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890A -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890A
KR20020023890A KR1020010085765A KR20010085765A KR20020023890A KR 20020023890 A KR20020023890 A KR 20020023890A KR 1020010085765 A KR1020010085765 A KR 1020010085765A KR 20010085765 A KR20010085765 A KR 20010085765A KR 20020023890 A KR20020023890 A KR 200200238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hole
center
guide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몽 필 김
Original Assignee
몽 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 필 김 filed Critical 몽 필 김
Priority to KR1020010085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890A/ko
Publication of KR2002002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89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0Shapes for preparing foodstuffs, e.g. meat-patty moulding devices, pudd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하향 배출되는 외피의 하단을 폐쇄하고, 폐쇄된 외피의 상부측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함과 동시에 수직 하향으로 일정량의 소를 공급하며, 소가 투입된 외피의 상부를 반원형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를 수평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개피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크랩을 줄여 떡의 반복투입을 억제하고, 외피의 성형과 동시에 소를 정확하게 공급시킬 수 있고, 소가 공급된 외피의 내부에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정확하고 균형 있는 형태의 개피떡을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 송편제조장치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개피떡을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인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e in rice cake}
본 발명은 개피떡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편제조장치의 외피성형부와 소공급부를 교체하여 개피떡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개피떡은 절편 덩이를 얇게 밀어 소를 넣고 반달 모양으로 찍어내며, 눌러 찍을 때 바람이 들어가 통통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람떡"이라칭한다.
이러한 개피떡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로는 여러 가지 형태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일례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고 1985-001752호 개피떡의 성형방법 및 성형장치를 들 수 있다.
선발명 특허의 개피떡 성형장치는 반죽공급통(7)에서 사출하는 떡반죽을 평면포피판(2)으로 성형하는 한 쌍의 평로울러(1)의 전면부에 설치한 벨트콘베이어(3) 양측으로 사출구(4b)가 주기적으로 개폐하는 제어마개를 구비한 소공급장치(4)와 평면포피판(2)의 양측을 기립시켜 절첩 중합시키는 수직안내드럼(5) 및 소공급장치(4)의 제어마개와 동기적으로 작용하는 회전캇터(6)가 순차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개피떡 성형방법은, 평판상으로 성형된 평면포피판을 밸트콘베이어(3)로 이송하면서 평면포피판위에 소를 낙하시킨 후 수직안내그럼(5)에 의하여 이송되는 평면포피판의 일측부를 수직상태로 기립시켜 기립된 일측부를 절곡하여 평면포피판을 두겹으로 중첩시키고, 소공급장치(4)의 제어마개의 작동기기와 동기적으로 작용하는 회전캇터(6)에 의하여 평면포피판을 진행 중에 반달형으로 절단 성형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피떡 제조방법 및 장치는, 평면포피판을 두겹으로 중첩시켜 반달형으로 절단하게 됨으로서, 스크랩이 많이 발생하고, 이 스크랩은 반복 투입함으로서,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잦은 반복투입으로 수분이 증발하여 떡의 형상이 불균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첩되는 평면포피판 사이로 소가 투입될 때 낙하위치가 불균형하여 정위치를 벗어나거나 외부로 이탈하는 결함이 있으며, 소가 삽입된 평면포피판을 회전캇터에 의해 반달형으로 절단할 때 그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함으로서, 공기의 주입 상태가 일정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개피떡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개피떡은 송편에 비하여 수요가 적을 뿐만 아니라, 송편제조장치와 표피 제조과정 및 소의 공급과정이 비슷함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기계로 제작되어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주고, 별도의 설치장소가 요구되며, 개피 제조장치의 사용이 빈번하지 않음으로서, 장시간 방치될 경우 청결유지에 어려움이 있어 비위생적인 결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랩을 줄여 반복투입을 억제하고, 외피의 성형과 동시에 소를 정확하게 공급시키며, 소가 공급된 외피의 내부에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고, 기존 송편제조장치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개피떡을 제조할 수 있는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개피떡 제조장치는, 후방에서 찐 떡을 전방 하향으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떡공급부가 