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817A - 플립 폰의 플립 닫힘 상태의 검출 - Google Patents

플립 폰의 플립 닫힘 상태의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817A
KR20020024817A KR1020017014124A KR20017014124A KR20020024817A KR 20020024817 A KR20020024817 A KR 20020024817A KR 1020017014124 A KR1020017014124 A KR 1020017014124A KR 20017014124 A KR20017014124 A KR 20017014124A KR 20020024817 A KR20020024817 A KR 20020024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keypad
flip cover
contacts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5245B1 (ko
Inventor
클랙스톤다니엘디
케르리차드
비즈가진더
Original Assignee
밀러 럿셀 비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밀러 럿셀 비,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밀러 럿셀 비
Publication of KR20020024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5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5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control of the receiver volume to provide a dual operational mode at close or far distance from the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장치의 플립 커버의 열린, 그리고 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 검출 회로는 저항 회로망과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ADC) 를 포함한다. 플립 커버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회로는 콘택 세트를 통하여 고유의 저항 값을 검출한다. 이 전압 레벨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의 입력을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ADC 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플립 커버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연결은 차단되고, 따라서 고유의 저항 값을 검출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얻어지는 전압 레벨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의 입력을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ADC 를 통하여 디지탈 신호로 변환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서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는 통신 장치가 플립 커버의 열린/닫힌 상태의 검출에 따라 적당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플립 폰의 플립 닫힘 상태의 검출{DETECTION OF FLIP CLOSURE STATE OF A FLIP PHON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전화기 플립 커버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
오늘날, 많은 이동통신 장치들이 무선 전화기 기술에 의해 개인 정보 관리를 제공하는 핸드헬드 (hand-held) 컴퓨터 플랫폼에 결합되고 있다. 그러한 핸드헬드 컴퓨터 장치를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라 한다. 겸용 (combination) 이동통신 장치는, 일반적으로 2 개의 개별 장치로 동작하므로, 무선 전화기와 PDA 의 개별 입력 장치를 판독하기 위하여, 개별 LCD (liquid crystal display) 및 부가 회로가 필요하다.
컴퓨터 및 전화기용 입력 장치로서, 매트릭스 인코드된 키보드 및 키패드를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키보드 및 키패드는 일반적으로 가요성회로 (flex circuit) 상에 탑재되며, 어느 키가 눌려졌는지 검출하기 위하여 다수의 신호 경로 (즉, 와이어 또는 도전성 트레이스) 를 요구한다. 예컨대, 16 개의 입력 키를 구비하는 4 ×4 매트릭스 키패드는 8 개의 신호 경로가 필요하다. 키보드 또는 키패드를 플립 커버 상에 구현하는 경우, 무선 전화기 또는 PDA 의 경우와 같이,힌지 (hinge) 를 통하여 다수의 신호 경로를 통신 장치의 본체로 라우팅 (routing) 한다. 이러한 힌지를 통한 다수의 신호 경로의 라우팅은, 항상 플립 커버를 쥐어서 그 장치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그 장치의 내구성이 감소되어, 힌지 또는 가요성회로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다.
많은 PDA 는, 터치 패널 디스플레이 (touch panel display) 를 판독하기 위하여, 2 채널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가 필요하다. 이러한 PDA 를 키패드를 플립 커버 상에 설치한 무선 전화기에 결합하는 경우, 부가 회로는 일반적으로 플립 커버 상의 키패드를 판독하기 위한 부가적인 ADC 와 무선 전화기 디스플레이용 부가적인 LCD 를 구비한다.
따라서, 경량이며, 내구성있고, 작동이 쉬운 플립 커버를 갖는 PDA 와 무선 전화기를 통합하는데 효율적이고도, 비용 효율적인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또한,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사용자 지향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PDA 와 무선 전화기의 통합이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플립 전화기와 PDA 를 효율적으로 통합시키는 통신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된 요구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단일 유닛으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플립 커버의 열림과 닫힘은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스위치를 기동시킨다. 플립 커버가 열려 있는 경우, 통신 장치는 무선 전화기와 PDA 겸용으로 동작한다. 이를 스마트폰 (SMARTPHONE) 동작 모드라고 한다. 플립 커버가 닫혀있는 경우, 통신 장치는 표준 무선 전화기로동작한다. 이는 키패드 (KEYPAD) 동작 모드라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플립 커버와 힌지를 로터리 스위치로 동작시켜,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플립 커버의 내표면의 측면에 다수의 콘택 (multiple contacts) 을 배치하고, 통신 장치의 본체의 각 측면에 단일의 콘택 (single contact) 을 배치한다. 플립 커버의 내표면의 측면에 배치한 각 콘택은 통신 장치의 서로 다른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플립 커버가 닫힌 위치부터 스탠드로서의 최종 위치까지 회전함에 따라, 통신 장치의 본체로부터의 콘택이 플립 커버 상의 콘택 중의 한 콘택과 접속하여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가 변경된다. 3 개의 동작 모드, 키패드 모드, 스마트폰 모드, 및 스피커폰 (SPEAKERPHONE) 모드가 이하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플립 커버의 열린, 그리고 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이다. 이 검출 회로는 저항 회로망과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ADC) 를 구비한다. 플립 커버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회로는 콘택 세트를 통하여 고유 저항값을 검출한다. 이 전압 레벨을, 마이크로프로세서로의 입력을 위하여, ADC 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플립 커버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접속이 차단되며, 따라서 고유 저항값의 검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얻어지는 전압 레벨을, 마이크로프로세서로의 입력을 위하여, ADC 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내에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는 통신 장치를 플립 커버의 열린/닫힌 상태의 검출에 따라서 적당한 모드로 동작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구조 및 동작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특징 및 이점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도면부호는 통상 동일한, 기능적으로 유사한, 및/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대응부재를 나타낸다. 대응 도면부호에서 최좌측 숫자는 최초로 부재가 도시된 도면번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특징들, 목적들, 및 이점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며, 도면 중 동일 도면부호는 대응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동일 도면부호는 통상 동일한, 기능적으로 유사한, 및/또는 구조적으로 유사한 대응부재를 나타낸다. 대응 도면부호에서 최좌측 숫자는 최초로 부재가 도시된 도면번호를 나타낸다.
