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214A - 연료 분사 밸브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연료 분사 밸브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214A
KR20020023214A KR1020017012657A KR20017012657A KR20020023214A KR 20020023214 A KR20020023214 A KR 20020023214A KR 1020017012657 A KR1020017012657 A KR 1020017012657A KR 20017012657 A KR20017012657 A KR 20017012657A KR 20020023214 A KR20020023214 A KR 200200232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il
fuel injection
injection valve
magne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쯔 리거
하랄드 마이쉬
미카엘 휘벨
울리히 베커
위르겐 슈타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200232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2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1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electromagnets or fixed armature
    • F02M51/0617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electromagnets or fixed armature having two or more electro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2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6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 F02M51/06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 F02M51/0625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 F02M51/0664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 F02M51/0671Injectors peculiar thereto with means directly operating the valve needle using electromagnetic operating mea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f mobile armatures having a cylindrically or partly cylindrically shaped armature, e.g. entering the winding; having a plate-shaped or undulated armature entering the winding the armature having an elongated valve body attached theret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68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design or special circuit elements
    • F02D2041/2079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design or special circuit elements the circuit having several coils acting on the same anch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2007/1676Means for avoiding or reducing eddy currents in the magnetic circuit, e.g. radial sl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연료 분사 밸브(1), 특히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료 분사 밸브(1)는 아마츄어(3)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자기 코일(2), 상기 아마츄어(3)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자기 코일(4), 및 상기 아마츄어(3)와 넌포지티브하게 연결되어 밸브 폐쇄 몸체를 작동시키는 밸브 니들(1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기 코일(2)에 의해 힘이 폐쇄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가해질 수 있고, 상기 제 2 자기 코일(4)에 의해 힘이 개방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가해질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 분사 밸브 및 그 작동 방법{Fuel injection valv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연료 분사 밸브의 폐쇄 시간은 한편으로는 아마츄어와 코어 사이의 부착력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와류에 의해 연장된다. 상기 지연을 감소시키기 위해, 연료 분사 밸브를 여기시키는 전류 펄스의 종료 시 전류를 역 방향으로 자기 코일을 통해 흐르게 함으로써, 잔류 자계의 분해를 가속시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응하는 제어 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고 폐쇄 시간의 미미한 단축만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가능성은 연료 분사 밸브의 개방을 위한 제 1 자계와 연료 분사 밸브를 그 개방 위치에 홀딩하기 위한 제 2 자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홀딩 자계의 크기는 홀딩 자계의 차단 후 와류가 작아서 폐쇄 시간이 단축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선택된다.
독일 특허 DE 23 06 007 C3호에는 내연기관 내로 연료를 분사하기 위한 전자기적으로 작동 가능한 연료 분사 밸브가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는, 자기 코일이 3개의 권선을 가지며, 상기 권선들은 3개의 분리된 회로에 의해 트리거된다. 제 1 회로는 연료 분사 밸브의 신속한 개방을 위해 사용되고, 제 2 회로는 연료 분사 밸브의 개방 홀딩을 위해 사용되며, 제 3 회로는 연료 분사 밸브의 신속한 폐쇄를 위해 잔류 자계를 없애는 역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독일 특허 DE 23 06 007 C3호에 공지된 연료 분사 밸브의 단점은 자기 코일의 3개의 권선을 트리거시키는 3개의 회로를 가진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복잡하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로에 의해, 필요한 장소가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폐쇄 방향으로 향한 자기 힘 성분에 의해, 액티브한 복원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 및 청구항 제 10항의 전제부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작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 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스위칭 단계 및 스위칭 과정 동안 작용하는 힘의 다이어그램,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의 부분 Ⅲ의 세부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단면 Ⅳ-Ⅳ을 따른 슬롯을 갖지 않은 자심 및 2중 슬롯을 가진 자심의 자계의 확산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1의 단면 Ⅴ-Ⅴ을 따른 슬롯을 갖지 않은 자심 및 2중 슬롯을 가진 자심에서 와류의 진행을 나타낸 도면.
