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8369A -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 Google Patents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8369A
KR20020018369A KR1020000051653A KR20000051653A KR20020018369A KR 20020018369 A KR20020018369 A KR 20020018369A KR 1020000051653 A KR1020000051653 A KR 1020000051653A KR 20000051653 A KR20000051653 A KR 20000051653A KR 20020018369 A KR20020018369 A KR 20020018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main body
proximity sens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459B1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규,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황한규
Priority to KR102000005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4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Abstract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하여, 에어컨 실내기 본체 내측에 센서일체형 패널에 일체로 설치한 자력형 근접센서와; 흡입그릴에 상부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한 자석고정홈과, 상기 자석고정홈에 삽입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고정홈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형성한 ㄱ자형이탈방지편과, 상기 자석고정홈의 내측 상단에 형성한 걸림돌기로 구성된 자석부에 의해 흡입그릴이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형성하므로, 흡입그릴 이탈감지수단을 측면판에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되어 에어컨 실내기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흡입그릴의 이탈에 대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되어 흡입그릴 이탈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 power interrupting structure of dust colletor for air-conditioner }
본 발명은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어컨 실내기의 내부 일측에 자력형 근접센서를 설치하고, 흡입그릴의 내측면에는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에 대응되는 위치로 자석을 부착하여 흡입그릴의 이탈을 감지하도록 형성하므로 신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고 생산성도 향상되는 전원차단구조를 구비하게 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의 전기집진기는 고전압발생기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면 송풍기의 작동에 의해 흡입그릴의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양(+)이온화 시키도록 정(+)전위가 인가되는 방전부와, 상기 방전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부(-)전위가 인가됨에 따라 상기 방전부에 의해 양(+)이온화 된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대전부가 형성되어 상기 대전부에서 먼지입자가 집진됨에 따라 청정해진 공기를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전기집진기는 고전압발생기에서 고전압이 인가되면, 정(+)전위는 방전부에 부(-)전위는 대전부에 인가됨에 따라 상기 방전부와 대전부에 전리장이 형성되어, 송풍기의 작동에 따라 흡입된 공기가 전리장을 통과하면서, 정(+)전위를 갖는 방전부에 의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입자들이 양(+)이온화가 이루어져서 부(-)전위를 갖는 대전부에 집진되므로, 청정공기만을 토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기집진기는 고전압발생기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어 사용자가 접촉하게되면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서 매우 위험하므로 에어컨 실내기의 내부에 설치하게 되지만, 공기중의 먼지입자들이 계속적으로 집진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만 먼지입자의 집진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에어컨 실내기는 전면에 전기집진기를 향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형성한 흡입그릴이 탈부착되도록 형성하여 필요할 경우 흡입그릴을 탈착시켜 전기집진기를 청소할 수 있도록 제작하되,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흡입그릴이 탈착되면 전기집진기에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에어컨 실내기 본체(1)의 전면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공기흡입구(2)를 형성한 흡입그릴(3)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그릴(3)의 내측으로 상기 본체(1)에는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전기집진기(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3)이 본체(1)에서 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기집진기(4)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그릴(3)이 본체(1)에 장착되어 접하게 되는 측면판(5)의 일측에 인터록스위치(6)를 형성하고, 상기 흡입그릴(3)이 본체(1)에 장착되면, 상기 인터록스위치(6)의 버튼(7)이 흡입그릴(3)의 측면 일측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전기집진기(4)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흡입그릴(3)이 본체(1)에서 탈착하여 이탈하게 되면, 상기 인터록스위4치(6)의 버튼(7)을 흡입그릴(3)의 일측이 가압하지 않게되므로 상기 버튼(7)이 돌출되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전기집진기(4)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인터록(Interlock)스위치는 기계적 정지회로, 리미트스위치, 잠금장치와 같이 기계적인 작동을 잠시 중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은 감지접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안전스위치 디자인을 위한 표준방식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고압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압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전기집진기(4)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송풍기가 구동되고, 상기 송풍기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공기가 흡입그릴(3)의 공기흡입구(2)를 통해 강제 흡입되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는 상기 전기집진기(4)를 통과하면서 전기적으로 이온화되어 상기 전기집진기(4)에 포집되어 청정한 공기가 된 후 본체의 내측상단측으로 이동하여 토출그릴(8)을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냉방장치에 의해 냉각되고 전기집진기(4)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여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에서는 본체의 측면판에 인터록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인터록스위치의 버튼이 흡입그릴에 의해 가압되어 눌려질 경우에 전기집진기에 전원이 공급되고, 버튼에 가압력이 사라지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인터록스위치는 사용자가 흡입그릴이 이탈된 상태에서도 임의로 인터록스위치를 가압하면 전기집진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매우 위험하였다.