도 1 은 플립 커버가 닫힌 위치에 있는 통신 장치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플립 커버가 열린 위치에 있는 통신 장치의 실시예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플립 커버를 사용하여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 는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정하기 위해 플립 커버의 내표면의 측면 상에 다수의 콘택을 배치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플립 커버를 스탠드로 이용하는 통신 장치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플립 커버의 내표면의 측면에 위치한 콘택을 이용한 모드 선택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 은 플립 커버의 열린, 그리고 닫힌 상태의 검출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이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시예의 일례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및 매우 유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 내에서의 부가적인 변형, 응용 및 실시예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립 전화기와 PDA 겸용으로 구성되는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립 커버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은 표준 셀룰러 전화기로 동작한다. 이 동작 모드를 키패드 모드라고 한다. 플립 커버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본 발명은 또한 PDA 와 전화기로 동작한다. 이 동작 모드를 스마트폰 모드라고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플립 전화기와 PDA 겸용의 동작 모드를 형성하는 플립 커버의 열림 및 닫힘에 의하여 제어되는 스위치를 구현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플립 커버와 힌지를 로터리 스위치로 동작시켜 통신 장치의 동작 모드의 선택을 제어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저항 회로의 존재를 검출하는 검출 회로를 사용하여 플립 커버의 열린/닫힌 상태의 검출을 달성한다.
도 1 은 플립 커버가 닫힌 상태, 즉 키패드 모드에 있는 통신 장치 (100) 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통신 장치 (100) 는 본체 (102) 와 플립 커버 (112) 를 구비한다. 본체 (102) 는 LCD (104), 스피커 (106), 마이크로폰 (108), 및 안테나 (110) 를 구비한다. 플립 커버 (112) 는 플립 힌지 (114), 외표면 (116), 및 내표면 (208) (도 2 에 도시됨) 을 구비한다. 플립 힌지 (114) 는 그 플립 힌지 (114) 주위로 플립 커버 (112) 를 회전시킴으로써 플립 커버 (112) 가 열리고, 그리고 닫히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인트 장치이다. 또한, 플립 힌지 (114) 는 플립 커버 (112) 를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플립 커버 (112) 의 외표면 (116) 은 키패드 (118) 를 구비한다. 키패드 (118) 는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표준 전화 키패드이다.
플립 커버 (112) 가 닫혀 있는 경우, LCD 디스플레이 (104) 의 일부분만이 노출된다. LCD 디스플레이 (104) 의 이 부분은 날짜, 시간, 재다이얼 기능, 및 메뉴와 같은 다양한 전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또한, 신호 강도 표시기 (signal strength indicator) 및 디지탈 표시기도 디스플레이된다. 신호 강도 표시기는 안테나 (110) 를 통하여 수신되고 있는 신호의 강도를 표시한다. 디지탈 표시기는 전화가 디지탈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표시한다. 마이크로폰 (108) 과 스피커 (106) 는 각각 소리 압력, 즉 음성의 변화를 전기 신호의 변화로, 또는 전기 신호의 변화를 소리 압력, 즉 음성의 변화로 변환시키는데 사용한다. 안테나 (110) 는 통신 장치 (100) 로, 그리고 통신 장치 (100) 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한다.
도 2 는 플립 커버가 열린 위치, 즉 스마트폰 모드에 있는 통신 장치 (100) 의 정면도이다.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는 LCD (104) 의 전체 화면을디스플레이한다. LCD (104) 의 저부가 PDA 에 관련된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 반면, LCD (104) 의 상부는 전화기의 기능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한다. 그러한 기능들은 메모장, 주소록, 일정 리스트, 비용 관리, 계산기, 노트, 게임, 이메일, 웹, 및 경보 관리 기능과 같은 PalmTM Ⅲ organizer 에 있는 모든 개인 관리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는 PDA 버튼 (202), 제 1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4), 및 제 2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6) 을 구비한다. PDA 버튼 (202) 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도 6 및 7 에 도시됨) 로의 사용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플립 커버 (112) 가 닫힌, 그리고 열린 위치 모두의 경우에, 마이크로폰 (108) 은 노출된다. 이것은 플립 커버 (112) 의 저부에 있는 열린 사각형의 공간 때문이다.
