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890A -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 Google Patents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890A
KR20020025890A KR1020017015754A KR20017015754A KR20020025890A KR 20020025890 A KR20020025890 A KR 20020025890A KR 1020017015754 A KR1020017015754 A KR 1020017015754A KR 20017015754 A KR20017015754 A KR 20017015754A KR 20020025890 A KR20020025890 A KR 20020025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connection
press elemen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5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381B1 (ko
Inventor
마우에한스-하인리히
호프마이스터베르너
쇤펠트미카엘
심멜안드레아스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25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3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 부하를 받을 경우, 특히 내연 기관의 작동시에도 그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다극의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플러그-인 연결부(11)는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와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를 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의 하우징의 부분인 접촉 캐리어(15)에는, 제 1 프레스 소자(31) 및 제 2 프레스 소자(32)가 부착되고,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를 결합할 경우 상기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는 프레스 소자(31, 32)를 통해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인장된다. 따라서 고정된 플러그-인 커넥터(12, 13)에 지지되고 접촉되는 접촉 소자(18)와 접촉 부품(21) 사이의 상대 운동은 방지된다.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11)는 주로 자동차 산업에 사용된다.

Description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Electric plug-in connection}
DE 41 15 119 C2에는 분리 가능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두 개의 플러그-인 커넥터를 구비한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가 공지되어 있다.
제 1 플러그-인 커넥터는 접촉 캐리어(contact carrier)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 캐리어에는 수납 챔버가 형성되며 상기 챔버에는 각각 하나의 접촉 소자가 지지된다. 접촉 소자는 연결부를 통해서 케이블에 연결된다. 케이블은 케이블 하니스(cable harness)로서 묶여지고, 제 1 플러그-인 커넥터로부터 후방으로 유도되어 나온다. 플러그-인 연결부가 폐쇄된 경우, 접촉 소자는 접촉부를 통해 제 2 플러그-인 커넥터의 해당 접촉 부품과 도전성으로 연결(conductively connected)된다.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사이의 플러그-인 연결부를 밀봉하기 위해, 제 1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촉 캐리어의 외부면에는 탄성 재료로 된 환형 밀봉링이 지지되며, 상기 밀봉링은 양 플러그-인 커넥터를 결합할 경우에 제 2 플러그-인 커넥터의 슬리브형 밴드의 측면에 의해 고정되고 탄성 변형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인 연결부가 자동차에서 사용되면, 상기 플러그-인 연결부는 자동차의 작동시에 진동 부하를 받으며, 양 플러그-인 커넥터는 밀봉에 의해탄성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양 플러그-인 커넥터 사이에서는 상대 운동이 발생한다. 상대 운동은 제 1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촉 소자와 제 2 플러그-인 커넥터의 접촉 부품 사이에서도 일어나며, 상기 상대 운동은 접촉 소자와 접촉 부품이 접촉하는 접촉면을 마모시킬 수 있다. 양호하지 않게 접촉되는 상기 소자의 캐리어 재료를 통해 접촉이 이루어지므로, 플러그-인 연결부의 접촉 안전성은 더 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인 연결부의 기능이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 저하된다.
본 발명은 제 1 항의 개념에 따른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를 구성하기 위해 제 2 플러그-인 커넥터와 결합된 제 1 플러그-인 커넥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
이에 반해 제 1 항의 특징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연결부에서는 앞서 언급된 단점이 방지된다.
제 1 플러그-인 커넥터에는 밀봉 소자에 부가적으로, 대향 커넥터의 밴드에 반경 방향으로 압착되는 제 1 프레스 소자 및, 양 커넥터의 결합 과정의 종료시에 축 방향 압축 응력 하에서 밴드의 정면을 수용하는 제 2 프레스 소자가 부착된다. 종래 기술에서 작동시 필요한 밀봉 소자의 변형에 따라 부득이하게 생기는 동작 유격은 제거된다. 따라서 양 플러그-인 커넥터는 결합된 상태에서 마치 일체식인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이는 고정된 플러그-인 커넥터에 지지된 접촉 소자와 접촉 부품에 전달되고 따라서 상기 소자와 부품은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플러그-인 커넥터의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접촉 소자와 접촉 부품에 가해지는 진동 부하는 바람직한 방법으로, 플러그-인 연결부의 기능을 더 이상 위험할 정도로 저하시키지 않는다.
종속항에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이 기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2에 도시된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11)는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와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를 포함한다.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는 움직일 수 있는 케이블 하니스 플러그로서 형성되는 반면,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는 접속 플러그로서 전기 장치, 특히 디젤 분사 펌프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12, 13)는 분리 가능한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상기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는, 손잡이로서 형성되고 내부면이 접촉 캐리어(15)로서 형성되는 하우징(14)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 캐리어(15)는 나머지 하우징(14)과 마찬가지로, 전기적으로 절연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고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의 극 수에 상응하는 수의 수납 챔버(16)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축 방향 및 화살표(17) 방향으로 접촉 캐리어(15)를 관통한다. 각각의 수납 챔버(16)에는 단지 개략적으로 도시된 접촉 소자(18)가 화살표(17) 방향으로 각각 하나씩 삽입된다.
