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2337A -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2337A
KR20020022337A KR1020000055075A KR20000055075A KR20020022337A KR 20020022337 A KR20020022337 A KR 20020022337A KR 1020000055075 A KR1020000055075 A KR 1020000055075A KR 20000055075 A KR20000055075 A KR 20000055075A KR 20020022337 A KR20020022337 A KR 2002002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forwarding
password
mobile communication
call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주원
Original Assignee
허주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주원 filed Critical 허주원
Priority to KR1020000055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2337A/ko
Publication of KR2002002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3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가입자가 자신의 휴대폰을 특정한 장소에 두고 임의의 다른 장소로 이동한 경우나 휴대폰 바테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사용 할 수 없는 경우, 임의의 가입자 전화번호로 착신전환을 하여 임의의 가입자 전화기나 휴대폰에서 자신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착신전환을 원하는 가입자가 자신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일정시간 동안 응답이 없으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사서함 기능을 동작시켜 각종 서비스를 음성안내로 임의의 가입자에게 요청하고 임의의 가입자로부터 착신전환 서비스 요청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착신 전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비밀번호와 착신전환 번호를 임의의 가입자로부터 입력받아 임의의 가입자가 요청한 전화 번호로 착신전환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임의 장소 및 자신의 휴대폰으로 설정된 착신 전환 서비스를 해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Methode of Call Forwarding in Cellular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수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한 이동 착신전환(CFW : Call Forwarding)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차량이나 가정에 두고 다른 장소로 이동한 경우나, 휴대폰의 바테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사용 할 수 없는 경우, 자신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다른 장소에서 받을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휴대폰 사용자가 휴대폰을 차량이나 가정에 두고 다른 장소로 이동한 경우나, 바테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휴대폰을 사용 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자 휴대폰으로 전화가 걸려오면, 일정시간 호출하여 응답이 없으면 음성 사서함에 메시지나 호출번호만을 남기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긴급하게 전화를 받아야 할 경우에 전화를 받을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이 음성사서함 기능 및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을 가지고 있어서 휴대폰 사용자가 부주의로 휴대폰을 특정 장소에 두고 이동한 경우나 휴대폰 바테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사용 할 수 없는 경우, 자신의 휴대폰 번호로 전화를 걸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하여금 착신전환기능을 수행하게 하여 이동중인 장소에서 자신이 착신전환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자신에게 걸려온 전화를 임의의 장소에서 임의의 전화기 또는 휴대폰으로 받을 수 있는 착신전환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신전환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임의의 가입자 전화기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착신전환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자신의 휴대폰에 의한 착신전환 서비스 해제 방법에 관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신전환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특정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하는 임의의 가입자 A(110); 임의의 가입자로부터 특정 휴대폰으로 걸려오는 호의 상태를 감시 및 제어하기 위한 이동통신 가입자 제어장치(120); 가입자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휴대폰을 무선으로 호출하기 위한 기지국(130); 임의의 가입자가 호출하는 특정의 휴대폰(140); 착신전환 기능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임의의 가입자로부터 호의 요청이 있을 경우 착신전환 서비스를 받기 위한 가입자 B(150)로 구성된다.
상기의 가입자 제어장치(120)는 가입자 제어장치의 각종 부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1); 임의의 가입자 A(110)로 부터 서비스 요청이 있을 경우 입력되는 번호인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를 제어부(121)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번호로 변환하여 주는 DTMF 수신부(122); 임의의 가입자 A(110)에게 각종 서비스 안내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음성사서함(123); 임의의 가입자 B(110)로 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4); 착신전환기능이 해제되어 있을 경우 임의의 가입자 A(110)가 호출한 휴대폰으로 연결하고, 착신전환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휴대폰 가입자가 착신전환 요청한 번호인 가입자 B(150)로 전화 연결을 하는 착신전환제어장치(125)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전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폰 가입자가 임의의 장소에서 임의의 가입자 A(110)의 전화기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신의 휴대폰 번호로 전화를 걸면, 이동통신 가입자 제어장치(120)는 해당되는 기지국(130)을 통하여 휴대폰(140)으로 호의 요청을 알리고 일정시간 호에 대한 응답이 없을 경우 음성사서함 기능을 동작시켜 각종 서비스에 대한 음성안내를 가입자 A(110)에게 보낸다. 