구성되고, 떡공급부의 하부 측방으로 관통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소를 공급하는 소공급부가 구성되며, 떡공급부의수직안내관 직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작동하면서 떡을 절단하도록 절단부가 구성된 떡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떡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떡을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하향 배출하는 외피성형부와; 상기 외피의 내부 중앙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를 배출하여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투입하는 소공급부와; 소가 공급되는 외피의 하부를 수평으로 폐쇄하고, 상부를 반원형으로 폐쇄하면서 절단하는 절단부와; 외피의 상부측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도록 에어공급부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개피떡 제조방법은, 찐 떡을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하향 배출하는 단계와; 파이프 형태로 배출된 외피의 하단을 폐쇄하는 단계와; 하단이 폐쇄된 외피의 상부측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단계와; 하단이 폐쇄된 외피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를 배출하는 단계와; 배출된 소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투입하는 단계와: 소가 투입된 후 상부를 반원형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를 수평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개피떡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떡 제조기의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개피떡 제조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개피떡 제조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A"부 상세도
도 6는 본 발명 성형몰드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외피절단부의 평면구성도로서,
a는 작동 전 상태이고,
b는 작동 후 상태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것으로,
a는 외피가 배출되는 상태이고,
b는 외피의 하단이 폐쇄된 상태이며,
c는 외피의 내부에 소가 공급되는 상태이고,
d는 외피가 반원형으로 절단 및 폐쇄되는 상태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호퍼 11: 떡공급부
12: 소공급부 13: 수직안내관
20: 외피성형안내부재 30: 소공급안내부재
40: 소절단부 41: 절단봉
43: 코일형판스프링 44: 클러치
50: 외피절단부 51: 받침대
52: 작동블록 53: 고정블록
54: 지지판 55: 외측가이드봉
56: 내측가이드봉 A: 외피
S: 소 a: 스크랩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개피떡 제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떡제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개피떡 제조장치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개피떡 제조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떡 제조기는, 호퍼(10)에 담긴 찐 떡을 전방 하향으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떡공급부(11)와, 떡공급부(11)의 하부 측방으로 관통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소를 공급하는 소공급부(12)로 구성된다.
이러한 떡 제조기에 있어서, 본 발명 개피떡 제조장치는, 상기 떡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찐 떡을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하향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외피성형안내부재(20)가 구성되고, 상기 외피성형안내부재(20)를 내측에 수용하고 수직안내관(13) 하부에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소와 공기의 투입을 안내하는 소공급안내부재(30)가 구성되며, 떡공급부(11)의 수직안내관(13)과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설치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량의 소를 절단하는 소절단부(40)가 구성되고, 소가 투입된 외피의 하부를 수평으로 폐쇄하면서 절단함과 동시에 상부를 반원형으로 폐쇄하면서 절단하는 외피절단부(50)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피성형안내부재(2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부가 단차를 이룬 원통(21)의 하부에 1/2 이상 폐쇄되고 나머지가 반원형으로 개방된 배출구(22)가 구비되며, 원통(21)의 중간에 소정 직경 외향으로 확장한 몸체(23)의 일측벽에 중심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소유입홀(24)이 관통되고, 그 타측벽에서 중심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공기유입홈(25)이 형성되며, 그 단부와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하향으로 다수의 공기배출홀(26)이 관통되고, 상기 소유입홀(24)과 공기유입홈(25)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떡배출홀(27)이 구성된다.
상기 소공급안내부재(30)는, 상부의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 직경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축소되어 상.하부로 개방된 몸체(31)의 양측에 상기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소유입홀(24)과 대응하는 소공급홀(32)과, 공기유입홈(25)과 대응하는 공기공급홀(33)이 각각 통공된다.