청구항 제 1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는 제 1 자기 코일에 의해 폐쇄 방향으로 폐쇄력이 발생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청구항 제 10항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2개의 자기 코일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개방이 준비된 다음, 폐쇄 방향으로 작용하는 자기 코일이 차단될 수 있다. 분사 과정의 시작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자기 코일 중 하나의 차단에 의해 개시되며, 이것은 개방 과정이 자기 코일들에 전류 공급에 의해 개시되는 통상의 장치와는 다르다. 이미 형성된 자계에 의해 스위칭 다이내믹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것은 짧은 개방 시간을 야기시킨다. 짧은 폐쇄 시간을 얻기 위해, 폐쇄 방향으로 역으로 수행될 수 있다.
청구범위 종속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청구항 제 1항에 제시된 연료 분사밸브 또는 청구항 제 10항에 제시된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자기 회로, 예컨대 코어 부분 또는 밸브 하우징의 축방향 슬롯에 의해, 와류의 영향이 감소될 수 있다.
자기 회로 사이에 있는 방사방향 갭, 즉 자화 불가능한 재료로 채워진 갭은 자력의 최대화를 야기시키는데, 그 이유는 자력 선속이 절연 작용 재료에 의해 약화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계가 서로 방해하지 않는다.
자기 코일 사이에 배치된 방사방향 갭에 의해, 최대 힘 및 힘의 평형이 매칭될 수 있다. 2개의 자기 코일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기 갭을 배치하면, 장치의 대칭이 이루어진다.
2개의 자기 코일에 반대 방향의, 대략 동일한 크기의 전류를 공급하여, 2개의 반대 자계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마츄어 부분에 리세스를 형성함으로써, 자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가동 부품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연료 분사 밸브(1)의 중심 부분의 단면도이다. 연료 분사 밸브(1)는 특히 외부 점화식 혼합물 압축 내연기관의 도시되지 않은 연소실 내로 연료를 직접 분사하기에 적합하다. 연료 분사 밸브(1)는 내부로 또는 외부로 개방되는 연료 분사 밸브(1)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내부로 개방되는 연료 분사 밸브(1)가 다루어진다.
연료 분사 밸브(1)는 실시예에서 2 부분으로 형성된 아마츄어(3)의 제 1 아마츄어 부분(5a)과 상호작용하는 제 1 자기 코일(2), 상기 아마츄어(3)의 제 2 아마츄어 부분(5b)과 상호작용하는 제 2 자기 코일(4)을 포함한다. 제 1 자기 코일(2)은 제 1 코일 지지체(6)에 감기고, 제 2 자기 코일(4)은 제 2 코일 지지체(7)에 감긴다. 제 1 자기 코일(2)은 제 1 코어 부분(8)을 둘러싸는 한편, 제 2 자기 코일(4)은 제 2 코어부분(9)을 둘러싼다. 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은 스트립(10)에 의해 축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스트립(10)은 제 1 자기 코일(2)을 향한 제 1 스트립 부분(10a), 및 제 2 자기 코일(4)을 향한 제 2 스트립 부분(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2개의 스트립 부분은 자화 불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층(11)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상기 스트립 부분(10a) 및 (10b)은 반드시 동일 크기를 갖지 않아도 된다.개방 또는 폐쇄 과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층(11)의 축방향 위치가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개방 과정을 위해 힘의 균형이 최적화되면, 자화 불가능한 층(11)의 축방향 위치가 중심 위치로부터 제 1 자기 코일(2)의 방향으로 약간 밀려진다. 이로 인해, 제 1 자기 코일(2)에 인접한 스트립 부분(10a)의 자력 선속 밀도가 스트립 부분(10b)의 자력 선속 밀도 보다 커진다.
제 1 아마츄어 부분(5a) 및 제 2 아마츄어 부분(5b)은 제 1 코어 부분(8)과 제 2 코어 부분(9) 사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서, 아마츄어 부분(5a) 및 (5b)은 각각 하나의 리세스(12)를 가지며, 상기 리세스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가동 부품의 중량을 감소시킨다.
