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9228A -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9228A
KR20020019228A KR1020000052390A KR20000052390A KR20020019228A KR 20020019228 A KR20020019228 A KR 20020019228A KR 1020000052390 A KR1020000052390 A KR 1020000052390A KR 20000052390 A KR20000052390 A KR 20000052390A KR 20020019228 A KR20020019228 A KR 20020019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frame
air conditioner
fixed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742B1 (ko
Inventor
안병국
박재봉
Original Assignee
이완근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근, 주식회사 신성이엔지 filed Critical 이완근
Priority to KR10-2000-005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7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19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9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다수의 관체형의 프레임을 각형태로 교차 연결하여 구획된 공간에 단열 패널을 결합하여, 다면체를 이루도록 다수의 프레임과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코너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각각은, 대체로 수직한 2개의 평탄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은, 단면이 'I'자형인 복수의 스트립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를 일체로 가지고, 상기 스트립의 타단에는, 스트립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구를 일체로 가지는 지지면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지고 단면이 'V'자형상으로 일체로 펼쳐지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구획형성된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한 제1접촉부재가 배열되며, 상기 코너연결부재는, 상기 다면체로부터 다수방향으로 분기하여 상기 다면체의 코너부를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일정 각도로 배열 형성된 다수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분기부는,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프레임의 둘레부 형상에 상응하는 둘레부 형상의 삽입구를 가지고, 케이스형 구조물 내외 온도차에 따른 결로 발생 요인을 미연에 제거함으로써, 케이스 내의 적용온도 범위를 항시 적정치로 유지함과 동시에, 습기로 인한 기기의 수명단축 및 개보수 주기의 단축을 극력 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Dew-congestion restraint apparatus of the case for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케이스의 프레임 연결부위에서 공조기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열손실을 극력 억제함으로써, 공조기기의 수명연장을 도모할 수 잇도록 한 공기조화기 케이스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선한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흡입구(23)와, 실내의 탁한 공기를 배출하는 내기흡입구(24)를 가지며, 내부에는 에어필터(25)로 공기 여과 기능을 수행하며, 공기의 온도를 냉각하는 냉각코일(27)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코일(28)을 가지며, 그 하부에는 응축수를 수용·배수할 수 있도록 드레인 팬이 제공되며, 그 후방에는 송풍기(30)와 모터(31)가 장착되어 조화된 공기를 공기공급구(32, Supply air flange)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송풍기와 모터는 브이벨트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며, 하부에는방진구(33), 공기토출구에는 캔바스(34)가 설치되어 진동 및 소음을 흡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케이스(35)는 사각프레임을 용접 등으로 접합시켜, 대략 육면체의 프레임을 구성한 다음 그 외측에 측판인 단열플레이트를 부착하여 격벽을 이루는 박스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는 용접에 의해 조립되므로 상당한 시간, 인원 및 장비를 요하며, 공기조화기의 부피에 따라 운반, 설치 및 반입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음과 더불어, 설치 이후에는 보수, 이동, 축소 및 확장은 더더욱 수행할 수 없다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이같은 구조에서, 케이싱을 이루는 패널과 프레임이 단일 연결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냉각코일의 출구온도가 저온화될 때, 공기조화기 내외의 온도차로 인하여 공기조화기 외측에 결로가 발생하게 되어, 급기야는 이러한 결로 발생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적용온도 범위를 제한하여 습기로 인한 기기의 수명단축 및 개보수 주기를 단축시켜 유지보수 비용의 증가와 함께 열손실 발생으로 인한 에너지 측면에서의 손실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조화기의 냉각코일의 출구온도가 저온화되더라도 결로가 발생하지 않도록 조립식으로 된 이중구조의 단열패널과 프레임을 적용 가능한 공기조화기 케이스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도2는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케이스의 골조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도2에서 골조의 코너부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4a는 도3의 선 A-A에 따른 단열패널이 배열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용 단열패널의 접촉부위를 도4a로부터 도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도2에서 골조의 중간부 연결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6a는 도5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6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용 단열패널의 중간 접촉부위를 도4a로부터 도출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골조의 코너부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도8은 본 발명에 다른 골조의 중간부 연결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프레임 120 : 코너연결부재
130 : 중간연결부재 131 : 삽입부
133 : 체결부 140 : 제1접촉부재
141 : 지지면 143 : 제2 접속구
145 : 날개부 150 : 스트립
160 : 가교프레임 161 : 제3 접속구
170 : 제2접촉부재 171 : 제4 접속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케이스의 결로방지장치는, 다수의 관체형의 프레임을 각형태로 교차 연결하여 구획된 공간에 단열 패널을 결합하여, 다면체를 이루도록 다수의 프레임과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코너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각각은, 대체로 수직한 2개의 평탄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은, 단면이 'I'자형인 복수의 스트립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를 일체로 가지고; 상기 스트립의 타단에는, 스트립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구를 일체로 가지는 지지면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지고 단면이 'V'자형상으로 일체로 펼쳐지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구획형성된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한 제1접촉부재가 배열되며; 상기 코너연결부재는, 상기 다면체로부터 다수방향으로 분기하여 상기 다면체의 코너부를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일정 각도로 배열 형성된 다수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분기부는,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프레임의 둘레부 형상에 상응하는 둘레부 형상의 삽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부호 '100'는 단면이 직사각형인 관체형 프레임으로서, 이 프레임은, 후술하는 코너연결부재에 의해 다수의 프레임(100, …)을 각형태로 교차 연결된다.