상기 소절단부(40)는, 하단에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하단에 통공된 배출구(22)와 대응하도록 소정 높이 절취된 절단홈(42)을 하부에 구비하고 수직관(13)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는 길이의 절단봉(41)가 구성된다. 이 절단봉(41)는 상부측이 코일형 판스프링(43)에 장착되며, 절단봉(41)의 상단은 전자석클러치(44)에 연결되고, 전자클러치(44)는 모터(45)의 회전축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외피절단부(50)는, 베이스(B)의 상면에 받침판(51)이 안착되고, 받침판(51)의 상부에는 한 쌍으로 이룬 성형몰드(M)가 받침판(51)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링크(R)의 자유단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성형몰드(M)는, 도 6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로 된 작동블록(52)과 고정블록(53)이 2개 1조로 구비되어 작동블록(52)의 외측에 지지판(54)을 밀착시켜 다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수평으로 대향하게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블록(52)은, 중앙에 반원형으로 소정깊이 요입되고 외곽에 걸림홈(521)이 형성된 성형공간(522)을 구성하고, 성형공간(522)의 외측과 성형공간(522)의 내측에 안내공(523)(524)을 통공시킨다.
고정블록(53)은, 작동블록(52)의 성형공간(522) 외곽에 형성된 걸림홈(521)과 대응하여 형합되도록 반원형의 걸림돌기(531)를 구비하고, 그 외곽을 소정폭으로 절개하여 관통시킨 스크랩배출홀(532)을 구비하며, 스크랩배출홀(532)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철선(533)을 구비하고, 양측에는 작동블록(52)의 외측안내공(523) 대응하는 너트공(534)을 형성한다.
지지판(54)은, 작동블록(52)의 배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박판 중심에 상기 작동블록(52)의 각 안내공(523) 중심과 일치하는 나사삽입공(541)이 통공된다.
외측가이드봉(55)은, 일측단에 나선(551)이 형성되고 타측단에 나사체결공(5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가이드봉(55)의 나선(551)이 형성된 일측단을 고정블록(53)의 너트공(534)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단을 작동블록(52)의 외측안내공(523)으로 관통된다.
또한 내측가이드봉(56)은, 타측단에 나사체결공(561)을 형성한다. 이러한 내측가이드봉(56)이 구비되어 이를 작동블록(52)의 내측안내공(524)으로 관통된다.
이어서 각 안내공(523)(524)의 중심과 지지판(54)의 나사삽입공(541) 중심을 일치시킨 후 그 외측에서 스크류(542)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작동블록(52)의 외측 중심에 받침판(51)의 일측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링크(R)의 자유단을 연결하고, 작동블록(52)의 외측 중심에도 받침판(51)의 타측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링크(R)의 자유단을 연결한다.
상기 외피성형안내부재(20)는, 소공급안내부재(30)의 내부에 내장하여 송편제조장치(미도시)가 분리된 수직안내관(13)의 하단에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소절단부(40)의 절단봉(41)을 수직안내관(13)의 중심으로 삽입하여 안착시킨다. 이때 절단봉(41) 하단에 구성된 절단홈(42)은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중심을 관통하여 소유입홀(24)과 1/2로 통공된 배출구(22)의 내부에 일치하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해 개피떡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 7에 도시된 공정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통상에서와 같이 호퍼(10)에 담긴 떡은 떡공급부(11)를 통과하여 수직안내관(13)을 경유하여 수직 하부로 안내된다. 이렇게 수직 하부로 안내된 떡은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중심 양측에 통공된 떡배출홀(27)을 통과하여 하부로 배출되어 상광 하협으로 형성된 하부 공간으로 유입되고, 이 떡은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하단 외경과 소공급안내부재(30)의 내경 사이를 통과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외피(A)를 하향 배출된다.
이어서 외피절단부(50)가 동작하여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배출된 외피(A)의 하단을 폐쇄시킨다.