밸브 니들(13)은 제 1 코어 부분(8), 제 2 코어 부분(9) 및 2개의 아마츄어 부분(5a) 및 (5b)을 통해 연장된다. 연료 분사 밸브(1)의 폐쇄 상태에서, 제 2 아마츄어 부분(5b)과 제 2 코어 부분(9) 사이에는 작동 갭(25)이 형성된다. 제 1 아마츄어 부분(5a)은 제 1 플랜지(14)를 통해 밸브 니들(13)과 작용 연결되는 한편, 제 2 아마츄어 부분(5b)은 제 2 플랜지(15)를 통해 밸브 니들(13)과 작용 연결된다.
제 2 코어 부분(9)의 중앙 리세스(23)내로 삽입된 초기 응력을 받는(prestressed) 슬리브(16)와 제 2 플랜지(15) 사이에는 풀백(pull back) 스프링(17)이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은 밸브 니들(13)을 분사 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밀봉 시이트에 대해 가압하므로 연료 분사 밸브(1)를 폐쇄 위치로 유지시킨다.
제 1 코어 부분(8)으로부터 분사 방향으로 볼 때, 가이드 부재(18), 밀봉 부재(19) 및 도시되지 않은 밸브 폐쇄 몸체가 이어진다.
연료 분사 밸브(1)는 밸브 하우징(20)에 의해 둘러 싸인다. 상기 밸브 하우징(20)은 제 2 자기 코일(4)의 영역 및 제 1 자기 코일(2)의 영역에, 예컨대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슬롯(21)을 갖는다. 상기 슬롯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연료 분사 밸브(1)의 작동 시, 와류의 영향 또는 밸브 하우징(20)내에서 유도되는 자계의 확산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슬롯을 가진 밸브 하우징(20)에 대한 대안으로서, 그러한 슬롯(21)이 예컨대 도 4B 및 도 5B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코어 부분(8) 및 (9)에 제공될 수도 있다.
연료는 중앙에서 공급되며, 화살표(22)로 표시된 흐름 방향으로 연료 분사 밸브(1)의 중앙 리세스(23), 아마츄어 부분(5a) 및 (5b)내의 연료 채널(24a), 및 가이드 부재(18)내의 연료 채널(24b)를 통해 밀봉 시이트로 안내된다.
반대 방향의 여기 전류가 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로 인가되면, 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자계가 유도된다. 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에서의 자계가 반대 방향이기 때문에, 분사방향 및 공급 방향에서의 자계 작용이 처음에 나타난다. 아마츄어(3)는 그것에 작용하는 제 1 자기 코일(2)의 자력에 의해 제 1 코어 부분(8)에 접한다. 제 2 자기 코일(4)의 작용은 제 2 아마츄어 부분(5b)과 제 2 코어 부분(9) 사이의 작동 갭(25)으로 인해 작다.
연료 분사 밸브(1)를 개방하기 위해, 제 1 자기 코일(2)을 여기시키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제 1 자기 코일(2)로부터 아마츄어(3)로 자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아마츄어(3)는 작동 갭(25)에 상응하는 구간 만큼 풀백 스프링(17)의 힘에 대항해서 제 2 자기 코일(4)내로 삽입된다. 이로 인해, 밸브 니들(13)이 개방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의해 제 2 플랜지(15)를 통해 움직인다. 밸브 니들(13)의 분사측 단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밸브 폐쇄 몸체가 형성된다. 상기 밸브 폐쇄 몸체는 밸브 니들(13)의 운동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밸브 시이트 면으로부터 들어올려짐으로써, 연료 분사 밸브(1)가 개방된다.
이제, 제 2 아마츄어 부분(5b)과 제 2 코어 부분(9) 사이에 형성된 작동 갭(25)이 폐쇄된다.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방 상태에서는, 동일한 크기의 작동 갭(25)이 제 1 아마츄어 부분(5a)과 제 1 코어 부분(8) 사이에 배치된다.
폐쇄 과정을 준비하기 위해, 제 1 자기 코일(2)에 다시 전류가 공급되면, 제 1 자기 코일(2)의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힘이 가해지지만, 상기 힘은 작동 갭(25)으로 인해 제 2 자기 코일(4)에 의한 힘 보다 작다. 제 2 자기 코일(4)을 여기시키는 전류가 차단되면, 아마츄어(3)는 풀백 스프링(17)과 제 1 자기 코일(2) 그리고 밸브 니들(13)의 힘의 합에 의해 분사 방향으로 가속된다. 제 1 자기 코일(2)의 사전 전류 공급 및 결과되는 제 2 코어 부분(9)으로부터 아마츄어(3)의 하강에 의해 신속한 폐쇄 운동이 이루어진다. 짧은 그리고 특히 정밀한 폐쇄 시간, 즉 부착 및 와류에 의해 미미한 영향만을 받는 폐쇄 시간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도 2에는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방 및 폐쇄 과정 동안 나타나는 힘의 양이 도시된다.
