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830Y1 -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 Google Patents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830Y1 KR200416830Y1 KR2020060005862U KR20060005862U KR200416830Y1 KR 200416830 Y1 KR200416830 Y1 KR 200416830Y1 KR 2020060005862 U KR2020060005862 U KR 2020060005862U KR 20060005862 U KR20060005862 U KR 20060005862U KR 200416830 Y1 KR200416830 Y1 KR 20041683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air conditioner
- binding
- profile
- conditioner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공조기 케이스 제작을 위한 프레임 내측벽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열부재를 장착하여 외부와의 기온차이로 인한 프레임의 결로(dew condensation, 結露)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속이빈 중공 관체인 주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이 연결부재를 통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골조를 이루며, 조립된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는 단열패널이 설치되어 그 내부에 공조기 부속품 설치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공조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주 프레임의 내측 코너 영역 및 상기 보조 프레임 내측 벽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결속요홈과; 상기 결속요홈과 마주하는 외벽면에 상기 결속요홈과 동일한 형상의 결속요홈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양측 선단에는 실링날개가 일체 형성된 제1, 제2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제2 프로파일의 실링날개와 이 실링날개가 접하게 되는 단열패널 사이에 개입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결속요홈과 상기 프로파일의 결속요홈이 서로 마주하도록 근접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과 프로파일의 결속요홈들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끼워져 프레임과 프로파일을 일정거리 이격시킨채로 연결하는 단열재질의 조인트블록;을 포함한다.
공조기,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 프로파일, 결로(結露)방지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조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
도 2는 종래 공조기 케이스 일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기 케이스의 조립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a는 도 3에 따른 주 프레임 결로방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주 프레임부 결합상태 평 단면도.
도 4b는 도 3에 따른 보조 프레임 결로방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보조 프레임부 결합상태 평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로방지구조를 보여주기위한 요부 조립상태 평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00,110...주·보조 프레임
200...연결부재
300...단열패널
400,410...제1, 제2 프로파일
102,112,402,412...결속요홈
406...실링날개
500...실링부재
600...조인트블록
본 고안은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스 제작을 위한 프레임 내측벽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열부재를 장착하여 외부와의 기온차이로 인한 프레임의 결로(dew condensation, 結露)현상을 방지하고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기기효율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냉·난방과 공기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선한 외기를 흡입하는 외기흡입구(23)와, 실내의 탁한 공기를 배출하는 내기흡입구(24)를 포함하며, 상기 외기흡입구(23)을 통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여과시키기 위해 내부 적소에는 에어필터(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장치 내부에는 공기의 온도를 냉각하는 냉각코일(27)과 공기를 가열하는 히팅코일(28)이 구비되어 있으며, 응축수를 수용 또는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팬(도면부 호 미기재)이 제공되고, 히팅코일(28) 그 후방에는 송풍기(30)와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31)가 장착되어 조화된 공기를 공기공급구(3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3은 송풍기 가동에 따른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방진구이며, 34는 배출소음을 흡수/완화하기 위해 공기 토출구측에 마련되는 캔바스를 각각 가르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조기에 있어서 케이스(35)는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350,350-1)을 용접 또는 연결부재(351)를 이용하여 대략 육면체로 제작한 후 프레임(350,350-1) 외측에 단열판(352)을 부착한 박스형태로 구성되어짐으로써 그 내부에 상기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되어질 공간부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공기 조화기의 케이스는 이를 이루는 프레임(350,350-1)과 단열판(351)이 단일 연결구조로 되어 있어서 냉각코일의 출구온도가 저온화될 때 공기 조화기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하여 케이스 외측 특히, 프레임 외벽측에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결로현상이 지속되면 물방울이 흘러내리면서 열손실을 일으킬 뿐 아니라 프레임의 부식을 야기하여 장치의 내구성 및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 케이스 제작을 위한 프레임 내측벽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단열부재를 