이렇게 외피(A)의 하단이 폐쇄되면 소공급부(12)로부터 유입된 소는 소공급안내부재(30)의 측벽에 수평으로 관통된 소공급홀(32)을 경유하여 이와 연통된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소유입홀(24)을 통과하여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소(S)는 절단홈(42)으로 안내되어 하부의 배출구(22)로 배출되며, 전기적 신호가 전자석클러치(44)로 전달되어 모터(45)와 분리되어 있던 절단봉(41)이자력에 의해 모터(45)와 부착되면 모터(45)의 회전력에 의해 절단봉(41)이 180도 회전하면서 하단의 절단홈(42) 외경이 소공급홀(32)의 내측을 따라 회전하여 적정한 길이로 소(S)를 절단한다. 소가 절단됨과 동시에 전자석클러치(44)에 전원이 차단되면 절단봉(41)은 코일판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180도 역회전하여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러한 동작이 연속 반복되면서 일정시간에 하나씩 소를 절단하여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A)의 내부로 공급한다.
한편 공기공급홀(33)과 공기유입홈(25)을 경유한 공기는 공기유입홈(25)과 교차하게 연통된 공기배출홀(26)을 통하여 소(S)가 공급된 외피(A)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외피의 절단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B)가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면, 이에 안착된 받침판(51) 양단에 연결된 링크(R)가 각각 내향으로 회동하여 작동블록(52)과 작동블록(52)을 밀착시킨다. 이때 외측가이드봉(55)과 함께 이동하는 내측가이드봉(56)은 지지판(54)을 외향으로 밀면서 성형공간(522)으로부터 이탈함과 동시에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A)를 반원형으로 절단하여 폐쇄함으로서 내부에 소와 공기가 공급된 반달형 개피떡을 성형함과 동시에 상부를 일직선으로 절단하여 폐쇄함으로서 연속되는 공정에 대비한다. 이렇게 절단된 후 발생하는 스크랩(a)은 걸림돌기(531)의 외곽으로 통공된 스크랩배출홀(53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재사용 가능하도록 회수된다.
이러한 일련의 공정은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되어 반달형상의 개피떡을 제공받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찐 떡을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하향 배출되는 외피의 하단을 폐쇄하고, 폐쇄된 외피의 상부측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함과 동시에 수직 하향으로 일정량의 소를 공급하며, 소가 투입된 외피의 상부를 반원형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를 수평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연속적으로 개피떡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스크랩을 줄여 떡의 반복투입을 억제하고, 외피의 성형과 동시에 소를 정확하게 공급시킬 수 있고, 소가 공급된 외피의 내부에 일정량의 공기를 주입할 수 있어 정확하고 균형 있는 형태의 개피떡을 제조할 수 있으며, 기존 송편제조장치의 동력원을 이용하여 개피떡을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Claims (7)

  1. 호퍼(10)에 담긴 찐 떡을 전방 하향으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떡공급부(11)와, 떡공급부(11)의 하부 측방으로 관통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소를 공급하는 소공급부(12)로 구성된 떡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떡공급부(11)에서 공급되는 찐 떡을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하향 배출하도록 안내하는 외피성형안내부재(20)와;
    상기 외피성형안내부재(20)를 내측에 수용하고 수직안내관(13) 하부에 체결되어 외부로부터 소와 공기의 투입을 안내하는 소공급안내부재(30)와;
    떡공급부(11)의 수직안내관(13)과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게 설치되어 정.역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일정량의 소를 절단하는 소절단부(40)와;
