은 35% 내지 45%로 넥킹된다(neck). 또한, 외부층(40)은 신체측 라이너(22)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동일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액체 투과성인 것이 외부 커버(20)의 외부층(40)에 필수적인 것은 아닌 반면에, 외부층이 천과 같은 직물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다.
외부 커버(20)의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42)은 증기 투과성(즉, "통풍가능")이거나 증기 불투과성일 수 있다. 내부층(42)은 다른 가요성 액체 불투과성 재료가 사용될 수도 있지만, 얇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불투과성 내부층(42)[또는 외부 커버가 단일층 구조일 때 액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20)]은 액체의 신체 배설물이 바지로 노출되어 착용자 및 돌보는 사람과 침대 시트나 덮개와 같은 제품을 적시는 것을 방지한다. 필름 내부층(42)은 예열되고, 원래 길이의 약 3배 내지 5배까지 세로로 신축되고, 세공을 형성하도록 냉각된다.그 후, 내부층(42)은 외부층(40)을 형성하는 스펀본드 부직포 웨브에 적층된다. 따라서, 이 양호한 실시예에서, 내부층(42)은 이하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통기 가능하여, 피부 건강을 증진시키는 본 발명의 다른 특성을 바람직하게 증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액체에 대해 대체로 불투과성이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외부 커버(20)는 누출 없이 대체로 물의 선택된 하이드로헤드(hydrohead)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액체 통과에 대한 재료의 저항성을 결정하기 위한 적절한 기술은 연방 시험 방법 표준 에프티엠에스 191 방법 5514(1978년)(Federal Test Method Standard FTMS 191 Method 5514, 1978) 또는 그의 동등물이다. 외부 커버(20)는 연장 가능하기 때문에, 약 0.1mm의 두께를 갖는 나일론 네트 재료의 층이 이 시험을 위한 외부 커버 재료를 지지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네트 재료는 대략 4mm 단면의 개구를 갖는 육각형 또는 벌집형 패턴으로 배열된 나일론 실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네트 재료는 상표명 티-246(T-246)으로 월마트 상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상기 네트 재료는 액체를 통과시키며 얻어진 하이드로헤드 값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소변 및 대변 등의 배설물의 바람직하지 않은 누출을 대체로 방지하도록 액체 또는 반 액체 물질에 대해 충분하게 불투과적이다. 예컨대,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누출 없이 실질적으로 적어도 약 45cm의 하이드로헤드를 바람직하게 지지할 수 있다. 다르게는,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적어도 약 55cm의 하이드로헤드를 지지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개선된 이득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약 60cm, 또는 그 이상의 하이드로헤드를 지지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본원에 설명된 소정의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넥킹된 직물, 크레이프식(creped) 직물, 주름진 섬유, 큰 주름식 직물, 중합체 필름 등과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직물은 스펀본드 직물과 같은 직포 또는 부직포 재료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두 개의 층(40, 42)을 포함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수의 층이나 단일층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신장된 외부 커버(20)는 외부층(40)이 연장 가능한 필름 재료로 형성된 내부층(42)에 적층된 넥킹될 수 있는 직물로 형성되는 넥킹될 수 있는 적층물일 수 있으며, 넥킹될 수 있는 적층물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연장 가능하다. 그러나, 넥킹될 수 없는 적층물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난다. 용어 "직물"은 직포, 니트 및 부직포 섬유 웨브를 의미한다.
본원에서, 용어 "넥킹" 또는 "넥킹 신축"은 직물의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견인 또는 신장시켜 폭 또는 횡단면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연장되도록 직물이 견인된 것을 의미한다. 제어된 견인은 차가운 온도, 상온 또는 그 이상의 온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어떤 방향의 전체 치수의 증가가 직물이 파손되기 위해 요구되는 신장에 이르는 것을 제한한다. 넥킹 공정은 통상 공급 롤에서 시트를 풀어내는 단계와, 소정의 선속으로 구동되는 브레이크 닙 롤 조립체로 시트를 관통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브레이크 닙 롤보다 빠른 선속으로 작동하는 권취 롤 또는 닙은 직물을 견인하여 직물을 신장시키고 넥킹하는데 필요한 장력을 발생시킨다. 발명의 명칭이 "가역적으로 넥킹된 재료"이고 1990년 10월 23일에 엠. 티. 모먼(M. T. Morman)에게 허여되었으며,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된 미국 특허 제4,965,122호는 재료를 넥킹하여 냉각시킨 후에 넥킹된 재료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역적으로 넥킹된 부직포 재료를 제공하는 공정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넥킹 가능한 재료 또는 층"이라는 표현은 부직포, 직포 또는 편성 재료와 같이 넥킹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넥킹된 재료"라는 표현은 횡방향 치수(예컨대, 폭)를 감소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예컨대, 길이 방향)으로 견인되어, 견인력이 제거된 후에 원래의 폭으로 복귀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의미한다. 넥킹된 재료는 통상 넥킹되지 않은 재료보다 더 높은 단위 면적 당 기초 중량을 갖는다. 넥킹된 재료가 원래의 넥킹되지 않은 폭으로 복귀하면 넥킹되지 않은 재료와 대략 동일한 기초 중량을 갖는다. 이는 층이 얇아져서 기초 중량이 영구적으로 감소하는 재료 층의 신축/배향과는 다르다.
통상, 이러한 넥킹된 부직포 직물 재료는 약 80퍼센트까지 넥킹될 수 있다. 예컨대,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약 10 내지 약 80퍼센트 정도 넥킹된 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으며, 향상된 성능을 위해서 양호하게는 약 20 내지 약 60퍼센트, 더욱 양호하게는 약 30 내지 50퍼센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퍼센트 넥킹된" 또는 "퍼센트 넥다운"이라는 표현은 넥킹 가능한 재료의 사전 넥킹된 치수와 넥킹된 치수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여 넥킹 가능한 재료의 사전 넥킹된 치수로 상기 차이를 나눈 후에 퍼센트를 위해 100을 곱하여 결정된 비율 또는 퍼센트를 의미한다. 넥킹된 퍼센트는 전술한 미국 특허 제4,965,122호의 기재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연장 가능한 외부 커버(20)는 액체 불투과성 및 증기 투과성뿐만 아니라 연장성의 소정의 레벨을 제공하도록 넥킹된 층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넥킹 가능한 재료 및 필름 재료 모두가 내구성의 증가, 비용 감소 및 제조 효율의 향상을 위해 비탄성 재료이다.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필름 재료로 적층된 적어도 하나의 비탄성 넥킹 가능한 재료를 포함하는 적절한 넥킹된 층은 "횡방향으로 연장 가능하고 수축 가능한 비탄성 시트 층의 넥킹된 적층물"이라는 명칭으로 1999년 12월 6일 출원되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455,513호에 개시된다.