장착함 으로써, 공기조화기 가동 중 외부와의 기온차이로 인해 프레임에 발생되는 결로(dew condensation, 結露)현상을 방지하여 부식을 예방하고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결로방지구조의 일례로써, 속이빈 중공 관체인 주 프레임 및 보조 프레임이 연결부재를 통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골조를 이루며, 조립된 상기 프레임들 사이에는 단열패널이 설치되어 그 내부에 공조기 부속품 설치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된 공조기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주 프레임의 내측 코너 영역 및 상기 보조 프레임 내측 벽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복수개의 결속요홈과; 상기 결속요홈과 마주하는 외벽면에 상기 결속요홈과 동일한 형상의 결속요홈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양측 선단에는 실링날개가 일체 형성된 제1, 제2 프로파일과;
상기 제1, 제2 프로파일의 실링날개와 이 실링날개가 접하게 되는 단열패널 사이에 개입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결속요홈과 상기 프로파일의 결속요홈이 서로 마주하도록 근접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과 프로파일의 결속요홈들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끼워져 프레임과 프로파일을 일정거리 이격시킨채로 연결하는 단열재질의 조인트블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결속요홈 및 프로파일에 형성된 결속요홈은 안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점 좁아지다가 확장단턱을 기준으로 단면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결속요홈에 끼워지는 상기 조인트블록은 상기 결속요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결속부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링부재는 고무재질로 된 가스켓을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기 케이스의 조립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공조기 케이스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주 프레임(100)은 연결부재(200)를 매개로 대략 육면체로 조립되고, 주 프레임(100) 사이사이에는 보조 프레임(110)이 연결되어 강성을 확보하면서 전체적인 케이스 골조를 이루며, 상기 프레임들에 의한 골조에는 단열패널(300)이 부착되어 그 내부에 공조기 부속품 설치를 위해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태의 케이스를 이루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주 프레임(100) 및 보조 프레임(110)은 케이스 강성 확보 및 원가절감을 위해 금속재질 예컨대 알루미늄재질의 속이빈 중공관체가 적용되며, 단열패널(300)은 평행하게 배치된 금속 플레이트 사이에 단열재가 개재된 통상의 단열부재가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조기 케이스에 있어서 외부와의 기온차이로 인한 결로 방지를 위해 상기 프레임들 내측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로방지구조가 적용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로방지구조는, 상기 주·보조 프레임(100,110) 내측벽면에 형성되는 결속요홈들(102,112)과, 조인트블록(600)을 매개로 프레임(100,110)과 이격설치되는 프로파일(400,41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a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요홈(102,112)은 상기 주 프레임(100)의 내측 코너 영역 및 상기 보조 프레임(110) 내측 벽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데 적어도 복수 이상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속요홈(102,112)은 안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점 좁아지다가 확장단턱(D)을 기준으로 단면이 확장되는 형상을 지니는데, 굳이 이러한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 확장형 단면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본 고안에 적용될 수 있다.
프로파일(400,410)은 합성수지와 같이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로 제작되어져 공조기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프레임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결속요홈(102,112)과 마주하는 외벽면에 상기 결속요홈(102,112)과 동일한 형상의 결속요홈(402,412)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그 양측 선단에는 실링날개(406)가 일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프로파일은 도 3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케이스 코너영역의 주 프레임(100)과 연결되는 제1 프로파일(100)과, 보조 프레임(110)과 연결되는 제2 프로파일(410)로 구분되는데, 그 설치위치에 따라 형상에 다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조인트블록(600)은 상기 주·보조 프레임(100,110)과 이와 마주토록 설치되는 상기 제1,2 프로파일(400,410)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100,110)과 프로파일(400,410)을 격리/이격시킴으로서 공조기 케이스 내부의 열에너지가 상기 프레임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조인트블록(600)은 상기 프레임(100,110)에 형성된 결속요홈(102,112)과 상기 프로파일(400,410)의 결속요홈(402,412)이 서로 마주하도록 근접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110)과 프로파일(400,410)의 결속요홈들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끼워져 도4a 및 도 4b와 같이 프레임(100,110)과 프로파일(400,410)을 일정거리 이격시킨채로 연결한다.
이와 같은 조인트블록(600)은 열전도가 매우 낮은 단열재질인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질로서 압출성형을 통해 제작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결속요홈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한 쌍의 결속구(602)가 중앙 연결구를 통해 연결된 형상으로서 전체적으로 "H"형 단면형상을 지닌다.
