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053B1 - 수직형연소기 - Google Patents

수직형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053B1
KR101160053B1 KR1020110145348A KR20110145348A KR101160053B1 KR 101160053 B1 KR101160053 B1 KR 101160053B1 KR 1020110145348 A KR1020110145348 A KR 1020110145348A KR 20110145348 A KR20110145348 A KR 20110145348A KR 101160053 B1 KR101160053 B1 KR 10116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chamber
base
combustion
flame
bu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만
정창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테크
정창길
홍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테크, 정창길, 홍성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테크
Priority to KR1020110145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0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 F23B1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mbination of two or more combustion chambers including separate secondary combustion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B40/04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e fuel being fed from below through an opening in the fuel-supporting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수직형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부에 복수의 타공이 관통형성된 타공판이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화염을 공급하는 버너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버너로부터 공급된 화염을 상기 타공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송풍기와, 내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타공판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로 투입된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1차 연소되는 제1연소실과, 내부가 상기 제1연소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제1연소실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연소실로부터 1차 연소된 상기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2차 연소되는 제2연소실과, 상기 제2연소실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승하는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배출관과, 상기 제2연소실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소실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를 투입하는 연료투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소실은, 원통형상이되, 중앙에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확장된 확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투입관은, 상기 제2연소실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와 함께 외부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제2연소실의 확경부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제2연소실의 확경부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수직형연소기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직형연소기{The vertical-type burner}
본 발명은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일러나 열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장치에 연결설치되는 수직형연소기 내에 고형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실에서 두 번 연소시킴으로써 완전연소된 화염이 외부로 배출되는 수직형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형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각종 산업시설에 적용하는 연소시스템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연소시스템은,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기와, 상기 연소기의 후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연소기에서 전달된 열에너지로 온수 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의 후단에 연결설치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배출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기와, 상기 집진기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가스 또는 미세먼지의 온도를 낮추며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장치가 통상적으로 설치된다.
통상 고형연료라 함은 RPF(REFUSE PLASTIC FUEL, 폐플라스틱 고형연료)와 RDF(Refuse Derived Fuel, 가연성 폐기물 고형연료)로서, 버려지는 산업폐기물을 연료화하기 위하여 펠릿(pellet)타입이나 미성형 형태의 플러프타입의 고형화시킨 연료다. 상기의 고형연료를 사용하게 되면 여러 가지의 종류가 혼합된 폐기물을 단순히 소각할 때보다 훨씬 높고 고른 발열량을 얻을 수 있고 폐기물의 매립량을 줄여 폐기물 매립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에너지 효율성과 환경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형연료는 연소시에 다이옥신(Dioxine), 먼지,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매연, 가스상 염화수소(HCL), 유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 환경을 오염시키는 가스 또는 입자가 다량 배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종래기술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KR) 특허출원 제10-2008-0028365호(출원일자 2008년 03월 27일)가 있다.
상기 연소장치를 구비한 열회수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연소통을 구비하여 상기 연소통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키는 연소기(1)와, 상기 연소기(10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순환시키도록 반복 굴절된 열교환관을 구비한 하우징 내에 공기나 물을 공급하여 열교환관으로부터 연소가스의 열을 회수하고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열회수기(2)와, 상기 열회수기로부터 배출된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연소가스를 회전시켜 원심분리하여 연소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원심집진기(3)와, 상기 원심집진기로부터 배출된 연소가스가 유입되고 유입된 연소가스에 액상 소석회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액상 소석회를 가하여 연소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유출구를 통해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반건식반응기(4)와, 상기 반건식반응기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에 상기 활성탄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활성탄을 가하여 연소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고 유출구를 통해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건식반응기(5)와, 상기 건식반응기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상기 백필터에 통과시켜 연소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집진기(6와, 연소가스를 강제 순환시키기 위한 유인송풍기(7)와, 유인송풍기로부터 유입된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연돌(8)을 포함하는 연소장치를 구비한 열회수시스템이 있었다.
