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5190A -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5190A
KR20020015190A KR1020000048370A KR20000048370A KR20020015190A KR 20020015190 A KR20020015190 A KR 20020015190A KR 1020000048370 A KR1020000048370 A KR 1020000048370A KR 20000048370 A KR20000048370 A KR 20000048370A KR 20020015190 A KR20020015190 A KR 20020015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file
html document
multimedia
htm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일홍
Original Assignee
장일홍
주식회사 메디오피아테크날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홍, 주식회사 메디오피아테크날리지 filed Critical 장일홍
Priority to KR102000004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5190A/ko
Publication of KR20020015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19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교육용 HTML 문서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HTML 문서에 첨가하여 제작하고 완성된 HTML 문서를 서버로 업로드 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지원하며, 기본으로 구비된 탐색창에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HTML 문서에 첨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텔넷 또는 FTP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이용한 계층적 구조 형태로 완성된 HTML 문서와 이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서버로 업로드 하고, 쉽게 수정ㆍ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들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은 기본으로 구비된 탐색창에서 삽입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창에 옮기는 단계; 멀티미디어 파일의 연결 요구가 있을시 파일 확장자를 확인한 후, 해당하는 HTML 태그리스트를 검색 선택하여 HTML 문서에 삽입하는 단계; 완성된 HTML 문서를 계층적 트리 구조로 만들어 가상교육용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of manufacture for virtual education multimedia teaching materials and it's readable record medium by computer}
본 발명은 위지윅(WYSIWYG)으로 HTML 문서를 제작하는 방법 및 서버로의 업로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교육용 HTML 문서에 포함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HTML 문서에 첨가하여 제작하고 완성된 HTML 문서를 서버로 업로드 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해 많은 분야가 인터넷으로 이전되고 있다. 교육분야도 그 중의 하나로써 종래의 텔레비젼, 위성방송, 케이블을 이용한 교육 프로그램들의 문제점이었던 시간ㆍ공간적 제약과 단 방향성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 다양한 분야의 과목을 선택 수강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가상교육이 활성화 되어가고 있다.
인터넷 가상교육에서는 교육효과를 높이고 즉각적인 의견수렴을 할 수 있는 텍스트와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가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문서가 주교재로 사용된다. 따라서, 강사가 교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HTML 태그(Tag)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하며 태그에 대해 알고 있다 하더라도 일일이 태그를 적어주는 불편이 있고, 웹브라우저(Web Browser)에서 의도하는 대로 보여지는 지를 일일이 확인해봐야 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태그를 자동으로 입력해주는 프로그램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또한 태그를 선택하기 위해선 그에 대한 기본지식이 있어야 하고 작업창이 태그와 텍스트로만 보이므로 편집하는데 애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또다른 종래의 프로그램은 위지윅(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방식을 사용한 프로그램이다. 위지윅이란 사용자가보는 그대로 HTML 문서가 만들어진다는 의미로, 일반 워드프로세스를 쓰는 식으로 문서를 작성하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그에 맞는 태그를 넣어주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종래의 위지윅 프로그램들은 멀티미디어 파일을 첨가할 때에 각 파일에 맞는 메뉴를 선택해야 하며 지원하는 파일들도 다양하지 못했다. 따라서, 각 메뉴를 일일이 찾아야 하며, 지원해 주지 못하는 파일들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HTML 문서의 상호연결을 위해 메인화면으로 쓰일 HTML 문서에는 연결될 HTML 문서를 고려해 프레임을 나누거나, 연결시킬 때의 경로명도 고려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완성된 HTML 문서는 웹서버로 업로드를 해야 인터넷 상에서 볼 수가 있다. 업로드 방법은 텔넷(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또는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방법이 있다. 텔넷이나 FTP의 경우 전용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사용법을 익혀야 하고 디렉토리를 만들거나 파일 권한을 바꿀시에 유닉스(UNIX) 명령어를 알아야 하며 전송시 아스키 모드(ASCII) 또는 이진 모드(Binary)로 정해 주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고, HTML 문서에 연결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들을 사용자가 직접 업로드 하여야 했으며, 이미 업로드된 문서의 수정ㆍ보완이 어려웠다. 