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1034A - 연소가스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가스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1034A
KR20090131034A KR1020080056798A KR20080056798A KR20090131034A KR 20090131034 A KR20090131034 A KR 20090131034A KR 1020080056798 A KR1020080056798 A KR 1020080056798A KR 20080056798 A KR20080056798 A KR 20080056798A KR 20090131034 A KR20090131034 A KR 20090131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combustion gas
pipe
wat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김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진 filed Critical 김태진
Priority to KR1020080056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1034A/ko
Priority to PCT/KR2008/006216 priority patent/WO2009154331A1/en
Publication of KR20090131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0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25Regeneration of liquid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01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for sludges or waste products from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무수단(10)과; 폐수 수집탱크(20)와; 폐수가열부(30)와; 폐수 분리탱크(40)와; 폐슬러지 소각부(50) 및; 연소가스 정화장치의 모든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자동제어부(60)로 구성되어 굴뚝의 내주면에 둘레에 원형의 링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설치한 물 분사수단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굴뚝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연소가스를 냉각해 주고,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물에 흡착시켜 정화함으로써 유해물질의 배출을 방지하고, 연소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연소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흡착한 폐수를 순환시켜 정화하고, 재사용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폐수가 없어 폐수에 따른 환경공해를 방지하며,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경제성이 뛰어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연소가스, 정화장치, 유해가스, 다이옥신(dioxine), 폐수.

Description

연소가스 정화장치{Combustion gas pur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일러나 소각로에서 석탄ㆍ유류ㆍ기타 소각물질을 소각할 때 발생하는 뜨거운 연기에 혼합된 유해가스ㆍ비산재ㆍ매연ㆍ미세먼지에 물을 분사하여 배출을 방지하고, 회수되는 폐수를 순환시켜 정화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보일러나 소각로에서 연소되는 연소물로부터 배출되는 연소가스 내의 매연분자로 인한 대기오염의 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각국의 정부는 연소가스규제를 위하여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의 연소가스 내의 매연분자(오염물질)에 대한 배출 기준을 정해놓고 있으며, 이러한 연소가스 규제는 점차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물론 연소가스에 혼합되는 유해가스는 연소물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연소가스에는 상기한 유해물질 외에도 다이옥신(dioxine), 라돈(radon) 등이 혼재하게 되며, 특히 다이옥신(dioxine), 라돈(radon) 등의 배출은 인간에게 암을 유발시키는 발암물질로서 그 유해성이 심각하게 된다.
뿐만 아니다. 연소가스로부터 배출되는 상기한 유해물질들로 인하여 지구환경이 급격히 악화 되어 엘니뇨, 라니냐 등 기상변화가 야기되고, 지구의 온실화를 가속화하여 폭우, 폭풍, 폭설, 혹한, 혹서 등 기상 이변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연소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촉매 또는 정화장치를 이용하여 연소가스 내의 매연분자를 필터링 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대기오염 문제 해결이 미미한 상태이며, 대부분의 정화장치는 물체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연소가스를 백필터식이나 카트리지식의 필터가 장착된 챔버를 통과시켜 정화하게 된다. 또한, 전기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 집진장치를 사용하거나 물을 입자상으로 분사시켜 유해물질을 포집토록 하는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정화장치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하여야 함은 물론 챔버내의 주기적인 청소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기체상태의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종래의 장치로서, "연돌 균열방지 및 매연제거장치"가 실용신안공개 제1985-1893호로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연돌 균열방지 및 매연제거장치"는 연통 내 상부와 중간부위에 분사공을 가진 분사구를 보일러 급수실과 연결된 공급파이프로 접속하여 연통 최상단에 스텐차단막이 형성된 차단구를 삽입설치하여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연돌 균열방지 및 매연제거장치"는 외부에 급수관을 장착하여 굴뚝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급수관을 설치하고 상단부와 중간부에 분사구를 설치하여 내부로 물을 분사하도록 하였으나, 기존의 굴뚝 측면에 구멍을 뚫어 설치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하단에서 상부로 물을 공급하여야 하므로 높은 수압이 필요하여 많은 동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과 더불어 구조상 상부보다 중간부에서의 수압이 높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뿐만 아니라 회수되는 폐수를 정화하는 설비가 없어 폐수를 처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종래의 장치로서, "굴뚝 설치용 집진장치"가 실용신안공고 제1995-5318호로 실용신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
