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205A -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205A
KR20020023205A KR1020010087893A KR20010087893A KR20020023205A KR 20020023205 A KR20020023205 A KR 20020023205A KR 1020010087893 A KR1020010087893 A KR 1020010087893A KR 20010087893 A KR20010087893 A KR 20010087893A KR 20020023205 A KR20020023205 A KR 20020023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pth
water temperature
data
temperatur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7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열
김효성
임준석
Original Assignee
이재성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엠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01008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205A/ko
Publication of KR20020023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205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해 및 원양의 수심에 따른 수온을 측정하고, 수심 및 수온에 따른 어족 자원의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여 어획고를 증대시키도록 한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온도 및 압력 센서를 통해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수온/수심 측정부,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내의 내장 밧데리를 충전시키며,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온/수심 측정값을 데이터화하여 출력하는 통신 아답터, 상기 통신 아답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수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그래픽화하여 디스플레이 해주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어구 유형 설계 기능, 센서 연결 기능, 시뮬레이션 기능, 후킹 마스터 기능, 조업일지 관리 기능, 인쇄 기능을 수행하는 자료 분석 및 제어부, 상기 자료 분석 및 제어부내의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램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복제 방지부로 수온/수심 측정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실측을 통해 정확히 수온/수심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토대로 어업을 함으로써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of water temperture/depth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해 및 원양의 수심에 따른 수온을 측정하고, 수심 및 수온에 따른 어족 자원의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여 어획고를 증대시키도록 한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근해나 원양에서 어업시 어힉량의 증대를 위해서는 수심 및 수온에 따른 어족 자원의 분포를 정확히 파악해야한다.
이를 위해서 종래에는 근해나 원양에서 어업 작업을 주로 수행하는 선장 등의 경험을 통해 어족 자원의 분포를 파악해왔으며, 이러한 방법은 사람의 경험치에 의한 어족 자원 파악이므로 다변하는 수온에는 대처할 수 없어 정확성이 많이 결여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또 다른 방법으로는, 어족 자원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심/수온 센서만을 원하는 위치에서 물속에 넣었다가 회수한 후 이를 그래프 형태로 나타내는 방법으로 수심/수온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어족 자원의 분포를 판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심/수온 측정 방법은 실시간적인 수심/수온 측정이라고 볼 수 없으며, 또한 정확한 수온/수심 측정이라고 보기에도 미약하였다.
여기서 정확한 수온/수심 측정이 안될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어느 수심 및 수온에서 특정 어족 자원이 풍부하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에도, 실질적으로 어획량은 증대시키는 것은 어렵게된다.
또한 종래에는 연승 라인을 투승하여 어업 작업을 하는 경우도 많은 데, 이 경우 특정 수온/수심에서 잡고자하는 어군이 있는 경우에도, 연승 라인을 투승하는 사람의 투승 속도에 따라 연승 라인의 위치가 달라져, 실제 어획량에서 많은 차이가 발생하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수온/수심 측정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근해 및 원양의 수심에 따른 수온을 측정하고, 수심 및 수온에 따른 어족 자원의 분포를 정확히 파악하여 어획고를 증대시키도록 한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 장치"는,
온도 및 압력 센서를 통해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수온/수심 측정부와;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내의 내장 밧데리를 충전시키며,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온/수심 측정값을 데이터화하여 출력하는 통신 아답터와;
상기 통신 아답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수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그래픽화하여 디스플레이 해주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어구 유형 설계 기능, 센서 연결 기능, 시뮬레이션 기능, 후킹 마스터 기능, 조업일지 관리 기능, 인쇄 기능을 수행하는 자료 분석 및 제어부와;
상기 자료 분석 및 제어부내의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램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복제 방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온/수심 측정부는,
충전이 가능하며 방전을 하여 전원을 공급해주는 내장용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에서 방전된 직류 전압을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여 장치 각 부에 공급해주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을 하여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수온/수심 측정기와;
상기 수온/수심 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데이터 전송 요구시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 전송해주고,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는 수신하여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전달해주는 직렬 통신부와;
상기 밧데리의 완전 방전시에도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백-업 밧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수온/수심 측정기는,
이득 제어를 위한 이득 제어신호와 기준전압을 발생하며, 센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이득 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전압으로 구동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이득에 따라 상기 제1차동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이득조절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전압으로 구동하여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이득에 따라 상기 제2차동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이득조절기와;
상기 제1 및 제2 이득조절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방법"은,