특히, 상기 연소기(1)는 내부에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통(10)과, 연소공기공급부(20)와, 연료공급부(30)와, 연소가스배출관(40)과, 재배출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통(10)은 원통형상으로 측면은 최외곽이 외벽(16)으로 둘러싸여 형성되고, 외벽(16)으로부터 내측으로 중벽(14)과 내벽(12)이 이격되어 순차로 형성되며, 내벽(12)으로 둘러싸인 연소실(11) 내부에서 고형연료를 수용하고 연소시키게 된다. 또한, 연소통(10)의 내벽(12)과 중벽(14) 사이 공간에는 선회류 공급실(13)이 형성되어 상기 연소실(11) 내부로 연소공기를 공급시킨다.
또한, 상기 연소실(11) 하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형 화격자(17)가 구비되어 공급되는 고형연료가 연소되어 생성되는 재는 회전형 화격자(17)가 회전하면서 연소실(11) 하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재배출구(51)를 통해 재배출부(50)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연소공기공급부(20)는 외부로부터 고형연료의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연소통(10)으로 공급하고, 상기 연료공급부(30)는 연소통(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연소실(11) 아래쪽에서 연소실(11) 내로 고형연료를 일정하게 공급하며, 상기 연료이송부(32)는 연료호퍼(31)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연소실(11) 내로 공급하고, 상기 연료추진고압공기공급부(35)는 수직스크류이송부재(34)에 고압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연소가스배출관(40)은 연소실(11) 상부와 연통되어 연소실(11)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를 보일러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연소가스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소가스유입부(41)와, 협착부(42)와, 연소가스배출부(43)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소가스배출부(43)를 통과한 고온의 연소가스는 보일러 등으로 공급되어 산업용 온수 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데 사용하는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고형연료(RPF, RDF)를 보일러의 연료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연소기(100)의 연소실(11)에서 고형연료의 연소시 발생하는 다량의 분진과 유해성 가스로 인해 보일러에 후속으로 고성능의 집진설비를 설치해야 하므로 설비의 설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집진설비나 배출장치를 고성능의 설비로 갖추어야만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배출허용기준치 내로 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설비의 설치비용이 상승한다.
또한, 상기 연소기(11)에서 고형연료가 불완전연소된 후 각종 유해가스가 배출되므로 후단에 설치되는 고성능의 집진설비를 거쳐서 정화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상기 연소기(11)에서 완전연소시킨 후 배출되는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것보다 배 이상의 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기의 내부에 고형연료가 1차 연소되는 제1연소실과 중앙에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확장된 확경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료투입관으로 투입되는 고형연료 및 공기가 확경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2차 연소되는 제2연소실을 구비시켜 고형연료를 완전연소시키는 수직형연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는, 내부가 중공이고, 상부에 복수의 타공이 관통형성된 타공판이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화염을 공급하는 버너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버너로부터 공급된 화염을 상기 타공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송풍기와, 내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타공판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로 투입된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1차 연소되는 제1연소실과, 내부가 상기 제1연소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제1연소실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연소실로부터 1차 연소된 상기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2차 연소되는 제2연소실과, 상기 제2연소실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승하는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배출관과, 상기 제2연소실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소실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를 투입하는 연료투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소실은, 원통형상이되, 중앙에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확장된 확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투입관은, 상기 제2연소실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와 함께 외부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제2연소실의 확경부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제2연소실의 확경부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에서 연소 후 남은 재가 상기 타공판의 타공을 통해서 하강하여 내부로 모이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재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외부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주입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보온재가 일체로 결합된 보온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료투입관은, 복수가 구비되어 상기 확경부에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는, 연소기의 내부에 고형연료를 1차 연소시키는 제1연소실과 중앙에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확장된 확경부에 관통된 연료투입관으로 고형연료 및 공기를 확경부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투입시켜 고형연료가 2차 연소되는 제2연소실을 구비하므로 연소실에 투입되는 고형연료를 완전연소시킬 수 있다.
