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366A -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366A
KR20020015366A KR1020020005445A KR20020005445A KR20020015366A KR 20020015366 A KR20020015366 A KR 20020015366A KR 1020020005445 A KR1020020005445 A KR 1020020005445A KR 20020005445 A KR20020005445 A KR 20020005445A KR 20020015366 A KR20020015366 A KR 20020015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incinerator
incineration
pipe
high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2525B1 (ko
Inventor
이석삼
Original Assignee
이석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삼 filed Critical 이석삼
Priority to KR10-2002-0005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252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2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2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4Gaseous waste or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70601Temporary storage means, e.g. buffers for accumulating fumes or gases, between treatment stages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공간이 내화벽돌(5)에 의해 감싸여 고열실(4)을 형성하며, 상기 고열실의 내측에 소각조(2)가 설치되되, 외면을 내화벽돌로 감싼 버너수용관(3)이 상기 소각조의 하부에 소각조 내부공간과 차단된 상태로 연결되는 소각로(1); 상기 소각로의 외벽과 이격된체 소각로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증기발생실(21)을 구비하며, 상부에 배기용 굴뚝(29)이 제공되는 외체(20); 일단을 상기 소각로 상부에 연결한체 그 타단이 상기 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파이프(40);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된체 상기 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필터(54)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중화수를 분사하는 노즐(51)이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정화탱크(50);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동일구조를 이룬체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는 정화 탱크이며,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연결되는 최초 정화탱크를 포함한 각각의 정화 탱크들은 연결관에 의해 각각의 내부공간을 통하게 되는 보조 정화탱크(60,70); 및 상기 보조 정화탱크 중 최종 보조 정화탱크에 일단이 연결되며, 그 타단은 상기 외체의 증기발생실과 연결되는 가스이송관(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Incineration Equipment for waste matter}
본 발명은 각종 폐기물을 소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분진, 그을음 및 유해성분이 중화수와 필터에의해 다단계로 정화되도록 하므로써, 외부를 향해 개방된 소각로의 배출관으로 항상 청결하게 정화된 배기가스 만이 배기되도록 한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각로는, 음식쓰레기와 같은 일반폐기물 또는 폐타이어나 비닐류 등의 산업폐기물을 소각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하므로써,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매립 폐기물의 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용도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소각로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는 난방 및 발전용으로 이용될 수 있어,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이라는 측면과 함께 지역주민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긍정적인 측면도 가졌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아파트 단지나 빌딩 밀집지역에서 대형의 집단 소각시설을 설치하여 운영하는 등, 그 설치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종래의 소각로는 폐기물의 연소와 함께 발생되는 다량의 분진(그을음) 및 유해가스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그 일측에 별도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부설함이 보편적이었으며, 이같은 정화장치는 내측에 구비된 필터의 여과력으로 소각로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렇게 소각로에 제공되는 종래의 정화장치는 그 정화기능을 필터의 여과력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므로, 그 정화능력에 한계점을 드러내는 것이엇다.
즉, 상기 필터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각종 분진(그을음)을 단순하게 걸러내는역할밖에 수행하지 못하며, 또한 이러한 필터는 비교적 큰 부피의 분진(그을음)은 어느 정도 걸러낼 수 있지만, 미세한 크기의 분진이나 기체 상태인 유해가스에 대해서는 충분한 여과력을 발휘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상기 정화장치를 통과한 소각로의 배기가스에는 미처 정화되지 못한 다량의 유해물질이 함유되며, 이렇게 유해물질을 함유한 배기가스가 소각로의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오염 물질로 작용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소각로는 폐기물의 연소시 발생된 배기가스를 정화장치의 내부로 바로 주입시키는 방식이므로, 배기가스가 불완전 연소된 다량의 폐기물을 내포한체 정화장치에 그대로 유입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다시 말해, 폐기물의 연소시 발생되는 배기가스에는 불완전연소된 분진 및 그을음이 다량 내포된 상태이며, 이렇게 재 연소가 요구되는 폐기물질을 내포한 배기가스는 소각로의 하부에서 작용하는 열풍 등으로 인해 정화장치로 신속하게 유입되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불완전 연소되어 오염도가 비교적 심한 폐기물질로 인해 정화장치의 필터 기능이 빠르게 저화되는 결과를 가져올 뿐만아니라, 그로 인해 필터를 자주 교체하게 되어 작업상의 번거로움 및 경제적인 낭비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중화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이같은 중화수에 의해 쓸어내려지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가 구비된 복수개의 정화탱크를 소각로의 일측에 설치하므로써, 상기 소각로에서 배출되는 유해한 배기가스가 각 정화탱크를 통과하면서 단계적으로 정화되어 최종 배출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있다.