시스템 초기화후 모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데이터 수신 모드일 경우 직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수신 데이터에 대응하여 측정 주기를 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측정 모드일 경우, 측정 주기를 설정하고 압력 및 수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아날로그 압력 및 수온 값을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새로운 측정 주기가 되면 상기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데이터 전송 모드일 경우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한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직렬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해주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센서부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수온/수심 측정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온/수심 측정부
200 ..... 통신 아답터
300 ..... 통신 케이블
400 ..... 자료분석 및 제어부
500 ..... 복제 방지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00은 온도 및 압력 센서를 통해 해수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수온/수심 측정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200은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내의 내장 밧데리를 충전시키며,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에서 측정된 수온/수심 측정값을 데이터화하여 출력하는 통신 아답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300은 통신용 케이블을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400은 상기 통신 아답터(2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수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그래픽화하여 디스플레이 해주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어구 유형 설계 기능, 센서 연결 기능, 시뮬레이션 기능, 후킹 마스터 기능, 조업일지 관리 기능, 인쇄 기능을 수행하는 자료 분석 및 제어부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500은 상기 자료 분석 및 제어부(400)내의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램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복제 방지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연승어업시 실제로 낚싯줄에 수온/수심 측정부(100)를 취부하여 조업을 한 후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를 회수하여 낚시가 존재하는 곳의 수심과 수온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여 어획량을 분석한 후 다음 조업시 투승 조건을 결정하는 자료로 활용하여 어획량 증대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의 동작 상황을 적절하게 세팅한 후 실제로 낚싯줄에 취부하여 해수 속으로 투승을 한다.
그러면 수온/수심 측정부(100)는 내장된 밧데리(110)로 동작을 하여 수온 및 수임을 측정하게 된다.
도2는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이 가능하며 방전을 하여 전원을 공급해주는 내장용 밧데리(110)와, 상기 밧데리(110)에서 방전된 직류 전압을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여 장치 각 부에 공급해주는 직류/직류 컨버터(120)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2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을 하여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수온/수심 측정기(130)와, 상기 수온/수심 측정기(130)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하며, 데이터 전송 요구시 상기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 프로세서(140)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140)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 전송해주고,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는 수신하여 상기 메인 프로세서(140)에 전달해주는 직렬 통신부(150)와, 상기 밧데리(110)의 완전 방전시에도 상기 외부 메모리(16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백-업 밧데리(1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온/수심 측정부(100)는, 먼저 충전이 가능한 내장용 밧데리(110)에서 방전을 하여 시스템에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직류/직류 컨버터(120)는 상기 밧데리(110)에서 공급되는 직류 전원을 장치에서 필요한 복수개의 직류 전원(예를 들어 DC5V, DC7.2V 등)으로 변환하여 해당 장치에 알맞게 공급해준다.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기동을 하여 시스템을 초기화시키고, 모드를 체크하여 동작 상태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드일 경우에는 직렬 통신부(150)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게 되고, 이와는 달리 수온/수심 측정 모드일 경우에는 수온/수심 측정기(130)를 동작시킨다.
상기 수온/수심 측정기(1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득 제어를 위한 이득 제어신호와 기준전압을 발생하며, 센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이득 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에서 공급되는 전압으로 구동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32)와, 상기 압력 센서(132)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에서 발생된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기(133)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에서 출력되는 이득에 따라 상기 제1차동증폭기(133)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이득조절기(134)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에서 공급되는 전압으로 구동하여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135)와, 상기 온도 센서(135)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에서 출력되는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기(136)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에서 출력되는 이득에 따라 상기 제2차동증폭기(136)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이득조절기(137)와, 상기 제1 및 제2 이득조절기(134)(137)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8)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수온/수심 측정기(130)는, 먼저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131)에서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12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으로 압력 센서(132) 및 온도 센서(135)의 구동용 전원(DC7.2V)을 공급해주고, 차동증폭을 위한 기준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제1 및 제2 차동증폭기(133)(136)에 각각 공급해주며, 또한 이득 제어를 위한 이득 제어 값을 발생하여 상기 제1 및 제2 이득조절기(134)(137)에 각각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압력 센서(132)는 구동을 하여 압력을 측정한 후 그 측정값을 제1차동증폭기(133)에 전달한다. 상기 제1차동증폭기(133)는 그 전달되는 압력 측정값과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그 결과 값을 제1이득조절기(134)에 전달한다.