플립 커버 (112) 의 내표면 (208) 은 제 1 콘택 (210) 및 제 2 콘택 (212) 을 구비한다. 플립 커버 (112) 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제 1 콘택 (210) 이 제 1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콘택 (212) 은 제 2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키패드 (118) 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 (도 7 에 도시됨) 로의 사용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
PDA 및 모드 선택을 갖는 플립 폰
본 발명은 스위치를 기동시킴으로써, 플립 전화기와 PDA 의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 본 발명은 통신 장치 (100) 의 플립 커버 (112) 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기동시킨다. 도 3 은 통신 장치 (100) 의 동작 모드를 검출하는 회로 (300) 의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회로 (300) 는 통신 장치 (100) 의 플립 커버 (112)와 본체 (102) 를 구비한다. 통신 장치 (100) 는 스위치 (302),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및 풀업 (pull-up) 저항기 R 을 구비한다. 스위치 (302) 의 일단은 그라운드 (306) 에 접속된다. 스위치 (302) 의 타단은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에 접속된다. 풀업 저항기 R 은 일단에서 전압원 V 에 접속되고, 타단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및 스위치 (302) 에 접속된다. 전압원 V 는 약 +3.3 volt 이고, 저항기 R 은 약 100 ㏀ 이다. 본 명세서를 읽은 후에, 당업자는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V 와 R 에 대한 다른 값을 사용하여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플립 커버 (112) 의 내표면 (208) 은 플라스틱 편 (308) 을 구비한다. 플립 커버 (112) 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플라스틱 편 (308) 은 스위치 (302) 와 맞물린다 (engage). 플립 커버 (112) 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플라스틱 편 (308) 은 스위치 (302) 가 닫힌 위치에 있게 하고, 그리하여 로우 (low) 레벨까지 동작 모드 표시기 신호 (310) 를 끌어내린다. 플립 커버 (112) 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플라스틱 편 (308) 은 스위치 (302) 를 해제한다 (disengage). 플립 커버 (112) 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플라스틱 조각 (308) 의 해제에 의해 스위치 (302) 가 열리며, 풀업 저항기 R 을 통한 전압원 V 는 동작 모드 표시기 신호 (310) 를 발생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내로 하이 (high) 레벨을 입력한다. 동작 모드 표시기 신호 (310)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에 통신 장치 (100) 의 현재의 동작 모드를 지시한다. 동작 모드 표시기 신호 (310) 가 참 (하이) 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통신 장치 (100) 를 스마트폰 모드에서 동작시킨다. 동작 모드 신호 (310) 가 거짓 (로우) 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가 통신 장치 (100) 를 키패드 모드에서 동작시킨다. 당업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304)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작성할 수 있다.
플립 위치를 사용하여 플립 전화 동작 모드를 선택
또한, 당업자는 플립 커버 (112) 의 위치에 근거하여 통신 장치 (100) 에 대한 다른 동작 모드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립 커버와 힌지를 로터리 스위치로 동작시켜, 통신 장치 (100) 의 동작 모드의 선택을 제어한다.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의 양 측면에 단일의 콘택이 위치하는 반면, 플립 커버 (112) 의 내표면 (208) 의 측면에 다수의 콘택이 위치하고 있다. 플립 커버 (112) 가 힌지 (114) 주위로 회전함에 따라, 플립 커버 (112) 의 내부 콘택이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의 측면의 콘택과 접속되어, 각 접속이 서로 다른 동작 모드를 지시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플립 커버 (112) 의 각 내표면 (208) 의 측면에 3 개의 콘택들을 배치한다. 3 개의 콘택 (402, 404, 및 406) 이 표시하는 3 개의 동작 모드는 각각 키패드 모드, 스마트폰 모드, 및 스피커폰 모드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에 다수의 콘택을 배치하고, 플립 커버 (112) 의 각 내면의 측면에 단일한 콘택을 배치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 는 플립 커버 (112) 의 위치에 근거하여 서로 다른 동작 모드를 부여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플립 커버 (112) 의 내면은 일측에 3 개의콘택 (402, 404, 및 406) (원형 점선으로 도시됨) 을, 반대측에 3 개의 콘택 (610, 612, 614) (도 6 에 도시됨) 을 구비한다. 콘택 (408) (사각형 점선으로 도시됨) 은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에 제공된다. 또 다른 콘택 (616) (도 6 에 도시됨) 은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의 타측에 위치한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키패드 모드에서 표준 전화기로, 스마트폰 모드에서 PDA 및 전화기로, 스피커폰 모드에서 스피커폰으로 동작한다. 플립 커버 (112) 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플립 콘택 (402 및 610) 은 각각 콘택 (408 및 616) 과 접속된다. 이 접속은 키패드 동작 모드를 표시한다. 플립 커버 (112) 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플립 콘택 (404 및 612) 은 각각 콘택 (408 및 616) 과 접속된다. 이 접속은 스마트폰 동작 모드를 표시한다. 플립 콘택 (406 및 614) 이 각각 콘택 (408 및 616) 과 접속되어 있는 경우, 동작 모드는 스피커폰 모드이다. 스피커폰 모드에서는, 플립 커버 (112) 가 뒤로 끝까지 접혀져, 플립 커버 (112) 가 스탠드로 기능한다. 통신 장치가 스피커폰 모드에 있는 경우, 그 표면측에 대면하여 (against the side of one's face), 핸드헬드 구성과는 반대로 (being in the handgeld configuration), 스탠드 상으로 (on the stand) 있는 것을 나타내며, 통신 장치 (100) 의 볼륨은 증가한다. 도 5 는 플립 커버 (112) 를 스탠드로 배치한 통신 장치 (100) 를 나타낸다.