본 발명은 또한, 소각로의 폐기물 연소시 발생된 배기가스가 소각로 내측으로 재차 순환되어 한차례의 추가 연소를 이루면서 정화장치로 배출되어, 폐기물의 연소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 소각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소각로 2: 소각조 3: 버너수용관 4: 고열실 5: 내화벽돌 6: 개방구 7: 버너 8: 개폐도어 9: 다공차단판 9a: 관통공 10: 버킷 11: 차단판 11a: 개방공 12: 날개부 20: 외체 21: 증기발생실 22: 수조 23: 배수관 24: 워터펌프 25: 물공급관 26: 부레 27: 차단밸브 28: 개폐도어 29: 굴뚝 30: 가스킷 30a: 증기분사공 40: 배기파이프 41,42a: 팬 42: 순환관 43: 배출관 50: 메인 정화탱크 51,61,71: 노즐 52,62,72: 워터펌프 53,63,73: 주입관 54,64,74: 필터 55,56,65,66,75,76: 교환출구 57,67,77: 오물수거구 58,68,78: 폐수관 60.70: 보조 정화탱크 80: 가스이송관 81: 집합관 82: 연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공간이 내화벽돌에 의해 감싸여 고열실을 형성하며, 상기 고열실의 내측에 소각조가 설치되되, 외면을 내화벽돌로 감싼 버너수용관이 상기 소각조의 하부에 소각조 내부공간과 차단된 상태로 연결되는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의 외벽과 이격된체 소각로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증기발생실을 구비하며, 상부에 배기용 굴뚝이 제공되는 외체와; 일단을 상기 소각로 상부에 연결한체 그 타단이 상기 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된체 상기 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필터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중화수를 분사하는 노즐이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정화탱크와;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동일구조를 이룬체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는 정화 탱크이며,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연결되는 최초 정화탱크를 포함한 각각의 정화 탱크들은 연결관에 의해 각각의 내부공간을 통하게 되는 보조 정화탱크와; 상기 보조 정화탱크 중 최종 보조 정화탱크에 일단이 연결되며, 그 타단은 상기 외체의 증기발생실과 연결되는 가스이송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배기파이프가 상기 소각로의 상단에 일단을 연결한체그 타단은 상기 고열실의 하부로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고열실의 상부에 일단을 연결한체 그 타단은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연결되는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열실의 내벽에는 복수개의 와류 형성용 날개부를 돌설하여 구성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소각조 상측으로 소각조의 개방부보다 작은 직경의 개방공을 천공한 차단판이 상기 소각로 내벽에 결합되며, 또한 상기 외체의 상측 내벽에는 복수개의 증기분사공을 천공한 가스킷이 고정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각로(1), 외체(20), 배기파이프(40), 메인 정화탱크(50), 보조 정화탱크(60,70) 및 가스이송관(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각로(1)는 그 하부공간이 내화벽돌(5)로 감싸여 고열실(4)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고열실(4)의 내측으로 소각조(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소각조(2)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은 내경을 갖는 나팔관 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므로써,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소각조(2)의 경사진 면을 따라 소용돌이 형상을 일으키며 신속하게 소각로(1) 상측공간을 향해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각조(2)의 저부에 버너수용관(3)이 설치되되, 상기 버너수용관(3)의 외면은 내화벽돌(5)에 의해 감싸인 상태이며, 이같은버너수용관(3)에 의해서 상기 소각조(2)는 소각로(1)의 바닥면과 소정 높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열실(4)의 하부에는 개방구(6)가 형성되는 것으로써, 상기 개방구(6)를 통해 상기 고열실(4)로 버너(7)를 인입하여 상기 버너수용관(3) 내측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이같은 개방구(6)는 상기 고열실(4) 내부에 축척되는 오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도어 역할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버너(7)는 상기 고열실(4)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게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도면부호 8은 상기 소각로(1)의 소각조(2)로 폐기물을 유입하기 위한 개폐도어이다.