여기서 제1차동증폭기(133)의 이득은 아래의 [수학식1]로 표현된다.
다음으로 제1이득조절기(134)는 상기 제1차동증폭기(133)에서 출력되는 측정값의 이득을 조절한 후 수심 측정값으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8)에 전달한다.
아울러 온도 센서(135)도 구동을 하여 해수의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그 측정값을 제2차동증폭기(136)에 전달한다.
상기 제2차동증폭기(136)는 상기 전달되는 온도 측정값과 입력되는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제2이득조절기(137)에 전달하게 되며, 상기 제2이득조절기(137)는 그 전달되는 온도 측정값의 이득을 조절한 후 수온 측정값으로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8)에 전달한다.
상기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138)는 상기와 같이 각각 입력되는 아날로그 압력 측정값 및 온도 측정값을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메인 프로세서(140)에 전달한다.
그러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그 전달되는 디지털 수온/수심 측정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상기에서 외부 메모리(SRAM)(140)의 용량은 측정 시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아래와 같이 표현된 만큼의 용량을 갖도록 설계한다.
연승측정 데이터량
40(시간)*60(분)*6(10초간격)*12(비트)*2(채널) = 43Kbytes
여기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인 프로세서(140)는 AT89C52로서, 이것의 최대 메모리 접근 용량은 32Kbytes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메인 프로세서(140)의 입, 출력 포트를 제어하여 128Kbytes의 SRAM을 32Kbytes씩 나누어 제어하는 페이지 모드 절환방식을 채용하여 외부 메모리(160)의 용량을 128Kbytes까지 확장한다.
아울러 백-업 밧데리(170)는 상기 내장용 메인 밧데리(110)를 교환할 경우,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서 외부 메모리(160)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메인 프로세서(140)는 모드를 확인한 결과 데이터 전송모드라고 판단이 되면, 상기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된 수온/수심 측정 데이터를 인출하여 직렬 통신부(150)에 전달한다.
상기 직렬 통신부(150)는 그 전달되는 수온/수심 측정 데이터를 통신 라인(300)을 통해 통신 아답터(200)로 전송해준다. 물론, 상기 통신 아답터(200)에서 전송되는 수신하여 상기 메인 프로세서(140)에 전달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여기서, 직렬 통신부(150)는 HP사의 통신용 포토 커플러인 6N137을 사용하여 19200bps의 고속 통신을 실현한다.
다음으로, 통신 아답터(200)는 연결된 통신 케이블(300)을 통해 자료분석 및 제어부(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에서 획득한 수온/수심 측정 데이터를 상기 자료분석 및 제어부(400)에 전송해준다.
또한 상기 자료분석 및 제어부(400)에서 전송되는 주기 데이터 및 프로그램 업그레이드에 관한 데이터는 수신하여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에 전달해주는 역할도 수행하며, 아울러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100)내의 밧데리(110)를 충전해주는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수온/수심 측정 데이터를 전송 받은 자료분석 및 제어부(400)는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수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그래픽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해주며, 아울러 전송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여기서 자료분석 및 제어부(400)는 상기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어구 유형 설계 기능, 센서 연결 기능, 시뮬레이션 기능, 후킹 마스터 기능, 조업일지 관리 기능, 인쇄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는 연승 어업을 실시예로 설명하며, 자료분석 및 제어부(400)는 주지한 바와 같이, 연승 어업을 위해서는, 어구 유형 설계 기능, 센서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측 데이터를 수신 받는 센서 연결 기능, 연승 라인의 투승시 설계되어진 어구 유형에 따른 브랜치 취부 위치를 알려주는 후킹 마스터 기능, 설계한 모드와 실측 데이터를 볼 수 있으며 어구 유형 보정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능, 조업에 따른 어획량, 미끼 사용량, 전재량 및 어장별 어획 명세를 관리하는 조업일지 기능, 이러한 데이터를 출력해주기 위한 인쇄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어구 유형 설계 기능은, 연승 어업에 사용되어질 연승의 형상을 결정하는 과정으로서, 각종 변수(선속, 투승 속도, 브랜치수, 브랜치 길이, 부이 길이등)의 입력을 통하여 조업자가 원하는 연승의 전체 길이 및 수심에 따른 형상을 결정한다.
