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5127A -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 Google Patents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5127A
KR20020025127A KR1020020008327A KR20020008327A KR20020025127A KR 20020025127 A KR20020025127 A KR 20020025127A KR 1020020008327 A KR1020020008327 A KR 1020020008327A KR 20020008327 A KR20020008327 A KR 20020008327A KR 20020025127 A KR20020025127 A KR 20020025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conditioner
mold
pressure refrigerant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7727B1 (ko
Inventor
황성수
Original Assignee
황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수 filed Critical 황성수
Priority to KR10-2002-0008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7727B1/ko
Publication of KR20020025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5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 시공작업이 획기적으로 간편, 용이하고 설치환경이 깨끗, 단아하도록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각각의 배관들이 별개체로 산만하게 배관되고 용접작업이 따라야하므로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고 설치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고/저압 냉매관, 배수관, 신호케이블 등의 다종의 에어컨 배관이 연결되는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에어컨 배관을 하나의 단일체로 결속구성하는 몰드배관으로 구비하며; 상기 몰드배관의 양단부에 상기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배관을 소정 길이 노출 형성시켜 된 각각의 배관단부를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형성된 배관구에 접속시키기 위한 원터치형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에어컨의 실외기와 실내기가 상기 몰드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와 몰드배관, 실내기와 몰드배관의 접속은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A Piping Fitting Method for Separation-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아파트, 일반 주택 등에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콘의 배관열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 시공작업이 획기적으로 간편, 용이하고 설치환경이 깨끗, 단아하도록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의 상변환 순환 사이클을 이용하는 분리형 에어컨은 증발기와 송풍팬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내에 놓이는 실내기와, 압축기, 응측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실외에 놓여지는 실외기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순환 연결하는 냉매 통로용 배관이 구비된다.
에어컨의 배관에는 4가지 종류가 수반된다.
즉, 기체상태의 냉매가 실외기 내의 압축기에 의해 고온 고압의 기체상태로 압축된 후 방열팬 및 응축 작용에 의해 열교환되어 고온 액상으로 팽창밸브를 통과하여 압력강화된 후 실내기로 보내지는 고압 냉매가가 통과하는 동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고압 냉매관(a)과; 상기 고압 냉매관(a)을 통하여 실내기의 증발기로 유입되어 기화됨으로써 주위의 열을 흡수하고, 이 때 형성되는 찬 공기는 증발기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송풍팬에 의해 실내로 토출되며 증발기 내에서 기화된 저압의 냉매가스를 다시 실외기로 회수하기 위한 동파이프로 이루어지는 저압 냉매관(b); 그리고 결로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수분을 외부로 내보내는 배수관(c)과;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신호교환을 위한 신호케이블(d)이 그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 배관하는 구조를 살펴 보면, 동파이프로 이루어진 고압관 및 저압관은 각각 용접이음하고 배수관은 그대로 길게 연장형성하여 외부로 인출하며, 신호케이블은 테이프 등을 감아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된, 특히 실내측의 배관들은 여러 가닥들이 어지럽게 늘어지고 엉켜있어 설치환경의 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은 각각의 배관들을 별도로 연결해야 하고 특히 냉매관은 용접작업이 따라야하므로 숙련 기술자가 용접장비 등의 별도장비를 가정집이 대부분인 현장에 이동시켜야 하고, 작업환경을 어지럽히는 번거로움과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이 이루어진 배관의 후속 처리에서 PVC 테이프 등을 둘러 감아 처리하기도 함으로 별도의 테이프가 요구되고, 돌려감기에 인력과 시간이 낭비되며, 외관이 산만하여 환경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를 배관 연결하여 에어컨을 설치함에 있어서,
에어컨에 수반되는 여러 배관들을 하나의 단일 부재로 몰드 결속한 몰드배관으로 구성함으로써, 배관 시공 후 미려한 모양을 갖게 하며 에어컨의 설치작업이 현저히 간편하고 설치환경도 깨끗, 단아하도록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몰드배관으로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연결함에 있어서 그 접속수단으로서 각각의 접속단부에 원터치방식의 착탈 접속이 용이한 원터치형 접속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별도의 작업장비가 불필요하여 기동성이 개선되며 작업환경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에어컨 설치 작업이 획기적으로 간편, 용이하여 숙련자가 아닌 누구라도 배관 설치작업이 가능하며,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여 설치비용을 현저히 절감토록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를 제공함에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략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일 실시예의 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일부 생략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연결 접속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배관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절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몰드배관의 절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원터치형 접속수단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실내기 20: 실외기
