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7452B1 -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7452B1
KR102657452B1 KR1020230003896A KR20230003896A KR102657452B1 KR 102657452 B1 KR102657452 B1 KR 102657452B1 KR 1020230003896 A KR1020230003896 A KR 1020230003896A KR 20230003896 A KR20230003896 A KR 20230003896A KR 102657452 B1 KR102657452 B1 KR 102657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water
incinerator
tank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3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섭
Original Assignee
박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섭 filed Critical 박경섭
Priority to KR102023000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7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5/00Preventing emissions
    • F23J2215/60Heavy metals; Compou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Abstract

소각장치(100)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가 개시된다. 개시된 소각장치(100)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는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 일측면에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면에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230)가 형성된 물탱크(200);
상기 제1 배출구(230)의 물을 정화탱크(300)로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250);
소각장치(100)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물탱크(200)로부터 이송되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면에는 상기 소각장치(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330)가 형성된 정화탱크(300);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며,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물로 필터링하고, 소각장치(100)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켜 상기 정화탱크(300)의 하부에는 중금속 잔유물이 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Exhaust gas cleaning equipment of incinerator}
본 발명은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각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물로 필터링하여 친환경적으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한편, 소각장치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킴으로서 유지비용을 절감시킨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속적인 인구증가와 산업발전에 따른 부산물인 각종 쓰레기, 폐기물 등이 대량으로 발생하고 있어서, 환경오염을 최소화도록 처리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폐기물을 매립 또는 해양에 배출하기도 하였으나, 최근 폐기물의 매립 및 배출을 엄격하게 금지하는 국제적 추세에 따라 매립 대신 소각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폐기물을 소각하는 방법은 국내등록특허 제10-1880160호, 국내공개특허 제2012-0004073호 등에서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한편, 폐기물 소각장치는 완전연소를 목표로 제작되어 운영되나 폐기물의 종류와 연소조건의 부적합 등으로 인하여 불완전 연소가 일어나고 유해가스(CO, SOx, NOx, 다이옥신 등)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대기오염을 유발한다.
소각장치의 배기가스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 등의 중금속을 정화시키기 위해 헤파 필터 등을 이용한 다양한 정화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화장치는 사용된 필터를 재활용할 수 없어 또다른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화장치의 유지비용 또한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소각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는 한편, 유지비용 또한 저렴한 새로운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189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소각장치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중금속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각장치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킴으로서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 가이드를 이용하여 응축수 배출효율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 일측면에는 소각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면에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된 물탱크;
상기 제1 배출구의 물을 정화탱크로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
소각장치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물탱크로부터 이송되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면에는 상기 소각장치의 상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된 정화탱크;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소각장치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물로 필터링하고, 소각장치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탱크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로 장착되어, 물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1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물탱크의 수위가 상기 제1 유입구 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펌프를 제어하여,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유입구를 통해 소각장치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탱크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유입구와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어, 정화탱크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 수위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정화탱크의 수위가 상기 제2 유입구 보다 낮아지면 상기 펌프의 가동을 중단시켜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더 이상 정화탱크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정화탱크의 상부 내측면에 상기 제2 배출구쪽으로 경사지도록 장착되어 정화탱크의 천정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제2 배출구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응축수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는 소각장치의 배기가스에 포함된 중금속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각장치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킴으로서 유지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 배출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탱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각장치(100)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화탱크(30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각장치(100)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는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에 관한 것으로서, 물탱크(200), 펌프(250), 정화탱크(300), 그리고 제어기(도면 미도시)를 포함한다.
물탱크(200)는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 일측면에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면에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230)가 형성된다.
펌프(250)는 물탱크(200)의 제1 배출구(230)의 물을 정화탱크(300)로 펌핑하여 공급하는 구성이다.
정화탱크(300)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정화하는 구성으로서, 소각장치(10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정화탱크(300)는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물탱크(200)로부터 이송되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면에는 상기 소각장치(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330)가 형성된다.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는 다이옥신 등의 중금속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가스가 물탱크(200)로 공급되면 배기가스는 물에 용해된다.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정화탱크(300)로 공급되면 정화탱크(300)가 소각장치(100)의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열전도에 의해 가열된다.
결과적으로 정화탱크(300)에 유입된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증발하게 되면 중금속은 정화탱크(300)의 하부 바닥에 남게 되고 순수한 물은 증기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물로 필터링하게 되어 친환경적이라고 하겠다.
또한 소각장치(100)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키므로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정화탱크(300)에는 응축수 가이드(350)가 구비된다.
증발된 수증기는 일부는 증기 상태로 제2 배출구(330)를 통해 배출되나, 일부는 정화탱크(300)의 상부면에 접촉하여 응축수가 된다.
이러한 응축수는 다시 정화탱크(300)의 하부면으로 낙하하게 되므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응축수 가이드(350)가 구비되어 있다.
응축수 가이드(350)는 정화탱크(300)의 상부 내측면에 제2 배출구(330)쪽으로 경사지도록 장착되어, 정화탱크(300)의 천정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제2 배출구(330)로 흐르도록 유도한다.
제어기(도면 미도시)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1 수위센서(도면 미도시)는 물탱크(200)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로 장착되어, 물탱크(2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도면 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기(도면 미도시)는 물탱크(200)의 수위가 상기 제1 유입구(210) 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펌프(250)를 제어하여, 물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유입구(210)를 통해 소각장치(100)로 역류되지 않도록 한다.
제2 수위센서(도면 미도시)는 정화탱크(300)의 내측면에 제2 유입구(310)와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어, 정화탱크(3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도면 미도시)로 전송한다.
제어기(도면 미도시)는 정화탱크(300)의 수위가 상기 제2 유입구(310) 보다 낮아지면 펌프(250)의 가동을 중단시켜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더 이상 정화탱크(3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은 소각장치(100)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물로 필터링하여 친환경적으로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한편, 소각장치(100)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킴으로서 유지비용을 절감시킨 소각장치(100)의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 배기가스 정화장치
100 : 소각장치
200 : 물탱크
210 : 제1 유입구
230 : 제1 배출구
250 : 펌프
300 : 정화탱크
310 : 제2 유입구
330 : 제2 배출구
350 : 응축수 가이드

