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4356A -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4356A
KR20020024356A KR1020000056080A KR20000056080A KR20020024356A KR 20020024356 A KR20020024356 A KR 20020024356A KR 1020000056080 A KR1020000056080 A KR 1020000056080A KR 20000056080 A KR20000056080 A KR 20000056080A KR 20020024356 A KR20020024356 A KR 20020024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shopping mall
chat
shopp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명
신현우
Original Assignee
신현우
주식회사옥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우, 주식회사옥시 filed Critical 신현우
Priority to KR1020000056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4356A/ko
Publication of KR2002002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35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쇼핑몰 관리 서버, 채팅 서버 등의 연동작용을 통해, 고객이 일련의 쇼핑과정, 채팅과정 등을 온라인상에서 한꺼번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시스템의 채팅기능을 통해, 각 고객들 사이에 자유로운 의사 소통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해당 고객은 상품을 구매할 때, 채팅에 참가한 다른 사람들의 조언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결국, 고객은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하면서도, 마치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할 때와 같은 장점을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채팅에 참가한 타인의 조언을 충분히 참고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최종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충분한 확신감을 갖을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인터넷 쇼핑몰 운영업체에서는 고객의 구매의욕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인터넷 쇼핑몰의 전체적인 상품 매출액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System for operating a internet shopping mal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Internet shopping mall operating system)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이 일련의 채팅과정을 통해 다른 고객과 충분한 의사소통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고객이 마치, 오프라인 방식과 마찬가지로, 타인의 조언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인터넷의 활용이 보편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인터넷의 보편화 추세에 맞추어, 많은 고객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여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물건을 구매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은 예컨대,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23993 호 "인터넷을 통한 쇼핑몰 서비스 운용 시스템",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7416 호 "인터넷을 이용한 쇼핑몰 운영방법",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37427 호 "지역별 상점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한국특허공개공보 제 2000-49924 호 "CGI를 사용하지 않는 인터넷 쇼핑몰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방법" 등에 좀더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통상, 이러한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먼저, 일련의 웹서핑(Web-surfing)을 통해 인터넷 쇼핑몰에 가상으로 전시된 상품들을 면밀히 둘러본 후, 자신이 원하는 상품을 취사 선택하여 해당 상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후, 인터넷 쇼핑몰을 통해 구매된 상품은 인터넷 쇼핑몰 운영업체와 일련의 계약을 맺은 배송업체에 의해 고객에게 오프라인(Off-line)으로 배송되며, 결국, 고객은 자신이 가상의 공간에서 선택한 상품을 현물로 편리하게 받아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할 경우, 고객들은 쇼핑몰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단지, 몇 번의 클릭과정 만으로도 자신이 필요로 하는 상품을 손쉽게 구매할 수 있는 장점을 획득할 수 있게 되는데, 이와 대조적으로, 고객이 온라인 방식의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할 경우, 고객은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과정에서 손쉽게 향유할 수 있던 많은 장점을 어쩔 수 없이 포기하여야만 한다.
예컨대, 고객이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경우, 고객은 함께 동행한 친구, 동료, 부모, 형제 등으로부터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하여 다양한 정보를 취득하고, 이 정보를 참고하여, 상품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최종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충분한 확신감을 갖을 수 있지만, 만약, 고객이 온라인 방식의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여 상품을 구매할 경우, 고객은 타인의 조언을 전혀 받지 못한 상태에서, 단지, 자신의 독자적인 판단에 의해 상품을 선택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결국, 최종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충분한 확신감을 갖을 수 없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만 한다.