즉, 전기집진기의 청소를 위해 흡입그릴을 이탈시킨 상태에서 전기집진기의 위험성을 인식하지 못하는 분별력이 약한 아동이 접근하여 돌출되어 있어서 호기심을 유발시키는 버튼을 가압하게되면 전기집진기에 전원이 공급되어 극히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인터록스위치는 이 버튼이 사용자들에 의해 용이하게 가압되므로 만약 사용자가 고의적으로 버든 누름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내측에 기계적인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한 인터록스위치에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전원공급장치는 순간적으로 온/오프가 반복되어 소손이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아니라, 인터록스위치는 본체 측면판의 일측에 장착하게 되는에 이를위해서는 측면판에 인터록스위치를 장착하는 관통홀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홀에 인터록스위치를 결합해야하므로 에어컨 실내기의 작업공정이 복잡해지고 별도의 조립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 향상에 저해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하고 신뢰성이 향상되며 조립작업 공정을 단순화시켜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자석부를 상세히 도시한 상세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1 : 본체 12 : 공기흡입구
13 : 흡입그릴 14 : 전기집진기
15 : 센서일체형 패널 16 : 자력형 근접센서
17 : 자석부 18 : 자석고정홈
19 : 자석 20 : ㄱ자형이탈방지편
21 : 걸림돌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 본체에서 전면에 장착된 흡입그릴이 이탈되면 전기집진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도록 형성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에 있어서, 본체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일체형 패널에 일체로 설치한 자력형 근접센서와; 흡입그릴의 내측으로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와 대응되는 위치로 부착한 자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자석부는 상부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한 자석고정홈과; 상기 자석고정홈에 삽입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고정홈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형성한 ??자형이탈방지편과; 상기 자석고정홈의 내측 상단에 형성한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에어컨 실내기 본체에서 전면에 장착된 흡입그릴이 이탈되면 전기집진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도록 형성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에어컨 실내기 본체(11)의 전면 하부에 공기흡입구(12)를 형성한 흡입그릴(13)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의 흡입그릴(13) 내측으로는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먼지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청정하게 하는 전기집진기(1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지만,
상기 흡입그릴(13)이 본체(11)에서 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기집진기(14)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1) 내측에 상기 전기집진기(14)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일체형 패널(15)에 일체로 설치한 자력형 근접센서(16)와;
상기 흡입그릴(13)의 내측으로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16)와 대응되는 위치로부착한 자석부(17)를 형성한다.
상기 자석부(17)는 상부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한 자석고정홈(18)과;
상기 자석고정홈(18)에 삽입하는 자석(19)과;
상기 자석고정홈(18)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형성한 ??자형이탈방지편(20)과;
상기 자석고정홈(18)의 내측 상단에 형성한 걸림돌기(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16)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의 일종으로 완전 밀폐형의 스위칭구조로서 응답속도가 빠르고 주변환경이 열악한 악조건에 서도 우수한 성능이 유지되는 것으로, 전기적수명이 무한대에 가까워 영구적이며 미소부하에서 중부하까지 사용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자력을 감지하여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흡입그릴(13)이 본체(11)에 장착되면, 상기 자석부(17)의 자력이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16)에 감지되어 자력형 근접센서(16)가 온되어 본체(11)의 전기집진기(13)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흡입그릴(13)이 본체(11)에서 탈착하여 이탈하게 되면, 상기 자석부(17)의 자력이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16)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므로 자력형 근접센서(16)가 오프되어 상기 전기집진기(13)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16)는 본체(11) 내측에서도 상기 전기집진기(14)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일체형 패널(15)에 다른 센서들과 함께 일체로 장착되어 있어서, 상기 센서일체형 패널(15)을 본체(11)에 장착하므로 전기집진기(14)의 전원을 차단하기위하여 흡입그릴 이탈감지수단을 측면판에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되어 조립공정이 감소되며,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16)는 상기 흡입그릴(13)에 자력형 근접센서(16)와 대응되는 위치로 부착한 자석부(17)에 따라 검출이 가능하여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종래의 인터록스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임의로 스위치를 온/오프시켜서 오동작에 의한 위험이 발생하지 않게되고,
상기 자석부(17)는 상부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 자석고정홈(18)에 상기 자석고정홈(18)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형성한 ㄱ자형이탈방지편(20)이 형성되어