연장 가능한 내부층(42)은 주조 또는 블로운 필름 장비들 중 하나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다면 동시 압출되어 엠보싱될 수 있다. 내부층(42)은 적절한 임의의 비탄성 중합체 합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다중층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42)은 또한 통기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층(42)은 탄산칼슘과 같은 세공 발달 충전재, 이산화 티타늄과 같은 불투명제, 및 규조토와 같은 안티블록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층(42)을 위한 적절한 중합체는 폴리올레핀 또는 폴리올레핀 혼합물,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및 에틸렌 비닐 알코올과 같은 압출 가능한 비탄성 중합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유용한 폴리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한다. 다른 유용한 중합체는 쉐쓰(Sheth)에게 허여되어 엑손 케미컬 패턴츠 인크.(Exxon Chemical Patents Inc.)로 양도된 미국특허 제4,777,073호에 기재된, 폴리프로필렌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내부층(42)을 위한 다른 중합체는 메탈로센 공정에 따라 제조되고 한정된 탄성을 갖는 "메탈로센" 중합체와 같은 단일 위치 촉매된 중합체로 언급된다. "메탈로센 촉매된 중합체"라는 표현은 본 명세서에서는 촉매로서 메탈로센 또는 억제된 형상 촉매, 유기 금속 복합체를 사용하여 적어도 에틸렌의 중합화에 의해 생산된 중합체 재료를 포함한다. 예컨대, 통상의 메탈로센은 페로센이며, 두 개의 사이클로펜타디에닐(Cp) 리간드 사이의 금속의 복합물이다. 이러한 메탈로센 중합체는 텍사스주 베이타운 소재의 엑손 케미컬 컴퍼니(Exxon Cheminal Company)에서 상표명 EXXPOL으로 상용화된 폴리프로필렌계 중합체와, 미시간주 미들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컬에서 상표명 EXACT으로 상용화된 폴리에틸렌계 중합체이다. 바람직하게는, 메탈로센 중합체는 에틸렌 및 1-부틴의 중합체, 에틸렌 및 1-헥산의 공중합체, 에틸렌 및 1-옥탄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외부층(42)으로 적절한 넥킹 가능한 재료는 전술된 미국 특허 제4,965,12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부직포 웨브, 직포 재료 및 편성 재료를 포함한다. 부직포 섬유 또는 웨브는, 예컨대 결합 소면 웨브(bonded carded web) 공정, 멜트블로운 공정 및 스펀본딩 공정과 같은 다양한 공정에서 형성되었다. 비탄성 넥킹 가능한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비탄력 중합체의 섬유 및 필라멘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부재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나일론6 및 나일론66을 포함한다. 이러한 섬유 및 필라멘트는 홀로 사용되거나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된다. 넥킹 가능한 재료를 형성하는 적절한 섬유는 이중 성분, 다중 성분 및 형상화된 중합체 섬유뿐만 아니라, 천연 및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많은 폴리올레핀은 예컨대 엑손 케미컬 컴퍼니의 에스코레네오 PD 3445 폴리프로필렌 및 하이몬트 케미컬 컴퍼니의 PF-304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을 형성하는 섬유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제품에 적용 가능하다. 다우 케미컬의 에스푸노 6811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2553 LLDPE와, 25355 및 12350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 또한 적절한 중합체이다. 부직포 웨브층은 소정의 결합 표면적으로 분리 결합 패턴을 부가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넥킹 가능한 재료 상에 너무 많은 결합 영역이 존재한다면, 넥킹되기 이전에 파손될 것이다. 충분한 결합 영역이 없다면, 넥킹 가능한 재료는 끊어질 것이다. 통상, 퍼센트 결합 영역은 본 발명에 유용한, 넥킹 가능한 재료의 영역의 약 5퍼센트 내지 약 40퍼센트의 범위이다.
내부층(42)은 접착 결합, 지점 결합, 열 지점 결합 및 음파 용접을 포함하는 당해 분야의 공지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적층물을 형성되도록 외부층(40)의 넥킹 가능한 재료로 적층될 수 있다. 적층물은 그 후에 통상 적층물을 견인하거나 넥킹하도록 웨브의 표면 속도를 변화시키는 종래의 넥킹 공정에 의해 넥킹된다. 이러한 넥킹은 넥킹된 적층물 및 더욱 "의복 형상" 미감으로 횡방향 연장성 및 수축성을 부가하는 줄무늬가 들어간 주름을 제공한다. 충전된 필름층[내부층(42)]을 신축시켜 배향시키는 것은 필름 내에 형성하도록 세공의 원인이 되지만, 종방향 줄무늬 주름은 통상 신축될 때 필름층에 형성되지 않는다. 대신에, 필름층은 물리적으로 얇아지고 약간 좁아질 수 있다. 적층물을 넥킹함으로써, 비탄성 필름층에 부착된 비탄성 넥킹 가능한 재료는 넥킹되어 이와 함께 비탄성 필름층을 견인하고, 따라서 필름층을 횡방향으로 연장시킬 수 있는 종방향 줄무늬 주름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의 외부 커버(20)에 제공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넥킹된 적층 재료는 1999년 12월 14일에 "영구적으로 사용자의 윤곽에 일치하는 통기 가능한 적층물"라는 명칭으로 출원되어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된 미국 특허 출원 제09/460,490호에 개시된다.