30: 몰드배관 31: 단열재
33: 외피 35: 요입홈
37: 파지부 39: 와이어
A: 접속수단 50: 숫연결구
51: 돌출관로 52: 나사
60: 암연결구 61: 삽입관로
62: 배관접속부 63: 돌턱
64: 오링 55: 홈턱
65: 볼키 66: 스프링
67: 체결링 70: 체결자
71: 나사 a: 고압 냉매관
b: 저압 냉매관 c: 배수관
d: 신호케이블 da: 접속모듈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는,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고/저압 냉매관, 배수관, 신호케이블 등의 다종의 에어컨 배관이 연결되는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에어컨 배관을 하나의 단일체로 결속구성하는 몰드배관으로 구비하며;
상기 몰드배관의 양단부에 상기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배관을 소정 길이 노출 형성시켜 된 각각의 배관단부를 상기 실내기 또는 실외기에 형성된 배관구에 접속시키기 위한 원터치형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에어컨의 실외기와 실내기가 상기 몰드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와 몰드배관, 실내기와 몰드배관의 접속은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몰드배관은 고압 냉매관, 저압 냉매관, 신호케이블이 단열재로 몰딩 결속되고,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는 외피가 피복되며, 주면 일측에 상기 배수관이 삽지되기 위한 요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입홈에는 소정 간격마다 상기 요입홈에 삽지되는 관체를 잡아주기 위한 탄성을 갖는 파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몰드배관은 고압 냉매관, 저압 냉매관, 배수관, 신호케이블이 단열재로 몰딩 결속되고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는 외피가 피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몰드배관은 표피층에 인접하여 와이어가 추가로 부여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몰드배관에 몰딩 결속되는 고압 냉매관, 저압 냉매관 및 배수관은 주름관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은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각각의 배관구에 부여되며, 해당관로와 연통되는 돌출관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숫연결구와;
상기 몰드배관의 양단부에 소정 길이 노출 형성되는 각각의 배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숫연결구의 돌출관로가 삽입 연결되기 위한 삽입관로와 상기 삽입관로에 연통되고 상기 몰드배관의 해당배관이 접속되기 위한 배관접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관로측 외연에 돌턱을 형성한 암연결구와;
상기 암연결구의 외연에 삽입, 상기 돌턱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며, 내주면에 상기 숫연결구의 나사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숫연결구와 암연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신호케이블은 별도의 접속모듈을 통하여 접속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숫연결구와 암연결구의 접속부에는 기밀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다단의 오링 또는 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은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측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볼키가 체결되기 위한 홈턱을 형성한 숫연결구와;
상기 숫연결구에 대응하여 상기 몰드배관측에 구성되며, 주면에 다수의 볼키가 구비되고 상기 볼키를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한 스프링과 체결링을 외주면에 구비한 암연결구로 구성되는 커플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의 개략적인 개념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드배관과 실내기 및 실외기의 접속구조를 보이는 단면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접속 연결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는, 실내기(10)와 실외기(20)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고/저압 냉매관(a)(b), 배수관(c), 신호케이블(d) 등의 다종의 에어컨 배관이 연결되는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 냉매관(a)(b)을 포함하는 다종의 에어컨 배관을 하나의 단일체로 결속구성하는 몰드배관(30)으로 구비하며;
상기 몰드배관(30)의 양단부에 상기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배관을 소정 길이 노출 형성시켜 된 각각의 배관단부를 상기 실내기(10) 및 실외기(20)에 형성된 배관구에 접속시키기 위한 원터치형 접속수단(A)을 구비하여;
에어컨의 실외기(20)와 실내기(10)가 상기 몰드배관(30)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20)와 몰드배관(30), 실내기(10)와 몰드배관(30)의 접속은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A)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몰드배관(30)의 구성을 보이는 일부 절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몰드배관(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냉매관(a), 저압 냉매관(b), 신호케이블(d)이 단열재(31)로 몰딩 결속되고, 상기 단열재(31)의 표면에는 외피(33)가 피복되며, 주면 일측에 상기 배수관(c)이 삽지되기 위한 요입홈(35)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요입홈(35)에는 소정 간격마다 상기 요입홈(35)에 삽지되는 관체를 잡아주기 위한 탄성을 갖는 파지부(37)를 구비하였다.