또, 상기 프레임(100, …)에 의해 교차 연결되어 구획된 공간에는 단열 패널(40)이 결합되어, 전체적으로는 다면체를 이룬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 …) 각각은, 대체로 수직한 2개의 평탄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101)을 구비하는 바, 이 경사면(101)에는, 단면이 'I'자형인 복수의 스트립(14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10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스트립(140)의 타단에는, 스트립(140)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구(143)를 일체로 가지는 지지면(141)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지고 단면이 'V'자형상으로 일체로 펼쳐지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구획형성된 복수의 날개부(145)를 구비한 제1접촉부재(140)가 배열되어 있다.
또한, 상기 코너연결부재(120)에는, 상기 다수의 프레임(100, …)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일정 각도로 다수의 분기부(121)가 배열형성되어, 상기 다면체로부터 다수방향으로 분기하는 코너부를 이루어 일정형상으로 구획된 다면체를 이룬다.
또, 상기 다수의 분기부(121)에는, 상기 프레임(100)이 결합되도록 프레임(100)의 둘레부 형상에 상응하는 둘레부 형상의 삽입구(1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기부들(121,…)의 집속부에는, 상기 프레임(100)이 삽입결합된 후 상기 프레임(100)에 고정된 제1접촉부재(140)의 날개부(145)에 상응하는 형상의 다수의 공간 구획형 돌출벽(1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벽(125)은 일정각도(예를 들어, 이웃하는 프레임과는 수직의 관계로 배치됨)로 배열되어 결합된 다수의 일예로, 3개의 프레임(100, …)에 결합된 제1 접촉부재(140)의 말단면부와 상응한 높이 및 두께로 형성되어, 결합 후 서로 일체형으로 가시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프레임(100, …) 중 적어도 2개의 프레임(100, …) 사이에는, 상기 코너연결부재(120)에 의해 구획연결된 공간의 대체로 중앙부를 가로질러 해당 구획 공간의 골격을 보강하도록 상기 프레임들(100, …)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가교프레임(160)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교프레임(160)은, 일방향으로 가교 프레임(160)의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131)와, 그 일측면이 상기 제1접촉부재(140)의 일측 날개부(145)에 통공(도시안됨)을 통해 고정되도록 너트 등이 내설되는 체결부(133) 및 억지끼워맞춤용 돌출띠(135)를 가지는 중간연결부재(130)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프레임(100, …)의 대체로 중앙부에 맞춤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0, …) 사이에 가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가교프레임(160)의 일면에는, 단면이 'I'자형인 복수의 스트립(140)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는 복수의 제3고정구(16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립(140)의 타단에는, 스트립(140)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4고정구(171)를 일체로 가지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그 전체두께가 상기 제1 접촉부재(140)의 날개부(145)의 두께와 상응하고, 상기 날개부(145)와 다른 프레임(100)의 제1접촉부재(140)의 날개부(145) 사이에 접촉배열되어 제2접촉부재(170)가 고정되어 있다.
또, 다수의 관체형의 프레임(100, 160, …)을 각형태로 교차 연결하여 구획된 공간에 결합되는 단열 패널(200)은, 사방절곡된 절곡부(211, 221)를 가지고, 내외측의 외관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상의 내·외측부재(210, 220)와, 상기 내외측부재(210, 220)의 절곡부(211, 221) 내측단에 삽입 배열되어, 상기 내외측부재(21, 220)와 함께 구획공간을 이루는 단면이 '??'자형인 수지재의 커버재(와, 상기 구획공간에 발포 충전된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이와 같은 구조의 단열패널(200)은 제1접촉부재(170)의 날개부(145)와 패치(240)를 개재하여 밀봉성이 증대되도록 구성됨이 좋다.