흡수성 본체(24)는 신축될 때 외부 커버(2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흡수성 본체(24)는 직사각형, I형 또는 T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흡수성 본체(24)가 마름모 무늬(1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보다 가랑이부에서 더 좁은 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24)는 향상된 성능, 특히 남아를 위해 일반적으로 흡수체 제품의 전방 영역(12)에 상응하는 "T"의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크로스바아와 함께 T형상이다. 흡수성 본체(24)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의도된 착용자의 크기와 흡수성 제품의 의도된 용도에 의해 분리된 액체 하중에 따라 선택될 것이다. 또한, 흡수성 본체(24)의 크기 및 흡수 용량은 유아에서 성인까지의 착용자의 편의를 위해 변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본체(24)의 밀도 및/또는 기초 중량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은 적어도 약 소변 300 그램 흡수 용량을 갖는다.
다양한 형태의 습윤성, 친수성 섬유 재료가 흡수성 본체(24)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섬유의 예시는 셀룰로오스 섬유와 같이 본질적으로 습윤성 재료로 구성된 자연 발생 유기 섬유, 레이온 섬유와 같이 셀룰로오스 또는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 유리 섬유와 같이 본질적으로 습윤성 재료로 구성된 무기 섬유, 특정 폴리에스터 또는 폴리아미드 섬유와 같이 본질적으로 습윤성인 열가소성 중합체로 제조된 합성 섬유, 적절한 수단에 의해 친수성화되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와 같은 비습윤성 열가소성 중합체로 구성된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섬유는 예컨대, 실리카 처리, 적절하게 반친수성(hydrophilic moiety)이고 섬유로부터 쉽게 제거되지 않는 재료로의 처리, 또는 섬유의 형성 도중이나 형성 후에 친수성 중합체로 비습윤성 소수성 섬유를 외장함으로써 친수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전술된 섬유의 다양한 형태의 선택된 혼합물을 채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재료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조합의 흡수층을 갖고 설명된 이외의 치수를 갖는 흡수성 본체가 본 발명의 범주에 벗어남 없이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특히, 중앙 흡수층(31) 내의 고흡수성 재료는 천연, 합성 및 변형된 천연 중합체 및 재료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고흡수성 재료는 실리카 겔과 같은 무기 재료, 또는 교차 결합된(crosslinked) 중합체와 같은 유기 합성물일 수 있다. "교차 결합"이라는 용어는 실질적으로 비수용성이지만 팽윤하는 통상 수용성 재료를 효과적으로 렌더링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물리적 얽힘, 결정계, 공유 결합, 이온 착물 및 회합, 수소 결합과 같은 친수성 회합 및 소수성 회합 또는반데발스의 힘을 포함한다.
합성, 중합체, 고흡수성 재료의 예시는 알칼리 금속과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메타크릴산)의 암모늄염,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비닐 에테르), 비닐 에테르와 알파-올레핀을 갖는 말레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모르폴리논), 폴리(비닐 알코올)과 이들의 혼합물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에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중합체는 가수 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이식 녹말, 아크릴산 이식 녹말, 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알긴, 크신 고무, 개아카시아 열매 고무 등의 천연 고무와 같은 천연 및 변형 천연 중합체를 포함한다. 천연 중합체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합성된 중합체의 혼합물 흡수 중합체 또한 본 발명에 유용하다.
고흡수성 재료는 매우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고흡수성 재료는 분리된 입자 또는 구슬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고흡수성 재료는 섬유, 박편, 로드, 구형, 바늘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흡수성 재료는 중앙층(31)의 전체 중량을 기초로 하여 약 5 내지 약 90 중량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30 중량퍼센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50 중량퍼센트의 양으로 흡수성 본체(24)의 중앙층(31)에 존재한다. 예컨대, 중앙 흡수층(31)은 섬유 웨브(도시되지 않음) 또는 고흡수성 재료를 국부 영역에 유지시킬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재료에 의해 덮인 고흡수성 재료를 적어도 약 50 중량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0 중량퍼센트 포함하는 적층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고흡수성 재료의 예는 버지니아주 포츠머스에 소재한 호케스트 셀라니즈로부터 상용화된 SANWET IM 3900 중합체이다. 다른 적절한 초흡수체는 노스캐롤라이나 주 그린스보로에 소재한 스토크하우젠으로부터 상용화된 FAVOR SXM 880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대체로 친수성 티슈 랩시트(도시되지 않음)는 흡수성 본체(24) 구조의 본 형상을 유지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티슈 랩시트는 통상 적어도 두 개의 주 대면 면을 지나 흡수성 본체(24)를 중심으로 배치된다. 티슈 랩시트는 크레이프된 충전물 재료 또는 고습윤 강도(high wet-strength) 티슈와 같은 흡수 셀룰로오스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티슈 랩시트는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을 구성하는 흡수 섬유의 질량을 넘어 액체를 신속하게 분배하는 것을 돕는 윅킹층(wicking layer)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과 중앙 흡수층 내의 고흡수성 재료가 얇기 때문에, 중앙 흡수층의 액체 흡수 속도 그 자체는 너무 느릴 수 있거나, 흡수성 본체 내로 여러번 배출한 액체를 충분히 지탱하지 못할 수 있다. 전체적인 액체 흡수 및 공기 순환을 향상시키기 위해, 흡수성 본체(24)는 서지 관리 재료의 액체 수용 가능층(34)에 다공을 포함한다. 서지 관리층(34)은 통상 중앙 흡수층(31)보다 덜 친수성이며, 그 초기 입구 지점에서 액체를 전달하고 중앙 흡수층(31)의 다른 부분에 액체를 완전히 투하하기 위해, 신속한 수집과 일시적인 보유 액체 서지를 위한 작동 가능한 정도의 밀도 및 기초 중량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은 액체를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여 위치된 마름모(10) 부분 상에 고여서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서지 관리층(34)의 구조는 또한 일반적으로 마름모(10) 내의 공기 교환을 강화시킨다.