한편, 도면참조부호 500은 상기한 프로파일의 실링날개에 마련되는 실링부재로서 프로파일(400,410)의 실링날개(406)와 이 실링날개(406)가 접하는 단열패널(300) 사이에 개재되어 케이스 내외부를 차단하는 밀폐수단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실링부재(500)로는 고무재질로서 그 길이방향으로는 중공층이 형성되어있어 탄성을 지닌 공지된 가스켓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결로방지구조를 보여주기위한 요 부 조립상태 평 단면도이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코너영역에 위치하는 주 프레임(100)과 주 프레임(100)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프레임(110) 사이에는 단열패널(3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 프레임(100)과 보조 프레임(110) 내벽측에는 단열소재인 조인트블럭(600)을 매개로 제1,2 프로파일(400,410)이 이격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보조 프레임(100,110)과 단열패널(300)은 체결수단 예컨대 볼트-너트를 통해 연결고정킬 수 있으며, 상기 조인트블럭(600)은 상기한 주·보조 프레임(100,110)의 내벽면에 길게 형성된 결속요홈(102,112)과 프로파일(400,410)의 결속요홈(402,412)이 서로 마주하도록 근접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110)과 프로파일(400,410)의 결속요홈들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끼워, 프레임 내측에서 프레임과 프로파일이 일정거리 이격된채로 위치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상기 프로파일(400,410)은 조립 후 프레임 내측의 케이스 공간부에 위치하여 케이스 외부로는 노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주·보조 프레임 내측에 단열소재로 이루어진 조인트블럭(600)을 매개로 프로파일(400,410)이 이격설치됨으로써 상기 주·보조 프레임(100,110)과 프로파일(400,410)은 격리된다. 따라서, 공조기 케이스 내,외부 온도차가 발생되더라도 프로파일(400,410) 및 조인트블럭(600)을 통해 상기 주·보조 프레임(100,110) 측으로 전도 되는 열이 매우 작아 열손실이 거의 없게 되고 결과적으로 프레임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결로현상을 최소화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가동 중 외부와의 기온차이로 인해 프레임에 발생되는 결로(dew condensation, 結露)현상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금속재질인 프레임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고, 프레임의 부식으로 인해 야기되는 장치의 내구성저하 및 수명단축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기기의 열효율을 일층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 속이빈 중공 관체인 주 프레임(100) 및 보조 프레임(110)이 연결부재(200)를 통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조립되어 골조를 이루며, 조립된 상기 프레임(100,110)들 사이에는 단열패널(300)이 설치되어 그 내부에 공조기 부속품 설치를 위한 공간부가 형성되는 공조기 케이스에 있어서,상기 주 프레임(100)의 내측 코너 영역 및 상기 보조 프레임(110) 내측 벽면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적어도 복수 이상의 결속요홈(102,112)과;상기 결속요홈(102,112)과 마주하는 외벽면에 상기 결속요홈(102,112)과 동일한 형상의 결속요홈(402,412)이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양측 선단에는 실링날개(406)가 일체 형성된 제1, 제2 프로파일(400,410)과;상기 제1, 제2 프로파일(400,410)의 실링날개(406)와 이 실링날개(406)가 접하게 되는 단열패널(300) 사이에 개입되는 실링부재(500); 및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결속요홈(102,112)과 상기 프로파일의 결속요홈(402,412)이 서로 마주하도록 근접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00,110)과 프로파일(400,410)의 결속요홈들(102,112,402,412)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끼워져 프레임과 프로파일을 일정거리 이격시킨채로 연결하는 단열재질의 조인트블록(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결속요홈(102,112) 및 프로파일에 형성된 결속요홈(402,412)은 안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점 좁아지다가 확장단턱(D)을 기준으로 단면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결속요홈에 끼워지는 상기 조인트블록(600)은 상기 결속요홈(102,112,402,412)의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형상의 결속구(60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실링부재(500)는 고무재질로 된 가스켓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862U KR200416830Y1 (ko) | 2006-03-03 | 2006-03-03 |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862U KR200416830Y1 (ko) | 2006-03-03 | 2006-03-03 |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830Y1 true KR200416830Y1 (ko) | 2006-05-23 |