에어컨의 실외기(20)와 실내기(10)를 연결하는 배관은 고압 냉매관(a), 저압 냉매관(b) 및 신호케이블(d)이 따르고, 실내기에는 별도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c)이 구비됨으로, 상기 고/저압 냉매관(a)(b)과 신호 케이블(d)은 실내기에서부터 실외기에 이르는 전체 배관에 구비되는데 반해, 배수관(c)은 실내기(10)에서 몰드배관(40)을 거쳐 실외기로 가지 않고 임의의 위치에서 직접 외부로 인출된다.
상기 몰드배관(30)의 요입홈(35)은 이를 위한 것으로서 탄성을 갖는 파지부(37)가 배수관(c)의 이탈을 막아주며, 어느 위치에서든 배수관(c)을 몰드배관으로부터 임의로 분리시켜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몰드배관(30)에는 표피층에 인접하여 배관시 벽체에 고정된 핀이나 못 등에 걸쳐지기 위한 와이어(39)가 부여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몰드배관(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냉매관(a), 저압 냉매관(b), 배수관(c), 신호케이블(d)이 단열재(31)로 한꺼번에 몰딩 결속되고, 외피(33)가 피복되어도 무방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몰드배관(30)에 몰딩 결속되는 고압 냉매관(a), 저압 냉매관(b) 및 배수관(c)은 휨 등을 위한 신축성을 위하여 주름관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A)은 원터치방식으로 접속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A)은 상기 실내기(10) 및 실외기(20)의 각각의 배관구에 부여되며, 해당관로와 연통되는 돌출관로(51)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52)가 형성된 숫연결구(50)와,
상기 몰드배관(30)의 양단부에 소정 길이 노출 형성되는 각각의 배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숫연결구(50)의 돌출관로(51)가 삽입 연결되기 위한 삽입관로(61)와 상기 삽입관로(61)에 연통되고 상기 몰드배관의 해당배관이 접속되기 위한 배관접속부(62)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관로(61)측 외연에 돌턱(63)을 형성한 암연결구(60)와,
상기 암연결구(60)의 외연에 삽입, 상기 돌턱(63)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며, 내주면에 상기 숫연결구(50)의 나사(52)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71)가 형성되어 상기 숫연결구(50)와 암연결구(6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70)로 구성되었다.
상기 숫연결구(50)와 암연결구(60)의 접속부에는 기밀누설을 방지하기위한 다단의 오링(64) 또는 패킹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A')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기(10) 및 실외기(20)측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볼키(65)가 체결되기 위한 홈턱(55)을 형성한 숫연결구(50')와, 상기 숫연결구(50')에 대응하여 상기 몰드배관(30)측에 구성되며, 주면에 다수의 볼키(65)가 구비되고 상기 볼키(65)를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한 스프링(66)과 체결링(67)을 외주면에 구비한 암연결구(60')로 구성되는 커플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케이블(d)은 몰드배관에는 포함 결속되지만 그 접속 구조상,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A)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원터치형 접속모듈(da)을 통하여 접속된다.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A)의 체결구조는 키턴(Key Turn) 구조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그 외에도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구비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용상태를 살펴 본다.
에어컨의 실외기(20)와 실내기(10)를 연결하는 배관이 고/저압 냉매관과 신호케이블 등의 여러 배관들을 하나의 관체로 형성하고 외피를 아름다운 색상으로 형성한 몰드배관(30)으로 구비함으로써, 여러 가닥의 배관들이 어지럽게 설치되는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설치 환경을 깨끗, 단아하게 한다.