도 6 에, 플립 커버 (112) 의 측면에 콘택 (402-408) 및 (610-616) 을 배치하는 경우의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회로 (600) 는 플립 커버 (112) 로부터의 회로 및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의 회로를 포함한다. 플립 커버 (112) 로부터의 회로는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상의 콘택 (408, 616) 과 함께 플립 커버 (112) 상의 콘택 (402, 404, 406, 및 610) 을 통하여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의 회로와 접속된다.
플립 커버 (112) 상에 있는 회로는 키패드 (118) 의 일측 상의 콘택 (610-614) 및 저항기 R13 에, 키패드 (118) 의 타측 상의 콘택 (402) 및 저항기 R14 에 접속되는 키패드 (118) 를 포함한다. 저항기 R13 의 타측은 콘택 (406) 에 접속된다. 저항기 R14 의 타측은 콘택 (404) 에 접속된다. 콘택 (610, 612, 및 614) 은 함께 결합된다.
키패드 (118) 용 회로는 사다리형 저항 회로망이다. 키패드 (118) 용 사다리형 저항 회로망은 다수의 저항기 (604) 에 접속되는 다수의 키 (602) 를 구비한다. 각 키 (602) 는 하나의 저항기 (604) 에 접속된다. 또한, 각 키 (602) 는 스위치로 구현된다. 주어진 키 (602) 가 눌려진 경우, 그 키 (602) 와 연관된 저항기 (604) 가 그 눌려진 키 (602) 를 나타내는 고유의 전압 레벨을 제공하여, 그 눌려진 키 (602) 와 또 다른 키 (602) 를 식별한다.
콘택 (610 및 402) 이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에 접속되도록 플립 커버 (112) 를 배치하는 경우, 통신 장치 (100) 는 키패드 모드로 동작한다. 각 키 (602) 와 연관되는 저항기는 눌려진 키 (602) 에 직접 접속된 대응 저항기 (604) 이다. 예컨대, 키 K1 와 연관되는 저항 값은 저항기 R1 이고, 키 K2 는 저항기 R2, 키 K3 는 저항기 R3 등이다.
콘택 (612 및 404) 이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에 접속되도록 플립커버 (112) 를 배치하는 경우, 통신 장치 (100) 는 스마트폰 모드로 동작한다. 각 키 (602) 와 연관되는 저항은 눌려진 키 (602) 및 직렬 저항기 R14 에 직접 접속된 대응 저항 (604) 이다. 예컨대, 키 K1 와 연관된 저항 값은 저항기 R14 와 직렬인 저항기 R1 이고, 키 K2 는 저항기 R14 와 직렬인 저항기 R2, 키 K3 은 저항기 R14 와 직렬인 저항기 R3 등이다. 그러므로, 저항기 R14 는 바이어스로 동작하여, 키패드 (118) 에 대한 오프셋을 제공한다. 키 (602) 가 눌려지지 않은 경우, 저항기 R14 는 기능하지 않는다. 키 (602) 가 눌려진 경우, 저항기 R14 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606)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에 도시됨) 상의 서로 다른 범위로 전체 키패드 (118) 를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는, 통신 장치 (100) 가 스마트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키패드 (118) 로부터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콘택 (614 및 406) 이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와 접속되도록 플립 커버 (112) 를 배치하는 경우, 통신 장치 (100) 는 스피커폰 모드로 동작한다. 통신 장치 (100) 가 스피커폰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키패드 (118) 는 루프를 벗어나고, 저항 값은 이제 저항기 R13 이 된다.