이 경우, 상품에 대한 확신감 저하로 인해, 고객의 구매의욕이 크게 낮아지게 되며, 그 결과, 인터넷 쇼핑몰 운영업체에서는 전체적인 상품 매출액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정체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 쇼핑몰의 일부에 일련의 채팅 기능을 추가로 부여하고, 이를 통해,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이 상품을 구매할 때, 채팅에 참가한 다른 사람의 조언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고객이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하면서도,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할 때의 장점을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이 채팅에 참가한 타인의 조언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객이 자신이 최종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충분한 확신감을 갖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국, 고객의 구매의욕을 극대화시키고, 이를 기반으로, 인터넷 쇼핑몰의 전체적인 상품 매출액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베이스(D/B:Data Base; 이하, "D/B"라 칭함) 관리 서버, 웹 인터페이스부, 쇼핑몰 관리서버, 어플리케이션 로더 및 채팅 서버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때, D/B 관리 서버는 일련의 쇼핑몰 관리 데이터, 고객 관리 데이터 및 상품 정보 관리 데이터를 D/B 블록의 필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D/B 블록의 필요 영역으로부터 이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웹 인터페이스부는 임의의 고객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쇼핑 페이지 생성요청이 있는 경우, 상술한 D/B 관리 서버에 의해 추출된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쇼핑 페이지를 생성하여, 고객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쇼핑몰 관리서버는 상술한 D/B 관리 서버, 웹 인터페이스부 등과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결정하고, 이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련의 쇼핑몰 관리 과정을 진행하는데, 이때, 쇼핑몰 관리 서브는 특히, 고객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채팅요청이 있는 경우, 소정의 채팅 프로그램이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있는가의 유무,이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있는가의 유무 등을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채팅 프로그램을 새로이 설치하거나,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기 설치되어 있는 채팅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쇼핑몰 관리 서버는 D/B 관리 서버, 웹 인터페이스부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 로더와도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하는데, 이 경우, 어플리케이션 로더는 쇼핑몰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하고 있는 채팅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이 채팅 프로그램을 쇼핑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채팅 서버는 앞의 쇼핑몰 관리 서버와 쌍을 이루어 연동되는데, 이 상태에서, 채팅 서버는 만약,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의해 채팅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다수의 고객들이 이 채팅 프로그램을 매개로, 일련의 채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이 채팅 이벤트에 맞추어 채팅을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경우, 앞서 언급한 쇼핑몰 관리 서버, 채팅 서버 등의 연동작용에 의해 고객의 쇼핑과정, 채팅과정 등이 온라인상에서 한꺼번에 진행되기 때문에, 고객은 상품을 구매할 때, 채팅에 참가한 다른 사람들의 조언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결국, 고객은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하면서도, 마치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할 때와 같은 장점을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채팅에 참가한 타인의 조언을 충분히 참고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최종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충분한 확신감을갖을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인터넷 쇼핑몰 운영업체에서는 고객의 구매의욕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인터넷 쇼핑몰의 전체적인 상품 매출액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네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100)은 D/B 블록(60), D/B 관리 서버(50), 웹 인터페이스부(10), 쇼핑몰 관리 서버(20), 어플리케이션 로더(30), 채팅 서버(70) 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술한 D/B 블록에는 일련의 "쇼핑몰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쇼핑몰 관리 D/B(61), 일련의 "고객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고객 관리 D/B(62), 일련의 "상품 정보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상품 정보 관리 D/B(63)가 구비된다.
이때, D/B 관리 서버(50)는 앞서 언급한 쇼핑몰 관리 데이터, 고객 관리 데이터, 상품 정보 관리 데이터 등을 D/B 블록(60)의 필요 영역, 예컨대, 쇼핑몰 관리 D/B(61), 고객 관리 D/B(62), 상품 정보 관리 D/B(63) 등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이 쇼핑몰 관리 D/B(61), 고객 관리 D/B(62), 상품 정보 관리 D/B(63) 등으로부터, 상술한 각종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D/B 관리 서버(50)는 단순히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출력하는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각종 데이터들을 중복됨 없이 가장 신속한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지능적인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쇼핑몰 관리서버(20)는 앞서 언급한 D/B 관리 서버(50)와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예컨대, 쇼핑몰 관리 D/B(61)에 담겨진 쇼핑몰 관리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결정하고, 이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련의 쇼핑몰 관리과정을 진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 로더(30)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들을 작동시키고, 이를 고객측 클라이언트들(1)로 전송시킴으로써, 상술한 쇼핑물 관리과정이 좀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웹 인터페이스부(10)는 쇼핑몰 관리 서버(20)와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한 상태에서, 임의의 고객측 클라이언트(1)와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한다.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들(1)로부터 일련의 쇼핑 페이지 생성요청이 있는 경우, 웹 인터페이스부(10)는 쇼핑몰 관리 서버(20)와의 데이터 교환을 기반으로 하여, 해당 쇼핑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 쇼핑 페이지를 인터넷망을 통해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웹 인터페이스부(10)와의 연동작용에 의해 일련의 쇼핑몰 운영과정을 진행할 뿐만 아니라, 추가로, 본 발명 고유의 채팅 환경 설정과정을 진행한다.