가입자 A(110)는 이동통신 가입자 제어장치(120)로 부터 수신되는 각종 서비스에 대한 음성안내를 듣고 원하는 서비스 번호를 선택한다. 만약 가입자 A(110)가 이동통신 서비스 중 착신전환 서비스에 해당하는 번호를 누른 경우 DTMF 수신부(122)는 이 번호를 제어부(121)가 인식 가능한 디지털 번호로 변경하여 제어부(121)로 보낸다. 제어부는 DTMF 수신부(122)로 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착신 전환 서비스가 요청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고 음성사서함으로 부터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가입자 A(110)로 보낸다. 가입자 A(110)가 이 메시지를 들은 후 전화기나 휴대폰의 키 패드를 이용하여 비밀번호를 누르면, DTMF 수신부(122)는 이 번호를 제어부(121)가 인식 가능한 디지털 번호로 변경하여 제어부(121)로 보내고 제어부는 DTMF 수신부(122)로 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 대한 비밀번호와 기 설정된 비밀 번호를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약 비밀 번호가 일치 할 경우 제어부(121)는 음성사서함(123)으로 부터 착신전환을 받고자 하는 번호와 번호입력의 완료를 나타내는 특수번호( * 또는 # )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가입자 A(110)로 보낸다. 가입자 A(110)가 이 메시지를 들은 후 전화기나 휴대폰의 키 패드를 이용하여 착신전환을 받고자 하는 전화번호와 특수번호( * 또는 # )를 입력하면, DTMF 수신부(122)는 이 착신전환 번호를 제어부(121)가 인식 가능한 디지털 번호로 변경하여 제어부(121)로 보내고 제어부는 DTMF 수신부(122)로 부터 입력된 디지털 신호로 부터 해당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저장시킴과 동시에 착신전환 후 걸려오는 전화에 대해서는 가입자 B(150)로 연결되도록 착신전환 제어장치(125)를 제어한다. 제어부(121)로 부터 제어를 받은 착신전환 제어장치(125)는 이후 임의의 가입자 A(110)로 부터 휴대폰(140)으로 걸려오는 전화에 대해서는 착신전환을 요청한 가입자 B(150)로 호를 요청한다.
상기의 비밀번호는 휴대폰 가입자마다 가지고 있는 비밀번호이며 일반적으로휴대폰을 구입하여 가입하면 최초에는 자신의 휴대폰 번호의 마지막 4자리가 자신의 비밀번호이며 휴대폰 가입자가 이 번호를 변경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 설정을 위한 신호 흐름도로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실행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휴대폰 가입자가 자신의 휴대폰으로 걸려온 전화를 착신전환 하기 위해 임의의 장소에서 임의의 가입자 A(110)의 전화기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자신의 휴대폰 번호로 전화를 걸어 휴대폰을 호출(201)하면 단계 202에서 휴대폰이 응답하는지를 체크하고, 휴대폰이 응답을 하면 휴대폰으로 통화로를 형성 통화가 되게 하고 만약 일정시간 동안 휴대폰에서 응답(202)이 없으면 단계 203에서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한다. 단계 203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응답이 없는 것으로 판단이 되면 단계 204로 이동하여 음성사서함 기능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단계 204의 음성 사서함 기능과 관련된 서비스로는 메시지 녹음, 호출번호입력, 착신전환 서비스 요청, 착신전환 서비스 해제 요청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임의의 가입자 A(110)에게 메시지 녹음은 1번, 호출 받고자 하는 번호 입력은 2번, 착신전환 서비스 요청은 3번, 착신전환 서비스 해제요청은 4번을 누르라는 메시지를 송출한다. 만약 단계 205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요청이 있으면(번호 3을 누름) 임의의 가입자 A(110)에게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안내를 내 보내고 이동통신 가입자 제어장치(120)는 단계 206으로 이동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단계 206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계 207로 이동하여 단계 207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임의의 가입자A(110)에게 착신전환 받고자 하는 전화번호와 전화번호 입력의 완료를 나타내는 특수번호( * 또는 # )를 입력하라는 음성안내를 내 보내고 단계 208로 이동하여 착신전환 번호와 입력완료를 나타내는 특수번호(* 또는 #)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단계 208에서 착신전환번호 및 완료를 나타내는 특수번호( * 또는 # )가 입력되었는지를 단계 209에서 체크하여 입력이 완료된 경우 이동통신 가입자 제어장치(210)는 단계 210으로 이동하여 입력된 착신전환번호를 등록하고 단계 211로 이동 착신전환 기능을 설정한다. 이후 휴대폰(140)으로 걸려오는 전화는 가입자 B(150)로 착신전환 서비스를 실행하여 가입자 B(150)의 전화기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전화를 받을 수 있다. 상기의 단계 210과 단계 211은 실행 순서를 바꿀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이 설정된 것을 임의의 장소에서 임의의 가입자 A(110)의 전화기나 휴대폰을 이용하여 착신전환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임의의 장소에서 임의의 가입자 A(110)의 전화기나 휴대폰으로 착신전환이 설정된 휴대폰을 호출(301)한다. 단계 302에서는 호출한 번호로부터 응답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착신 전환된 가입자 B(150)가 응답하면 가입자 B(150)와 통화를 하고(이때 착신전환 서비스를 해제하기 위하여 전화를 건 사람은 가입자 B(150)에게 다음 호출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응답을 하지 않도록 요청한다), 착신 전환된 가입자 B(150)가 일정시간 동안 응답(302)이 없으면 단계 303으로 이동하여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한다. 단계 303에서 지정된 시간동안 응답이 없는 것으로 판단이 되면 단계 304로 이동하여 음성사서함 기능 동작시킨다. 임의의 가입자 A(110)가 단계 304에서 음성안내를 듣고 착신전환 해제 번호를 입력(번호 4를 누름)하면 단계 305에서 착신전환 서비스 해제요청이 입력되었음을 판단하여 임의의 가입자 A(110)에게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음성안내를 내보내고 이동통신 가입자 제어장치(120)는 단계 306으로 이동하여 비밀번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단계 306에서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단계 307로 이동하여 단계 307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기 설정된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단계 308로 이동하여 착신전환 기능을 해제한다.
