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772A - 허리벨트 - Google Patents

허리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772A
KR20020015772A KR1020000048875A KR20000048875A KR20020015772A KR 20020015772 A KR20020015772 A KR 20020015772A KR 1020000048875 A KR1020000048875 A KR 1020000048875A KR 20000048875 A KR20000048875 A KR 20000048875A KR 20020015772 A KR20020015772 A KR 20020015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waist
buckl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석
Original Assignee
이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석 filed Critical 이강석
Priority to KR1020000048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5772A/ko
Publication of KR2002001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2Expansible or 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 A41F9/025Adjustable belts or girdl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9/00Belts, girdles, or waistbands for trousers or skirts
    • A41F9/002Free belts
    • A41F9/005Free belts with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5Buckl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with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지나 치마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트로 이용하면서 허리의 굵기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허리벨트는, 바지나 치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있어서, 허리의 굵기에 따라 허리치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하는 디스플레이휠을 포함하는 버클부(100)와, 이 버클부(100)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된 제1벨트(210)가 신축부재(220)를 매개로 제2벨트(230)와 연장되어 허리를 감싸도록 된 벨트부(200)와, 상기 버클부(100)에 고정된 벨트부(200)의 제1벨트 (210)와 제2벨트(230)에 고정되어 항시 일정길이로 결합되도록 된 고정부(3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허리벨트{ A waist belt }
본 발명은 바지나 치마를 입을때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허리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로 이용하면서 허리의 굵기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허리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이나 여성은 바지나 치마를 입을때나 또는 자신의 건강과 몸매를 가꾸기 위해 몸무게와 허리의 치수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되는바, 허리의 치수에 대하여 줄자를 이용하여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줄자는 항상 몸에 휴대하기가 곤란하여 자신의 허리굵기를 언제 어디서든 알기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 자신의 허리굵기를 알지 못하여 건강 및 미용에 소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바지나 치마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트로 이용하면서 허리의 굵기를 손쉽게 알 수 있도록 한 허리벨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벨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벨트를 구성하는 버클부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3에서 버클부의 후면버클을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5는 도 4의 A방향 상세도,
도 6은 도 2의 우측면도,
도 7은 도 6의 좌측면도,
도 8은 도 7의 B - B선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허리벨트를 구성하는 벨트부의 제1벨트와 제2벨트의 사이에 신축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노출방지신축부재를 매개로 허리측정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를 상부에서 본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버클부 110: 전면버클
111: 보스 112: 홈
113: 보스 120: 후면버클
121: 표시창 122: 체결부재
123: 보스안착부 124: 인출구멍
125: 안내부재 126: 도피부
127: 열쇠걸이 130: 스파이럴스프링
140: 디스플레이휠 141: 치수각인부
142: 요홈 143: 회전지지부
144; 스파이럴안착부 145: 스파이럴지지돌기
150: 허리측정부재 160: 노출방지신축부재
170: 클립 171: 타원구멍
200: 벨트부 210: 제1벨트
211: 체결부재 220: 신축부재
230: 제2벨트 231: 측정부재고정부
300: 고정부 310: 고정핀부재
320: 제1고정부재 321: 후크부
330: 제2고정부재 331: 체결후크부