이러한 소각로(1)를 감싸는 형태로 전술한 외체(20)가 설치되며, 상기 외체(20)는 상기 소각로(1)와 일정거리 이격된체 소각로(1)의 외벽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외체(20)의 내면과 상기 소각로(1) 사이에 일정 규모의 공간부가 형성되며, 이같은 공간부는 증기발생실(21)을 이루게 된다. 즉, 상기 증기발생실(21)로 물이 유입되며, 이같은 물은 상기 소각로(1)에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가열되면서 증기를 방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발생실(21)의 수위를 일정 높이로 조절하는 수위조절수단이 상기 외체(20)에 설치된다.
상기 수위조절수단은, 상기 외체(20)의 상측 벽면에 설치되는 수조(22), 상기 수조(22)의 내부와 상기 증기발생실(21)을 연결하는 배수관(23), 워터펌프(24)와 연결되어 상기 수조(22)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25), 그리고 상기 수조(22) 내의 수위변화에 따라 그 높이를 달리하는 부레(26)가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관(25)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차단밸브(27)로 이루어진다.도면부호 28은 상기 소각로(1)의 개폐도어(8)와 마주보게 위치하도록 상기 외체(20)에 제공되는 개폐도어이다.
그리고, 상기 소각로(1)의 상단에 전술한 배기파이프(40)가 연결되는 것으로, 이같은 배기파이프(40)는 상기 외체(20)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이렇게 인출된 배기파이프(40)의 타단은 후술되는 메인 정화탱크(50)와 연결된다. 이러한 배기파이프(40)는 폐기물 소각시 상기 소각로(1) 내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다량의 유해가스를 상기 메인 정화탱크(50)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배기파이프(40)의 경로상에 팬(41)을 설치하여 배기가스가 보다 원활하게 메인 정화탱크(50)로 유입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메인 정화탱크(50)는 상기 소각로(1) 및 외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같은 메인 정화탱크(50)의 상부에는 탱크 내부로 중화수를 분사하는 노즐(51)이 설치되며, 상기 노즐(51)은 워터펌프(52)와 연결된 중화수 주입관(53)의 선단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메인 정화탱크(50)의 하부에는 그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필터(54)가 설치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55,56은 상기 노즐 및 필터의 교체를 위한 교환출구이며, 57은 상기 메인 정화탱크 하부로 축적되는 오물을 수거하기 위한 오물수거구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 정화탱크(50)의 일측에 전술한 보조 정화탱크(60,7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 정화탱크(60,70)는 상기 메인 정화탱크(5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보조 정화탱크(60,70)는 소각되는 폐기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보조 정화탱크(60,70)가 설치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메인 정화탱크를 포함하여 각각의 정화탱크(50,60,70)들은연결관(82)에 의해 그 내부공간이 상호 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 정화탱크(60,70) 중 최종적으로 위치하는 보조 정화탱크(70)의 상부에 전술한 가스이송관(80)이 연결되며, 이러한 가스이송관(80)의 단부는 전술한 외체(20)의 증기발생실(21)과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배기파이프(40)가 하나의 관체로 이루어져 소각로와 메인 정화탱크(50)를 직접 연결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이같은 배기파이프를 순환관(42)과 배출관(43)으로 구성하여 폐기물의 연소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관(42)은, 상기 소각로(1)의 상단에 일단을 연결하며, 그 타단은 상기 소각로(1) 하부로 연장되어 고열실(4) 하부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순환관(42)은, 그 양단이 전술한 외체(20)를 관통하여 상기 소각로(1)의 상부공간과 상기 고열실(4)에 각각 연결되며, 이렇게 연결단부를 제외한 관의 대부분은 상기 외체(20)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순환관(42)의 관로 상에 팬(42a)을 설치하여 상기 소각로(1)에서 발생된 배기가스가 신속하게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43)은 상기 고열실(4)의 상부에 일단을 연결한체, 그 타단은 상기 외체(20)를 관통하여 상기 메인 정화탱크(50)와 연결된다.