또한, 상기 제2접촉부재(170)는 2중 공기단열 구조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상기 스트립(140)에는 상대적으로 강성의 재료, 예를 들어,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져, 냉기나 열기의 누출을 방지함과 동시에 정적 밀봉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케이스(35, 36)는 사각프레임을 용접 등으로 접합시키는 등의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대략 육면체의 프레임을 구성한 다음 그 외측에 측판인 단열패널을 부착하여 격벽을 이루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한 결로방지 구조에서, 제1접촉부재와 그의 날개부 그리고, 단열 패널이 스트립(1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내기의 누설이 저지됨과 더불어, 상기 접촉부위의 조립오류에 따른 접촉성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접촉되어 그 기밀성을 항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이 접촉부재와 함께 2중 공기 단열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2중 스트립(140)에 의해 2차 단열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므로, 냉각코일의 출구온도가 저온화될 때, 공기조화기 내외의 온도차가 크더라도, 공기조화기 외측에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 의하면, 공조기 케이스의 골조인 프레임을 서로 용접에 의해 조립됨없이 간단하게 장탈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시간, 인적자원 및 장비가 추가 소요되지 않음과 동시에, 프레임만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케이스를 축소 및 확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제1접촉부재와 그의 날개부 그리고, 단열 패널이 스트립에 의해 탄력적으로 접촉하여 내기의 누설이 저지됨과 더불어, 상기 접촉부위의 조립오류에 따른 접촉성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기밀하게 접촉되어 그 기밀성을 항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따른 조립 및 분해 시 접촉성을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정렬 공정이 소요되지 않음으로써, 이동 및 증설에 따른 변동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와 같이, 구조물 내외 온도차에 따른 결로 발생 요인을 미연에 제거함으로써, 공기조화기의 적용온도 범위를 항시 적정치로 유지함과 동시에, 습기로 인한 기기의 수명단축 및 개보수 주기의 단축을 극력 저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다수의 관체형의 프레임을 각형태로 교차 연결하여 구획된 공간에 단열 패널을 결합하여, 다면체를 이루도록 다수의 프레임과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코너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각각은, 대체로 수직한 2개의 평탄면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경사면은, 단면이 'I'자형인 복수의 스트립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를 일체로 가지고;
    상기 스트립의 타단에는, 스트립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2고정구를 일체로 가지는 지지면을 중심으로 서로 간격지고 단면이 'V'자형상으로 일체로 펼쳐지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부가 구획형성된 복수의 날개부를 구비한 제1접촉부재가 배열되며;
    상기 코너연결부재는, 상기 다면체로부터 다수방향으로 분기하여 상기 다면체의 코너부를 이루도록 상기 다수의 프레임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서로 일정 각도로 배열 형성된 다수의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분기부는, 상기 프레임이 결합되도록 프레임의 둘레부 형상에 상응하는 둘레부 형상의 삽입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들의 집속부에는, 상기 프레임이 삽입결합된 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제1접촉부재의 날개부에 상응하는 형상의 다수의 공간 구획형 돌출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연결부재에 의해 구획연결된 공간의 대체로 중앙부를 가로질러 해당 구획 공간의 골격을 보강하도록 상기 프레임들의 결합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가교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프레임은, 일방향으로 가교 프레임의 일단에 삽입고정되는 삽입부와, 그 일측면이 상기 날개부에 고정되도록 체결부를 가지는 중간연결부재에 의해 상기 적어도 2개의 프레임의 사이에 가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프레임의 일면은, 단면이 'I'자형인 복수의 스트립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 배열되는 복수의 제3고정구를 일체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의 타단에는, 스트립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4고정구를 일체로 가지는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그 전체두께가 상기 제1 접촉부재의 날개부의 두께와 상응하고, 상기 날개부와 다른 프레임의 제1접촉부재의 날개부 사이에 접촉배열되어 제2접촉부재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부재는 2중 공기단열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널은, 사방절곡된 내외측의 외관을 이루는 플레이트 형상의 내·외측부재와, 상기 내외측부재의 절곡부 내측단에 삽입 배열되어, 상기 내외측부재와 함께 구획공간을 이루는 수지재의 커버재와, 상기 구획공간에 발포 충전된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KR10-2000-0052390A 2000-09-05 2000-09-05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KR100461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390A KR100461742B1 (ko) 2000-09-05 2000-09-05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390A KR100461742B1 (ko) 2000-09-05 2000-09-05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223U Division KR200211991Y1 (ko) 2000-09-05 2000-09-05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9228A true KR20020019228A (ko) 2002-03-12
KR100461742B1 KR100461742B1 (ko) 2004-12-14

Family

ID=1968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390A KR100461742B1 (ko) 2000-09-05 2000-09-05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742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094B1 (ko) * 2008-01-11 2008-09-05 주식회사 세원기연 결로와 누기 차단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KR100860369B1 (ko) * 2007-07-11 2008-09-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결로방지용 피브이시 프레임 구조
KR101008505B1 (ko) * 2010-03-08 2011-01-14 (주)네오텍 공기조화기의 외장 패널 조립체
KR101122247B1 (ko) * 2009-11-20 2012-03-20 박성배 공기조화기의 결로방지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47073A (ko) *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
KR20160123447A (ko) * 2015-04-15 2016-10-26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의 단열효과 및 누기율 최소화 프레임
GB2548909A (en) * 2016-04-01 2017-10-04 Big Foot Systems Ltd Support frame
KR20210094986A (ko) 2020-01-22 2021-07-30 심우 주식회사 친환경 공기조화기
KR102499847B1 (ko) * 2022-07-11 2023-02-16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 모듈의 단열 프레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920B1 (ko) 2009-08-06 2012-05-15 주식회사 에어텍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KR101595803B1 (ko) * 2014-11-19 2016-02-19 (주)명진금속 공기조화기 케이스용 모서리 연결장치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54199B1 (fr) * 1989-11-07 1992-02-21 Wesper Sa Appareil de traitement d'air a ossature metallique.