상부 다이어그램은 밸브 개방에 대한 전기 제어 명령(t1)을 나타낸다. 제 2 중간 다이어그램은 시간(t)의 함수로서 자력(Fmag)을 나타낸다. 시간 축의 상부에는 제 2 자기 코일(4)의 자력이 도시되는 한편, 시간 축의 하부에는 제 1 자기 코일(2)의 자력이 도시된다.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방을 준비하기 위해, 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에 동시에 대략 동일한 양의, 반대 방향의 여기 전류가 공급된다. 2개의 자계가 그것의 완전한 크기에 이르면,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방을 위해 제 1 자기 코일(2)이 차단된다. 제 2 자기 코일(4)의 자력은 아마츄어(3)를 개방 방향으로 끌어 당긴다. 아마츄어(3)가 제 2 코어 부분(9)에 부딪치면, 여기 전류의 재조정에 의해 자력이 필요한 홀딩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연료 분사 밸브(1)의 폐쇄를 준비하기 위해, 제 1 자기 코일(2)에 다시 전류가 공급되고 동시에 여기 전류가 제 2 자기 코일(4)을 통해 다시 증가된다. 이로 인해, 제 1 자기 코일(2)이 다시 아마츄어(3)에 자력을 가하고, 상기 자력은 제 2 자기 코일(4)의 차단 후에 풀백 스프링(17)의 힘과 함께 제 1 플랜지(14) 및 제 2 플랜지(15)를 통해 밸브 니들(13)을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아마츄어(3)의 플라이트(flight) 단계 종료 후에, 제 1 자기 코일(2)을 여기시키는 전류의 차단에 따라 자력이 서서히 제로로 강하한다.
도 2의 하부 다이어그램은 힘(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의 자력 및 풀백 스프링(17)의 복원력)의 합을 나타낸다.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방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에 전류에 공급되면,결과하는 힘으로서 풀백 스프링(17)의 복원력만이 남는데, 그 이유는 자계들이 동일한 크기이지만, 반대 방향이기 때문이다. 풀백 스프링(17)은 상기 단계에서 연료 분사 밸브(1)를 폐쇄 상태로 유지시킨다. 제 1 자기 코일(2)이 차단되면, 제 2 자기 코일(4)의 자력이 풀백 스프링(17)의 복원력을 초과하므로, 연료 분사 밸브(1)가 개방된다. 아마츄어(3)가 그 끝 위치에 도달하면, 자력이 여기 전류의 하향 조절에 의해 홀딩 전류 크기로 다시 감소한다. 그러나, 상기 자력이 풀백 스프링(17)의 힘을 초과하므로, 연료 분사 밸브(1)가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폐쇄 과정을 준비하기 위해, 제 1 자기 코일(2)에 다시 전류가 공급되면, 이것은 처음에는 힘의 비율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 2 자기 코일(4)이 차단될 때야 비로소, 제 1 자기 코일(2)의 자력 및 풀백 스프링(17)의 복원력이 동일한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연료 분사 밸브(1)가 폐쇄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분사 밸브(1)의 부분 Ⅲ의 세부도이다. 제 1 자기 코일(2)과 제 2 자기 코일(4) 사이의 제 1 스트립 부분(10a)과 제 2 스트립 부분(10b) 사이의 자화 불가능한 층(11)의 작용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해,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방 단계 동안 제 1 자기 코일(2)과 제 2 자기 코일(4)의 전류 공급 상태가 도시된다. 도면에는 작용의 설명에 필요한 연료 분사 밸브(1)의 부분만이 도시된다. 이미 설명된 부품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자력선(30)으로부터, 상기 자력선(30)이 장치의 구조 및 자화 불가능한 층(11)의 위치에 의해 제 2 자기 코일(4)의 영역에서 밸브 하우징(20), 제 2 코어 부분(9) 및 제 2 아마츄어 부분(5b)을 관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 아마츄어 부분(5a), 제 1 자기 코일(2)의 영역 내에 있는 밸브 하우징(20) 및 제 1 코어 부분(8)을 관통하는 자계의 성분은 극도로 작다. 자화 불가능한 층(11)의 재료, 및 제 1 자기 코일(2)과 제 2 자기 코일(4) 사이의 그 위치 그리고 그 축방향 폭은 손실이 거의 없도록 선택될 수 있다. 층(11)의 위치는 층(11)이 제 1 자기 코일(2)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지 또는 제 2 자기 코일(4)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지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 과정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제 1 아마츄어 부분(5a)이 또는 제 2 아마츄어 부분(5b)이 자계에 의해 더 심한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밸브 하우징(20)의 간단한 제조를 위해, 밸브 하우징(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층(11)의 방사방향 폭이 전체 밸브 하우징(20)을 분할할 필요가 없다. 밸브 하우징(20)의 소정 방사방향 폭까지 슬롯을 형성하고, 상기 슬롯을 자화 불가능한 층(11)으로 채우기만 하면 된다.