이렇게 배기파이프가 순환관(42)과 배출관(43)의 2개 관으로 제공되므로써, 상기 소각로(1)에서 발생된 분진과 유해가스는 상기 순환관(42)을 따라 유도되어 상기 고열실(4)의 하부로 유입되며, 이같이 유입된 분진과 유해가스는 고열을 유지하고 있는 고열실(4) 내부에서 재연소되면서 상기 배출관(43)을 통해 상기 메인 정화탱크(50)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열실(4)의 내벽에, 고열실(4) 둘레면을 따라 연장되면서 경사지게 돌설되는 복수개의 날개부(12)를 형성하므로써, 상기 순환관(42)을 통해 상기 고열실(4)로 유입되는 소각로(1)의 배기가스가 상기 날개부(12)를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고열실(4) 내벽에 강하게 충돌하며 상승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소각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며, 설명에 앞서 배기파이프가 순환관과 배출관으로 이루어지는 실시예를 기준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먼저, 외체(20)와 소각로(1)의 개폐도어(8,28)를 차례로 열어 소각로(1)의 소각조(2) 내측에 폐기물을 투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소각조(2)에 적정량의 폐기물이 쌓이면 개폐도어(16,28)를 닫은 후, 상기 소각조(2)의 버너수용관(3)으로 제공되는 버너(7)를 점화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버너(7)의 화염이 상기 소각조(2)로 전달되면서 소각조(2)는 가열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버너수용관(3)은 내화벽돌(5)에 의해 감싸진 상태이므로, 상기 버너(7)의 방출열이 외부로 발산되지 않아 상기 소각조(2)에 가해지는 열이 지속적으로 가중되어 매우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열실(4) 역시 그 내면이 내화벽돌(5)로 감싸여 있으므로, 상기 소각조(2)를 통해 방출되는 열에 의해서 고온의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고열실(4)은 섭씨 600℃~800℃의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내화벽돌(5)의 열차단 기능에 의해 상기 고열실(4)과 소각조(2) 내부는 상당히 긴 시간동안 고온을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소각조(2)가 가열되면서 그 내측의 폐기물은 녹아내리기 시작하며, 상기 소각조(2)가 장시간에 걸쳐 고온을 유지함에 따라 폐기물은 완전한 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버너(7)의 화염이 상기 폐기물로 직접 전달되면서 연소하는 것이 아니므로, 소각 처리되는 폐기물에서 배기가스가 상대적으로 소량 발생하게 된다. 또한, 하부가 막힌 소각조(2) 내에서 폐기물의 소각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각(1)로 바닥으로 폐기물의 분진이나 용융액 등이 흘러내릴 염려가 없다.
그리고, 소각조(2)의 폐기물이 소각되면서 발생한 분진과 유독가스는, 관로 상에 팬(42a)이 설치된 순환관(42)을 통해 소각로(1) 외부로 배출되고, 이렇게 배출된 분진과 유해가스는 상기 팬(42a)의 흡입력으로 상기 순환관(42)을 따라 이송되면서 상기 고열실(4)로 신속하게 유입된다. 이렇게 고열실(4)로 유입된 분진과 유해가스는 고온을 유지하는 고열실(4)에서 재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유입된 분진과 유해가스는 고열실(4) 내벽의 날개부(12)를 따라 회오리치면서 상승되고, 그 과정에서 배기가스에 내포된 분진, 그을음이 상기 날개부(12)를 포함한 고열실(4)의 내벽에 들러붙어 연소하게 된다.