340: 막음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지나 치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있어서, 허리의 굵기에 따라 허리치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하는 디스플레이휠을 포함하는 버클부와, 이 버클부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된 제1벨트가 신축부재를 매개로 제2벨트와 연장되어 허리를 감싸도록 된 벨트부와, 상기 버클부에 고정된 벨트부의 제1벨트와 제2벨트에 고정되어 항시 일정길이로 결합되도록 된 고정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허리벨트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허리벨트는, 상부의 표시창(121)을 통해 허리의 굵기에 따라 허리치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하는 디스플레이휠을 포함하는 버클부(100)와, 이 버클부(100)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된 제1벨트(210)가 신축부재(220)를 매개로 제2벨트(230)와 연장되어 허리를 감싸도록 된 벨트부(200)와, 상기 버클부(100)에 고정된 벨트부(200)의 제1벨트(210)와 제2벨트(230)에 고정되어 항시 일정길이로 결합되도록 된 고정부(3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버클부(1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버클(110)과, 이 전면버클(110)의 후면에 체결부재(122)로 체결되는 후면버클 (120)과, 이 전면버클(110)과 후면버클(120)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후면버클(120)의 표시창(121)을 통해 허리의 굵기에 따라 허리치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스파이럴스프링(130)을 매개로 복귀되도록 회전되는 디스플레이휠(140)과, 이 디스플레이휠(140)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어 감겨지고 타단은 후면버클(120)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를 지나 제2벨트(230)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허리측정부재(150)와, 이 허리측정부재(150)가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폭으로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에 고정되는 노출방지신축부재(16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클부(100)의 후면버클(120)에 제1벨트(210)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면버클(120)을 관통하여 전면버클(11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11)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면버클(110)은, 후면 중앙에 상기 체결부재(211)가 체결되도록 형성된 보스(111)와, 이 보스(111)에 상기 스파이럴스프링(130)의 일단이 끼워지도록 형성된 홈(112)과, 후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후면버클(120)이 체결부재 (122)로 체결되도록 형성된 보스(113)를 포함한다.
또 상기 버클부(100)의 후면버클(120)에 제1벨트(210)의 일단이 고정되는 것은 상기 후면버클(120)에 다수개의 리벳등과 같은 고정부재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후면버클(120)은, 상기 표시창(121)과, 상기 보스(113)와 끼워져 체결부재(122)를 매개로 결합되는 보스안착부(123)와, 상기 허리측정부재(150)가 인출되도록 측면에 형성된 인출구멍(124)과, 이 인출구멍(124)에 끼워져 허리측정부재(150)를 안내하는 안내부재(125)와, 상기 제1벨트(210)가 밀착되는 면의 하부 일측에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 도피부(126)와, 이 도피부(126)의 소정위치에 ㄴ자 형상으로 돌출되어 열쇠등을 끼울수 있도록 된 열쇠걸이(1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휠(140)은, 자신의 허리치수가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표시창(121)에 나타남과 더불어 자신의 허리치수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는 증감하는 허리치수가 외주면에 각인된 치수각인부(141)와, 이 치수각인부(141)의 안쪽으로 상기 허리측정부재(150)가 감기도록 형성되는 요홈(142)과, 상기 전면버클(110)의 보스(111)이 끼워지는 회전지지부(143)와, 이 회전지지부(143)의 일측에 상기 스파이럴스프링(130)이 설치되도록 형성된 스파이럴안착부(144)와, 이 스파이럴안착부(144)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스파이럴스프링(130)의 일단이 지지되도록 한 스파이럴지지돌기(14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치수각인부(141)는 기준 허리굵기의 인치를 중심으로 했을때 좌우로 4인치 정도의 범위를 전체원주에 기록함이 적당하다.
한편 상기 허리측정부재(150)는 본원에서는 낚시줄을 이용하였으나 본원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줄을 사용하여도 가능하다.
또 상기 허리측정부재(150)는 본원에서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의 전면 중앙에 고정되는 노출방지신축부재(160)를 매개로 안내되도록 설치되나, 상기 허리측정부재(150)는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의 상부에 노출방지신축부재 (160)를 매개로 안내되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고,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 (220)의 후면 중앙에 노출방지신축부재(160)를 매개로 안내되도록 설치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노출방지신축부재(160)는, 상기 허리측정부재(150)가 제1벨트 (210) 와 신축부재(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폭으로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에 미싱에 의해 고정되나, 기타의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가능함은 물론이다.