다양한 직포 및 부직포 섬유가 서지 관리층(34)을 구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서지 관리층(34)은 폴리올레핀 섬유와 같이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딩된 합성 섬유의 웨브로 제조된 층일 수 있다. 상기 서지 관리층(34)은 또한 결합 소면 웨브 또는 천연 섬유와 합성 섬유가 혼합된 에어레이드 웨브일 수 있다. 결합 소면 웨브는 예컨대, 저용융 바인더 섬유, 파우더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결합된 열 결합 웨브일 수 있다. 웨브는 상이한 섬유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서지 관리층(34)은 대체로 친수성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수성 재료가 계면 활성제 또는 습윤성 및 친수성의 바람직한 수준을 부여하는 다른 공정으로 선택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일예로서, 서지 관리층(34)은 제곱 미터 당 약 30 내지 약 120의 기초 중량을 갖는 소수성 부직포 재료를 포함한다.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은 서지 관리층(34)으로부터 방출된 액체를 수용하고 액체를 저장 및 유지하도록 서지 관리층(34)과 액체 연통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지 관리층(34)은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을 지나 위치된 분리층이다. 서지 관리층(34)은 신속하게 수집하고 일시적으로 배출된 액체를 유지하고, 이러한 액체를 초기 접촉 지점에서 전달하여 서지 관리층(34)의 다른 부분에 분사하고, 그 후에 이러한 액체를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에 완전히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서지 관리층(34)은 임의의 양호한 형상일 수 있다. 적절한 형상은 예컨대,원형, 직사각형, 삼각형, 사다리꼴, 편장형(oblong), 개뼈형(dog-bonded), 모래 시계형, 또는 타원형 등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지 관리층(34)은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과 동일 공간에 놓인다. 또한, 서지 관리층(34)은 중앙 흡수층(31)의 일부만을 지나 연장할 수 있다. 서지 관리층(34)이 중앙 흡수층(31)의 길이를 따라 부분적으로만 연장되는 위치에는, 서지 관리층(34)이 중앙층을 따라 어느 곳이든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서지 관리층(34)이 마름모(10)의 후방 영역(12)을 향해 오프셋될 때 더욱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서지 관리층(34)은 대략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의 길이방향 중앙 라인 주위로 중앙이 맞추어질 수 있다.
서지 관리층(34)을 위해 적합한 추가적 재료는 발명의 명칭이 "개인용 관리 흡수성 물품 등을 위한 섬유 부직포 웨브 서지층"이고, 씨. 엘리스(C. Ellis) 등의 명의로 1996년 1월 23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86,166호, 발명의 명칭이 "개인용 관리 흡수성 물품 등을 위한 향상된 서지 관리 섬유 부직포 웨브"이고, 엘리스 등의 명의로 1996년 2월 13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5,490,846호, 및 발명의 명칭이 "향상된 유체 서지 관리를 갖는 흡수성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이고, 라티머 등의 명의로 1994년 11월 15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5,364,382호에 개시되어 있고, 이 개시물들은 여기에 참조로 병합된다.
다시 도4를 참조하면, 흡수성 본체(24)의 통풍층(32)이 외부 커버(20)와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 사이에 위치된다. 통풍층(32)은 기저귀(10) 내에서 그리고 기저귀(10)를 통해 공기가 이동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외부커버(20)가 흡수성 본체(24)의 적어도 일부와 표면간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통풍층(32)은 공기 및 수증기가 흡수성 본체(24)로부터 증기 투과성 외부 커버(20)를 통해 이동될 수 있는 도관으로서 사용된다.
통풍층(32)은 부직포, (예를 들면, 스펀본드, 멜트블로운 또는 소면), 직포, 또는 천연 섬유 및/또는 합성 중합체 섬유로 이루어진 편성 섬유 웨브와 같은 서지 관리층(34)용으로 적합한 것으로 상술된 재료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적합한 섬유들은, 예를 들면, 아크릴 섬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또한, 통풍층(32)은 개방 셀 폴리올레핀 발포체, 망상 폴리우레탄 발포체 등과 같은 다공성 발포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통풍층(32)은 단일 재표층(도시됨) 또는 두 개 이상의 재료층의 합성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통풍층(32)은 제곱 미터당 0.05 psi(0.34 kPa)의 제한 압력 및 약 20 내지 약 120 그램의 바이어스 중량 하에서 결정된 적어도 약 0.10 센티미터의 두께를 갖는 소수성 부직포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나, 통풍층(32)은 2성분 섬유를 포함하고 제곱 미터당 약 83 그램의 전체 바이어스 중량을 갖는 결합 소면 웨브, 부직포 직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통풍층(32)은 약 3 d의 섬유 데니어를 갖는 약 60 중량퍼센트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PE/PET), 겉과속 2성분(sheath-core bicomponent) 섬유와, 약 6 d의 섬유 데니어를 갖고 약 3.8 내지 약 5.08 센티미터의 섬유 길이를 갖는 약 40 중량퍼센트 단일 성분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균일한 혼합물일 수 있다.
통풍층(32)은 임의의 원하는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적당한 형상은, 예를 들면, 원형, 장방형, 삼각형, 사다리꼴, 편장형, 개뼈형, 모래 시계형, 또는 타원형을 포함한다. 통풍층(32)은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의 완전 위로 또는 부분적 위로, 이를 넘어 연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풍층(32)은 적당하게는 기저귀(10)의 가랑이 영역(16) 위에 위치될 수도 있고, 기저귀(10)의 측방향(38)에 대해 실질적으로 나란히 중앙이 맞추어질 수 있다. 전체 흡수성 본체(24)가 외부 커버(20)와 중앙 흡수층(31) 사이의 실질적인 모든 표면간 접촉을 방지하도록 통풍층(32)에 의해 밑에 위치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풍층(32)은 중앙 흡수층(31)과 동일 공간에 놓인다. 이는 외부 커버(20)의 의복 대면 표면상의 최소 습도과 함께 최대한의 공기 교환을 허용한다.
통풍층(32)은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과 직접 접촉 액체 연통되어 배치된다. 통풍층(32)은 와류 접착 패턴과 같은 종래의 접착 패턴에 의해 외부 커버(20)에 작동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통풍층(32)은 종래의 접착 패턴에 의해 중앙 흡수층(31)에 작동 결합될 수도 있다. 접착제 추가량은 원하는 정도의 결합을 제공하기에 충분해야 하지만, 중앙 흡수층(31)으로부터 외부 커버(20)를 통한 공기 및 증기의 이동을 과잉 제한하는 것을 회피하기에 충분히 낮아야 한다.