    소가 투입된 외피의 하부를 수평으로 폐쇄하면서 절단함과 동시에 상부를 반원형으로 폐쇄하면서 절단하는 외피절단부(5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피떡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외피성형안내부재(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단차를 이룬 원통(21)의 하부에 1/2 이상 폐쇄되고 나머지가 반원형으로 개방된 배출구(22)가 구비되며, 원통(21)의 중간에 소정 직경외향으로 확장한 몸체(23)의 일측벽에 중심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소유입홀(24)이 관통되고, 그 타측벽에서 중심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공기유입홈(25)이 형성되며, 그 단부와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하향으로 다수의 공기배출홀(26)이 관통되고, 상기 소유입홀(24)과 공기유입홈(25)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떡배출홀(27)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피떡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소공급안내부재(30)는,
    상부의 내주면에 나선이 형성되고 하부 직경이 내측으로 경사지게 축소되어 상.하부로 개방된 몸체(31)의 양측에 상기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소유입홀(24)과 대응하는 소공급홀(32)과, 공기유입홈(25)과 대응하는 공기공급홀(33)이 각각 통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피떡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소절단부(40)는,
    하단에 외피성형안내부재(20)의 하단에 통공된 배출구(22)와 대응하도록 소정 높이 절취된 절단홈(42)을 하부에 구비하고 수직관(13)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는 길이의 절단봉(41)가 구성된다. 이 절단봉(41)는 상부측이 코일형 판스프링(43)에 장착되며, 절단봉(41)의 상단은 전자석클러치(44)에 연결되고, 전자클러치(44)는 모터(45)의 회전축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피떡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외피절단부(50)는,
    베이스(B)의 상면에 받침판(51)이 안착되고, 그 상부에 작동블록(52)과 고정블록(53)이 2개 1조로 구비되어 작동블록(52)의 외측에 지지판(54)을 밀착시켜 다수의 가이드봉에 의해 수평으로 대향하게 연결한 성형몰드(M)가 받침판(51)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축설된 링크(R)의 자유단에 각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피떡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성형몰드(M)는,
    중앙에 반원형으로 소정깊이 요입되고 외곽에 걸림홈(521)이 형성된 성형공간(522)을 구성하고, 성형공간(522)의 외측과 성형공간(522)의 내측에 안내공(523)(524)을 통공시킨 작동블록(52)과;
    작동블록(52)의 성형공간(522) 외곽에 형성된 걸림홈(521)과 대응하여 형합되도록 반원형의 걸림돌기(531)를 구비하고, 그 외곽을 소정폭으로 절개하여 관통시킨 스크랩배출홀(532)을 구비하며, 스크랩배출홀(532)의 상부에는 횡방향으로 철선(533)을 구비하고, 양측에는 작동블록(52)의 외측안내공(523) 대응하는 너트공(534)을 형성한 고정블록(53)과;
    작동블록(52)의 배면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박판 중심에 상기 작동블록(52)의 각 안내공(523) 중심과 일치하는 나사삽입공(541)이 통공된 지지판(54)과;
    일측단에 나선(551)이 형성되고 타측단에 나사체결공(552)이 형성되고, 외측가이드봉(55)의 나선(551)이 형성된 일측단이 고정블록(53)의 너트공(534)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단이 작동블록(52)의 외측안내공(523)으로 관통되는 외측가이드봉(55)과;
    타측단에 나사체결공(561)이 형성되어 작동블록(52)의 내측안내공(524)으로 관통되는 내측가이드봉(56)과;
    각 안내공(523)(524)의 중심과 지지판(54)의 나사삽입공(541) 중심을 일치시킨 후 그 외측에서 체결되는 스크류(542)와;
    상기 작동블록(52)의 외측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링크(R)의 자유단을 연결하고, 작동블록(52)의 외측 중심에도 받침판(51)의 타측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링크(R)의 자유단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피떡 제조장치.
  7. 개피떡 제조방법에 있어서,
    찐 떡을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하향 배출하는 단계와;
    파이프 형태로 배출된 외피의 하단을 폐쇄하는 단계와;
    하단이 폐쇄된 외피의 상부측에서 일정량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단계와;
    하단이 폐쇄된 외피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소를 배출하는 단계와;
    배출된 소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투입하는 단계와:
    소가 투입된 후 상부를 반원형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킴과 동시에 그 상부를 수평으로 절단하면서 폐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피떡 제조방법.