또한, 상기 실외기(20)와 몰드배관(30), 실내기(10)와 몰드배관(30)의 접속은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A)를 통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접속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배관구조에서 상기 원터형 접속수단(A)은 여러 관로들을 간편하게 정확히, 밀폐 결합시키도록 하여 관이음 작업을 획기적으로 용이하게 함으로써 용접장치 등의 별도 장비가 불필요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기동성이 개선되며, 작업환경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며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설치 시공비용을 절감토록 한다.
또한, 상기 몰드배관(30)은 내부에 결속되는 상기 냉매관 등을 신축성이 좋도록 주름관으로 형성하여 휨이 자유로우며 배관설치가 용이하고,
한편으로는 표면 일측에 와이어(39)가 결속형성됨으로 이 와이어(39)를 일부 노출시켜 벽체에 고정된 못 등에 걸어 배관의 공간 설치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는, 실내기(10) 및 실외기(20) 사이를 연결하는 여러 배관들을 외관이 미려한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한 몰드배관(30)으로 구성하고, 원터치식 접속수단(A)을 사용하여 간편하게 관이음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설치환경의 외관을 현저히 개선시키고, 설치시공작업에 따르는 인건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는 기술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에어컨 배관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에어컨 배관뿐만 아니라, 일반 유체관의 관로에 적용할 수 있는 분야의 경우에는 어느 경우에라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는,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 배관하여 에어컨을 설치함에 있어서,
에어컨에 수반되는 여러 배관들을 하나의 단일 부재로 몰드 결속한 몰드배관으로 구성하고, 그 연결 수단으로서 원터치식 접속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에어콘 설치환경 및 외관이 현저히 깨끗하고 미려하도록 한다.
또한, 설치시공에 별도의 작업장비 또는 도구가 불필요하여 종래 기술에 비하여 기동성이 개선되며 작업환경의 오염을 최소화하고, 에어컨 설치 작업이 획기적으로 간편, 용이하여 인력과 시간 및 이에 따른 설치비용을 현저히 절감토록 하는 기술이다.

Claims (9)

  1. 실내기와 실외기로 분리되어 설치되며,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 사이에 고/저압 냉매관, 배수관, 신호케이블 등의 다종의 에어컨 배관이 연결되는 에어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에어컨 배관을 하나의 단일체로 결속구성하는 몰드배관으로 구비하며;
    상기 몰드배관의 양단부에 상기 고/저압 냉매관을 포함하는 다종의 배관을 소정 길이 노출 형성시켜 된 각각의 배관단부를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에 형성된 배관구에 접속시키기 위한 원터치형 접속수단을 구비하여;
    에어컨의 실외기와 실내기가 상기 몰드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실외기와 몰드배관, 실내기와 몰드배관의 접속은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을 통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배관은, 고압 냉매관, 저압 냉매관, 신호케이블이 단열재로 몰딩 결속되고,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는 외피가 피복되며, 주면 일측에 상기 배수관이 삽지되기 위한 요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요입홈에는 소정 간격마다 상기 요입홈에 삽지되는 관체를 잡아주기 위한 탄성을 갖는 파지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배관은, 고압 냉매관, 저압 냉매관, 배수관, 신호케이블이 단열재로 몰딩 결속되고,
    상기 단열재의 표면에는 외피가 피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배관은 표피층에 인접하여 와이어가 추가로 부여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배관에 몰딩 결속되는 고압 냉매관, 저압 냉매관 및 배수관은 주름관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은,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의 각각의 배관구에 부여되며, 해당관로와 연통되는 돌출관로가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숫연결구와;
    상기 몰드배관의 양단부에 소정 길이 노출 형성되는 각각의 배관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숫연결구의 돌출관로가 삽입 연결되기 위한 삽입관로와 상기 삽입관로에 연통되고 상기 몰드배관의 해당배관이 접속되기 위한 배관접속부가 구비되며, 상기 삽입관로측 외연에 돌턱을 형성한 암연결구와;
    상기 암연결구의 외연에 삽입, 상기 돌턱에 의하여 이탈이 방지되며, 내주면에 상기 숫연결구의 나사에 체결되기 위한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숫연결구와 암연결구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케이블은 별도의 접속모듈을 통하여 접속됨을 특징으로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숫연결구와 암연결구의 접속부에는 기밀누설을 방지하기위한 다단의 오링 또는 패킹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형 접속수단은,