또한, 통풍층(32)은 흡수성 본체(24)의 중앙 흡수층(31)을 통과하는 배출된 액체를 신속하게 수집하여 임시 유지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그 다음, 통풍층(32)은 최초 접촉 지점으로부터 상기 액체를 수송하고, 통풍층(32)의 다른 부분으로 액체를 살포하며, 그 다음, 중앙 흡수층(31) 내로 상기 액체를 실질적으로 완전히 역으로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흡수성 본체(24)는 세 개의 층을 포함한다. 양호하지만, 통풍층(32) 및 서지 관리층(34)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흡수성 본체(24)에서 생략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신체측 라이너(22)는 외부 커버(20)에 대해 중첩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24)는 신체측 라이너(22)와 외부 커버(20) 사이에 위치된다. 신체측 라이너(22)는 양호하게는 유연성 있고 연성 느낌이고 착용자의 피부에 비자극적이며 착용자의 피부를 흡수성 본체(24)로부터 격리시키는 것을 조력하도록 사용되는 상단 시트(48)를 포함한다. 상단 시트(48)는 착용자에게 상대적 건조 표면을 제공하도록 흡수성 본체(24)보다 더 작게 친수성이고, 액체 투과성이도록 충분히 다공성이므로, 액체가 그 두께를 통해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게 한다. 적당한 상단 시트(48)는 웨브 재료의 폭넓은 선택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양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향[예를 들면, 길이방향 또는 측방향(36, 38)]으로 신축될 수 있다. 합성 및 천연 섬유 중 하나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하는 다양한 직포 및 부직포 직물이 상단 시트(48)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체측 라이너는 원하는 섬유의 멜트블로운 또는 스펀본드 웨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결합 소면 웨브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섬유 데니어를 포함할 수도 있는 다른 재료로 된 층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다양한 직물은 천연 섬유, 합성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32)의 상단 시트(48)는 실질적인 소수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수성 재료는 선택적으로 계면 활성제로 처리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면 원하는 수준의 습윤성 및 친수성을 수여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2)의 상단 시트(48)용 적합한 재료의 예는 적합한 습윤성 처리로 처리된 0.3 내지 0.5 osy(10내지 17 gsm) 폴리프로필렌 스펀본드 웨브, 0.3 내지 0.5 osy(10 내지 17 gsm) 결합 소면 웨브 및 0.4 내지 0.8 osy(14 내지 27 gsm) 공기 관통 결합 소면 웨브를 포함한다. 직물은 약 0.28 퍼센트 트리톤(Triton) X-102 계면 활성제와 같은 작동량의 계면 활성제에 의해 표면 처리될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스프레잉, 프린팅 브러쉬 코팅 등과 같은 종래의 수단에 의해 도포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상단 시트(48)는 연장 가능하여, 상술된 향상된 고정, 끼워맞춤 및 내장을 제공하는데 조력하도록 외부 커버(20)에 의해 신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단 시트(48)는 넥킹된 직물, 크레이프식 직물, 미세 주름 직물, 천공 중합체 필름 등,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연장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직물은 탄성 또는 비탄성일 수도 있는, 스펀본드 직물과 같은 직포 또는 부직포 재료일 수도 있다. 이러한 연장 가능한 상단 시트(48)를 위한 적합한 제조 기술 및 적합한 넥킹된 부직포 직물 재료의 예가 발명의 명칭이 가역적으로 넥킹된 재료이고 엠. 티. 모먼에게 1990년 10월 23일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65,122호로 설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단 시트(48)는 비용 감소 및 제조 효율 향상을 위해 비탄성 넥킹 가능한 재료로 제작된다. 이러한 구조를 위해 적합한 비탄성 넥킹 가능한 재료는 부직포 웨브, 직포 재료 및 편성 재료를 포함한다. 이러한 웨브는 하나 이상의 직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부직포 직물 또는 웨브는 많은 공정, 예를 들면, 결합 소면 웨브 공정, 멜트블로잉 공정 및 스펀본딩 공정으로 형성되었다. 비탄성 넥킹 가능한 재료는 양호하게는 비탄성 중합체 섬유 및 필라멘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일부로부터 형성된다. 이러한 중합체는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의 두 개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된다. 넥킹 가능한 재료를 형성하는 적합한 섬유는 2성분, 다성분, 및 성형 중합체 섬유 뿐만 아니라 천연 및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많은 폴리올레핀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 생산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섬유 형성 폴리프로필렌은 엑손 케미컬 컴퍼니의 Escorene PD 3445 폴리프로필렌 및 히몬트 케미컬 컴퍼니(Himont Chemical Company)의 PF-304를 포함한다. 다우 케미컬의 상표명 ASPUN 6811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2553 LLDPE 및 25355 및 12350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폴리에틸렌도 적합한 중합체이다.