저항기 R1 내지 R12 의 값은 키패드 (118) 상의 각 키 (602) 에 대하여 판독하는 고유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하여 선택한다. 또한, 통신 장치 (100) 가 스피커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또는 키 (602) 가 눌려지고, 통신 장치 (100) 가 스마트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각각 고유의 전압 판독을 제공하기 위하여 R13 및 R14 는 선택한다.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의 회로는 콘택 (616 및 408),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ADC) (606),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PNP 트랜지스터 (620), 및 2 개의 저항기 R15 및 R16 을 포함한다. 콘택 (408) 은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콘택 (616) 은 ADC (606) 와 저항기 R15 에 접속된다. 콘택 (616) 은 플립 커버 (112) 로부터의 신호를 ADC (606) 에 제공한다. ADC (606)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에 접속된다. ADC (606) 는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로의 입력을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화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는 PWR 키패드로 불리는 신호를 저항기 R16 을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 (620) 의 베이스에 출력한다. PWR 키패드는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가 키패드 (118) 에 대한 전원을 턴온 (turn-on) 및 턴오프 (turn-off)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PNP 트랜지스터 (620) 의 이미터는 전압원 VS 에 접속된다. VS 는 통상적으로 +3.3 volt 이나, 애플리케이션마다 변경할 수도 있다. PNP 트랜지스터 (620) 의 콜렉터는 저항기 R15 의 타단에 접속된다.
대체 실시예에서는, R14 를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에 배치한다.
동작시,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PWR 키패드를 인에이블시켜 하이 전압 레벨을 저항기 R16 을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 (620) 의 베이스에 출력하여 PNP 트랜지스터 (620) 를 턴온하도록 인에이블한다. PNP 트랜지스터가 턴온되는 경우, 전류가 전압원 VS 로부터 PNP 트랜지스터 (620) 를 통하여 흘러서, 키패드 (118) 에 전력이 공급된다. 저항기 R15 는 ADC (606) 로의 입력을 위하여 플립 커버 (112) 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한다.회로가 플립 커버 (112) 로부터의 어느 콘택이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상의 콘택에 접속하는지에 따라서, 어느 신호가 ADC (606) 에 의하여 처리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에 의해 판독되는지를 판정한다. 플립 커버 (112) 가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 분리되면, ADC (606) 는 VS 에서 PNP 트랜지스터 (620) 의 이미터부터 콜렉터까지의 전압강하 및 저항기 R15 에서의 전압강하를 뺀 전압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 (608) 는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대응 전압 레벨로부터 그 동작 모드를 판정한다.
플립 전화기의 플립 닫힘 상태의 검출
도 7 에, 통신 장치 (100) 의 플립 커버 (112) 의 열린/닫힌 상태의 검출이 도시되어 있다. 회로 (700) 는 플립 커버 (112) 로부터의 회로 및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의 회로를 포함한다. 플립 커버 (112) 가 닫힌 위치에 있는 경우, 플립 커버로부터의 회로는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콘택 (210) 이 제 1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4)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제 2 콘택 (212) 이 제 2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6) 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키패드 (118) 로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로의 사용자 입력을 행할 수 있다.
플립 커버 (112) 에 있는 회로는 키패드 (118) 의 일측에서 제 1 콘택 (210) 및 저항기 R13 과 접속되고, 키패드 (118) 의 타측에서 제 2 콘택 (212) 및 저항기 R13 의 타단에 접속되는 키패드 (118) 를 포함한다. 키패드 (118) 용 회로는사다리형 저항 회로망이다. 키패드 (118) 용 사다리형 저항 회로망은 다수의 저항기 (704) 에 접속된 다수의 키 (702) 를 포함한다. 각각의 키 (702) 는 하나의 저항기 (704) 에 접속된다. 각각의 키 (702) 는 또한 스위치로 구현한다. 주어진 키 (702) 가 눌려진 경우, 그 키 (702) 와 연관된 저항기 (704) 가 그 눌려진 키 (702) 를 나타내는 고유의 전압 레벨을 제공하여, 그 눌려진 키 (702) 와 또 다른 키 (702) 를 식별한다.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의 회로는 제 1 및 제 2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4 및 206),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 (ADC) (706),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PNP 트랜지스터 (720), 및 2 개의 저항기 R14 및 R15 를 포함한다. 제 2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6) 은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제 1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4) 은 ADC (706) 및 저항기 R15 에 접속된다. 제 1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 (204) 은 플립 커버 (112) 로부터의 신호를 ADC (706) 에 제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가 신호를 판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ADC (706) 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화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PWR 키패드라고 불리는 신호를 저항기 R14 를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 (720) 의 베이스로 출력한다. PWR 키패드는, 키패드 (118) 에 대한 전원을 턴온 및 턴오프함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가 키패드 (118) 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PNP 트랜지스터 (720) 의 이미터는 전압원 VS 에 접속된다. VS 는 통상적으로 +3.3 volt 이나, 에플리케이션마다 변경할 수도 있다. PNP 트랜지스터 (720) 의 콜렉터는 저항기 R15 의 타단에 접속된다.