먼저, 본 발명의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만약, 임의의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채팅요청이 있는 경우, 일련의 채팅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는 채팅 프로그램이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설치되어 있는가의 유무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해당 채팅 프로그램을 새로이 설치한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어플리케이션 로더(30)는 쇼핑몰 관리 서버(20)의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하고 있는 채팅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이 채팅 프로그램을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채팅 프로그램의 설치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 고객은 종래와 달리, 일련의 인터넷 쇼핑과정과 채팅과정을 동시에 향유할 수 있는 기반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일련의 채팅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는 채팅 프로그램이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정상적으로 업데이트되어 있는가의 유무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설치되어 있는 해당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을 새로이 업데이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도, 앞서 언급한 어플리케이션로더(30)는 쇼핑몰 관리 서버(20)의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하고 있는 새로운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이 새로운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을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업데이트 과정이 완료되는 경우, 해당 고객은 기 설치된 채팅 프로그램을 본인이 직접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지 않고서도, 항상, 최신의 채팅 프로그램을 향유할 수 있는 이점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팅 서버(70)는 가상의 채팅룸들을 보유한 상태에서, 앞의 쇼핑몰 관리 서버(20)와 쌍을 이루어 연동되며, 이와 함께, 상술한 고객측 클라이언트(1)와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한다.
이러한 채팅 서버(70)는 만약,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의해 채팅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다수의 고객들이 이 채팅 프로그램을 매개로, 일련의 채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이 채팅 이벤트에 맞추어 채팅을 진행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을 운영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일련의 인터넷 쇼핑과정을 통해 임의의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은 고객측 클라이언트(1) 및 인터넷망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100)에 접속한다.
이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 인터페이스부(1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의 시스템 접속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1)가 시스템에 접속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웹 인터페이스부(10)는 플로우를 단계 S2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고객측 클라이언트(1)가 시스템에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웹 인터페이스부(10)는 일련의 로그인 페이지를 생성한 후,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이 로그인 페이지를 전송한다(단계 S3).
이 경우,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웹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페이지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시키고, 고객은 디스플레이된 로그인 페이지로 일련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로그인 정보의 입력과정이 완료되고, 고객이 전송을 선택하면,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작성이 완료된 로그인 정보 데이터를 웹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한다.
계속해서, 웹 인터페이스부(1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로그인 정보 데이터를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하고,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이 로그인 정보 데이터를 전달받은 상태에서, D/B 관리 서버(50)로 고객 관리 데이터의 추출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D/B 관리 서버(50)는 고객 관리 D/B(62)에 저장된 고객 관리 데이터를 추출한 후, 이를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하게 되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웹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전달된 로그인 정보와, D/B 관리 서버(50)로부터 전달된 고객 관리 데이터를 비교하여, 해당 고객이 등록된 고객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1)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이 등록된 고객이 아닌 경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웹 인터페이스부(10)를 제어하여, 고객의 등록을 요청하는 일련의 등록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 등록 페이지를 고객측 클라이언트(10)로 전송한다(단계 S5).
그러나, 고객측 클라이언트(10)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이 등록된 고객인 경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D/B 관리 서버(50)로 쇼핑몰 관리 데이터의 추출을 요구함과 아울러, 어플리케이션 로더(30)로 쇼핑몰의 관리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로드를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D/B 관리 서버(50) 및 어플리케이션 로더(30)는 각각 쇼핑몰 관리 D/B(61)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저장된 쇼핑몰 관리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추출하여, 이를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
이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D/B 관리 서버(50)로부터 전달되는 쇼핑몰 관리 데이터와, 어플리케이션 로더(30)로부터 전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조합하고, 이 조합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해당 조합 데이터를 웹 인터페이스부(10)로 전달한다.