상기 "굴뚝 설치용 집진장치"는 상단부에 저수부를 갖는 집진통을 장착하여 집진통의 내주면 일측에 다수의 물분사공을 갖는 급수파이프를 횡설하고, 집진통의 저수부 바닥면에 배수구를 천설하여 지면에 장착되는 저수통과 집진통의 배수구로 연결하며, 저수통의 펌프와 집진통의 급수파이프를 급수관으로 연결한 후 저수통의 배수관 하단과 펌프 사이에 집진필터를 간설하여서 이루어진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굴뚝 설치용 집진장치"는 굴뚝의 상부에 집진장치를 설치하여 물을 분사하는 구조로서 상단부가 물의 하중을 감당해야 하므로 굴뚝이 견고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굴뚝에서 배출되는 매연과 분사된 물의 접촉시간이 적어 매연을 제거하는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회수되는 폐수를 정화하여 재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연소가스 정화장치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굴뚝의 내주면 둘레에 원형의 링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설치한 물분사수단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굴뚝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연소가스를 냉각해 주고,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물에 흡착시켜 정화함으로써 유해물질의 배출을 방지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소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이 탁월한 연소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연소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흡착한 폐수를 순환시켜 정화하고, 재사용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폐수가 없어 폐수에 따른 환경공해를 방지하면서도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경제성이 뛰어난 연소가스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연소가스 정화장치는 소각로의 굴뚝 내면에 상하로 설치된 급수관에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어 굴뚝으로 배기되는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는 분무수단과; 상기 굴뚝 하부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굴뚝 아래에 모이는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 수집탱크와; 상기 폐수 수집탱크에 수집된 폐수를 폐 수 수집탱크 내의 필터로 여과한 후 상기 소각로의 가열관에 순환시켜 잔여 열로 가열하는 폐수가열부와; 상기 폐수가열부에서 가열된 폐수를 회수하여 정화한 후 폐슬러지와 재사용수로 분리하는 폐수 분리탱크와; 상기 폐수 분리탱크에서 분리된 폐슬러지를 선택밸브로 선택하여 소각 보일러 내로 분사하여 소각하는 폐슬러지 소각부 및; 상기 폐수 수집탱크와 폐수가열부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펌프와 솔래노이드밸브, 상기 폐수가열부와 폐수 분리탱크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폐수 분리탱크와 폐슬러지 소각부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선택밸브와 펌프 및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굴뚝과 폐수 분리탱크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선택밸브와 펌프 및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폐슬러지 소각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자동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굴뚝의 내주면 둘레에 원형의 링상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을 설치한 물분사수단을 다단으로 설치하여 굴뚝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연소가스를 냉각해 주고, 배출되는 유해물질을 물에 흡착시켜 정화함으로써 유해물질의 배출을 방지하고, 연소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제거효율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배출되는 연소가스로부터 유해물질을 흡착한 폐수를 순환시켜 정화하고, 재사용함으로써 외부로 유출되는 폐수가 없어 폐수에 따른 환경공해를 방지하며, 물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연소가스를 정화하는 경제성이 뛰어난 각별한 장점이 있 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연소가스 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연소가스 정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수단의 확대 사시도로서, 본 발명 연소가스 정화장치는 소각로의 굴뚝(11) 내면에 상하로 설치된 급수관(12)에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어 굴뚝(11)으로 배기되는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는 분무수단(10)과;