전술한 축방향 슬롯(21)을 명확히 하기 위해, 도 4A 및 도 4B에는 자계의 확산이 방사방향 단면도로 도시되고, 도 5A 및 도 5B에는 코어 부분(8)에서 와류의 진행이 방사방향 단면도로 도시된다. 단면도는 도 1의 선Ⅳ-Ⅳ, Ⅴ-Ⅴ을 따른다.
도 4A는 비교를 위해 슬롯 없는 코어 부분(8)을 그리고 상기 코어 부분(8)에서 유도된 제 1 자기 코일(2)의 자계의 확산을 선 Ⅳ-Ⅳ을 따른 방사방향 단면도로 나타낸다.
도 4B는 2중 슬롯을 가진 영역에서 코어 부분(8) 및 상기 코어 부분(8)에서 유도된 제 1 자기 코일(2)의 자계의 확산을 선 Ⅳ-Ⅳ을 따른 방사방향 단면도로 나타낸다. 슬롯(21)에 의해 코어 부분(8)이 2부분(8a) 및 (8b)으로 나눠진다. 자계는 부분(8a) 및 (8b) 사이의 슬롯(21)으로 인해 원형으로 폐쇄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손실이 적게 유지될 수 있으며, 이것은 자기 회로의 트리거 출력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도 5A에는 비교를 위해 폐쇄된 코어 부분(8)에서 와류의 진행을 선 Ⅴ-Ⅴ을 따른 방사방향 단면도로 나타낸다. 와류는 코어 부분(8)의 중단되지 않은 형태에 의해 강력하게 인가되므로, 연료 분사 밸브(1)의 폐쇄 시간에 현저한 영향을 준다.
도 5B는 2중 슬롯을 가진 코어 부분(8)을 선 Ⅴ-Ⅴ을 따른 단면도로 나타낸다. 여기서, 와류는 슬롯(21)에 의해 발생되지 않고, 두 부분(8a) 및 (8b)에서 폐쇄된 와류로 형성된다. 따라서, 와류의 작용이 전체적으로 감소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임의의 구성을 가진 연료 분사 밸브(1), 특히 외부로 개방되는 연료 분사 밸브(1)에도 적합하다.