이후, 웹 인터페이스부(10)는 쇼핑몰 관리 서버(20)로부터 전달되는 조합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일련의 채팅 항목이 첨부된 쇼핑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 쇼핑 페이지를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한다(단계 S6).
이 경우,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웹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전송된 쇼핑 페이지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고객이 가상의 쇼핑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해당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여러 항목들 중, 채팅 항목을 선택하고, 이를 전송하면,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작성이 완료된 고객 선택 데이터를 웹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하며, 그 즉시, 웹 인터페이스부(1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고객 선택 데이터를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
이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전달된 고객 선택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내용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일련의 채팅 항목을 선택한 것"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7).
이때, 고객 선택 데이터의 내용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일련의 채팅 항목을 선택한 것"이 아니면,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플로우를 단계 S8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고객 선택 데이터의 내용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일련의 채팅 항목을 선택한 것"이면,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웹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일련의 "채팅 프로그램 설치 확인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 채팅 프로그램 설치 확인 페이지를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한다.
이 경우,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웹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전송되는 채팅 프로그램 설치 확인 페이지를 신속히 해석하여, 자신의 소프트웨어 설정사항을 점검하고, 자신 보유한 소프트웨어들 중에, 쇼핑몰 관리 서버(20)가 요구하는 채팅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웹 인터페이스부(10)로 빠르게 전송하며, 그 즉시, 웹 인터페이스부(1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확인 데이터를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
이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확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내용이 "채팅 프로그램이 기 설치되어 있음"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9).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채팅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 고객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전송된 확인 데이터의 내용이 "채팅 프로그램이 기 설치되어 있음"이 아닌 경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 로더(30)로 채팅 프로그램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어플리케이션 로더(30)는 그 즉시,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한 해당 채팅 프로그램을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로딩하게 되고,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로딩이 완료된 채팅 프로그램을 웹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함으로써, 채팅 프로그램이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0). 이 경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채팅 프로그램은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사(Microsoft Co.)에서 개발된이른바, "엑티브-엑스(Active-X)" 기술을 통해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100)의 쇼핑몰 관리 서버(20)로부터 채팅 프로그램의 전송이 완료되면,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이 채팅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다운받아 설치함으로써, 고객이 일련의 인터넷 쇼핑과정과 채팅과정을 동시에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환경을 마련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9에서,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채팅 프로그램이 이미 설치되어 있어,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확인 데이터의 내용이 "채팅 프로그램이 기 설치되어 있음"인 경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가 일련의 채팅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는 기초적인 환경을 이미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웹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일련의 "채팅 프로그램 버전 업데이트 확인 페이지"를 생성한 후, 이 "채팅 프로그램 버전 업데이트 확인 페이지"를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한다.
이 경우,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웹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전송되는 "채팅 프로그램 버전 업데이트 확인 페이지"를 신속히 해석하여, 자신이 보유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을 점검하고, 해당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쇼핑몰 관리 서버(20)가 요구하는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 즉, 현재,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동일한가의 여부를 확인한 후, 그 결과를 웹 인터페이스부(10)로 빠르게 전송하며, 그 즉시, 웹 인터페이스부(1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확인 데이터를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한다.