미설명부호 170은 상기 후면버클(120)에 고정되는 클립으로, 허리춤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며, 중앙의 타원구멍(171)은 제1벨트(210)를 후면버클(120)에 밀착되도록 체결부재(211)를 체결하기 위해 형성시킨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벨트(210)을 후면버클(120)에 고정하기 위해 본원에서는 체결부재(211)를 이용하였으나, 상기 제1벨트(210)을 후면버클(120)에 고정하기 위해 리벳이음등의 방법을 사용하여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가죽이나 천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를 매개로 역시 가죽이나 천으로 이루어진 제2벨트(230)와 연장되어 허리를 감싸도록 된 벨트부(200)에 노출방지신축부재(160)를 매개로 허리측정부재(150)가 설치된 상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버클부(100)의 후면버클 (120)을 통해 인출된 허리측정부재(150)가 제2벨트(230)의 측정부재고정부(231)에 고정되고, 상기 허리측정부재(1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벨트(210)와 신축부재(220)의 위에 노출방지신축부재(160)가 고정되어 있다.
즉, 상기 신축부재(220)가 늘어날 때 노출방지신축부재(160)도 함께 늘어나게 되어 허리측정부재(150)의 인출이 자유롭게 된다.
한편, 상기 허리측정부재(150)가 고정부(300)의 제2고정부재(320)에 고정되고, 상기 신축부재(220)와 제2벨트(210)가 하나의 신축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노출방지신축부재(160)가 제2고정부재(320)까지 연장되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30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벨트(210)의 전면에 일단이 리벳등의 고정핀부재(310)로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이 3차에 걸쳐 직각벤딩된 후크부(321)를 갖춘 제1고정부재(320)와, 이 제1고정부재(320)의 후크부(321)에 상승에서 하부로 체결되는 체결후크부(331)를 일단에 갖춤과 더불어 타단이 제2벨트(230)의 후면에 리벳등의 고정핀부재(310)로 고정된 제2고정부재(3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321)의 하부에는 폐쇄되어 상기 체결후크부(331)가 위에서 아래로 끼워질 때 아래로 빠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막음판(340)이 설치되어 있다.
물론 상기 고정부(300)는 결합시 오차가 없거나 미세하도록 하는 구조로, 이를 만족하는 구성이라면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허리벨트에 무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자신의 허리굵기에 해당하는 치수가 상기 버클부(100)의 후면버클(120)에 형성된 표시창(121)으로 상기 디스플레이휠(140)의 치수각인부(141)를 나타내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즉, 상기 고정부(300)를 구성하는 제2고정부재(330)의 체결후크부(331)를 바지나 치나의 고리로 끼워넣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320)의 후크부(321)에 위에서 아래로 끼우게 되면 상기 막음판(340)에 의해 체결후크부(331)가 하부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버클부(100)와 고정된 제1벨트(210)의 길이와 고정부(300)로 고정된 길이 및 제2벨트(230)의 측정부재고정부(231)까지의 길이가 항시 고정된 치수이므로, 상기 제1,2벨트(210,230)의 사이에 고정된 신축부재(220)의 변화량이 허리둘레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한편 자신의 허리굵기보다 표시창(121)에 표시된 치수각인부(141)의 치수가 적은 것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300)의 제1,2고정부재(320,330)를 고정할 때 상기 벨트부(200)를 구성하는 제2벨트(230)의 측정부재고정부(231)에 일단이 고정된 허리측정부재(150)는 상기 후면버클(120)의 인출구멍(124) 또는 안내부재 (125)에서 인장력이 작용하여 인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허리측정부재(150)에 인장력이 작용하면 상기 허리측정부재(150)는 디스플레이휠(140)을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서 허리측정부재 (150)가 풀리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휠(140)의 스파이럴지지돌기(145)가 도 4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일단이 전면버클(110)의 보스(111)에 형성된 홈(112)으로 끼워진 스파이럴스프링(130)의 타단을 반시계방향으로 감게되므로 탄발력을 갖는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고정부(300)의 제1,2고정부재(320,330)가 분리되면 상기 스파이럴스프링(130)의 탄발력에 의해 디스플레이휠(140)이 도 4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허리측정부재(150)를 요홈(142)에 감게된다.