Claims (11)

  1. 아마츄어(3)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자기 코일(2), 상기 아마츄어(3)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자기 코일(4), 및 상기 아마츄어(3)와 넌포지티브하게(non-positively) 연결되어 밸브 폐쇄 몸체를 작동시키는 밸브 니들(13)을 포함하는, 연료 분사 밸브(1), 특히 내연기관의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료 분사 밸브(1)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기 코일(2)에 의해 힘이 폐쇄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가해질 수 있고, 상기 제 2 자기 코일(4)에 의해 힘이 개방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가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밸브 하우징(20) 또는 내부 극으로 사용되는 연료 분사 밸브(1)의 코어 부분(8, 9)이 축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슬롯(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1)이 상기 자기 코일(2, 4)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기 코일(2)과 상기 제 2 자기 코일(4) 사이에 자화 불가능한 층(1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연료 분사 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불가능한 층(11)은 제 1 자기 코일(2)과 제 2 자기 코일(4) 사이에 배치된 스트립(10)을 제 1 자기 코일(2)을 향한 제 1 스트립 부분(10a)과 제 2 자기 코일(4)을 향한 제 2 스트립 부분(10b)으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자기 코일(2)과 상기 자화 불가능한 층(11) 사이의 간격과 제 2 자기 코일(4)과 상기 자화 불가능한 층(11)사이의 간격이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 불가능한 층(11)이 상기 제 2 자기 코일(4) 보다 상기 제 1 자기 코일(2)에 더 가까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3)가 2부분으로 형성되어 제 1 아마츄어 부분(5a)과 제 2 아마츄어 부분(5b)으로 나눠지고, 상기 제 1 아마츄어 부분(5a)은 제 1 플랜지(14)를 통해 밸브 니들(13)과 작용 연결되고, 상기 제 2 아마츄어 부분(5b)은 제 2 플랜지(15)를 통해 밸브 니들(13)과 작용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9.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아마츄어 부분(5a)과 상기 제 2 아마츄어 부분(5b)이 각각 하나의 원추형 리세스(1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분사 밸브.
  10. 아마츄어(3)와 상호 작용하는 제 1 자기 코일(2), 상기 아마츄어(3)와 상호 작용하는 제 2 자기 코일(4), 및 상기 아마츄어(3)와 넌포지티브하게 연결되어 밸브 폐쇄 몸체를 작동시키는 밸브 니들(13)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기 코일(2)에 의해 힘이 폐쇄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가해지고, 상기 제 2 자기 코일(4)에 의해 힘이 개방 방향으로 아마츄어(3)에 가해지도록 구성된, 연료 분사 밸브(1),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용 연료 분사 밸브(1)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의 개방을 위해 먼저 제 1 자기 코일(2) 및 제 2 자기 코일(4)에 전류가 공급된 다음, 제 1 자기 코일(2)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분사 밸브(1)의 폐쇄를 위해, 제 1 자기 코일(2)에 다시 전류가 공급된 다음, 제 2 자기 코일(4)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17012657A 2000-02-04 2001-02-02 연료 분사 밸브 및 그 작동방법 KR200200232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04961A DE10004961B4 (de) 2000-02-04 2000-02-04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DE10004961.3 2000-02-04
PCT/DE2001/000423 WO2001057390A1 (de) 2000-02-04 2001-02-02 Brennstoffeinspritzventil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214A true KR20020023214A (ko) 2002-03-28

Family

ID=7629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657A KR20020023214A (ko) 2000-02-04 2001-02-02 연료 분사 밸브 및 그 작동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021568B2 (ko)
EP (1) EP1165960B1 (ko)
JP (1) JP4741147B2 (ko)
KR (1) KR20020023214A (ko)
DE (2) DE10004961B4 (ko)
WO (1) WO20010573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55271A1 (de) * 2001-11-09 2003-05-28 Bosch Gmbh Robert Common-Rail-Injektor
DE10235240B4 (de) * 2002-08-01 2008-08-14 Robert Bosch Gmbh Magnetventilgesteuerte Einspritzdüse
US6892970B2 (en) * 2002-12-18 2005-05-17 Robert Bosch Gmbh Fuel injector having segmented metal core
US7753657B2 (en) * 2005-02-02 2010-07-13 Brp Us Inc. Method of controlling a pumping assembly
FI119030B (fi) 2005-04-28 2008-06-30 Waertsilae Finland Oy Polttomoottorin polttoaineen syöttölaitteiston ohjausjärjestelmä
JP2008095521A (ja) * 2006-10-06 2008-04-24 Denso Corp 電磁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燃料噴射システム