이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확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내용이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동일함"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설치되어 있는 해당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보다 더 낮아,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확인 데이터의 내용이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동일함"이 아닌 경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어플리케이션 로더(30)로 버전이 업데이트된 채팅 프로그램의 추출을 요구하게 되며, 어플리케이션 로더(30)는 그 즉시,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한 해당 "업데이트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을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로딩하게 되고,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로딩이 완료된 "업데이트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을 웹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하여,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함으로써, "업데이트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이 해당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0). 물론, 이 "업데이트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된 이른바, "엑티브-엑스" 기술을 이용하여 프로그래밍된 소프트웨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100)의 쇼핑몰 관리 서버(20)로부터 "업데이트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이 "업데이트 버전의 채팅 프로그램"을 신속하게 다운받아 설치함으로써, 이후, 고객이 해당 채팅 프로그램을 직접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지않고서도, 항상, 최신의 채팅 프로그램을 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1에서,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설치되어 있는 해당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어플리케이션 서버(40)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동일하여,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전송된 확인 데이터의 내용이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동일함"인 경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가 일련의 채팅과정을 진행시킬 수 있는 모든 준비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정하고, D/B 관리 서버(50)로 채팅의 진행을 위한 기본 데이터, 예컨대, 고객 관리 데이터, 쇼핑몰 관리 데이터 등의 추출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D/B 관리 서버(50)는 고객 관리 D/B(62), 쇼핑몰 관리 D/B(61) 등에 저장되어 있는 고객 관리 데이터, 쇼핑몰 관리 데이터 등을 추출하여, 이 고객 관리 데이터, 쇼핑몰 관리 데이터 등을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하게 되며,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이 고객 관리 데이터,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컨대, "고객과 관련된 정보", "채팅 서버(70)의 주소(URL:Uniform Resource Locater)와 관련된 정보" 등을 파악하며, 이러한 파악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이 정보를 웹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함으로써,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기 설치된 채팅 프로그램이 쇼핑 페이지의 일부에서 안정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13).
이러한 "고객과 관련된 정보", "채팅 서버의 주소와 관련된 정보" 등이 전송되는 즉시,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이 정보들을 상술한 단계 S7, S9, S10을 통해설치 완료된 채팅 프로그램으로 전달하게 되고, 이러한 정보들이 전달되는 즉시, 채팅 프로그램은 상술한 쇼핑 페이지의 일부 영역에서 다른 창으로 활성화됨으로써, 고객이 일련의 쇼핑과정과, 채팅과정을 동시에 진행시킬 수 있는 기반 환경을 제공한다.
상술한 단계 S13이 진행될 때,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고객과 관련된 다양한 항목의 파라미터를 채팅 서버로 전달함으로써, 채팅 서버(70)가 "고객과 관련한 기본적인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채팅 서버(70)는 고객측 클라이언트(1)에 설치되어 있는 채팅 프로그램과 일련의 연동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예컨대, 고객측 클라이언트(2), 고객측 클라이언트(3), 고객측 클라이언트(4)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들이 일련의 채팅환경을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2), 고객측 클라이언트(3), 고객측 클라이언트(4)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들이 각 클라이언트들에 설치된 채팅 프로그램을 통해 채팅 서버(70)에 구비된 가상의 채팅룸에 로그인하고, 이 상태에서, 일련의 채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채팅 서버(70)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전체적인 채팅 과정의 원활한 진행을 유도한다(단계 S14).
여기서, 고객측 클라이언트(2), 고객측 클라이언트(3), 고객측 클라이언트(4)에 설치된 채팅 프로그램들은 서로, 예컨대, 유디피(UDP:User Datagram Protocol)를 통해 음성 데이터, 화상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음으로써, 고객측 클라이언트(2), 고객측 클라이언트(3), 고객측 클라이언트(4)를 통해로그인한 고객들이 일반적인 문자통신 뿐만 아니라, 예컨대, 화상채팅, 음성채팅 등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채팅 환경이 구성된 상태에서, 고객측 클라이언트(2), 고객측 클라이언트(3), 고객측 클라이언트(4)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들은 서로 간에 일련의 채팅을 원활하게 주고받을 수 있음으로써, 마치, 종래의 오프라인 쇼핑과정에서 향유하던 것과 같은 의사교환 과정을 온라인 상에서 동일하게 향유할 수 있다.
이 경우, 예컨대, 고객측 클라이언트(2)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은 고객측 클라이언트(3), 고객측 클라이언트(4)를 통해 로그인한 다른 고객에게, 현 쇼핑 페이지에 게시된 상품에 대한 조언을 요구할 수 있음으로써,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하면서도, 마치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할 때와 같은 장점을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4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웹 인터페이스부(10)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고객측 클라이언트(1)를 통해 로그인 한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이동항목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현 쇼핑 페이지 이외의 새로운 쇼핑 페이지로 이동하고자 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5).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1)를 통해 로그인 한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이동항목을 선택하지 않아,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이를 반영하는 고객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플로우를 후술하는 단계 S17로 진행한다.