넥킹 가능한 재료는 일반적으로 재료를 당기거나 또는 넥킹하도록 웨브의 표면 속도를 변화시키는 종래의 넥킹 공정에 의해 연장 가능한 상단 시트(48)를 형성하도록 넥킹될 수도 있다. 이러한 넥킹은 재료가 횡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러한 넥킹된 부직포 직물 재료는 일반적으로 약 80 퍼센트까지 넥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양한 태양의 연장 가능한 상단 시트(48)는 향상된 성능을 위해 약 10 내지 약 80 퍼센트, 바람직하게는 약 20 내지 약 60 퍼센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30 내지 약 50 퍼센트 넥킹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22)의 상단 시트(48)의 만족할만한 신축을 얻기 위해, 상단 시트(48)는 넥킹, 크레이핑(creping) 또는 주름화(corrugating)와 같은 기계적 공정을 겪을 수 있다. 양호하게는, 기계적 공정은 측방향(38) 신축이 용이하게 되도록 실행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길이방향 신축 및 수축은 상단 시트(48)의 신축을 탄성적으로 저지하도록 배치된 서스펜션에 의해 달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서스펜션은 적당한 방법으로, 예를 들면, 신체측 라이너(22)의 잔여부의 하측에 1 내지 5 gsm 탄성 부착 접착제(52) 라인에 의해 부착된 일련의 코드(50)를 포함한다. 접착제는 패터닝된 층, 스프레이된 패턴 또는 별도의 라인의 어레이, 와류 또는 점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코드(50)는 열결합 및/또는 음파 결합에 의해 상단 시트(48)에 결합될 수 있다. 코드(50)는 그 전체 길이 이하를 따라 상단 시트(48)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일 양호한 실시예에서, 코드(50)는 코드의 단부에서만 상단 시트(48)에 결합되어, 코드의 중간 부분이 상단 시트에 부착되지 않은 상태로 남겨진다. 코드(50)는 도1에서 다른 길이로 파단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코드(50)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코드(50)는 전방 영역(12)으로부터 후방 영역(14)으로 가랑이 영역(16)을 통과하여 신체측 라이너의 길이방향으로 뻗는다. 코드(50)는 평행하고, 서로 이격된 관계이며, 양호하게는 그 길이를 따라 코드의 신장을 허용하는 재료로 제작된다. 코드(50)용으로 적합한 스트랜드형 탄성 적층물은 상표명 Kraton으로 판매되는 스티렌-부타디엔 엘라스토머 및 상표명 Lycra로 판매되는 연속형 미세 필라멘트 형태의 스판덱스 섬유를 포함한다.
탄성 코드(50)의 사용이 양호하지만, 신체측 라이너(도시되지 않음)는 이러한 코드 없이 탄성 신축되도록 제작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면, 상단 시트(48)는 재료 매트릭스에서 탄성 섬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유사하게, 잠재성 탄성 스트랜드가 상단 시트(48)에 형성되어, 생산 공정에서 예를 들면 오그라들도록 열 또는 마이크로파의 인가를 통해 활성화될 수 있어, 신체측 라이너와 흡수성 패드 사이에 제조 갭이 제작된다. 도한, 단일의 코드(50), 또는 상단 시트(48)와는 별도의 다른 구조, 예를 들면 얇은 편평 탄성 스트랩(도시되지 않음)이 사용될 수 있다.
상단 시트(48) 및 부착된 코드(50)를 포함하여, 신체측 라이너(22)는 그 원래 길이의 적어도 약 30%, 보다 양호하게는 그 원래 길이의 적어도 약 50%, 가장 양호하게는 그 원래 길이의 약 80% 신축될 수 있다. 신체측 라이너의 최대 신축은 양호하게는 그 원래 길이의 단지 약 200%, 보다 양호하게는 그 원래 길이의 약 150%, 가장 양호하게는 그 원래 길이의 약 120% 이다. (신체측 라이너의 최대 신축의 50%에서 측정될 때) 신축을 생성시키도록 요구되는 힘은 양호하게는 약 76.2 내지 1270 g/cm(30 내지 500 g/in)의 범위, 보다 양호하게는 약 127 내지 762 g/cm(50 내지 300 g/in)의 범위, 가장 양호하게는 약 152.4 내지 381 g/cm(60 내지 150 g/in)의 범위이다. 신체측 라이너가 수축력(즉, 신체측 라이너의 신축에 대항하는 힘)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는 50% 신장에서 라이너의 더한 신축을 생성시키도록 필요한 최소 신장력의 약 30% 내지 80% 범위의 수축력을 가한다. 보다 양호하게는, 수축력은 최소 신장력의 약 60% 내지 80%이다.
외부 커버(20)는 양호하게는 신체측 라이너(22)와 적어도 동일한 신축 능력을 가져야 한다. 신축 능력이 대략 동일한 경우, 외부 커버(20)는 신축된 후 보다 적은 수축 능력을 갖거나 또는 수축 능력을 갖지 않아야 한다. 다르게 기재한다면, 신체측 라이너(22)는 외부 커버(20)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탄성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외부 커버(20)는 순수 연장 가능하거나 또는 단지 약탄성일 수 있으므로, 정상 사용 시, 외부 커버의 재료는 그 신축된 구조로부터 상당히 수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동일한 실시예에서, 신체측 라이너(22)는 신축을 발생시킨 힘의 완화 또는 감소 후 라이너의 원래 치수쪽으로 적어도 약간 이동되기에 충분히 탄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의 기저귀(10)는 흡수성 본체가 액체 물질을 수용할 때 외부 커버(20) 및 흡수성 본체(24)로부터 신체측 라이너(22)가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2를 참조하면, 그 원래 상태에서, 기저귀(10)는 서지 관리층(34)과 신체측 라이너(22)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약간의 최초(즉, 신체측 라이너(22)가 임의의 액체를 흡수하기 전) 분리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아이에게 착용될 때, 외부 커버(20)와 신체측 라이너(22) 모두가 신축될 수 있음으로써 기저귀(10)는 유아의 신체에 편안히 부합될 수 있다. 신축됨으로써 기저귀(10)가 착용될 때 체결구(30)를 파열시키는 것이 회피되도록 도움이 된다. 신축은 초흡수성 젤 비드의 누설을 발생시킬 수 있는 신체측 라이너(22)의 파열을 더욱 방지한다. 또한, 외부 커버의 연장 가능하지 않은 재료의 신축은 외부 커버의 약화를 발생시킨다.