상기 굴뚝(11) 하부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굴뚝(11) 아래에 모이는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 수집탱크(20)와;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에 수집된 폐수를 폐수 수집탱크(20) 내의 필터(21)로 여과한 후 상기 소각로의 가열관에 순환시켜 잔여 열로 가열하는 폐수가열부(30)와;
상기 폐수가열부(30)에서 가열된 폐수를 회수하여 정화한 후 폐슬러지와 재사용수로 분리하는 폐수 분리탱크(40)와;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에서 분리된 폐슬러지를 선택밸브(41)로 선택하여 소각 보일러 내로 분사하여 소각하는 폐슬러지 소각부(50) 및;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와 폐수가열부(3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펌프(P1)와 솔래노이드밸브(V1), 상기 폐수가열부(30)와 폐수 분리탱크(4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V2),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와 폐슬러지 소각부(50) 사 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선택밸브(41)와 펌프(P2) 및 솔레노이드밸브(V3), 상기 굴뚝(11)과 폐수 분리탱크(4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선택밸브(13)와 펌프(P3) 및 솔레노이드밸브(V4), 상기 폐슬러지 소각부(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51)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자동제어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무수단(10)은 소각로의 굴뚝(11) 내면에 상하로 설치된 급수관(12)에 상하 다단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링상의 급수관의 안쪽 둘레에 굴뚝의 중심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1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폐수 수집탱크(20)는 상기 굴뚝(11) 하부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굴뚝(11) 아래에 모이는 폐수를 수집하는 것으로서, 내부의 중앙부에 격판으로 이루어져 교체 가능하게 필터(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수가열부(30)는 소각로의 가열관에 코일상으로 감긴 배관(31)으로 이루어져 배관(31)의 일측단이 배관으로 솔레노이드밸브(V1)와 펌프(P1)를 거쳐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배관으로 솔레노이드밸브(V2)를 거쳐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폐수 분리탱크(40)는 내부 일측에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설치된 다수의 격판(42, 43, 44)과 중앙부에 격판으로 이루어져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45)로 구성되어 격판(42)과 폐수 분리탱크(40)의 측면이 이루는 제 1공간부로 수집되는 폐수의 상등액이 격판(42)을 흘러 넘어 격판(42)과 격판(43) 사이의 제 2공간부로 회수되고, 제 2공간부의 상등액이 격판(43)을 흘러 넘어 격판(43)과 격판(44) 사이의 제 3공간부로 회수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공간부 하부에 폐슬러지가 모아 지고, 상기 격판(44)을 흘러 넘는 폐수를 필터(45)로 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폐슬러지 소각부(50)는 폐슬러지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각로이며, 하부에는 송풍기(51)와 도시하지 않는 버너가 설치되어 배관으로 솔레노이드밸브(V3)와 펌프(P2) 및 선택밸브(41)를 통해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소각로 내부로 연장되는 배관의 단부에는 분사노즐(52)이 설치되고, 상기 선택밸브(41)는 배관(46)를 통해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의 정화수 저장부 측에 연결된 배관(15)에는 급수배관(16)이 연결된 선택밸브(13)가 연결되고, 상기 선택밸브(13)에는 상기 급수관(12)이 연결되어 급수관(12) 상에 펌프(P3)와 솔레노이드밸브(V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구비된 상기 자동제어부(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추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본 발명 연소가스 정화장치 전체의 각부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선택밸브(13, 41)와 송풍기(51), 펌프(P1 ∼ P3), 솔레노이드밸브(V1 ∼ V4) 각각에 연결되어 선택밸브(13, 41)와 송풍기(51), 펌프(P1 ∼ P3), 솔레노이드밸브(V1 ∼ V4) 각각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제어부(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도록 별도의 데이터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소가스 정화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소각로인 폐슬러지 소각부(50)에서 각종 소각물질이 소각되면, 자동제어부(60)가 선택밸브(13)와 펌프(P3) 및 솔레노이드밸브(V4)를 제어하여 굴뚝(11) 내 분무수단(10)의 노즐(14)을 통해 물을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폐슬러지 소각부(50)는 석탄ㆍ유류ㆍ기타 소각물질을 소각하는 보일러이거나 폐기물을 전용으로 소각하는 소각로이어도 되고, 소각에 의해 굴뚝으로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어떠한 소각장치라도 상관없다.
상기 굴뚝(11) 내로의 물분사시에 선택밸브(13)는 배관(15)을 차단하고, 급수배관(16)을 열어 급수배관(16)으로 원수(原水)가 공급되고, 솔레노이드밸브(V4)가 오픈되어 펌프(P3)의 작동으로 급수배관(16)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原水)가 급수관(12)을 거쳐 분무수단(10)의 노즐(14)을 통해 물을 분사하게 된다.