그러나, 고객측 클라이언트(1)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이동항목을 선택하여,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이를 반영하는 별도의 고객 선택 데이터가 전송된 것으로 판정되면,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D/B 관리 서버(50)로 쇼핑몰의 관리에 필요한 쇼핑몰 관리 데이터의 추출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D/B 관리 서버(50)는 쇼핑몰 관리 D/B(61)에 저장된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쇼핑몰 관리 서버(20)로 전달하며, 이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D/B 관리 서버(50)로부터 전달되는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조합하고, 이 조합과정이 완료되는 즉시, 해당 조합 데이터를 웹 인터페이스부(10)로 전달한다.
이후, 웹 인터페이스부(10)는 쇼핑몰 관리 서버(20)로부터 전달되는 조합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상술한 쇼핑 페이지와 다른 내용을 담은 쇼핑 페이지를 생성하고, 이 쇼핑 페이지를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 전송한다(단계 S16).
이 경우, 고객측 클라이언트(1)는 웹 인터페이스부(10)로부터 전송된 쇼핑 페이지를 신속히 해석하여, 이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고객이 이전과 다른 종류의 쇼핑과정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물론, 이러한 새로운 종류의 쇼핑 페이지가 게시된 경우에도, 상술한 채팅 프로그램은 활성화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으로써, 앞의 채팅과정이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단계 S16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웹 인터페이스부(10)를 지속적으로 관측하여, "고객측 클라이언트(1)를 통해 로그인 한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채팅 종료 항목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채팅을 종료하고자 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7).
이때, 고객측 클라이언트(1)를 통해 로그인 한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채팅 종료 항목을 선택하지 않아,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이를 반영하는 고객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플로우를 상술한 단계 S14로 진행하여, 상술한 일련의 채팅과정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고객측 클라이언트(1)를 통해 로그인한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채팅 종료 항목을 선택하여,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이를 반영하는 고객 선택 데이터가 전송된 것으로 판정되면, 쇼핑몰 관리 서버(60)는 웹 인터페이스부(10)를 다시 한번 관측하여, 상술한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로그 아웃 항목을 선택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쇼핑몰 운영 시스템(100)으로부터 다른 웹 사이트로 이동하고자 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8).
이때, 해당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로그 아웃 항목을 선택하지 않아,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이를 반영하는 고객 선택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플로우를 단계 S19로 진행하여, 일련의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해당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로그 아웃 항목을 선택하여, 고객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이를 반영하는 고객 선택 데이터가 전송된 것으로 판정되면, 쇼핑몰 관리 서버(20)는 "고객이 쇼핑 페이지에 체류하면서, 발생시킨 이력 데이터", 예컨대, "고객이 구매한 상품 목록", "고객이 정보의 제공을 요구한 상품 목록" 등을 취합한 후, 이 이력 데이터를 D/B 관리 서버로 전달함으로써, 해당 고객이 웹 서핑 중에 선택한 내용이 정확히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단계 S20).