또한, 연소기에서 완전연소된 화염을 외부로 배출시 환경오염원인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배출되는 화염에 포함되는 유해가스가 최소화되므로 연소기 후단에 설치되는 집진설비의 성능이 고성능일 필요가 없어지므로 집진설비의 설치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연소장치를 구비한 열회수시스템의 종래기술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가 결합된 연소시스템 일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의 베이스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실시예의 A-A'선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연료 및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연료투입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100)는, 도 3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0), 버너(220), 송풍기(230), 제1연소실(300), 제2연소실(400) 및 화염배출관(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는 타공판(210), 타공(211), 공기주입관(231) 및 재배출구(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연소실(400)은 확경부(410) 및 연료투입관(42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연소실(300) 및 제2연소실(400)의 외주면에는 보온커버(600)가 결합되고, 이격되어 케이스(700)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직형연소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형연료를 연소시키는 수직형연소기(100)의 후단에 통상적으로 후단설비가 연결설치된다. 후단설비로는 상기 수직형연소기(100)의 후단에 연결설치되어 상기 수직형연소기(100)로부터 배출되는 화염(열 에너지)이 전달되면 온수 또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보일러(B)와, 상기 보일러(B)의 후단에 연결설치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유해 배출가스 또는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집진기(C)와, 상기 집진기(C)의 후단에 설치되어 최종으로 전달되는 배출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기와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돌이 구비된 배출부(E)가 통상 구비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연소기(100)의 후단에 설치되는 후단설비는 사용처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후단설비의 종류에 상관없이 고형연료를 완전소시키기 위한 수직형연소기(100)의 구성을 제공한다.
베이스(200)는 도 3과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되고 내부가 중공이며, 상부에 복수의 타공(211)이 관통형성된 타공판(210)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로 화염을 공급하는 버너(2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0)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버너(220)로부터 공급된 화염을 상기 타공판(210)을 통해 상기 베이스(200)의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송풍기(23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에 상기 버너(220)로부터 화염이 공급되고 상기 송풍기(230)로부터 외부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화염과 함께 상기 파공판(210)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211)을 통과하여 상승된다. 이때, 후술할 제1연소실(300)에 미리 공급된 고형연료(RPF : Refuse Plastic Fuel 또는 RDF : Refuse Derived Fuel)에 화염이 전달되어 상기 고형연료는 연소되면서 큰 불꽃이 발생된다. 여기서, 후술할 제1연소실(300)에 미리 공급된 고형연료에 화염이 전달되면, 상기 버너(220)의 작동은 멈추고, 상기 송풍기(230)는 계속 작동하여 상기 베이스(200)의 상부로 화염을 계속하여 전달시킨다.
또한, 상기 송풍기(230)로부터 외부공기가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로 원활하게 주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송풍기(230)와 베이스(200) 사이에 공기주입관(231)이 형성된다. 후술할 제1연소실(300) 및 제2연소실(400)에서 연소 후 남은 고형연료의 재가 상기 타공판(210)의 타공(211)을 통해서 하강하여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로 모이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재배출구(240)가 형성된다.
제1연소실(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상기 베이스(2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타공판(210)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로 투입된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1차 연소된다. 이때, 상기 1차 연소에서 고형연료의 약 60 ~ 70%가 연소되며, 많은 연기와 환경오염의 주범인 각종 유해가스(먼지, 매연, 다이옥신, 일산화탄소, 가스상 염화수소, 유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등)가 발생한다.
제2연소실(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상기 제1연소실(3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제1연소실(300)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연소실(300)로부터 1차 연소된 상기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2차 연소된다.