이때 상기 허리측정부재(150)는 노출방지신축부재(160)의 내부에 위치되어 이동하므로 미관상으로도 우수하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의 의하면, 바지나 치마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벨트로 이용하면서 허리의 굵기를 손쉽게 알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이에 따라 과식을 삼가하게 되고 몸매에 관심이 증가되어 건강을 지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지나 치마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허리에 착용하는 허리벨트에 있어서,
    허리의 굵기에 따라 허리치수를 인식할 수 있도록 정역회전하는 디스플레이휠을 포함하는 버클부와, 이 버클부의 후면에 일단이 고정된 제1벨트가 신축부재를 매개로 연장되어 허리를 감싸도록 된 벨트부와, 상기 버클부에 고정된 벨트부에 고정되어 항시 일정길이로 결합되도록 된 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벨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부는, 전면버클과, 이 전면버클의 후면에 체결되는 후면버클과, 이 전면버클과 후면버클의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후면버클의 표시창을 통해 허리의 굵기에 따라 허리치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은 물론 스파이럴스프링을 매개로 복귀되도록 회전되는 디스플레이휠과, 이 디스플레이휠의 외주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후면버클의 외부로 인출되어 벨트부의 제1벨트와 신축부재를 지나 제2벨트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부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허리측정부재와, 이 허리측정부재가 제1벨트와 신축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정폭으로 제1벨트와 신축부재에 고정되는 노출방지신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벨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벨트의 전면에 일단이 고정핀부재로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이 여러차례 직각벤딩된 후크부를 갖춘 제1고정부재와, 이 제1고정부재의 후크부에 상부에서 하부로 체결되는 체결후크부를 일단에 갖춤과 더불어 타단이 제2벨트의 후면에 고정핀부재로 고정된 제2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벨트.
KR1020000048875A 2000-08-23 2000-08-23 허리벨트 KR20020015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875A KR20020015772A (ko) 2000-08-23 2000-08-23 허리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875A KR20020015772A (ko) 2000-08-23 2000-08-23 허리벨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845U Division KR200216260Y1 (ko) 2000-08-23 2000-08-23 허리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772A true KR20020015772A (ko) 2002-03-02

Family

ID=1968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875A KR20020015772A (ko) 2000-08-23 2000-08-23 허리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57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326A (zh) * 2017-04-13 2017-06-13 苏州市吴中区甪直明达漂染厂 一种具有缓冲按摩功能的运动护腰
CN107048526A (zh) * 2017-04-13 2017-08-18 苏州市吴中区甪直明达漂染厂 一种简易的运动护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20326A (zh) * 2017-04-13 2017-06-13 苏州市吴中区甪直明达漂染厂 一种具有缓冲按摩功能的运动护腰
CN107048526A (zh) * 2017-04-13 2017-08-18 苏州市吴中区甪直明达漂染厂 一种简易的运动护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0632B2 (ja) レッグガード
KR940004711Y1 (ko) 흘러내림 방지 수단을 구비한 바지
US5299324A (en) Race number belt with race number attachment system
US6197011B1 (en) Male incontinence diaper
US6272682B1 (en) Extensible leg pad
US5711031A (en) Gusseted wader
EP0448772B1 (en) A brief
KR20020015772A (ko) 허리벨트
KR200216260Y1 (ko) 허리벨트
US4186739A (en) Athletic garment
US2924827A (en) Buckle construction with decorative panel
US5797171A (en) Buckleless belt
US1059603A (en) Trousers-supporter.
US1151708A (en) Garment-supporting belt.
JP4326125B2 (ja) 釣り服
WO2019019771A1 (zh) 一种腰带
US1856958A (en) Hose supporter
CN215684928U (zh) 一种气凝胶茄克
JPH1060719A (ja) メジャー付きのベルト
JP2000034610A (ja) 伸縮自在ベルト
JP3049057U (ja) シャツストッパー部を設けたズボン
KR19980021094U (ko) 톱니형 체결수단을 가지는 버클
JP4262839B2 (ja) フローティングベスト脱離防止具を有するヒップガード
JP3005977B2 (ja) ヘルメット
KR100731633B1 (ko) 기능성 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