이같이 고열실(4)에서 재연소된 소각로의 배기가스는 배출관(43)을 통해 메인 정화탱크(50) 내부로 배기되며, 이렇게 탱크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향해 상기 메인 정화탱크(50)의 노즐(51)로부터 중화수가 분사된다. 이때, 상기 중화수는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배기가스의 분진과 유해가스를 분해시키도록 염화나트륨과 이산화탄소 등의 용액을 사용함이 바람직하여, 이같은 중화수는 노즐(51)을 통해 하방향으로 확산되면서 분사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성분과 분진을 하방향으로쓸어내려 필터(54)에 침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메인 정화탱크(50)를 통해 1차로 정화된 분진과 유해가스는 연결관(82)을 통해 보조 정화탱크(60,70)로 유입되며, 상기 보조 정화탱크(60,70)에서 상기 메인 정화탱크(50)와 동일한 과정이 진행되면서 분진과 유해가스의 정화과정이 반복 진행된다. 본 실시예를 기준하면, 2개의 보조 정화탱크(60,70)에서 분진과 유해가스의 정화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 정화탱크(50)를 포함하여 3차에 걸친 정화가 진행되는 것이므로, 상기 소각로(1)를 통해 배기된 분진 및 유해가스의 유해성분이 거의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최종 정화단계에 위치한 보조 정화탱크, 본 실시예를 기준하면 두번째 보조 정화탱크(70)에서 정화된 소각로(1)의 배기가스는 가스이송관(80)을 통해 전술한 외체(20)의 증기발생실(21)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증기발생실(21)의 상부공간은, 상기 증기발생실(21)로 충진된 물이 전술한 소각로(1)를 통해 방출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발생시킨 다량의 수증기에 의해 채워진 상태이다. 이에 따라, 증기발생실(21)로 유입되는 소각로(1)의 정화된 배기가스는 상기 고온의 수증기에 의해 최종적으로 정화되며, 이렇게 청결하게 정화된 배기가스가 상기 외체(20)의 굴뚝(29)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상기 증기발생실(21)의 상측부에 복수개의 증기분사공(30a)을 천공한 가스킷(30)을 설치하므로서, 증기발생실(21)의 가열된 물에서 발생한 고온의 증기가 상기 증기분사공(30a)을 통해 배기가스로 강하게 분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온의 증기가 증기발생실(30a) 상측으로 강하게 분사되어 유입된 배기가스를 완전히 녹여 분해시키는 것이다.
한편, 상기 소각로(1)의 상부에 다공차단판(9)을 설치하여, 소각조(2) 내에서 불완전 연소된 폐기물이 배기파이프(40)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처음부터 부피가 작았거나 또는 연소되면서 분해된 작은 크기의 폐기물은, 소각로(1)의 고열실(4)로부터 방출되는 열풍의 흡입력에 의해 소각로(1) 상측으로 휘날릴 우려가 있고, 이로 인해 연소가 덜 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파이프(40)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게된다. 따라서, 소직경의 관통공(9a)을 복수개 천공한 다공차단판(9)이 상기 소각로(1)의 상측에 설치되도록 하므로써, 폐기물 소각시 발생된 분진과 유독가스는 자유롭게 배기파이프(40)로 이송되고, 연소가 덜된 비교적 큰 부피의 폐기물은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각로(1)의 소각조(2) 상측에 차단판(11)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같은 차단판(11)은 그 중앙에 상기 소각조(2) 개방부보다 작은 직경의 개방공(11a)을 천공하고 있다. 이같은 차단판(11)에 의해서 소각조(2)로 투입되는 폐기물이 소각조(2)를 벗어나 소각로(1) 바닥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게되며, 또한 고열실(4)의 열풍이 좁은 통로를 이루는 상기 개방공(11a)으로 통과하는 것이므로, 상기 열풍은 고열실(4) 내에서 정체됨없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상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메인 정화탱크(50) 및 보조 정화탱크(60,70)의 하부에, 정화에 사용된 후 고여있는 폐중화수가 배수되도록 하는 폐수관(58,68,78)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같은 복수개의 폐수관(58,68,78)이 하나의 관로 상에 통합되도록 한 집합관(81)을 구비시키되, 상기 집합관(81)의 단부는 전술한 외체(20)와 소각로(1)를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소각로(1)의 고열실(4) 내부에 설치되는 버킷(10)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버킷(10)은 상기 고열실(4) 내부의 소각조(2)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 각 정화탱크(50,60,70) 하부로 고인 정화에 이용된 중화수가 상기 각 폐수관(58,68,78)을 통해 외부로 배수되고, 이렇게 배수된 폐중화수는 상기 집합관(81)으로 유입되어 하나의 줄기로 통합된다. 