상기 제2연소실(400)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소실(400)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를 투입하는 연료투입관(420)이 설치된다. 상기 제2연소실(400)은 원통형상이면서도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중앙에 확장된 확경부(4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료투입관(420)은 상기 제2연소실(400)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와 함께 외부공기를 주입하는데 송풍기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주입시키며, 상기 주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제2연소실(400)의 확경부(410)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제2연소실(400)의 내부 확경부(410)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투입관(420)은 단순히 상기 제2연소실(400) 내부로 연료만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연료와 함께 외부공기가 공급되도록 고압송풍기를 통한 외부공기가 주입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연소실(400)의 중앙에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크게 확장된 상기 확경부(410)의 내주면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상기 연료투입관(420)이 설치되므로, 고압의 외부공기와 함께 연료가 주입되면 상기 제2연소실(400)의 상기 확경부(410)의 내주면 일측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확경부(410)의 넓어진 내경으로 인하여 화염의 회전은 더욱 활발해지고, 장시간 머물면서 회전 및 연소시킴으로서 고형연료는 완전연소된다. 즉, 상기 제2연소실(400) 내부에서 화염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연소되므로, 상기 제1연소실(300)로부터 1차 연소시에 불연소되어 상기 제2연소실(400)로 상승되는 고형연료 및 화염을 확실하게 연소시켜줌으로 인하여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소실(300)에서 1차 연소된 고형연료는 화염과 함께 제2연소실(400)로 상승하고, 상승하는 1차 연소된 고형연료 및 화염은 상기 제2연소실(400)의 상기 확경부(410)의 내주면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관통되어 설치된 상기 연료투입관(420)으로부터 2차로 제공되어 회전하는 외부공기와 만나게 된다. 이때, 상기 송풍기(230)에 의해 상기 제1연소실(300)에는 계속하여 외부공기가 제공되고, 상기 제1연소실(300)에서 1차로 연소된 고형연료는 화염과 함께 상기 2차연소실(400)로 상승하면서 상기 제2연소실(400)의 확경부(410)를 관통하여 설치된 상기 연료투입관(420)으로 상기 확경부(410)의 내주면을 회전하도록 투입되는 2차 외부공기와 만나기 때문에 상승하는 화염과 회전하는 외부공기로 인하여 와류가 형성되고, 상기 와류에 의하여 제2연소실(400) 내부에서 뒤엉켜 섞이면서 연소되므로 완전히 연소된다.
즉, 상기 제2연소실(400)에서 연소되는 2차 연소과정으로, 상기 1차연소실(300)에서 상기 고형연료의 약 60 ~ 70%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많은 연기와 화염속에 포함된 환경오염의 주범인 각종 유해가스는 완전연소되어 제거된다. 특히, 대표적인 환경유해물질인 다이옥신은 약 700℃ 이상의 고온에서 소멸되는데, 상기 제2연소실(400)에서 2차 연소될 때의 온도는 약 900℃ ~ 1500℃ 이상의 고온이므로, 상기 고형연료의 약 95 ~ 99% 이상이 연소되는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소실(400)에서 고형연료의 2차 연소시에 상기 연료투입관(420)으로 투입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제2연소실(400)의 내부 확경부(410)의 내주면을 따라 공기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공기와 상기 제1연소실(300)로부터 상승하는 화염을 섞어주며, 상기 연료투입관(420)으로 고압의 외부공기와 함께 공급되는 고형연료의 일부는 주입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상기 제1연소실(400)의 확경부(410)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제1연소실(300)로부터 상승하는 화염과 만나 상승하는 화염에 더 큰 열원을 제공하므로 화염의 활동이 더욱 활발해져서 확실하게 완전연소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투입관(420)으로 공급되는 상기 고형연료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연소실(300)로 하강되지만, 상기 제1연소실(300)에서 계속 연소되고 있는 화염에 의해 즉시 연소되어 제2연소실(400)로 화염과 함께 상승하여 2차로 연소되면서 완전연소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소실(400)의 확경부(410)를 관통하여 상기 확경부(410)의 내주면의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연료투입관(420)을 둘 이상의 복수로 상기 확경부(410)에 방사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료투입관(420)이 복수로 구비되면 상기 제2연소실(400)에 제공되는 외부공기와 고형연료가 많아지므로 더욱 높은 온도의 화염을 얻을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형연소기(100) 후단에 설치되는 보일러(B)에 더욱 높은 온도의 화염을 제공할 수 있다.