동작시,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는 PWR 키패드를인에이블시켜 하이 전압 레벨을 저항기 R14 를 통하여 PNP 트랜지스터 (720) 의 베이스에 출력하여 PNP 트랜지스터 (720) 를 턴온시킨다. PNP 트랜지스터 (720) 가 턴온되는 경우, 전류가 전압원 VS 로부터 PNP 트랜지스터 (720) 를 통하여 흘러서, 키패드 (118) 에 전력이 공급된다. 저항기 R15 는 ADC (706) 로의 입력을 위하여 플립 커버 (112) 로부터 전송되고 있는 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플립 커버 (112) 가 닫히고, 그리고 어떠한 키 (702) 도 눌려지지 않은 경우, 콘택 (210) 에서의 전압은 R13 에 걸친 전압강하에 근거한 고유의 전압이다. 이것은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가 회로를 가로지르는 단지 저항기 R13 의 값만에 근거하여 플립 커버 (112) 가 닫혀있는 것을 검출 가능하게 한다. 키 (702) 가 눌려진 경우, 눌려진 키 (702) 에 연관된 저항은 저항기 R13 과 병렬인 저항기 (704) 이다. 예컨대, 키 K1 과 연관된 저항 값은 저항기 R13 과 병렬인 R1, 키 K2 는 저항기 R13 과 병렬인 R2, K3 은 저항기 R13 과 병렬인 R3 등이다.
저항기 R1 내지 R12 의 값은 키패드 (118) 상의 각 키 (702) 에 대하여 고유 저항값을 부여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또한, R13 은, 어떠한 키 (702) 도 눌려지지 않은 경우에, 고유 저항 판독을 부여하기 위하여 선택된다. 플립 커버 (112) 가 열린 위치에 있는 경우, 즉 통신 장치 (100) 의 본체 (102) 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경우, ADC (706) 는 VS 에서 PNP 트랜지스터 (720) 의 이미터부터 콜렉터까지의 전압강하 (VEC) 및 저항기 R15 에서의 전압강하 (VR15) 를 뺀 전압 신호를 입력으로 수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통한 마이크로프로세서 (708) 는 플립 커버 (112) 의 위치에 연관된 구별되는 전력레벨에 근거하여 플립 커버 (112) 의 그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한다.
결론
본 발명이 플립 전화기 및 PDA 겸용의 관점에서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또한 플립 커버를 사용하는 다른 다기능 휴대 장치에 응용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술한 기재를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거나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한다. 발명을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 및 기재하였지만, 당업자는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형태나 세부사항에 대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Claims (28)

  1. 전기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으로서,
    제 1 전기 콘택 세트와 상기 제 1 전기 콘택 세트들 간에 연결된 저항 회로를 가지는 제 1 부분;
    제 2 전기 콘택 세트를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과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부분의 열린/닫힌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콘택 세트와 제 2 콘택 세트 간의 전기적 접속이 형성되거나 차단될 수 있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전기적 접속이 상기 제 1 부분 내의 상기 저항 회로로부터의 전압 측정치, 또는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의 전압 측정치에 근거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상기 제 1 콘택 세트와 제 2 콘택 세트 간의 상기 전기적 접속이 형성되거나 차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측정치에 근거하여 상기 시스템을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측정치를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될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컨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회로는 단일 저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회로는 상기 키패드 상에 눌려지는 키와 연관된 저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전원을 턴온 및 턴오프함으로써 상기 제 1 부분을 제어하는 스위칭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위칭 회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 세트는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제 1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 1 부분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제 1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 1 부분이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플립 커버이고, 상기 제 2 부분은 PD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사다리형 저항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닫힌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키패드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시스템은 스마트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전기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제 2 콘택 세트를 가지며 장치의 제 1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장치의 제 2 부분으로부터, 제 1 콘택 세트와 그 제 1 전기 콘택 세트들 간에 연결되는 저항 회로를 갖는 제 1 부분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 1 부분의 열린/닫힌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제 1 콘택 세트와 상기 제 2 콘택 세트 간의 전기적 접속이 형성되는지, 또는 차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부분의 열린/닫힌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가 제 1 및 제 2 모드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인에이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기적 접속이 상기 제 1 부분 내의 상기 저항 회로로부터의 전압 측정치 및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의 전압 측정치 중 하나에 근거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 측정치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회로는 단일 저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키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회로는 상기 키패드 상에 눌려지는 키와 연관된 저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콘택 세트는 스프링 로드형 포고 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닫힌 상태인 경우에 상기 장치는 제 1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 1 부분이 열린 상태인 경우에 상기 장치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열린 상태인 경우에 상기 장치는 제 1 모드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 1 부분이 닫힌 상태인 경우에 상기 장치는 제 2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플립 커버이고, 상기 제 2 부분은 PD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립 커버는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사다리형 저항 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닫힌 상태인 경우, 상기 장치는 키패드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이 열린 상태인 경우, 상기 장치는 스마트폰 모드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14124A 1999-05-06 2000-05-05 전자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252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282499P 1999-05-06 1999-05-06