어구 유형 설계시 첫단계는, 설계할 고유 모드(모드 중복 불가)를 결정하고, 선박의 속도(단위 : 노트), 투승 속도(단위 : m/sec), 브랜치 수, 부이 길이 등을 결정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는, 브랜치 수에 따른 브랜치 간격 및 브랜치 길이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브랜치 간격의 단위는 시간 또는 거리를 선택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각각의 브랜치 간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브랜치 길이는 모든 브랜치 길이를 동일하게 또는 개별 길이를 입력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상기 설계된 어구 유형 정보와 이를 바탕으로 계산되어진 연승의 총 길이가 보여진다. 또한 원하는 어구 유형 설계가 이루어 졌을 경우 설정한 어구 유형을 등록 및 삭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센서 연결 기능은, 조업 전과 조업 후에 사용되는 기능으로서, 조업 전 센서 측정 방식(연승 수온 수압 측정 또는 중층 수온 측정)을 결정하고, 측정에 사용되어질 센서의 고유 ID를 부여할 수 있는 기능과 센서의 현재 동작 상태와 배터리의 충전 상태(옵션)를 알 수 있다. 또한 조업 후 센서로부터 실측한 데이터를 로딩할 수 있는 기능도 포함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기능은, 크게 어구 유형 설계에서 설계되어진 연승의 현수 곡선을 보여주는 어구 유형 보기 기능, 센서 연결을 통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보여주는 프로젝트 관리 기능, 현수 곡선과 데이터 트랜드를 통한 모드를 수정하는 보정 기능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어구 유형 보기(Mode View) 기능은, 어구 유형 설계에서 설계되어진 모든 어구 유형의 현수 곡선을 보여주며, 스크롤 바의 이동을 통하여 원하는 위치의 수심 및 거리를 수치적으로 보여준다.
프로젝트(Project) 관리 기능은, 센서로부터 얻어진 데이터, 즉 시간의 변화에 따른 측정된 수심, 온도를 보여준다. 또한 측정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젝트 파일명과 조업에 관련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기존에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을 열어서 실측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기능이다.
아울러 보정(Turning) 기능은, 화면상의 스크롤 이동을 통해 실측 데이터의 원하는 수심에 위치시키면 그때의 조업을 원하는 실제 현수 곡선의 그래프가 하얀 점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때 보정 버튼을 누르면 조업을 원하는 실제 현수 곡선을 얻기 위한 이론적인 현수 곡선이 나타내지며, 보정된 선속 또는 투승 속도가 계산되어져 나타난다.
다음으로 후킹 마스터 기능은, 투승시 브랜치 라인 및 부이 라인의 취부 시점을 신호음으로 알려주는 기능으로, 현재 투승된 길이와 소요된 시간 및 총 투승 길이와 총 소요 시간 등의 정보를 보여주며, 현재 투승 되는 연승의 브랜치 및 부이의 취부 위치에 따른 취부 신호음을 발생한다.
또한, 조업일지 기능은 조업에 관련된 어획량을 입력 및 관리할 수 있는 어획일지 기능, 조업에 사용되어진 베이트의 사용량을 관리하는 베이트 사용일지 기능, 전재되어진 전재량을 관리하는 전재일지 기능, 어장별 어획량을 관리하는 어장별 어획 명세서 기능으로 대별된다.
먼저 어획일지 기능은, 조업 일자에 따른 조업위치, 수온, 어종별, 중량별 어획량, 중량 입력 및 누계 관리를 수행하는 기능이며, 베이트 사용일지 기능은 조업 일자에 따른 사용된 베이트 사용량 입력/삭제와 출항시 베이트 선적량 및 재고량을 관리하는 기능을 말하며, 전재일지 기능은 전재일자, 전재위치 및 전재 운반 선명 및 전재된 어종 및 중량을 입력 및 관리하는 기능을 말하며, 어장별 어획 명세서 기능은 조업 어장에 따른 조업일자를 선택하므로 어장별, 어종별 어획량 및 누계 관리를 수행하는 기능이다.