그에 따라 굴뚝(11)을 통해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 유해가스ㆍ비산재ㆍ매연ㆍ미세먼지 등이 분사되는 물에 흡착됨으로써 물은 폐수로 되어 굴뚝(11)의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폐수는 폐수 수집탱크(20) 내로 수집되어 폐수 수집탱크(20) 내의 필터(21)에 의해 여과되고, 여과된 폐수는 자동제어부(60)의 제어로 솔레노이드밸브(V1, V2)를 오픈하고, 펌프(P1)가 작동함으로써 폐수가열부(30)의 코일상의 배관(31)을 거치면서 가열되어(폐슬러지 소각부(50)로 부터 굴뚝(11)로 배기되는 연소가스를 냉각시키고), 솔레노이드밸브(V2)를 거쳐 폐수분리탱크(40)로 회수된다.
상기 폐수분리탱크(40)로 회수되는 폐수는 제 1공간부 내로 유입되어 상등액이 격판(42)을 흘러 넘어 제 2공간부로 유입되고, 제 2공간부의 상등액이 격판(43) 을 흘러 넘어 제 3공간부로 유입되면서 정화되고, 제 3공간부의 상등액이 격판(44)을 흘러 넘어 필터(45)를 거치면서 여과된다. 따라서 폐수분리탱크(40)로 회수되는 폐수는 제 1 내지 제 3공간부 아래에 모아지는 폐슬러지와 필터(45)를 통과한 정화수로 분리된다.
다음에 자동제어부(60)의 제어로 폐슬러지 소각부(50) 내의 송풍기(51)가 작동함과 동시에 펌프(P2)가 작동하고, 솔레노이드밸브(V3)가 오픈된 상태에서 선택밸브(41)가 선택적으로 오픈됨에 따라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의 제 1 내지 제 3공간부 아래의 폐슬러지 또는 폐수 수집탱크(20) 하부의 폐슬러지중 선택된 것이 폐슬러지 소각부(50) 내로 분사노즐(52)을 통해 분사되어 소각된다.
그리고, 자동제어부(60)의 제어로 상기 펌프(P3)가 작동하고, 솔레노이드밸브(V4)가 오픈된 상태에서 선택밸브(13)에 의해 배관(15)이 선택되면, 상기 폐수 분리탱크(40) 내의 정화수는 배관(15)과 급수관(12)을 거쳐 분무수단(10)의 노즐(14)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재사용되고, 폐수 분리탱크(40) 내의 정화수가 부족하게 되면, 선택밸브(13)의 급수배관(16) 선택에 의해 급수배관(16)으로 공급되는 원수(原水)가 급수관(12)을 거쳐 분무수단(10)의 노즐(14)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굴뚝(11) 으로 배기되는 연소가스 내의 각종 유해가스ㆍ비산재ㆍ매연ㆍ미세먼지 등을 물에 흡착시켜 정화하고,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어 배기가스에 의한 대기온도의 증가를 방지함과 더불어 이산화탄소의 배출을 방지하여 온실효과를 방지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 연소가스 정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무수단의 확대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무수단 11 : 굴뚝
12 : 급수관 13 : 선택밸브
14 : 노즐 15 : 배관
16 : 급수배관 20 : 폐수 수집탱크
21 : 필터 30 : 폐수가열부
31 : 배관 40 : 폐수 분리탱크
41 : 선택밸브 42, 43, 44 : 격판
45 : 필터 46 : 배관
50 : 폐슬러지 소각부 51 : 송풍기
52 : 분사노즐 60 : 자동제어부
P1, P2, P3 : 펌프
V1, V2, V3, V4 :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8)

  1. 소각로의 굴뚝(11) 내면에 상하로 설치된 급수관(12)에 상하 다단으로 설치되어 굴뚝(11)으로 배기되는 연소가스에 물을 분사하는 분무수단(10)과;
    상기 굴뚝(11) 하부에 배관으로 연결되어 굴뚝(11) 아래에 모이는 폐수를 수집하는 폐수 수집탱크(20)와;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에 수집된 폐수를 폐수 수집탱크(20) 내의 필터(21)로 여과한 후 상기 소각로의 가열관에 순환시켜 잔여 열로 가열하는 폐수가열부(30)와;