웹브라우저를 이용한 경우도 디렉토리 생성과 프로그램 사용법을 따로 배울 필요가 없는 것 이외에는 텔넷, FTP와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파일을 지원하며, 기본으로 구비된 탐색창에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Drag & Drop) 방식으로 HTML 문서에 첨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텔넷 또는 FTP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이용한 계층적 구조 형태로, 완성된 HTML 문서와 이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서버로 업로드 하고, 쉽게 수정ㆍ보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방법들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TML 문서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이 연결된 HTML 문서 소스 예와 작업창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HTML 문서를 구조화하여 가상교육 웹서버에 업로드 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모드 전환과 업로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과목의 수정ㆍ보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은 기본으로 구비된 탐색창에서 삽입하고자 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으로 작업창에 옮기는 단계; 멀티미디어 파일의 연결 요구가 있을시 파일 확장자를 확인한 후, 해당하는 HTML 태그리스트를 검색 선택하여 HTML 문서에 삽입하는 단계; 완성된 HTML 문서를 계층적 트리 구조로 만들어 가상교육용 웹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교육용 멀티미이어 교재는 이미지(110), 사운드(120), 동영상(130)이 포함된 다이나믹한 멀티미디어 교재 즉, HTML 문서를 위지윅 프로그램으로 제작(100)하고, 완성된 HTML 문서는 과목 목록 작성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진계층적 트리구조에 연결(140)된 후, 인터넷망(150)을 통해 가상교육용 웹서버(160)에 전송되어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를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HTML 문서에 멀티미디어 파일을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탐색창에 나타난 멀티미디어 파일을 마우스를 이용해 작업창에 드래그 앤 드롭(200)시킨다. 그러면 프로그램은 등록된 파일명인지 확인(210)한 후, 등록된 파일이 아닐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220)한다. 등록된 파일인 경우 확장명에 따른 태그 리스트를 검색하고 선택(230)한 후, 해당 태그를 HTML 문서에 삽입(240)한다. 이 때 연결되는 멀티미디어 파일의 경로는 HTML 문서와 같은 경로로 바뀌게 된다. 즉, 경로명이 없이 파일명만 삽입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웹서버 업로드 후에도 경로변경이 필요 없기 때문이다. 또한, 향후 업로드시 계층적 과목 리스트 생성으로 HTML 문서가 분류되므로, HTML 문서를 상호 연결시킬 필요는 없다. HTML 문서로 태그 삽입이 완료되면, 작업창에 파일 형식에 따라 멀티미디어 파일을 나타내거나, 개체 표시(250)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이 연결된 HTML 문서 소스 예와 작업창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한 멀티미디어 파일 연결 과정의 예로서, 플래시 파일(*.swf)의 연결을 나타내고 있다. 작업창에 이미 만들어 놓은 플래시 파일 test.swf를 작업창의 원하는 위치에 커서를 위치한 상태에서 마우스로 드래그 앤 드롭 시키면, 프로그램은확장명 swf에 맞는 태그(310)를 태그 리스트에서 검색한 후 선택한다. 선택된 해당 태그(310)는 HTML 문서에 삽입된다. 이 태그에는 웹브라우저가 기본으로 지원하지 못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인 경우 플러그인을 자동으로 다운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플러그인 위치도 포함되어 있으며, 웹브라우저(넷스케이프 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에 따라 실행시키는 태그가 다르므로 이 또한 모두 포함되게 된다. 도면에 나타난 '<object>' 태그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용이고, '<embed>' 태그는 넷스케이프용이다. 삽입이 완료된 후 HTML 소스(300)를 보면 해당 태그(31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작업창(320)에는 플레이가 필요한 것은 그에 해당하는 개체(330)로 표시가 되며 그렇지 않은 것(예; 이미지 파일)은 직접적으로 보여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HTML 문서를 구조화하여 가상교육 웹서버에 업로드 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인터넷망을 통해 가상교육용 웹서버에 접속(400)한 후, 이미 발급된 계정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401)한다. 가상교육용 웹서버는 입력받은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아이디, 비밀번호와 맞는지 비교(402)한 후, 입력내용이 틀리면 오류메세지를 출력(403)한 후 재입력을 요구하고, 입력이 3번을 초과(404)할 경우 접속을 끊는다(405).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맞으면 계정디렉토리로 이동(406)한 후, 사용자의 입력을 기다린다(407). 사용자는 새과목 만들기 또는 기존 과목 열기를 선택한다. 새과목 만들기를 선택하였을 경우, 새과목과 세부목록을 트리구조 형태로 작성(408)하고 탐색창에 있는 완성된 HTML 문서를 해당 목록으로 드래그 앤 드롭하여 연결(409)시킨다. 연결시킨 HTML 문서는 전송리스트에 기록(410)되고, 연결된 HTML 문서의 태그를 분석(411)해 HTML 문서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파일이 있는지 확인(412)한다. 