Family
ID=4176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5862U KR200416830Y1 (ko) | 2006-03-03 | 2006-03-03 |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830Y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5406Y1 (ko) | 2010-11-18 | 2011-09-02 | (주)플랙트우즈코리아 | 공기조화기의 단열 프레임 |
KR101061943B1 (ko) | 2009-01-20 | 2011-09-05 | (주)플랙트우즈코리아 | 공기조화기의 단열 프레임 |
KR101367178B1 (ko) | 2013-11-04 | 2014-02-27 |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이엔지 | 열손실 최적형 공기조화기 |
KR20160123447A (ko) * | 2015-04-15 | 2016-10-26 |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 공기조화기의 단열효과 및 누기율 최소화 프레임 |
CN108870711A (zh) * | 2018-08-02 | 2018-11-23 |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 一种复合型材空调箱体 |
KR20210094986A (ko) | 2020-01-22 | 2021-07-30 | 심우 주식회사 | 친환경 공기조화기 |
-
2006
- 2006-03-03 KR KR2020060005862U patent/KR20041683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1943B1 (ko) | 2009-01-20 | 2011-09-05 | (주)플랙트우즈코리아 | 공기조화기의 단열 프레임 |
KR200455406Y1 (ko) | 2010-11-18 | 2011-09-02 | (주)플랙트우즈코리아 | 공기조화기의 단열 프레임 |
KR101367178B1 (ko) | 2013-11-04 | 2014-02-27 | 주식회사 에스앤에이치이엔지 | 열손실 최적형 공기조화기 |
KR20160123447A (ko) * | 2015-04-15 | 2016-10-26 |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 공기조화기의 단열효과 및 누기율 최소화 프레임 |
KR101697965B1 (ko) | 2015-04-15 | 2017-01-20 |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 공기조화기의 단열효과 및 누기율 최소화 프레임 |
CN108870711A (zh) * | 2018-08-02 | 2018-11-23 | 广东申菱环境系统股份有限公司 | 一种复合型材空调箱体 |
KR20210094986A (ko) | 2020-01-22 | 2021-07-30 | 심우 주식회사 | 친환경 공기조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6830Y1 (ko) | 공조기 케이스 프레임의 결로방지구조 | |
CA2732963A1 (en) | Air conditioner | |
KR100806124B1 (ko) | 친환경 공기조화기 | |
CN108151272B (zh) | 防凝露结构及空调器 | |
KR100857094B1 (ko) | 결로와 누기 차단기능을 구비한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 |
KR20110056109A (ko) | 공기조화기의 결로방지용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60369B1 (ko) |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는 결로방지용 피브이시 프레임 구조 | |
KR101294097B1 (ko) | 복층 패널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 |
JP2008202889A (ja) | エンジン駆動式ヒートポンプ | |
KR100461742B1 (ko) | 공조기의 케이스용 결로방지장치 | |
KR100953201B1 (ko) |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 |
WO2019007220A1 (zh) |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 |
KR100951454B1 (ko) |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 |
KR100931398B1 (ko) | 공기조화기용 케이싱 | |
KR101137920B1 (ko) | 결로방지용 공기조화기 케이스 | |
JP7360930B2 (ja) | 空気調和機のフレーム | |
KR20110060224A (ko) | 전열교환부용 커버 | |
KR20150022128A (ko) | 공기조화기 | |
KR200274365Y1 (ko) | 공기조화기의 열손실 및 결로 방지용 단열구조물 | |
KR20170001590U (ko) | 단열성능이 향상된 천장패널 설치용 프레임 | |
KR100568730B1 (ko) | 공기조화기의 열손실 및 결로 방지용 단열구조물 | |
JP2003194359A (ja) | 空気調和機のキャビネット構造 | |
KR100323519B1 (ko) | 공기조화기의 팬하우징과 드레인팬 일체화 구조 | |
KR101367178B1 (ko) | 열손실 최적형 공기조화기 | |
KR102584140B1 (ko) | 열손실 최적형 공기조화기 프레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