US60/132,824 1999-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817A true KR20020024817A (ko) 2002-04-01
KR100825245B1 KR100825245B1 (ko) 2008-04-25

Family

ID=2245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124A KR100825245B1 (ko) 1999-05-06 2000-05-05 전자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434404B1 (ko)
EP (1) EP1175768A1 (ko)
KR (1) KR100825245B1 (ko)
CN (1) CN1168276C (ko)
AU (1) AU767415B2 (ko)
BR (1) BR0011307A (ko)
CA (1) CA2371097C (ko)
HK (1) HK1047509B (ko)
WO (1) WO2000069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91508B1 (fr) * 1999-03-22 2001-06-08 Cit Alcatel Telephone portable avec volet articule par rapport au boitier
TW536903B (en) * 2000-05-03 2003-06-11 Benq Corp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of a cover of a cellular phone
JP3428564B2 (ja) * 2000-05-17 2003-07-22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装置
CN2439095Y (zh) * 2000-09-12 2001-07-11 英业达集团(南京)电子技术有限公司 输入按键的固定结构
US6842627B2 (en) * 2001-05-18 2005-01-1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ltipart housing electrical connection
US20020183099A1 (en) * 2001-05-30 2002-12-05 Lee Man Wei Multiple display panels for different modes of operation for conveying personality
JP4642292B2 (ja) * 2001-09-06 2011-03-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りたたみ式の無線端末、通話開始方法および通話開始プログラム
KR100403370B1 (ko) * 2001-09-29 2003-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싱 장치
US6807430B2 (en) * 2001-10-24 2004-10-19 Qualcomm Inc.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back-lighting and high key press noise margin
JP2003186613A (ja) * 2001-12-21 2003-07-04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
EP1345390B1 (en) * 2002-03-13 2005-12-21 Agere Systems Limited Flip-cover sensor for keypad
US7706516B2 (en) * 2002-10-02 2010-04-27 Avaya Inc. Intelligent handling of message refusal
US9572095B2 (en) * 2002-05-06 2017-02-14 Avaya Inc. Intelligent selection of message delivery mechanism
US7142664B2 (en) * 2002-05-06 2006-11-28 Avaya Technology Corp. Intelligent multimode message alerts
US7046784B2 (en) 2002-05-06 2006-05-16 Avaya Technology Corp. Polite call waiting notification
US9558475B2 (en) * 2002-05-06 2017-01-31 Avaya Inc. Location based to-do list reminders
TW582679U (en) * 2002-05-13 2004-04-01 Quanta Comp Inc Mobile phone
US20040204000A1 (en) * 2002-05-30 2004-10-14 Aaron Dietri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luding an array sensor
JP2004029960A (ja) * 2002-06-21 2004-01-29 Fujitsu Ltd 携帯情報機器、携帯情報機器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40203673A1 (en) * 2002-07-01 2004-10-14 Seligmann Doree Duncan Intelligent incoming message notification
JP2004056188A (ja) * 2002-07-16 2004-02-19 Bosu & K Consulting Kk 折り畳み式携帯電話
JP2004147279A (ja) * 2002-08-30 2004-05-20 Fujitsu Ltd 折り畳み式電子機器
US7039443B2 (en) * 2002-10-11 2006-05-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itiating a communication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474678B1 (ko) * 2002-10-24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입력 확장성을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JP3961397B2 (ja) * 2002-10-29 2007-08-22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20040203520A1 (en) * 2002-12-20 2004-10-14 Tom Schirtzinger Apparatus and method for application control in an electronic device
US6928279B2 (en) * 2003-02-27 2005-08-09 Avaya Technologies Corp. Peer-to-peer discovery for location-based forwarding
WO2004110032A1 (ja) * 2003-06-06 2004-12-16 Fujitsu Limited 携帯型端末装置、携帯型端末装置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通知方法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通知プログラム
CN1326380C (zh) * 2003-12-23 2007-07-11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翻盖式电子装置及检测翻盖打开关闭状态的方法
US20050277439A1 (en) * 2004-06-14 2005-12-15 Nora Brelo Rotatable phone
JP4111957B2 (ja) * 2004-04-09 2008-07-02 フェニックス コリア 株式会社 回転して広げられたり折り畳まれたりできる二つの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装置及びその携帯装置に使用されるヒンジ装置
CN1993968B (zh) * 2004-05-31 2013-01-02 夏普株式会社 便携式通信终端
KR100553436B1 (ko) * 2004-06-21 2006-02-2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개폐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N1764360A (zh) * 2004-10-20 2006-04-26 摩托罗拉公司 可闭合电子设备
KR100661559B1 (ko) * 2004-12-30 2006-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60281503A1 (en) * 2005-06-13 2006-12-14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dicating presence for an online service with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US20070032275A1 (en) * 2005-07-25 2007-02-08 Adamant Kogyo Co., Ltd. Internal optical fiber hinge system for a consumer electronic device
FR2889399B1 (fr) * 2005-07-27 2009-07-03 Archos Sa Dispositif de television numerique terrestre portable comprenant un dispositif de reception d'un signal numerique de faible puissance
US20070222765A1 (en) * 2006-03-22 2007-09-27 Nokia Corporation Slider input lid on touchscreen