그리고, 이렇게 통합된 폐중화수는 상기 집합관(81)을 따라 유도되어 상기 버킷(10)으로 유입되며, 상기 버킷(10)은 고열실 내부에서 가열된 상태이므로, 버킷(10)으로 유입된 폐중화수는 폐기물의 찌꺼기만을 남기면서 신속하게 증발된다. 또한, 장기간 지속되는 고열실(4)의 고온에 의해서, 상기 버킷(10)에 남아있는 폐기물의 찌꺼기는 완전히 연소되어 재로 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각로(1)의 배기가스를 정화하면서 오염물질을 내포하게된 정화탱크(50,60,70)의 폐정화수가, 함유된 오염물질을 분말형태로 분리시키면서 수증기화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따른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에 의하여, 폐기물 소각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정화능력이 매우 우수한 것이므로, 소각로에서 배기되는 가스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게되어 환경오염을 가져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각로의 폐기물에 대한 연소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미완전 연소된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Claims (7)

  1. 하부공간이 내화벽돌에 의해 감싸여 고열실을 형성하며, 상기 고열실의 내측에 소각조가 설치되되, 외면을 내화벽돌로 감싼 버너수용관이 상기 소각조의 하부에 소각조 내부공간과 차단된 상태로 연결되는 소각로와;
    상기 소각로의 외벽과 이격된체 소각로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그 내측으로 증기발생실을 구비하며, 상부에 배기용 굴뚝이 제공되는 외체와;
    일단을 상기 소각로 상부에 연결한체 그 타단이 상기 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배기파이프와;
    상기 배기파이프의 타단과 연결된체 상기 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그 내부공간을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필터가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부공간으로 중화수를 분사하는 노즐이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 정화탱크와;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동일구조를 이룬체 하나 이상으로 제공되는 정화 탱크이며,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연결되는 최초 정화탱크를 포함한 각각의 정화 탱크들은 연결관에 의해 각각의 내부공간을 통하게 되는 보조 정화탱크와;
    상기 보조 정화탱크 중 최종 보조 정화탱크에 일단이 연결되며, 그 타단은 상기 외체의 증기발생실과 연결되는 가스이송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는,
    상기 소각로의 상단에 일단을 연결한체 그 타단은 상기 고열실의 하부로 연결되는 순환관과;
    상기 고열실의 상부에 일단을 연결한체 그 타단은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연결되는 배출관;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열실의 내벽에 복수개의 와류 형성용 날개부를 돌설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각조 상측에는, 소각조의 개방부보다 작은 직경의 개방공을 천공한 차단판이 상기 소각로 내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체의 상측 내벽에는, 복수개의 증기분사공을 천공한 가스킷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열실로부터 방출되는 열풍의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소각조의 폐기물이 상측으로 날려 상기 배기파이프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소각로의 상측에 다공차단판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정화탱크와 보조 정화탱크의 하부에는, 상기 각 정화탱크로 유입된 중화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폐수관과 상기 각 폐수관을 하나로 통합한체 그 단부를 상기 소각로의 고열실과 통하는 집합관이 설치되며;
    상기 고열실의 상부에는, 일측을 상기 집합관과 연결한 버킷이 상기 소각조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10-2002-0005445A 2002-01-30 2002-01-30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100462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445A KR100462525B1 (ko) 2002-01-30 2002-01-30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445A KR100462525B1 (ko) 2002-01-30 2002-01-30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366A true KR20020015366A (ko) 2002-02-27
KR100462525B1 KR100462525B1 (ko) 2004-12-29