KR1020010085765A 2001-12-27 2001-12-27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 KR200200238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65A KR20020023890A (ko) 2001-12-27 2001-12-27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5765A KR20020023890A (ko) 2001-12-27 2001-12-27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354U Division KR200270048Y1 (ko) 2001-12-27 2001-12-27 개피떡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890A true KR20020023890A (ko) 2002-03-29

Family

ID=19717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765A KR20020023890A (ko) 2001-12-27 2001-12-27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89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24B1 (ko) * 2019-08-05 2020-02-04 박태식 자동 떡 성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094U (ko) * 1986-06-20 1988-02-17 손병수 개피떡의 성형장치
KR880001678Y1 (ko) * 1985-01-16 1988-05-04 백승원 연탄 온수보일러의 굴뚝 연결장치
KR880003915Y1 (ko) * 1985-06-24 1988-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Vtr의 캡스턴 제어펄스 발생장치
KR890002188U (ko) * 1987-07-01 1989-03-28 가부시기가이샤 도요 타올 페어퍼 호울더
KR20000000711A (ko) * 1998-06-03 2000-01-15 정목영 초심형 식품의 제조방법
KR200206148Y1 (ko) * 1997-12-31 2000-12-01 임생규 떡 자동제조기
KR200252322Y1 (ko) * 2001-07-23 2001-11-17 김영환 개피떡 자동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678Y1 (ko) * 1985-01-16 1988-05-04 백승원 연탄 온수보일러의 굴뚝 연결장치
KR880003915Y1 (ko) * 1985-06-24 1988-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Vtr의 캡스턴 제어펄스 발생장치
KR880000094U (ko) * 1986-06-20 1988-02-17 손병수 개피떡의 성형장치
KR890002188U (ko) * 1987-07-01 1989-03-28 가부시기가이샤 도요 타올 페어퍼 호울더
KR200206148Y1 (ko) * 1997-12-31 2000-12-01 임생규 떡 자동제조기
KR20000000711A (ko) * 1998-06-03 2000-01-15 정목영 초심형 식품의 제조방법
KR200252322Y1 (ko) * 2001-07-23 2001-11-17 김영환 개피떡 자동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3524B1 (ko) * 2019-08-05 2020-02-04 박태식 자동 떡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4842A (en) Production apparatus to form the solid state food material completely wrapped and sealed with the clayish state food material into globular shape
KR20160099796A (ko) 만두제조장치
KR20080065059A (ko) 호떡·찐빵·왕만두 제조장치
KR101263278B1 (ko) 참치 등을 캔 가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023890A (ko) 개피떡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446863B1 (ko) 가래떡 성형장치
KR200270048Y1 (ko) 개피떡 제조장치
US5590589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pecialty ravioli configurations
KR102073524B1 (ko) 자동 떡 성형장치
US6231332B1 (en) Pizza rice molding apparatus
KR100404047B1 (ko) 꽈배기 자동 제조장치
US4755121A (en) Machine for producing dumplings or troffiette
CN114522761A (zh) 一种节能型饲料加工工艺及加工系统
KR20200125028A (ko) 곤약떡볶이 성형기
KR200371338Y1 (ko) 스트로우 스푼 성형기
CN217135962U (zh) 电阻自动传送剪切整形装置
CN214546890U (zh) 月饼生产装置
KR102073614B1 (ko) 만두 제조 장치
KR970004214Y1 (ko) 자동만두생산기의 만두피 제조기
KR102085732B1 (ko) 만두 제조 장치
KR100596515B1 (ko) 스트로우 스푼 성형기
JPH09285262A (ja) シャリ玉成形機
KR880002649Y1 (ko) 개피떡 자동제조기
KR200406211Y1 (ko) 소라형과자 성형압출기의 성형기
JP4879874B2 (ja) 練り製品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