보온커버(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소실(300) 및 제2연소실(40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단열 및 고온에 강한 보온재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1연소실(300) 및 제2연소실(4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열 에너지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구성이다.
케이스(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연소실(300)및 제2연소실(400)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1연소실(300) 및 제2연소실(400)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작업자 및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하여 발생될 수 있는 화상을 방지하고, 가연성 물질의 접촉에 의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화염배출관(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소실(400)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승하는 화염을 배출시킨다. 여기서 배출되는 화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형연소기(100) 후단에 설치되는 보일러(B)에 고온의 화염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수직형연소기(100)의 상기 화염배출관(500)으로 배출되는 화염은, 상기 제1연소실(300)에서 1차 연소되어 상승하고 제2연소실(400)의 연료투입관(420)으로 연료와 함께 외부공기가 주입되면서 회전하는 외부공기와 만나 회전되면서 섞이며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상기 확경부(410) 내부에서 회전 및 상승을 반복하면서 완전연소되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각종 유해가스가 대부분 소멸되어 배출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유해가스가 제거된 화염이 상기 수직형연소기(100)의 후단 설비에 제공되므로 통상사용되는 집진설비로도 충분히 잔여 가스나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후단설비의 설치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수직형연소기
200. 베이스
210. 타공판 211. 타공
220. 버너 230. 송풍기
231. 공기주입관 240. 재배출구
300. 제1연소실
400. 제2연소실
410. 확경부 420. 연료투입관
500. 화염배출관
600. 보온커버
700. 케이스
B. 보일러 C. 집진기
E. 정화배출부

Claims (5)

  1. 내부가 중공이고, 상부에 복수의 타공이 관통형성된 타공판이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화염을 공급하는 버너와,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상기 버너로부터 공급된 화염을 상기 타공판을 통해 상기 베이스의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송풍기와,
    내부가 상기 베이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타공판에 결합되고, 상기 내부로 투입된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1차 연소되는 제1연소실과,
    내부가 상기 제1연소실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하단이 상기 제1연소실의 상단과 결합되고, 상기 제1연소실로부터 1차 연소된 상기 고형연료가 상승하는 화염에 의해 2차 연소되는 제2연소실과,
    상기 제2연소실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결합되어 상승하는 화염이 배출되는 화염배출관과,
    상기 제2연소실의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연소실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를 투입하는 연료투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소실은,
    원통형상이되, 중앙에 상단 및 하단의 직경보다 확장된 확경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료투입관은,
    상기 제2연소실의 내부로 상기 고형연료와 함께 외부공기를 주입하고, 주입된 상기 외부공기가 상기 제2연소실의 확경부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상기 제2연소실의 확경부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연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에서 연소 후 남은 재가 상기 타공판의 타공을 통해서 하강하여 내부로 모이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재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기로부터 외부공기가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주입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연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보온재가 일체로 결합된 보온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연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투입관은, 복수가 구비되어 상기 확경부에 각각 방사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형연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의 외주면과 이격되게 상기 제1연소실 및 제2연소실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직형연소기.