Claims (4)

  1. 폐기물을 소각하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정화하는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되, 상부 일측면에는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입구(210)가 형성되고, 하부 타측면에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배출하는 제1 배출구(230)가 형성된 물탱크(200);
    상기 제1 배출구(230)의 물을 정화탱크(300)로 펌핑하여 공급하는 펌프(250);
    소각장치(100)의 상부면에 배치되며,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물탱크(200)로부터 이송되는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유입되는 제2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상부 타측면에는 상기 소각장치(100)의 상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증발된 수증기가 배출되는 제2 배출구(330)가 형성된 정화탱크(300); 및
    배기가스 정화장치(1000)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기(도면 미도시);를 포함하며,
    소각장치(100)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물로 필터링하고, 소각장치(100)의 폐열을 이용하여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을 증발시켜 상기 정화탱크(300)의 하부에는 중금속 잔유물이 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물탱크(200)의 내측면에 소정 높이로 장착되어, 물탱크(2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도면 미도시)로 전송하는 제1 수위센서(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도면 미도시)는 물탱크(200)의 수위가 상기 제1 유입구(210) 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상기 펌프(250)를 제어하여, 물탱크(2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제1 유입구(210)를 통해 소각장치(100)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정화탱크(300)의 내측면에 상기 제2 유입구(310)와 동일한 높이로 장착되어, 정화탱크(300)의 수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기(도면 미도시)로 전송하는 제2 수위센서(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도면 미도시)는 정화탱크(300)의 수위가 상기 제2 유입구(310) 보다 낮아지면 상기 펌프(250)의 가동을 중단시켜 배기가스가 용해된 물이 더 이상 정화탱크(30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탱크(300)의 상부 내측면에 상기 제2 배출구(330)쪽으로 경사지도록 장착되어 정화탱크(300)의 천정에서 응축된 응축수가 제2 배출구(330)로 흐르도록 유도하는 응축수 가이드(3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0230003896A 2023-01-11 2023-01-11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102657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96A KR102657452B1 (ko) 2023-01-11 2023-01-11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3896A KR102657452B1 (ko) 2023-01-11 2023-01-11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452B1 true KR102657452B1 (ko) 2024-04-15

Family

ID=9071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3896A KR102657452B1 (ko) 2023-01-11 2023-01-11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4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525B1 (ko) * 2002-01-30 2004-12-29 이석삼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20050118997A (ko) 2004-06-15 2005-12-20 대륙화학공업 주식회사 폐기물 소각장치
KR20080071297A (ko)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온누리에어테크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525B1 (ko) * 2002-01-30 2004-12-29 이석삼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20050118997A (ko) 2004-06-15 2005-12-20 대륙화학공업 주식회사 폐기물 소각장치
KR20080071297A (ko) * 2007-01-30 2008-08-04 주식회사 온누리에어테크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4093A (ko) 폐수 액체 무 방류형 습식 연도 가스 탈황 시스템
KR20090131034A (ko) 연소가스 정화장치
US20230277955A1 (en) Harmful substance removal system and method
KR20080071297A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JP3908251B2 (ja) 過熱蒸気循環型乾燥システム
KR102657452B1 (ko) 소각장치의 배기가스 정화장치
KR20110030037A (ko) 공냉식 액체 냉각기를 구비한 고온 가스용 습식 정화 시스템
JP6026614B1 (ja) ごみ焼却炉排ガス処理設備
WO2013039067A1 (ja) 発電装置を備えた負圧式焼却炉
KR100416959B1 (ko) 직가열식 폐수증발농축 처리장치
JP2007187338A (ja) 灰溶融炉の排ガス処理方法とその装置
KR100418218B1 (ko) 추출증발 고농도 유기폐수 축열소각로
KR101873464B1 (ko) 고농도 슬러지 응축폐수 처리 시스템
KR200191683Y1 (ko) 폐수처리장치
KR200193917Y1 (ko) 소각로의 분진 제거장치
KR102198134B1 (ko) 수소 소각로의 연소부 구조
KR102077820B1 (ko) 연소효율이 향상된 수소 소각로
KR200187572Y1 (ko) 증기용 습식 집진장치를 구비한 수냉식 소각로
KR200363909Y1 (ko) 배기가스 재연소실을 구비한 폐기물 소각시스템
JP2006000811A (ja) 下水汚泥処理システム
KR200212282Y1 (ko) 추출증발 고농도 유기폐수 축열소각로
CN215411894U (zh) 工业废弃物焚烧垃圾处理系统
KR200154892Y1 (ko) 패키지 타입 유해 가스 처리 고온 소각로
CN110482630B (zh) 利用烟气热量的直接接触蒸发处理设备及其方法
KR100383799B1 (ko) 소각로 분진 및 다이옥신 저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