상기 접촉 소자(18)는 그 단부면에 한편으로는 접촉부(19)를 포함하고, 접촉 소자(18)는 할당된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의 접촉 부품(21)과 상기 접촉부(19)를 거쳐서 접촉된다. 다른 한편으로 접촉 소자(18)의 단부면에는 고정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전기 케이블(23)이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삽입되며 상기 전기 케이블은 접촉 캐리어(14)를 빠져나온 후,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다른 접촉 소자(18)의 다른 케이블과 함께 하나의 케이블 하니스로 통합된다.
상기 하우징(14)의 부분인 접촉 캐리어(15)에는,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를 조립할 경우에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의 밴드(26)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축 방향으로 정렬된 환형 수납홀(24)이 형성된다. 플러그-인 커넥터(12, 13) 사이의 플러그-인 연결부(11)를 밀봉하기 위해, 접촉 캐리어(15)에는 밀봉부(27)가 배열된다.
상기 밀봉부(27)는 반경 방향으로의 밀봉을 위해,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반경 방향을 향해 있는 다수의 환형 밀봉립(28)을 포함한다.
상기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를 결합할 경우, 밀봉립(28)은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의 슬리브형 밴드(26)에 의해 고정되고, 밴드(26)의 측면(29)에서 부분적으로, 화살표(17)에 반대되게 축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방향 전환된다. 이로써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는 밀봉부(27)를 통해서 서로 밀봉된다.
상기 밀봉부(27)는 작동에 필요한 변형성에 상응하는, 유연한 탄성 재료로 구성되므로, 밀봉부는 플러그-인 연결부(11)가 진동 부하를 받을 경우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가 진동 부하를 받는 것과 또한 그 질량이 서로 다른 것으로 인해, 결합된 플러그-인 커넥터(12, 13) 사이의 불리한 상대 운동을 방지할 수 없다.
진동 부하를 받을 때에도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12, 13)를 강성을 갖도록 결합하기 위해 제 1 프레스 소자(31) 및 제 2 프레스 소자(32)가 제공된다. 도면에 도시된 제 1 프레스 소자(31)는 치수가 안정적인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접촉 캐리어(15)의 환형 융기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캐리어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스 소자(31)는 접촉 캐리어(15)의 측벽(33)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며, 상기 밴드(26)를 수납홀(24)에 삽입할 경우에 측면(29)에서 상기 프레스 소자가 밴드(26)의 단부에 반경 방향으로 압착되도록 수납홀(24) 내에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제 1 프레스 소자(31)의 원주는 부분적으로 중단될 수 있으며 개별 프레스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프레스 영역은 개별 프레스점, 소위 프레스 돌기를 제외하고는 재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프레스 소자(32)는 수납홀(24)의 폐쇄된 단부에 지지되고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진 환형 링으로서 형성된다. 제 2 프레스 소자(32)는 경질 고무로 구성되고 적어도 60 쇼어 경도(Shore hardness)를 가진다. 제 2 프레스 소자(32)는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의 결합 과정의 종료시에, 축 방향 압축 응력 하에 밴드(26)의 자유단에 있는 정면(34)을 수용한다.
결합 과정이 끝난 경우,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는 상기 프레스 소자(31, 32)를 통해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인장된다. 이로써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는 필요에 따라서는 분리될 수도 있는 일체식 연결을 이룬다. 상기 일체성은 플러그-인 커넥터(12, 13)에 지지된 접촉 소자(18) 및 접촉 부품(21)에전달되고 상기 두 부재의 연결은 동일한 방법으로 고정된다.