    상기 폐수가열부(30)에서 가열된 폐수를 회수하여 정화한 후 폐슬러지와 재사용수로 분리하는 폐수 분리탱크(40)와;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에서 분리된 폐슬러지를 선택밸브(41)로 선택하여 소각 보일러 내로 분사하여 소각하는 폐슬러지 소각부(50) 및;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와 폐수가열부(3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펌프(P1)와 솔레노이드밸브(V1), 상기 폐수가열부(30)와 폐수 분리탱크(4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V2),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와 폐슬러지 소각부(5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선택밸브(41)와 펌프(P2) 및 솔레노이드밸브(V3), 상기 굴뚝(11)과 폐수 분리탱크(40) 사이의 배관에 설치되는 선택밸브(13)와 펌프(P3) 및 솔레노이드밸브(V4), 상기 폐슬러지 소각부(50)의 하부에 설치되는 송풍기(51)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내장한 자동제어부(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무수단(10)은 소각로의 굴뚝(11) 내면에 상하로 설치된 급수관(12)에 상하 다단으로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서, 링상의 급수관의 안쪽 둘레에 굴뚝의 중심부를 향하여 물을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14)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수집탱크(20) 내부의 중앙부에 격판으로 이루어져 교체 가능하게 필터(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가열부(30)는 소각로의 가열관에 코일상으로 감긴 배관(31)으로 이루어져 배관(31)의 일측단이 배관으로 솔레노이드밸브(V1)와 펌프(P1)를 거쳐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에 연결되고, 타측단이 배관으로 솔레노이드밸브(V2)를 거쳐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분리탱크(40)는 내부 일측에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설치된 다수의 격판(42, 43, 44)과 중앙부에 격판으로 이루어져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45)로 구성되어 격판(42)과 폐수 분리탱크(40)의 측면이 이루는 제 1공간부로 수집되는 폐수의 상등액이 격판(42)을 흘러 넘어 격판(42)과 격판(43) 사이의 제 2공간부로 회수되고, 제 2공간부의 상등액이 격판(43)을 흘러 넘어 격판(43)과 격판(44) 사이의 제 3공간부로 회수되어 상기 제 1 내지 제 3공간부 하부에 폐슬러지가 모아지고, 상기 격판(44)을 흘러 넘는 폐수를 필터(45)로 여과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슬러지 소각부(50)는 폐슬러지를 회수하여 소각하는 소각로이며, 하부에는 송풍기(51)와 도시하지 않는 버너가 설치되어 배관으로 솔레노이드밸브(V3)와 펌프(P2) 및 선택밸브(41)를 통해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소각로 내부로 연장되는 배관의 단부에는 분사노즐(52)이 설치되고, 상기 선택밸브(41)는 배관(46)를 통해 상기 폐수 수집탱크(20)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 분리탱크(40)의 정화수 저장부 측에 연결된 배관(15)에는 급수배관(16)이 연결된 선택밸브(13)가 연결되고, 상기 선택밸브(13)에는 상기 급수관(12)이 연결되어 급수관(12) 상에 펌프(P3)와 솔레노이드밸브(V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제어부(6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추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설정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본 발명 연소가스 정화장치 전체의 각부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선택밸브(13, 41)와 송풍기(51), 펌프(P1 ∼ P3), 솔레노이드밸브(V1 ∼ V4) 각각에 연결되어 선택밸브(13, 41)와 송풍기(51), 펌프(P1 ∼ P3), 솔레노이드밸브(V1 ∼ V4) 각각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가스 정화장치.