KR970003478Y1 (ko) * 1994-10-21 1997-04-17 주식회사 세원기연 공기 조화기용 조립식 후레임의 구조
KR200160742Y1 (ko) * 1997-05-27 1999-11-15 민경국 공조기의 하우징골격 조립장치
NL1006974C2 (nl) * 1997-09-08 1999-03-09 Holland Heating Bv Samenstel voor een luchtbehandelingskast, en luchtbehandelingskast omvattende dit samenstel.
GR1003076B (el) * 1997-12-30 1999-02-12 Αεροστεγης σκελετος κεντρικων μοναδων κλιματισμου με θερμοφραγμο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369B1 (ko) * 2007-07-11 2008-09-25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결로방지용 피브이시 프레임 구조
KR100857094B1 (ko) * 2008-01-11 2008-09-05 주식회사 세원기연 결로와 누기 차단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KR101122247B1 (ko) * 2009-11-20 2012-03-20 박성배 공기조화기의 결로방지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1008505B1 (ko) * 2010-03-08 2011-01-14 (주)네오텍 공기조화기의 외장 패널 조립체
KR20150047073A (ko) * 2013-10-23 2015-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 핸들링 유닛 및 그 조립방법
KR20160123447A (ko) * 2015-04-15 2016-10-26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의 단열효과 및 누기율 최소화 프레임
GB2548909A (en) * 2016-04-01 2017-10-04 Big Foot Systems Ltd Support frame
GB2548909B (en) * 2016-04-01 2018-03-28 Big Foot Systems Ltd Support frame
GB2561637A (en) * 2016-04-01 2018-10-24 Big Foot Systems Ltd Support frame
GB2561637B (en) * 2016-04-01 2019-06-05 Big Foot Systems Ltd Support frame
KR20210094986A (ko) 2020-01-22 2021-07-30 심우 주식회사 친환경 공기조화기
KR102499847B1 (ko) * 2022-07-11 2023-02-16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공기조화기 모듈의 단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742B1 (ko) 2004-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1742B1 (ko)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KR100806124B1 (ko) 친환경 공기조화기
KR100864016B1 (ko) 플러그업 케이싱형 공기조화기
US3252258A (en) Temperature controlled environmental enclosure with modular panels
US20030011289A1 (en) Detachable frame for coil removal
EP1053435A1 (en) Insulation panel for cabinets containing air handling equipment
GB2090394A (en) Panel element for use in constructing insulating chambers
EP3423758B1 (en) Cover channel, cover frame, insulating panel, air handling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ver channel
KR200416830Y1 (ko)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WO2001050067A2 (en) Air handler framework
KR200211991Y1 (ko)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WO2001050068A1 (en) Extruded channel for insulating panel construction
CN107429940B (zh) 用于空气处理单元的面板、用于组装这种面板的方法以及包括这种面板的空气处理单元
KR870000536Y1 (ko) 장막벽 벽널 지지장치
CN215001890U (zh) 空调
KR100953201B1 (ko)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KR100951454B1 (ko)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US11591954B2 (en) Enclosure segments for forming an enclosure for an engine generator set
AU2018300705A1 (en)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EP3264001A1 (en) Box-like structure and ventilation unit
JPH10266455A (ja) ケーシングパネル及びその接合構造
KR200464306Y1 (ko) 공조기용 단열패널
CN111256355A (zh) 隔热板组件及隔热箱体
KR101064556B1 (ko) 이종 케이싱 조립용 프레임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499847B1 (ko) 공기조화기 모듈의 단열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