손상을 받으면, 특히 소변 형태인, 액체는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22)를 통해 흡수성 본체(24)의 서지 관리층(34)으로 유동된다. 신체측 라이너(22)는 이 때 신축될 수도 있거나 신축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 탄성으로 인해 아이의 피부에 매우 근접하게 유지되거나 또는 이에 접촉되어 유지된다. 서지 관리층(34)은 소변이 흡수되어 유지된 중앙 흡수층(31) 상으로 액체를 통과시킨다. 흡수성 본체(24)의 중량은 흡수되어 외부 커버(20)에 대해 하향 하중을 발생시키는 소변의 중량에 의해 증가된다. 외부 커버는 상기 하중 하에 신축되도록 구성되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커버(20) 및 흡수성 본체(24)가 아이의 하체로부터 쳐지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신체측 라이너(22)는 아이의 피부(S)에 근접 유지되므로, 흡수성 본체(24)로부터 신체측 라이너가 분리됨으로써 갭(G)을 발생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갭(S)의 존재에 의해 아이의 피부(S)는 흡수성 본체(24)의 수분으로부터 분리되어 제1 상황에서 건조함이 향상된다. 둘째, 공기갭(G)은 공기 및 증기가 아이의 피부(S)로 그리고 아이의 피부(S)로부터 신체측 라이너(22)를 통해 보다 양호하게 순환되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 결과, 피부(S)는 보다 더 건조하게 유지될 수 있어, 피부 건강이 향상된다. 외부 커버(20) 및 흡수성 본체(24)는 공기가 공기갭(G) 내로 그리고 공기갭(G) 외부로 통과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호흡될 수 있는 것이 양호하다. 그러나, 신체측 라이너(22)는 기저귀(10)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는데 조력하도록 아이의 피부(S)에 근접 유지되거나 또는 이에 접촉되어 유지된다.
본 발명 또는 그 양호한 실시예(들)의 요소들을 소개할 때, 관사 "a" "an""the" 및 "상기(said)"는 하나 이상의 요소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용어 "포함" "함유" 및 "구비"는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열거된 요소들 외에 추가적 요소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가 상술된 구조에서 행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요지는 제한적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해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 제1 양만큼의 하중 인가 시에 신축하도록 구성되는 외부 커버와;
    신체대면 표면을 한정하고 외부 커버와 통상 중첩되고 동일 공간에 놓이며, 제2 양만큼의 하중 인가 시에 신축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및 기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와;
    신체측 라이너와 외부 커버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 커버의 신축 시에 외부 커버와 함께 통상 이동 가능한 흡수성 본체를 포함하며,
    외부 커버의 신축의 제1 양은 신체측 라이너의 신축의 제2 양보다 크며, 이에 의해, 갭이 신체측 라이너와 흡수성 본체 사이에 형성되어, 흡수성 본체가 하중 받은 상태로 신체측 라이너를 통해 공기 및 증기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는 흡수성 제품.
  2. 제1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신축될 때 외부 커버보다 비교적 탄력적인 흡수성 제품.
  3. 제2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액체 및 기체 투과성 재료의 시트와, 신체측 라이너의 신축에 탄력적으로 대항하도록 배열되는 서스펜션을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
  4. 제3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신체측 라이너의 신축에 후속하여, 신체측 라이너를 수축하도록 구성되는 흡수성 제품.
  5. 제3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신체측 라이너와 흡수성 본체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코드를 포함하며, 탄성 코드는 신체측 라이너의 신축 시에 축방향으로 신축되는 흡수성 제품.
  6. 제5항에 있어서, 서스펜션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열되는 다중 코드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
  7. 제5항에 있어서, 흡수성 제품은 인간 신체로부터 배설물을 포획하기 위해 착용되는 의복을 포함하며, 상기 의복은 사이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영역, 후방 영역 및 가랑이 영역은 중앙 허리 개구 및 한 쌍의 다리 개구를 한정하도록 착용될 때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가랑이 영역은 상기 다리 개구들 사이에 대략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코드는 전방 영역으로부터 상기 후방 영역으로 연장하는 라인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흡수성 제품.
  8. 제7항에 있어서, 코드는 접착제에 의해 신체측 라이너에 부착되는 흡수성 제품.
  9. 제7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가랑이 영역에서 적어도 외부 커버 및 흡수성 본체에 정착 연결되지 않는 흡수성 제품.
  10. 제5항에 있어서, 코드는 연속 마이크로필라멘트의 형태로 스판덱스 섬유 및 스티렌-부타디엔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재료로 제조되는 흡수성 제품.
  11. 제1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그의 원래 길이의 약 30% 내지 200%의 범위에서 신축하도록 구성되는 흡수성 제품.
  12. 제11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그의 원래 길이의 약 50% 내지 150%의 범위에서 신축하도록 구성되는 흡수성 제품.
  13. 제12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그의 원래 길이의 약 80% 내지 120%의 범위에서 신축하도록 구성되는 흡수성 제품.
  14. 제1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적어도 약 76.2g/cm(30g/in)의 하중 인가 시에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추가로 신축되어질 흡수성 제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적어도 약 127g/cm(50g/in)의 하중 인가 시에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추가로 신축되어질 흡수성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적어도 약 152.4g/cm(60g/in)의 하중 인가 시에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추가로 신축되어질 흡수성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적어도 약 381g/cm(150g/in)의 하중 인가 시에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추가로 신축되어질 흡수성 제품.
  18. 제1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적어도 약 3.54g/cm(9g/in)의 수축력을 갖는 흡수성 제품.
  19. 제18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적어도 약 38.1g/cm(15g/in)의 수축력을 갖는 흡수성 제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적어도 약 45.72g/cm(18g/in)의 수축력을 갖는 흡수성 제품.
  21. 제20항에 있어서, 신체측 라이너는 그의 최대 연장의 약 50%로 약 47.24g/cm(120g/in)보다 작은 수축력을 갖는 흡수성 제품.
  22. 제1항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에 대향하는 신체측 라이너의 측부 상에 그리고 신체측 라이너와 흡수성 본체 사이에 재료가 없는 흡수성 제품.