KR1020080056798A 2008-06-17 2008-06-17 연소가스 정화장치 KR2009013103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798A KR20090131034A (ko) 2008-06-17 2008-06-17 연소가스 정화장치
PCT/KR2008/006216 WO2009154331A1 (en) 2008-06-17 2008-10-21 Combustion gas clea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6798A KR20090131034A (ko) 2008-06-17 2008-06-17 연소가스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034A true KR20090131034A (ko) 2009-12-28

Family

ID=41434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6798A KR20090131034A (ko) 2008-06-17 2008-06-17 연소가스 정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131034A (ko)
WO (1) WO200915433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691A (ko) * 2017-05-22 2018-11-30 정경균 풍력발전기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20210036484A (ko) 2019-09-26 2021-04-05 조운형 산업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미세먼지의 제거설비
CN113559707A (zh) * 2021-08-02 2021-10-29 国能龙源环保有限公司 石灰石-石膏湿法烟气脱硫吸收剂净化再生系统及其方法
KR20220048711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화성테크윈 연도 배출가스 재연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63619A (zh) * 2010-12-30 2012-07-11 东莞理文造纸厂有限公司 沼气掺烧锅炉系统
CN104110688B (zh) * 2014-07-08 2016-08-31 安徽福斯特汽车部件有限公司 废气焚烧热水炉
CN104964290B (zh) * 2015-06-14 2017-09-29 沈阳白云机械有限公司 一种废气处理装置
CN106468443A (zh) * 2015-08-14 2017-03-01 江苏百茂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气水封罐
CN108007218A (zh) * 2017-11-07 2018-05-08 登封市豫登耐火材料厂 一种具有环保功能的耐火砖窑炉设施
US11071942B2 (en) * 2018-10-10 2021-07-27 Mitsubishi Heavy Industries Engineering, Ltd. Reclaim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2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CN113303110A (zh) * 2021-05-31 2021-08-27 江苏德印元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循环利用的秸秆加工设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865A (en) * 1979-09-24 1981-10-20 Su Wen Shen Method for removing dust from flue gases
KR200174941Y1 (ko) * 1999-10-15 2000-03-15 김태진 대기오염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7691A (ko) * 2017-05-22 2018-11-30 정경균 풍력발전기를 구비하는 미세먼지 저감 시스템
KR20210036484A (ko) 2019-09-26 2021-04-05 조운형 산업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유해미세먼지의 제거설비
KR20220048711A (ko) 2020-10-13 2022-04-20 주식회사 화성테크윈 연도 배출가스 재연소장치
CN113559707A (zh) * 2021-08-02 2021-10-29 国能龙源环保有限公司 石灰石-石膏湿法烟气脱硫吸收剂净化再生系统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4331A1 (en) 2009-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31034A (ko) 연소가스 정화장치
KR100875519B1 (ko) 활성탄을 이용한 소각로 배기가스의 유해물질 저감 플랜트
JP4051415B2 (ja) ゴミの焼却、焼却後の廃ガスの集塵・中和・触媒の反応処理装置及び触媒後の肥料化プラント並びにその構造
KR20080071297A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101435587B1 (ko)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악취 동시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1721691B1 (ko) 휘발성유기화합물 소각로 겸용 열매체 보일러
KR101339919B1 (ko) 오존촉매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KR101270286B1 (ko) 유해가스 차단설비의 연소장치
KR101105014B1 (ko) 배출가스에 함유된 대기오염물질의 제거장치
CN2695800Y (zh) 生活垃圾焚烧净化炉
JP2001070753A (ja) 触媒フィルタを再生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2136530B1 (ko) 매연정화장치
KR200174941Y1 (ko) 대기오염 방지장치
KR20040001100A (ko) 반건식 반응탑과 백필터를 일체화한 연소배기가스처리시스템
KR101666501B1 (ko) 건류식 폐전선 및 폐통신선 열분해 처리시스템
KR100646188B1 (ko) 축열식 소각장치
KR101239612B1 (ko) 입자성 물질 여과부를 구비한 축열식 연소 산화장치
KR910004265Y1 (ko) 폐액 연소방식에 의한 분뇨, 축산폐수, 산업폐수처리장치
KR100771369B1 (ko) 고형연료용 보일러의 공해물질 저감장치
KR200290636Y1 (ko) 반건식 반응탑과 백필터를 일체화한 연소배기가스처리시스템
KR200219538Y1 (ko) 물과 기름을 이용한 공기정화기.
KR100225260B1 (ko) 소각시 발생되는 끄름, 가스, 매연등의 집진 여과장치
KR102198134B1 (ko) 수소 소각로의 연소부 구조
KR102499692B1 (ko) 물분자 여과방식을 이용한 소각 연소가스 복합 정화 필터장치
KR102075958B1 (ko) 연탄재를 이용한 악취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