US7628141B2 (en) * 2007-02-26 2009-12-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al actuator
JP4678545B2 (ja) * 2008-07-25 2011-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駆動装置
DE102009003219A1 (de) * 2009-05-19 2010-11-25 Robert Bosch Gmbh Aktiv schließendes Magnetventil für Magnetinjektoren
JP5537472B2 (ja) 2011-03-10 2014-07-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燃料噴射装置
JP5939667B2 (ja) * 2012-02-24 2016-06-22 株式会社ケーヒン 電磁式燃料噴射弁
DE102012218325A1 (de) * 2012-10-09 2014-04-10 Continental Automotive Gmbh Aktuatoreinheit, insbesondere für die Einspritzung eines Kraftstoffs in einen Brennraum einer Verbrennungskraftmaschine
EP2835520B1 (en) 2013-08-09 2022-04-06 Vitesco Technologies GmbH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fuel injector
ITBO20150235A1 (it) * 2015-05-05 2016-11-05 Magneti Marelli Spa Iniettore elettromagnetico di carburante con ottimizzazione delle saldature
JP6468988B2 (ja) * 2015-11-23 2019-02-13 株式会社Soken ソレノイド装置及びソレノイドシステム
DE102016206314B4 (de) * 2016-04-14 2018-12-27 Robert Bosch Gmbh Kraftstoffeinspritzdüs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47177A (en) * 1969-06-04 1972-03-07 Gregor L Lang Alternating current solenoids
DE2150099A1 (de) * 1970-10-07 1972-05-25 Hitachi Ltd Treibstoff-Einspritzanlage
JPS60108559A (ja) * 1983-11-16 1985-06-14 Nippon Carbureter Co Ltd 電磁燃料噴射弁
DE3904448A1 (de) * 1989-02-15 1990-08-16 Bosch Gmbh Robert Magnetanker
US5235954A (en) * 1992-07-09 1993-08-17 Anatoly Sverdlin Integrated automated fue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494219A (en) * 1994-06-02 1996-02-27 Caterpillar Inc. Fuel injection control valve with dual solenoids
JPH1077925A (ja) * 1996-09-04 1998-03-24 Hitachi Ltd 燃料噴射装置及び方法
JPH10274016A (ja) * 1997-03-28 1998-10-13 Fuji Heavy Ind Ltd 電磁式動弁制御装置
JP3707210B2 (ja) * 1997-07-22 2005-10-1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燃料噴射制御装置
US6036120A (en) * 1998-03-27 2000-03-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injector and method
JP2000002163A (ja) * 1998-06-16 2000-01-07 Nissan Motor Co Ltd 燃料噴射装置及び電磁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41147B2 (ja) 2011-08-03
JP2003521634A (ja) 2003-07-15
EP1165960A1 (de) 2002-01-02
US7021568B2 (en) 2006-04-04
WO2001057390A1 (de) 2001-08-09
US20020170986A1 (en) 2002-11-21
DE10004961A1 (de) 2001-08-09
DE10004961B4 (de) 2013-08-22
EP1165960B1 (de) 2007-07-25
DE50112756D1 (de) 2007-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23214A (ko) 연료 분사 밸브 및 그 작동방법
KR100853647B1 (ko) 연료 분사 밸브
US6796511B2 (en) Fuel injection valv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6808133B1 (en) Fuel injection valve
JP4503711B2 (ja) 燃料噴射弁
US6510841B1 (en) Fuel injection valve
US5188336A (en) Magnet system for a valve
RU2216806C2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пускатель
KR100744443B1 (ko) 전자기 액추에이터
WO2006129596A1 (ja) ロング比例ストロークフォースモータ
CZ20002743A3 (en) Electromagnetically controlled valve
CZ292950B6 (cs) Elektromagneticky ovládaný ventil
GB2140626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incorporating anti-chatter device
EP1670005A2 (en) Actuator arrangement and fuel injector incorporating an actuator arrangement
EP1078156B1 (en) Slotted housing for fuel injector
CA2221121A1 (en) Fuel injection apparatus
US5850170A (en) Electromagnetic differential current trigger
JPS61152960A (ja) 電磁式燃料噴射弁
DE69924215T2 (de) Elektromagnetisch betätigte Ventileinrichtung in einer Brennkraftmaschine
EP1120563B1 (en) Fuel injector
KR20020054369A (ko) 연료 분사 밸브
JPH10510606A (ja) 低質量貫流電機子
JPH01257757A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用電磁制御式燃料噴射弁
JP2582212Y2 (ja) 電磁式燃料噴射装置
WO2019163383A1 (ja) 燃料噴射弁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