이후, 본 발명의 인터넷 쇼핑몰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 즉, D/B 관리 서버(50), 웹 인터페이스부(10), 쇼핑몰 관리 서버(20), 어플리케이션 로더(30), 채팅 서버(70) 등은 고객의 접속이 있을 때마다, 상술한 쇼핑과정, 채팅과정 등을 원활히 진행시킴으로써, 해당 고객이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하면서도, 마치,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할 때와 같은 장점을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쇼핑몰을 이용하는 고객이 일련의 채팅과정을 통해 쇼핑몰을 이용하는 다른 고객과 충분한 의사 소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당 고객이 마치, 오프라인 방식과 마찬가지로, 타인의 조언을 충분히 확보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술한 인터넷 쇼핑몰 뿐만 아니라, 이와 유사한 목적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인터넷 웹 사이트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쇼핑몰 및 그 운영방법에서는 쇼핑몰 관리 서버, 채팅 서버 등의 연동작용을 통해, 고객이 일련의 쇼핑과정, 채팅과정 등을 온라인상에서 한꺼번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시스템에 접속한 각 고객들 사이에 자유로운 의사 소통이 가능해 지기 때문에, 해당 고객은 상품을 구매할 때, 채팅에 참가한 다른 사람들의 조언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으며, 결국, 고객은 온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하면서도, 마치 오프라인 방식의 쇼핑몰을 이용할 때와 같은 장점을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채팅에 참가한 타인의 조언을 충분히 참고한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이 최종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충분한 확신감을 갖을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인터넷 쇼핑몰 운영업체에서는 고객의 구매의욕을 극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인터넷 쇼핑몰의 전체적인 상품 매출액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킬 수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Claims (4)

  1. 일련의 쇼핑몰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쇼핑몰 관리 데이터 베이스(D/B:Data Base), 일련의 고객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고객 관리 D/B 및 일련의 상품 정보 관리 데이터가 저장된 상품 정보 관리 D/B를 구비한 D/B 블록과;
    상기 쇼핑몰 관리 데이터, 고객 관리 데이터 및 상품 정보 관리 데이터를 상기 D/B 블록의 필요 영역에 선택적으로 저장하거나, 상기 D/B 블록의 필요 영역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추출하는 D/B 관리 서버와;
    임의의 고객측 클라이언트와 인터넷망을 통해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일련의 쇼핑 페이지 생성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D/B 관리 서버에 의해 추출된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당 쇼핑 페이지를 생성하여,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웹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D/B 관리 서버 및 웹 인터페이스부와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쇼핑몰 관리 데이터의 저장 및 추출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쇼핑몰 관리 데이터를 바탕으로, 일련의 쇼핑몰 관리 과정을 진행하며,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채팅요청이 있는 경우, 소정의 채팅 프로그램이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있는가의 유무, 상기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업데이트되어 있는가의 유무를 판별하고, 그 결과에 따라,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채팅 프로그램을 새로이 설치하거나,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기 설치되어 있는 상기 채팅 프로그램을 업 데이트하는 쇼핑몰 관리 서버와;
    상기 쇼핑몰 관리 서버와 일련의 통신관계를 형성하며, 상기 쇼핑몰 관리 서버의 요청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채팅 프로그램을 추출하고, 상기 채팅 프로그램을 상기 쇼핑몰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어플리케이션 로더와;
    가상의 채팅룸들을 보유한 상태에서, 상기 쇼핑몰 관리 서버와 쌍을 이루어 연동되며,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의해 상기 채팅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다수의 고객들이 상기 채팅 프로그램을 매개로 상기 채팅룸들에 로그인한 상태에서, 일련의 채팅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채팅 이벤트에 맞추어 채팅을 진행시키는 채팅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2. 임의의 특정 고객이 고객측 클라이언트를 통해 시스템에 접속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고객이 시스템에 접속한 경우, 상기 특정 고객의 등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특정 고객이 등록된 고객인 경우, 일련의 채팅항목이 첨부된 쇼핑 페이지를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고객이 상기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채팅 항목을 선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고객이 상기 쇼핑 페이지에 첨부된 채팅 항목을 선택한 경우,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일련의 채팅과정을 진행하기 위한 채팅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상기 채팅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있는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서로 동일한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있는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서로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고객과 관련된 정보 및 상기 채팅 프로그램이 접속할 채팅서버의 주소를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특정 고객과 관련된 파라미터값을 상기 채팅서버로 전달하여, 일련의 채팅과정을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고객이 상기 쇼핑 페이지의 이동 항목을 선택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고객이 상기 쇼핑 페이지의 이동 항목을 선택한 경우, 상기 쇼핑 페이지와 다른 내용의 쇼핑 페이지를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채팅과정이 종료되었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채팅과정이 종료된 경우, 상기 특정 고객이 상기 쇼핑 페이지로부터 로그아웃 하였는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고객이 상기 쇼핑 페이지로부터 로그아웃한 경우, 상기 특정 고객이 선택한 이력 데이터를 취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상기 채팅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을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채팅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있는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과 동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위치한 채팅 프로그램을 상기 고객측 클라이언트로 전송하여, 상기 채팅 프로그램의 버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쇼핑몰 운영방법.