도 4는 자신의 휴대폰에 의한 착신전환 서비스 해제 방법에 관한 흐름도로서, 착신전환 서비스 기능이 설정된 휴대폰으로부터 통화 시도가 있는지를 판단하여(401) 통화 시도가 한번이라도 있으면 단계 402로 이동하여 착신전환 기능을 해제한다. 이는 착신 전환된 휴대폰으로부터 통화 시도가 있다는 것은 휴대폰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폰으로 전화를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휴대폰을 부주의로 차량이나 가정에 두고 임의의 다른 장소로 이동한 경우나 휴대폰의 바테리가 완전히 방전되어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임의의 다른 전화기나 휴대폰 번호로 착신전환 기능을 설정하여 임의의 전화기나 휴대폰에서 전화를 받을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므로서 긴급한 전화 수신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

Claims (3)

  1. 이동통신 시스템의 착신전환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이동통신 시스템이 임의의 가입자 A(110)로부터 특정 휴대폰(140)에 대한 호의 요청을 받은 경우 특정 휴대폰(140)을 호출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응답이 없는 경우 이동통신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각종 부가 서비스에 대한 음성안내를 임의의 가입자(110)에게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임의의 가입자 A(110)로부터 이동통신 시스템 서비스 중 착신전환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비밀번호 입력을 임의의 가입자 A(110)에게 요청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착신전환번호 입력을 기다리고 착신전환번호가 입력되는 경우 착신전환번호를 등록하고 착신전환 기능을 설정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전환 기능이 설정된 경우 특정 휴대폰(140)으로 걸려오는 전화를 상기 등록된 착신전환 번호로 호를 요청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은 특정 휴대폰을 호출하여 일정시간 응답이 없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각종 서비스에 대한 음성 안내를 임의의 가입자 A(110)에게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 서비스 중 착신전환 해제 요청이 있는 경우 이를 판단하여 임의의 가입자 A(110)에게 비밀번호 입력을 요청하고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비밀번호가 유효한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비밀번호가 유효한 경우 착신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착신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과정은 착신전환 기능이 설정된 휴대폰으로부터 통화 시도가 있는 경우 자동적으로 착신전환 기능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KR1020000055075A 2000-09-20 2000-09-20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KR20020022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075A KR20020022337A (ko) 2000-09-20 2000-09-20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075A KR20020022337A (ko) 2000-09-20 2000-09-20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337A true KR20020022337A (ko) 2002-03-27

Family

ID=1968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075A KR20020022337A (ko) 2000-09-20 2000-09-20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23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00B1 (ko) * 2002-06-26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800B1 (ko) * 2002-06-26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 기능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착신 전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1430B2 (ja) 無線電話サービスにおける加入者への呼のルーティング方法
KR960012483B1 (ko) 페이저가 장착된 핸드셋들간의 원격 지점간 통화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0889662A2 (en) Automatic public/autonomous system message waiting indicator (MWI) recognition
JPH0865747A (ja) ページャまたは代替電話機に呼び出し情報を中継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537933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ing a handset unit in radio telephone system
US20010023187A1 (en) Process, terminal and infrastructure devices for forming terminal groups in a mobile-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782895B2 (ja) 移動機呼返し方式
JP4445138B2 (ja) 任意の位置から電話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
JP3227368B2 (ja) 転送装置
KR20020022337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착신전환 방법
JPH11205834A (ja) 構内交換機および無線電話機
KR960001085B1 (ko) 사설교환기의 내부가입자 통화시 외부가입자 연결방법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0138389B1 (ko) 키폰 전화기의 다중통화 방법
JP2000308134A (ja) 通信装置及び携帯端末
JPH02312493A (ja) 電話転送設定機
JP2001298530A (ja) 通信システム、その通信方法及び受信装置
KR10022988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발신 및 음성정보 송출방법
JPH09284854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3319126B2 (ja) 通信端末装置
JPH02295297A (ja) 移動無線電話システムの不在管理方式
JPH08149195A (ja) 応答検出追加ダイヤル方式
JPH02158266A (ja) 移動通信における接続制御方式
JPH10164243A (ja) ドアホン呼出転送装置
KR20000049820A (ko) 쌍방향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국제 전화통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