상기 자석고정홈(18)에 삽입하는 자석(19)이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16)에 충분한 자력을 미칠수 있게 되고, 상기 자석고정홈(18)의 내측 상단에 걸림돌기(21)가 형성되어, 상기 자석고정홈(18)으로 삽입된 자석(19)은 상단이 상기 걸림돌기(21)에 걸려 용이하게 상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즉, 본체의 측면판에 흡입그릴이탈감지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조립공정이 필요없게되어 공정수가 감소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며, 자석부에도 자석을 간단히 삽입할 수 있으면서도 이탈이 방지될 뿐만아니라 충분한 자력을 얻을 수 있게 되며, 사용자에 의한 오동작이 예방되어 종래의 흡입그릴 이탈감지수단보다 신뢰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안정성도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컨 실내기 본체에서 전면에 장착된 흡입그릴이 이탈되는 것을 본체 내측의 센서일체형 패널에 일체로 설치한 자력형 근접센서와; 흡입그릴에 형성된 자석부에 의해 감지하도록 형성하므로, 생산자의 측면에서는 흡입그릴 이탈감지수단을 측면판에 별도로 설치하지 않게되어 에어컨 실내기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으며, 사용자의 측면에서는 사용자가 흡입그릴이탈감지수단을 용이하게 오동작시킬 수 없어서 흡입그릴 이탈감지의 신뢰성이 향상되어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에어컨 실내기 본체에서 전면에 장착된 흡입그릴이 이탈되면 전원을 차단하도록 형성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센서일체형 패널에 일체로 설치한 자력형 근접센서와;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으로 상기 자력형 근접센서와 대응되는 위치로 부착한 자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는 상부와 전면이 개구되도록 형성한 자석고정홈과;
    상기 자석고정홈에 삽입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고정홈의 전면에서 양측으로 형성한 ??자형이탈방지편과;
    상기 자석고정홈의 내측 상단에 형성한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KR1020000051653A 2000-09-01 2000-09-01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KR100357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653A KR100357459B1 (ko) 2000-09-01 2000-09-01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653A KR100357459B1 (ko) 2000-09-01 2000-09-01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369A true KR20020018369A (ko) 2002-03-08
KR100357459B1 KR100357459B1 (ko) 2002-10-19

Family

ID=19686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653A KR100357459B1 (ko) 2000-09-01 2000-09-01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730B1 (ko) * 2002-11-30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32574B1 (ko) * 2008-11-17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3739559A (zh) * 2021-09-26 2021-1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燥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431B1 (ko) * 2017-09-11 2022-09-08 주식회사 위니아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8235A (en) * 1987-09-19 1989-03-23 Canon Kk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element
JPH0289945A (ja) * 1988-09-28 1990-03-29 Hitachi Ltd 空気調和機
KR0139331Y1 (ko) * 1994-12-10 1999-05-15 김광호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취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730B1 (ko) * 2002-11-30 2005-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32574B1 (ko) * 2008-11-17 201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3739559A (zh) * 2021-09-26 2021-12-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干燥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459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4727A (en) Air-purifying apparatus
KR101276473B1 (ko) 송풍 장치 및 이온 발생 장치
USRE33927E (en) Air cleaner
JP2004253192A (ja) 除電装置および除電装置用脱着ユニット
KR100357459B1 (ko) 에어컨용 전기집진기의 전원차단구조
KR20180020639A (ko) 전기집진장치
US6413301B1 (en) Electronically enhanced media ai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US9723963B2 (en) Power supply arrangement for a suction device and suction device
JP2604304B2 (ja) 空気清浄機
CN211557611U (zh) 离子风机
US5920043A (en) Circuit breaker control device for a vacuum cleaners dust hopper
CN209893540U (zh) 空调室内机
KR200277509Y1 (ko) 컴퓨터용 소형전기집진장치
CN217057864U (zh) 一种便装式空气净化器滤芯
CN219701540U (zh) 除醛净味器
US20040001786A1 (en) Anion-generating device
KR0152143B1 (ko) 전기집진기의 접점장치
JPH0636408Y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219756582U (zh) 除醛净味器
KR0128914Y1 (ko) 공기조화기의 안전스위치
JPH0325171Y2 (ko)
JPH0137709Y2 (ko)
JPH07539U (ja) 空気清浄装置
KR980006599U (ko) 진공청소기 집진봉투 장착구조
KR100496730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