상기 접촉 소자(18)와 접촉 부품(21)이 안정되게 연결됨으로써, 플러그-인 연결부(11)에 진동 부하가 가해질 경우 접촉 소자(18)와 접촉 부품(21) 사이에서 일어나는, 기능에 영향을 주는 상대 운동이 미미한 정도로 나타나므로, 플러그-인 연결부(11)는 상기와 같은 불리한 작동 조건하에서도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플러그-인 연결부(11)를 내연 기관의 장치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축방향으로 연장된 삽입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게 서로 결합된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 및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와, 상기 제 1 플러그-인 커넥터부(12)의 하우징(14) 내에 형성된 수납홀(24)을 구비하며, 상기 양 플러그-인 커넥터부(12, 13)를 결합할 경우 제 2 플러그-인 커넥터(13)에서 돌출한 밴드(26)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납홀(24) 내로 삽입되고, 상기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에 지지되고 상기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를 결합할 경우에 상기 밴드(26)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밀봉부(27)를 구비한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에 있어서,
    상기 삽입 방향을 가로질러 적어도 하나의 제 1 프레스 소자(31)가 반경 방향으로 상기 수납홀(24) 내로 돌출하며, 상기 프레스 소자는 상기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를 결합할 경우에 상기 밴드(26)의 측면(29)에 반경 방향으로 압착되고, 양 플러그-인 커넥터(12, 13)의 결합 과정의 종료시에 축방향 압축 응력 하에서 밴드(26)의 정면(34)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프레스 소자(32)가 수납홀(24) 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스 소자(31)는 제 1 플러그-인 커넥터(12)의 하우징(14)의 부분인 접촉 캐리어(15)와 일체식으로 형성되며 치수가 변하지 않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스 소자(31)가 접촉 캐리어(15)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프레스 소자의 원주는 상기 접촉 캐리어(15)에서 부분적으로 중단되어 개별 프레스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개별 프레스 영역은 개별 프레스 점을 제외하고 선택적으로 재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스 소자(32)는 상기 수납홀(24)의 폐쇄된 단부에 지지되며, 상기 접촉 캐리어(15)를 둘러싸는 링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링은 적어도 60 쇼어 경도를 가진 경질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프레스 소자(32)는 경질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KR1020017015754A 2000-04-08 2001-03-24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KR1007973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06550U DE20006550U1 (de) 2000-04-08 2000-04-08 Elektrischer Steckverbinder
DE20006550.5 2000-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890A true KR20020025890A (ko) 2002-04-04
KR100797381B1 KR100797381B1 (ko) 2008-01-24

Family

ID=794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5754A KR100797381B1 (ko) 2000-04-08 2001-03-24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16202B2 (ko)
EP (1) EP1275175B1 (ko)
JP (1) JP4763212B2 (ko)
KR (1) KR100797381B1 (ko)
DE (2) DE20006550U1 (ko)
WO (1) WO20010781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5594B2 (ja) * 2004-07-02 2009-10-1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066747B2 (en) * 2004-07-08 2006-06-2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DE102004047001B4 (de) * 2004-09-28 2007-03-08 Link Gmbh Trennbarer Kabelübergang
US7226303B2 (en) * 2005-02-22 2007-06-05 Baker Hughes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s for sealing a high pressure connector
JP4985193B2 (ja) * 2007-08-01 2012-07-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09023905B4 (de) * 2009-06-04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Kontaktverbinder und elektrisches Bauteil
JP6106443B2 (ja) * 2013-01-28 2017-03-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部材及びシール構造
DE102014105144A1 (de) * 2014-04-10 2015-10-15 HARTING Electronics GmbH Luftdichter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 seiner Verwendung
US9979109B2 (en) 2015-11-10 2018-05-22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Card stabilizer bracket
JP2018067466A (ja) * 2016-10-20 2018-04-2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18174037A (ja) * 2017-03-31 2018-11-0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シール部材および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5339A (en) * 1986-06-19 1987-11-10 Amp Incorporated Sealed plug for a printed circuit board receptacle
DE4115119A1 (de) 1991-05-08 1992-11-12 Kostal Leopold Gmbh & Co Kg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4238321A1 (de) * 1992-11-13 1994-05-19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 Steckverbindung
GB9416986D0 (en) * 1994-08-23 1994-10-12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chattering interconnection means
GB9516285D0 (en) * 1995-07-26 1995-10-11 Amp Gmbh Combustion chamber sensor connector
US5711685A (en) * 1996-01-23 1998-01-27 Tescorp Seismic Products, Inc.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movable seal at cable entry end
JPH09289057A (ja) * 1996-04-19 1997-11-04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2002134219A (ja) * 2000-10-30 2002-05-1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該防水コネク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66359A1 (en) 2003-09-04
KR100797381B1 (ko) 2008-01-24
EP1275175B1 (de) 2010-02-17
US6916202B2 (en) 2005-07-12
JP4763212B2 (ja) 2011-08-31
JP2003530670A (ja) 2003-10-14
EP1275175A1 (de) 2003-01-15
DE50115348D1 (de) 2010-04-01
DE20006550U1 (de) 2001-08-16
WO2001078198A1 (de) 200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2445B1 (en) Improved grommet-type joint for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comprising such a joint
EP0677894B1 (en) Seal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waterproof connector
US7618287B2 (en) Connecting arrangement and contact pin
US658224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creased contact reliability
US7311546B2 (en) Connector, a mating connector and a connector device
US6787701B2 (en) Waterproof grommet
CN106025709A (zh) 浮动式连接器
US8256326B2 (en) Automatic transmission control unit and automatic transmission including the same
KR20070049231A (ko) 진동 흡수를 위한 전기 커넥터, 특히 자동차 엔진의분사기를 위한 전기 커넥터
JP2003297479A (ja) 防水コネクタ
KR20020025890A (ko) 전기 플러그-인 연결부
US5766039A (en) Waterproof connector with pressing holes in seal member
AU783057B2 (en) Universal aftermarket connector
US20030032321A1 (en) Sealed connector
US5660555A (en) Waterproof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7077701B2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CN111384634B (zh) 连接器
CN107919572B (zh)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阳连接器
JP3299642B2 (ja) コネクタ
WO2024062906A1 (ja) コネクタ
WO2023223910A1 (ja) コネクタ
JP7393302B2 (ja) コネクタ
KR20010052748A (ko) 전기 플러그인 접속부
JP4495091B2 (ja) 防水コネクタ
JP202306122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