Family

ID=1971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445A KR100462525B1 (ko) 2002-01-30 2002-01-30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25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98B1 (ko) * 2005-07-04 2007-09-05 김건일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수중 분리장치
KR100753599B1 (ko) * 2005-07-04 2007-09-05 김건일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분리장치
KR101044265B1 (ko) * 2010-11-11 2011-06-28 박기주 멀티형 가로등주
US10144093B2 (en) 2013-12-17 2018-12-0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rapid laser drilling of holes in glas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N117282211A (zh) * 2023-10-17 2023-12-26 江苏大信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焚烧炉前置膜分离过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452B1 (ko) * 2023-01-11 2024-04-15 박경섭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2921A (ja) * 1983-01-18 1984-07-31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排ガス処理装置
KR100287286B1 (ko) * 1998-11-17 2001-04-16 신승근 철강제조 및 벙커씨유 연소시 배가스의 제진 및탈황을 위한설비와 그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98B1 (ko) * 2005-07-04 2007-09-05 김건일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수중 분리장치
KR100753599B1 (ko) * 2005-07-04 2007-09-05 김건일 열 분해된 폐 타이어의 재활용 부산물 분리장치
KR101044265B1 (ko) * 2010-11-11 2011-06-28 박기주 멀티형 가로등주
US10144093B2 (en) 2013-12-17 2018-12-0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rapid laser drilling of holes in glas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CN117282211A (zh) * 2023-10-17 2023-12-26 江苏大信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焚烧炉前置膜分离过滤装置
CN117282211B (zh) * 2023-10-17 2024-03-08 江苏大信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焚烧炉前置膜分离过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2525B1 (ko) 2004-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733B1 (ko) 가연성 폐기물의 무산소 진공 열분해 처리 시스템
KR101107384B1 (ko) 플라즈마 열분해 공정 기술을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합성가스의 정제 공정 및 장치
KR20010093133A (ko) 배기가스처리장치
KR101274151B1 (ko) 폐기물의 열분해장치
KR101762092B1 (ko) 자화공기를 이용한 가연성폐기물의 저온분해 소각장치
KR20050080039A (ko) 폐기물 처리용 진공소각 시스템
KR20080071297A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100462525B1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JP3138311U (ja) 無汚染廃棄物焼却炉
KR100397258B1 (ko) 배기가스 재연소장치
KR101160053B1 (ko) 수직형연소기
CN208680156U (zh) 一种土壤污染修复原位热脱附设备
CN110186055A (zh) 一种净化二恶英烟气的垃圾焚烧炉
KR20010085063A (ko)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폐타이어 건류연소장치
KR101666501B1 (ko) 건류식 폐전선 및 폐통신선 열분해 처리시스템
KR100249104B1 (ko) 산업폐기물 소각방법 및 그 장치
KR100522909B1 (ko) 폐기물 소각로
KR100684585B1 (ko) 일체형 폐기물 열분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처리방법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CN219809908U (zh) 一种u型结构带锥形收口排气口的垃圾焚烧室
KR100477097B1 (ko) 폐기물 소각 장치
KR200249669Y1 (ko) 소각장치
KR19990085244A (ko) 열분해식 폐기물 소각장치 및 그 방법
KR200213577Y1 (ko) 쓰레기 소각로
KR200288686Y1 (ko) 산업폐기물용 소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