KR1020110145348A 2011-12-29 2011-12-29 수직형연소기 KR101160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348A KR101160053B1 (ko) 2011-12-29 2011-12-29 수직형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5348A KR101160053B1 (ko) 2011-12-29 2011-12-29 수직형연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0053B1 true KR101160053B1 (ko) 2012-06-26

Family

ID=4668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5348A KR101160053B1 (ko) 2011-12-29 2011-12-29 수직형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0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1776A4 (en) * 2012-11-14 2016-08-10 Jiwon Kim CENTRIFUGAL COMBUSTION APPARATUS THROUGH A COMBUSTION AIR FLUID CIRCUIT
KR20160097585A (ko) 2015-02-09 2016-08-18 세너지 주식회사 연소기
RU177020U1 (ru) * 2017-04-06 2018-02-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ветлобор"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твердотопливного котла
RU2743473C1 (ru) * 2020-05-26 2021-02-18 Игорь Вячеславович Шерстнёв Газогенерато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24B1 (ko) * 2007-11-16 2008-04-14 에너원 주식회사 열회수용 연소장치
KR100907269B1 (ko) * 2008-11-18 2009-07-14 김지원 원심 분리형 연속 연소장치 및 그 연소방법
KR101080915B1 (ko) * 2011-07-08 2011-11-08 주식회사 쥴 화판을 이용한 사이클론식 연소 장치
KR20110137915A (ko) * 2010-06-18 2011-12-26 김지원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24B1 (ko) * 2007-11-16 2008-04-14 에너원 주식회사 열회수용 연소장치
KR100907269B1 (ko) * 2008-11-18 2009-07-14 김지원 원심 분리형 연속 연소장치 및 그 연소방법
KR20110137915A (ko) * 2010-06-18 2011-12-26 김지원 비산재 분리 기능을 갖는 원심형 연속 연소장치
KR101080915B1 (ko) * 2011-07-08 2011-11-08 주식회사 쥴 화판을 이용한 사이클론식 연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21776A4 (en) * 2012-11-14 2016-08-10 Jiwon Kim CENTRIFUGAL COMBUSTION APPARATUS THROUGH A COMBUSTION AIR FLUID CIRCUIT
KR20160097585A (ko) 2015-02-09 2016-08-18 세너지 주식회사 연소기
RU177020U1 (ru) * 2017-04-06 2018-02-06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Светлобор"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твердотопливного котла
RU2743473C1 (ru) * 2020-05-26 2021-02-18 Игорь Вячеславович Шерстнёв Газогенерато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055B1 (ko) 수평형연소기
KR101160053B1 (ko) 수직형연소기
KR101209022B1 (ko) 열회수율이 향상된 열회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병합 발전시스템
KR20130084913A (ko) 다중 연소실을 갖는 온수 보일러
WO2012127562A1 (ja) 燃焼装置
KR100810985B1 (ko) 폐기물 소각장치
KR101788165B1 (ko) 고분자 폐기물 고온소각장치
KR101748390B1 (ko) 어망 폐기물 소각용 소각기
KR100807200B1 (ko) 소각로 일체형 폐열회수장치
KR20060116782A (ko) 고형연료용 보일러의 연소장치
CN111895424A (zh) 一种垃圾处理与发电机组耦合发电系统
KR100397258B1 (ko) 배기가스 재연소장치
KR100893543B1 (ko) 폐기물 재생 열에너지 회수를 위한 수적 팽창 유도 혼합장치
KR100704846B1 (ko) 와류순환식 소각장치
KR102270907B1 (ko) 쓰레기의 열분해 소각로 및 이와 연계된 발전시스템
KR100893389B1 (ko) 연소장치를 구비한 열회수시스템
KR20010085063A (ko) 벤츄리 효과를 이용한 폐타이어 건류연소장치
KR200464404Y1 (ko) 열회수율 및 내구성이 향상된 연소장치
KR101033825B1 (ko) 완전연소와 간접열원 전달방식을 가지는 신·재생연료 연소시스템
KR101666501B1 (ko) 건류식 폐전선 및 폐통신선 열분해 처리시스템
KR100462525B1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20130052174A (ko) 스팀을 생산하여 자원화하는 일체형 유동층 연소장치
KR101191143B1 (ko) 가연성 폐자원 폐기물 연소장치
KR101060056B1 (ko) 플라즈마 소각 설비
KR20100107146A (ko) 열효율이 향상된 연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