    상기 실내기 및 실외기측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볼키가 체결되기 위한 홈턱을 형성한 숫연결구와;
    상기 숫연결구에 대응하여 상기 몰드배관측에 구성되며, 주면에 다수의 볼키가 구비되고 상기 볼키를 체결 및 해제하기 위한 스프링과 체결링을 외주면에 구비한 암연결구로 구성되는 커플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2002-0008327A 2002-02-16 2002-02-16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437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27A KR100437727B1 (ko) 2002-02-16 2002-02-16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8327A KR100437727B1 (ko) 2002-02-16 2002-02-16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653U Division KR200278352Y1 (ko) 2002-02-16 2002-02-16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5127A true KR20020025127A (ko) 2002-04-03
KR100437727B1 KR100437727B1 (ko) 2004-06-30

Family

ID=19719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327A KR100437727B1 (ko) 2002-02-16 2002-02-16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77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598B1 (ko) * 2006-11-09 2008-04-16 황성수 콤팩트형 에어컨 배관 압력시험장치
KR101142378B1 (ko) * 2005-07-04 201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용 액세서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685B1 (ko) 2019-06-03 2019-08-19 주식회사 비엠티 실내기와 실외기 상호 간을 연결하는 다중케이블 구조
KR102344699B1 (ko) 2020-11-30 2021-12-29 (주) 이사나라 에어컨의 매립 배관 교체 작업용 장비
KR102651180B1 (ko) 2021-12-24 2024-03-25 (주)이사나라 에어컨 매립배관 교체시의 인출부하 측정장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6070U (ko) * 1985-05-14 1986-11-20
JPH07174362A (ja) * 1991-01-22 1995-07-14 Koji Fukai セパレートエアコン用の配管
KR0120142Y1 (ko) * 1994-11-16 1998-08-17 심우석 급수호스 연결구
JPH1163566A (ja) * 1997-08-13 1999-03-05 Osaka Gas Co Ltd 空調配管
KR100269937B1 (ko) * 1998-07-04 2000-10-16 손화현 냉매파이프 연결구
KR200275715Y1 (ko) * 2002-02-14 2002-05-13 황성수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2378B1 (ko) * 2005-07-04 2012-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용 액세서리
KR100822598B1 (ko) * 2006-11-09 2008-04-16 황성수 콤팩트형 에어컨 배관 압력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7727B1 (ko) 200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5809A4 (en) INTEGRAL AIR CONDITIONING
KR100437727B1 (ko)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200278352Y1 (ko)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100728249B1 (ko) 단열재가 내장된 수전함
KR100384762B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KR200275715Y1 (ko) 매립관을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JP2000179896A (ja) 空気調和機の配管取付構造
KR200438741Y1 (ko) 에어컨 설치배관용 플러그
KR100511249B1 (ko) 매립관 손상감시구조를 포함하는 분리형 에어컨의 배관구조
JPH083812Y2 (ja) 流体管の配管構造
KR200440907Y1 (ko) 에어컨 냉매배관용 보온호스
KR200241662Y1 (ko) 환기 및 급기덕트의 덕트 연결구
JP3312198B2 (ja) エアコン冷媒管用保護カバー
CN220669642U (zh) 空气处理装置
KR100974953B1 (ko) 에어컨의 배관 결합장치.
KR200311116Y1 (ko) 에어컨용 배관선 장치
KR200300026Y1 (ko) 에어컨 배관 구조물
JPS63140228A (ja) 冷暖房機
JPS596372Y2 (ja) 冷凍装置
KR200280130Y1 (ko) 스팀 난방설비의 배출 밸브장치
KR200220103Y1 (ko) 냉온수 공급용 호스
JPH1163566A (ja) 空調配管
KR20150002750U (ko) 에어컨 배관 연결용 통합매립관
JP2004076879A (ja) 配管の施工方法及び配管セット
JPH011483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