KR1020047009149A 2001-12-28 2002-11-05 갭 형성 흡수성 패드를 갖는 흡수성 제품 KR1009503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035,650 2001-12-28
US10/035,650 US7438707B2 (en) 2001-12-28 2001-12-28 Absorbent articles with absorbent pad gapping
PCT/US2002/035648 WO2003057110A1 (en) 2001-12-28 2002-11-05 Absorbent articles with absorbent pad gapp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939A true KR20040068939A (ko) 2004-08-02
KR100950361B1 KR100950361B1 (ko) 2010-03-29

Family

ID=2188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149A KR100950361B1 (ko) 2001-12-28 2002-11-05 갭 형성 흡수성 패드를 갖는 흡수성 제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438707B2 (ko)
EP (1) EP1458323B1 (ko)
KR (1) KR100950361B1 (ko)
AU (1) AU2002352500A1 (ko)
DE (1) DE60236369D1 (ko)
MX (1) MXPA04005494A (ko)
WO (1) WO20030571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115B2 (ja) * 2001-04-06 2005-09-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US20040236552A1 (en) * 2003-05-22 2004-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evaluating products using a virtual environment
CA2640722C (en) * 2006-02-21 2011-12-06 Fiberweb Simpsonville, Inc. Extensible absorbent composites
TW200806271A (en) * 2006-04-05 2008-02-01 Uni Charm Corp Absorbent wearing article and flexible structure with multiple tubiform portions
EP2098202A1 (en) * 2006-12-28 2009-09-09 Japan Absorbent Technology Institute Absorptive article
AU2008212054B1 (en) * 2008-02-29 2009-04-23 Interflow Holdings Pty Limited A liner for repairing the lateral connection of a pipeline
US20100280471A1 (en) * 2009-04-29 2010-11-04 Navs, Llc Channeled apertured film and personal care articles containing the film
US20110172621A1 (en) * 2010-01-08 2011-07-14 Welshire Innovative Limited Cleanable and reusable body fluid-absorbing fabric pad
CN102166152B (zh) * 2010-02-26 2013-10-30 佩雅精密有限公司 一种尿布套
US8702669B2 (en) 2010-03-12 2014-04-22 Pure Precision Limited Diaper sheath with adjustable slide mechanism
EP2415428A1 (en) 2010-08-04 2012-02-08 Polymer Group, Inc. Breathable laminat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16093035A1 (ja) * 2014-12-12 2016-06-16 山田 菊夫 使い捨て衣類
US10391003B2 (en) 2015-12-04 2019-08-27 Kikuo Yamada Disposable art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nd method for selling the same
USD857885S1 (en) * 2017-04-19 2019-08-27 Rael, Inc. Sanitary pad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1933A (en) * 1983-08-03 1990-07-17 Johnson & Johnson Method of making a body member conformable disposable articles
US4710187A (en) * 1985-09-06 1987-12-01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stretchable bodyside liner
US4846825A (en) * 1987-10-30 1989-07-11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s with elasticized side pockets
GB8801636D0 (en) * 1988-01-23 1988-02-24 Smith & Nephew Ass Bandages
US4895568A (en) 1988-08-18 1990-01-23 Kimberly-Clark Corporation Diaper liner with selectively elasticized portions
US4892536A (en) 1988-09-02 199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elastic strands
EP0382022B1 (en) 1989-02-08 1994-01-05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5269775A (en) * 1992-06-12 1993-12-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risection topsheets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an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trisection topsheets
JP2559050Y2 (ja) 1992-07-01 1998-01-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S2105315T3 (es) 1992-09-28 1997-10-16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elemento dinamico y elastico que comprende paneles de cadera elastificados.
JP2580205Y2 (ja) 1993-11-26 1998-09-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US5593400A (en) 1994-02-09 1997-01-14 Paragon Trade Brands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spended absorbent structure
ITTO950698A1 (it) 1995-08-23 1997-02-23 Procter & Gamble Articolo assorbente, quale ad esempio articolo igienico sanitario
JP3343191B2 (ja) 1996-07-02 2002-1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GB2340403B (en) 1997-08-13 2000-07-05 Kimberly Clark Co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ose to the body liner
US5957907A (en) * 1997-08-13 1999-09-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a close to the body liner
JP3340061B2 (ja) 1997-09-29 2002-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ニングパンツ
US6020535A (en) 1997-12-31 2000-02-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tensible absorbent article including a release agent
US6264641B1 (en) * 1998-05-07 2001-07-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pandable cover garment
US6702801B2 (en) 1998-05-07 2004-03-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garment with an extensible backsheet
US6160200A (en) 1998-06-29 2000-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rectionally preferential waste passage member for use with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JP3859418B2 (ja) * 2000-03-07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869424B1 (en) 2000-10-27 2005-03-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tretchable absorbent garment with non-stretchable 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38707B2 (en) 2008-10-21
AU2002352500A1 (en) 2003-07-24
MXPA04005494A (es) 2004-12-06
EP1458323B1 (en) 2010-05-12
US20080103469A1 (en) 2008-05-01
DE60236369D1 (de) 2010-06-24
US20030125697A1 (en) 2003-07-03
WO2003057110A1 (en) 2003-07-17
KR100950361B1 (ko) 2010-03-29
EP1458323A1 (en)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345B1 (ko) 개선된 허리 밀봉부를 갖는 선택적으로 위치된 허리 샘방지 부재를 구비한 흡수 용품
RU2653484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частично охатывающим герме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для тали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664957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герметизирующим элементом для тали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US20080103469A1 (en) Absorbent articles with absorbent pad gapping
KR101057861B1 (ko) 바람직한 비의 탄성 대 비탄성 재료를 갖는 탄성허리밴드를 포함하는 흡수 용품
RU2326639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эластомерным материалом
US20040044323A1 (en) Absorbent article with elastic components having non-uniform elastic tension
AU2015408038B2 (en) Elastic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 including the same
AU773323B2 (en) Refastenable and adjustable fastener system for diaper
RU2691805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о впитывающей основой, обеспечивающей улучшенный доступ к герметичному карману герметизирующего элемента для талии
JPH06133998A (ja) 改良された伸縮性サイドパネルを有する使い捨てトレーニングパンツ
AU2017400543B2 (en) Diaper pants having a waistband that provides softness and skin comfort
MXPA05004846A (es) Articulo absorbente con material elastomerico.
RU2674705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поглощающим текучую среду слоем, имеющим каналы
RU2723071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обращенным к телу прокладочным материалом, обеспечивающим барьерную область
AU766197B2 (en) Side elastic panel for wrapping a diaper for disposal
MXPA06005864A (es) Articulo absorbente con material estrechado bordeado elastomerico, forro de lado al cuerpo y metodo para hacerlo.
RU2752864C2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ми эластич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для ног и отворота
US20230172766A1 (en) Absorbent Article with Leak-Proof Containment Flaps
RU2734305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задним карманом
US20220031524A1 (en) Absorbent article with pleats
CN116615164A (zh) 具有腰带的吸收制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