KR1020000056080A 2000-09-25 2000-09-25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020024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80A KR20020024356A (ko) 2000-09-25 2000-09-25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6080A KR20020024356A (ko) 2000-09-25 2000-09-25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356A true KR20020024356A (ko) 2002-03-30

Family

ID=19690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080A KR20020024356A (ko) 2000-09-25 2000-09-25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435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6073A3 (en) * 2007-12-05 2009-08-06 Google Inc On-line payment transactions
WO2009145398A1 (en) * 2008-05-30 2009-12-03 Sk Telecom Co., Ltd.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shopping service of facilitating exchange of shopping information and online shopping method thereof
US8583501B2 (en) 2007-01-29 2013-11-12 Google Inc. On-line payment transactions
US9171302B2 (en) 2012-04-18 2015-10-27 Google Inc.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a secure element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3501B2 (en) 2007-01-29 2013-11-12 Google Inc. On-line payment transactions
US9721290B2 (en) 2007-01-29 2017-08-01 Google Inc. On-line payment transactions
WO2009076073A3 (en) * 2007-12-05 2009-08-06 Google Inc On-line payment transactions
US8793166B2 (en) 2007-12-05 2014-07-29 Google Inc. On-line payment transactions
WO2009145398A1 (en) * 2008-05-30 2009-12-03 Sk Telecom Co., Ltd. Server,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line shopping service of facilitating exchange of shopping information and online shopping method thereof
US9171302B2 (en) 2012-04-18 2015-10-27 Google Inc.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a secure element
US9984360B2 (en) 2012-04-18 2018-05-29 Google Llc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a secure element
US10628817B2 (en) 2012-04-18 2020-04-21 Google Llc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a secure element
US11042861B2 (en) 2012-04-18 2021-06-22 Google Llc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a secure element
US11704645B2 (en) 2012-04-18 2023-07-18 Google Llc Processing payment transactions without a secure 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9085B2 (en) Networked computer system for communicating and operating in a virtual reality environment
AU709436B2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hypermedium interactive
US20020026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linked multi-user groups of shared software applications
US20080021983A1 (en) System for delivering web content to fuel dispenser
US20090089364A1 (en) Arrangements for interactivity between a virtual universe and the world wide web
CN101364957B (zh) 基于即时通信平台管理虚拟形象的系统及方法
CN103282922A (zh) 向软件应用的终端用户提供帮助的方法
JP2006185427A (ja) 3次元映像制作サービスを提供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20024356A (ko) 인터넷 쇼핑몰 운영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4031315B2 (ja) Webページ表示画面共有システム
KR100400862B1 (ko) 시변 정보와 함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시스템및방법
JP2001306942A (ja) 使用者の作業領域を侵犯しないマルチメディア広告及び情報提供方法と、これを用いたマルチメディア広告及び情報提供装置
JP2003132003A (ja) 情報仲介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00024232A (ko) 시변 정보와 함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팅 시스템과방법
JP2002328852A (ja) Httpプロトコロル統一制御による高トランザクションの各種電子商取引対応マルチメディアダイレクトコマースシステム
JP4428959B2 (ja) 事象管理サーバ、事象管理システム、事象管理方法及び、事象管理プログラム
KR20230123602A (ko) 챗봇 서비스 연계 제공 시스템
KR20050041768A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캐릭터 미팅 이벤트관리방법
JP2003296497A (ja) 懸賞の抽選方法及び懸賞提供装置
WO20020755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user-interest based dynamic virtual environment
JP2007079803A (ja) バーチャルショッピングシステム
AU6061599A (en) A method for making a hypermedium interactive
KR20030033293A (ko) 각 화면상에 소프트웨어 개발자 또는 서비스센터 또는 컨설턴트의 연락처 표시 방법
JP2003518297A (ja) サーバベースのアクティブドキュメントの操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