마지막으로 인쇄 기능은, 저장된 프로젝트 파일 및 조업일지 파일의 인쇄 및 미리 보기 기능을 수행해주는 기능이다. 프로젝트 파일의 인쇄는 저장되어진 정보, 즉 현수 곡선 및 실측 데이터의 그래프 및 투승 위치, 양승 위치 등의 조업정보와 일기, 풍향, 풍속 등의 기상 정보, 사용되어진 베이트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인쇄해준다. 또한 조업일지의 인쇄는 저장되어진 어획일지, 베이트 사용일지, 전재일지 및 어장별 어획 명세서를 원하는 일자별로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다음으로, 복제 방지부(500)는 상기 자료 분석 및 제어부(400)내의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램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은 현재 인터넷 등의 통신 시스템 등에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그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2>
첨부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초기화후 모드를 체크하는 단계(S101 ~S102)와, 상기 체크 결과 데이터 수신 모드일 경우 직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수신 데이터에 대응하여 측정 주기를 재 설정하는 단계(S103 ~ S105)와, 상기 체크 결과 측정 모드일 경우, 측정 주기를 설정하고 압력 및 수온을 측정하는 단계(S106 ~ S108)와, 상기 측정한 아날로그 압력 및 수온 값을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새로운 측정 주기가 되면 상기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S109 ~ S111)와, 상기 체크 결과 데이터 전송 모드일 경우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한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직렬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해주는 단계(S112 ~ S11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방법은, 먼저 단계 S101에서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프로세서(140)는 시스템을 초기화하고, 단계 S102에서 모드를 체크한다.
이후 단계 S103에서 체크한 모드가 데이터 수신 모드인지를 확인하게 되고, 그 확인 결과 데이터 수신 모드일 경우에는 단계 S104로 이동하여 수신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하게 된다. 여기서 수신 데이터는 수온/수심 측정 주기, 프로그램 업그레이드를 위한 프로그램 등이다. 이후 단계 S105에서 상기 수신 데이터에 대응하여 측정 주기를 재 설정한다.
한편, 단계 S106에서 확인 결과 모드가 측정 모드일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이동하여 측정 주기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계 S108에서 압력/수온 센서를 이용하여 압력 및 수온을 측정하게 되고, 단계 S109에서는 상기 측정한 압력/수온 값을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을 한다. 이후 단계 S110에서는 새로운 주기가 되었는지를 체크하게 되고, 새로운 주기가 되지 않았으면 상기 압력 및 수온 측정 단계로 리턴을 하고, 이와는 달리 새로운 주기가 된 경우에는 단계 S111에서 상기 측정한 수온/수심(압력)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한다.
또한, 단계 S112에서 확인한 결과 체크한 모드가 데이터 전송 모드일 경우에는, 단계 S113에서 상기 외부 메모리(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출하여 직렬 통신부(150)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따르면, 해수의 깊이에 따른 온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특정 지역의 온도분포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므로, 기존과 같이 경험에만 의존하던 어획 방법에 비해 효과적인 조업이 가능하고, 또한 어획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정확하게 수온/수심의 실측이 가능하므로, 수온과 수심에 관련된 모든 어종을 포획하는 데에도 효과적인 어업 방법을 제공해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온도 및 압력 센서를 통해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수온/수심 측정부와;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내의 내장 밧데리를 충전시키며,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에서 측정된 수온/수심 측정값을 데이터화하여 출력하는 통신 아답터와;
    상기 통신 아답터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수의 깊이에 따른 온도분포를 그래픽화하여 디스플레이 해주며, 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어구 유형 설계 기능, 센서 연결 기능, 시뮬레이션 기능, 후킹 마스터 기능, 조업일지 관리 기능, 인쇄 기능을 수행하는 자료 분석 및 제어부와;
    상기 자료 분석 및 제어부내의 데이터베이스 및 프로그램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복제 방지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수심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수심 측정부는,
    충전이 가능하며 방전을 하여 전원을 공급해주는 내장용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에서 방전된 직류 전압을 장치에서 필요로 하는 직류 전압을 변환하여 장치 각 부에 공급해주는 직류/직류 컨버터와;
    상기 직류/직류 컨버터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을 하여 수온 및 수심을 측정하는 수온/수심 측정기와;
    상기 수온/수심 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며, 데이터 전송 요구시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인 프로세서와;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출력되는 데이터를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 전송해주고, 상기 통신 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전송되어지는 데이터는 수신하여 상기 메인 프로세서에 전달해주는 직렬 통신부와;
    상기 밧데리의 완전 방전시에도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해주는 백-업 밧데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수심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온/수심 측정기는,
    이득 제어를 위한 이득 제어신호와 기준전압을 발생하며, 센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해주는 이득 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전압으로 구동하여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압력 센서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1차동증폭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이득에 따라 상기 제1차동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1이득조절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공급되는 전압으로 구동하여 수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와;
    상기 온도 센서의 출력신호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발생되는 기준전압을 차동 증폭하여 출력하는 제2차동증폭기와;
    상기 이득제어 및 기준전압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이득에 따라 상기 제2차동증폭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제2이득조절기와;
    상기 제1 및 제2 이득조절기에서 각각 출력되는 신호를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수심 측정장치.