WO2008063814A2 (en) * 2006-11-21 2008-05-29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all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80132300A1 (en) * 2006-11-30 2008-06-0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portable device by movement of a flip portion of the device
US7446691B2 (en) * 2007-03-29 2008-11-04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xed signal sources using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WO2009001431A1 (ja) * 2007-06-25 2008-12-31 Panasonic Corporation 通信端末装置
US20090186662A1 (en) * 2008-01-18 2009-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US8367235B2 (en) 2008-01-18 2013-02-05 Mophie, Inc. Battery pack, holster, and extendible processing and interface platform for mobile devices
US8489157B2 (en) * 2008-01-18 2013-07-16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extended dual-hinged interconnector
US8611971B2 (en) * 2008-01-18 2013-12-17 Blackberry Limited Hinging interconnector for a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US8208979B2 (en) * 2008-03-04 2012-06-26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open and close events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143749B2 (en) * 2008-11-06 2012-03-27 Qualcomm Incorporated Dual current switch detection circuit with selective activation
US8681131B2 (en) * 2009-06-29 2014-03-2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assembly
CN101995911B (zh) * 2009-08-11 2012-10-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笔记本电脑
US8687361B2 (en) 2011-03-11 2014-04-01 Blackberry Limited Clamshe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put device in hinge
EP2498480B1 (en) * 2011-03-11 2013-05-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Clamshell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put device in hinge
US9755444B2 (en) * 2013-02-25 2017-09-05 Mophie, Inc. Protective case with switch cover
EP2974044A4 (en) 2013-03-15 2016-11-09 Mophie Inc PROTECTIVE HOUSING FOR A MOBILE DEVICE
US10033204B2 (en) 2014-09-03 2018-07-24 Mophi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ing and management
USD797091S1 (en) 2014-11-25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97092S1 (en) 2014-11-25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797093S1 (en) 2014-12-03 2017-09-12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D861653S1 (en) 2015-05-27 2019-10-01 Mophie Inc. Protective battery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D950538S1 (en) * 2016-03-03 2022-05-03 Mophie Inc. Case for a mobile electronic device
US10516431B2 (en) 2017-11-21 2019-12-24 Mophie Inc. Mobile device case for receiving wireless signals
US11157058B2 (en) * 2019-05-29 2021-10-26 Motorola Mobility Llc Setting polling interval of open/closed position sensor for a movable portion of an electronic device based on activity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CN116085385B (zh) * 2023-04-10 2023-07-18 合肥联宝信息技术有限公司 转轴组件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4054A (en) * 1994-07-18 1996-12-10 Motorola, Inc.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movable front cover for exposing a touch sensitive display
US6046730A (en) * 1996-03-15 2000-04-04 At&T Corp Backlighting scheme for a multimedia terminal keypad
WO1998019434A1 (en) 1996-10-29 1998-05-07 Ericsson Inc.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ual keypads
US6115620A (en) * 1998-05-20 2000-09-05 Motorola, Inc. Mode-switch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34404B1 (en) 2002-08-13
CA2371097C (en) 2008-06-17
BR0011307A (pt) 2002-04-30
HK1047509B (zh) 2005-05-27
CN1168276C (zh) 2004-09-22
EP1175768A1 (en) 2002-01-30
CN1372750A (zh) 2002-10-02
WO2000069149A1 (en) 2000-11-16
CA2371097A1 (en) 2000-11-16
AU4700800A (en) 2000-11-21
AU767415B2 (en) 2003-11-06
KR100825245B1 (ko) 2008-04-25
HK1047509A1 (en) 200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5245B1 (ko) 전자 장치의 열린/닫힌 상태를 검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742547B1 (ko) 플립 위치를 이용한 플립 폰 동작 모드의 선택
US7050764B2 (en) Illuminated interchangeable bezel assembly for a cellular telephone
US6768899B2 (en) Rotational mechanism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954764B1 (ko) 사용자 교환형 이동 전화 키패드
KR20030046891A (ko) 상폴더 외부에 터치스크린과 기능키를 구비하는 폴더형이동통신단말기
US7321789B2 (en) Folding information processor
KR100678064B1 (ko) 휴대 단말기의 조이스틱 장치
WO2000069151A1 (en) Flip phone with pda and mode selection
KR100795739B1 (ko) 플립 위치를 이용한 플립 폰 동작 모드의 선택
JP3688317B2 (ja) 携帯形無線装置
US6448919B1 (en) ADC sharing for keypad and tough panel of a phone
KR100807473B1 (ko) 휴대전화기의 오동작 방지 스위치
KR200225629Y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KR101023131B1 (ko) 양면 표시장치를 갖는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
WO2000069033A1 (en) Two-pin connection for portable phone keypad
KR20040077192A (ko) 이중 스피커를 구비하고 그의 절체를 위한 상폴더 회전형이동통신 단말기
JP2009032201A (ja) 電子機器
KR20060044063A (ko) 터치 스크린 방식에 의해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진동 출력 모드를 설정/해제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50081602A (ko) 이중 안테나 구조의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
JP2005026818A (ja) 携帯電子機器
JP2003101630A (ja) 無線通信装置
KR20090071326A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키입력부 설정 방법
KR20070066272A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316

Effective date: 200801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