  4. 시스템 초기화후 모드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데이터 수신 모드일 경우 직렬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수신 데이터에 대응하여 측정 주기를 재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측정 모드일 경우, 측정 주기를 설정하고 압력 및 수온을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한 아날로그 압력 및 수온 값을 그에 상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새로운 측정 주기가 되면 상기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외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체크 결과 데이터 전송 모드일 경우 상기 외부 메모리에 저장한 디지털 측정 데이터를 직렬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해주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수심 측정방법.
KR1020010087893A 2001-12-29 2001-12-29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200232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893A KR20020023205A (ko) 2001-12-29 2001-12-29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7893A KR20020023205A (ko) 2001-12-29 2001-12-29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205A true KR20020023205A (ko) 2002-03-28

Family

ID=1971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7893A KR20020023205A (ko) 2001-12-29 2001-12-29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2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90B1 (ko) * 2007-05-03 2009-02-11 김진태 수중 수온, 수심 측정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101445377B1 (ko) * 2012-08-24 2014-10-06 한라엔컴 주식회사 모듈형 온습도 센서
WO2016178475A1 (ko) * 2015-05-06 2016-11-10 동강엠텍(주) 수중 온도 수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113B2 (ko) * 1980-05-02 1988-11-15 Nippon Synthetic Chem Ind
JPH0682922A (ja) * 1992-05-19 1994-03-25 Eastman Kodak Co 奥行画像の電子記録装置及び電子記録方法
JPH06289166A (ja) * 1993-04-02 1994-10-18 Citizen Watch Co Ltd 水温計測及び水深計測機能付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113B2 (ko) * 1980-05-02 1988-11-15 Nippon Synthetic Chem Ind
JPH0682922A (ja) * 1992-05-19 1994-03-25 Eastman Kodak Co 奥行画像の電子記録装置及び電子記録方法
JPH06289166A (ja) * 1993-04-02 1994-10-18 Citizen Watch Co Ltd 水温計測及び水深計測機能付電子機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090B1 (ko) * 2007-05-03 2009-02-11 김진태 수중 수온, 수심 측정 데이터 수집 시스템
KR101445377B1 (ko) * 2012-08-24 2014-10-06 한라엔컴 주식회사 모듈형 온습도 센서
WO2016178475A1 (ko) * 2015-05-06 2016-11-10 동강엠텍(주) 수중 온도 수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167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reproductive status, in particular the oestrus cycle, of a mammal
AU2001260497B2 (en) Population monitoring system
CN100541397C (zh) 用于稳定多个现场设备的电源的方法
US20050267713A1 (en) Data acquisition system for generating operator-indexed information
DE112006002462T5 (de) Optischer Sender/Empfänger mit anwendungsspezifischem Protokollierungsmechanismus
CN205644939U (zh) 一种核电剂量仪表数据无线采集传输适配器
TWM578511U (zh) Marine farming feed system
KR20020023205A (ko) 수온/수심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7124056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EP0177020B1 (en) System for recording operation data of a work machine
DE102005011149A1 (de) Messinstrument
JP3100335B2 (ja) センサ信号処理モジュール
CN110376355A (zh) 土壤墒情测量方法及装置
KR20190056525A (ko) 양식어류 계측 시스템 및 방법
US20030057356A1 (en) Sensor management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ensor management program
Schrock et al. A device for aiding gear selection in agricultural tractors
CA2369497C (en) Method and system for inspecting thermal equipment
CN206656759U (zh) 一种建设项目管理信息化管理装置
KR100496142B1 (ko) 원격검침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무선송출 기능을 갖는데이터 로거 장치
DE4218474C2 (de) Fluiddrucküberprüfungsgerät
JP3308184B2 (ja) 水位・流量計
JPH06138256A (ja) 波浪自動観測装置
DE19529213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für ein Modul, der mit einem seriellen und digitalen Netzwerksystem verbunden werden kann
Madin et al. LAPIS: A new imaging tool for macro-zooplankton
WO2020241937A1 (ko) 양식어류 계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