연결된 파일이 있을 경우, 전송리스트에 연결파일을 추가(413)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송모드 전환과 업로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만들어진 전송리스트를 분석(500)하여 확장명에 따라 자동으로 전송모드가 변경(501)된다. 확장명이 아스키 형태일 경우 아스키 모드로 변경(502)하여 웹서버로 전송하고, 그외의 형태일 경우 이진파일로 변경(503)하여 웹서버로 전송(504)한다. 전송이 완료된 후, 웹서버는 전송리스트에 나타나 있는 계층적 트리 구조를 이용해 초기화면을 생성(505)한다. 이 초기화면은 프레임을 나누어 자바스크립트나 자바로 만들어진 메뉴형식으로 만들어져, 접속자의 빠른 항목 전환을 가능케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과목의 수정ㆍ보완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의 업로드 과정의 계정 확인과정까지 거친후, 기존 과목 열기를 선택하면 이미 업로드 되어 있는 전송리스트가 다운(600)되고 그 정보에 따라 리스트 작업창에 해당하는 목록과 연결된 HTML 문서 리스트가 보여지게 된다(601). 강사는 수정ㆍ보완하기 원하는 목록의 HTML 문서를 선택(602)한 후 편집 버튼을 누르면 해당 파일의 확장명과 연결된 파일의 확장명을 분석(603)하여 아스키 모드(604) 또는 이진 모드(605)로 전송모드를 변경한 후 다운로드(606)를 하고, 등록된 편집기로 불러오기(607)가 된다. 강사는 수정ㆍ보완 작업을 실행(608)한 후 작업이완료(609)되었으면 저장버튼을 누른다. 그럼 전송리스트가 갱신(610)된 후 상기 도 5의 업로드 과정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강사는 HTML 태그와 제작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이 마우스와 키보드의 작동법만 알면 간단하게 멀티미디어 파일을 연결시킨 강의교재를 쉽게 만들 수 있으므로, 강좌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의 강의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텔넷, FTP, 또는 유닉스 명령어를 몰라도 완성된 HTML 문서를 쉽게 웹서버로 업로드 할 수 있으며, 이미 업로드 된 HTML 문서의 수정ㆍ보완이 간단한 절차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 질 수 있어 신속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셋째, 다음 페이지로 이동할 링크를 만들어 주지 않아도 웹서버자체에서 전송리스트를 이용해 과목 목록을 웹브라우저 화면상에 나타내주므로 단독의 HTML 문서만 만들어도 상호연계된 웹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Claims (5)

  1.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를 제작하기 위하여, 탐색창에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HTML 문서 작업창에 추가시키는 기능과, 추가된 멀티미디어 파일의 확장명을 이용해 HTML 태그 리스트를 검색하고 선택하는 기능과, 선택된 HTML 태그를 HTML 문서의 해당 위치에 삽입하고 저장하는 기능과, 키보드의 입력에 따라 HTML 태그를 HTML 문서에 삽입하고 저장하는 기능과, 인터넷을 이용해 가상교육용 웹서버에 접속하는 기능과, 계정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는 기능과, 계정확인이 되면 계정 정보를 이용해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기능과, 계층적 과목 리스트를 작성하는 기능과,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HTML 문서를 상기한 계층적 과목 리스트에 연결시키는 기능과, 계층적 과목 리스트와 연결된 HTML 파일의 태그를 분석하여 HTML 문서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파일 정보를 전송리스트에 기록하는 기능과, 전송리스트에 기록된 파일명을 분석하여 전송모드를 아스키 또는 이진 파일 모드로 변환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확장명은 *.RM, *.MPG, *.MID, *.CAD, *.OK, *.SWF, *.MP3, *,WAV, *.VRM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3. 인터넷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를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탐색창에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작업창에 끌어다 놓는 단계(200); 상기한 멀티미디어 파일의 확장명이 등록된 파일명인지 확인하는 단계(210); 등록된 파일이 아닐경우 에러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220); 등록된 파일인 경우 확장명에 따른 해당 태그와 플러그인 경로 정보를 태그리스트에서 검색하고 선택하는 단계(230); 선택된 태그와 플러그인 경로를 HTML 문서의 해당위치에 삽입하는 단계(240); 삽입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작업창에 표시하는 단계(250); 완성된 HTML 문서를 가상교육용 웹서버로 업로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완성된 HTML 문서를 가상교육용 웹서버에 업로드 하는 단계는 가상교육용 웹서버에 접속하는 단계(400); 계정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단계(401); 계정 아이디가 맞는지 확인하는 단계(402); 계정 아이디가 틀리면 오류 메세지를 내보내고(403), 맞으면 계정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새과목을 만들기 또는 기존 과목 변경을 선택하는 단계(406); 새과목 만들기를 선택하였을 경우, 트리구조로 세부 목록을 만드는 단계(408); 탐색창에 있는 HTML 문서를 상기한 트리구조화된 세부 목록에 드래그 앤 드롭으로 옮기는 단계(409); 상기한 세부 목록과 HTML 문서 정보를 전송리스트로 만드는 단계(410); 상기한 HTML 문서의 태그를 분석하여 연결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확인하여 전송리스트에 추가하는 단계(411, 412, 413); 전송리스트를 분석하여 아스키 모드 또는 이진모드로 전송모드를 변환하여 전송하는 단계(500, 501, 502, 503, 504); 전송리스트 정보를 이용해 웹페이지 초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5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존 과목 변경은 이미 업로드 되어 있는 전송리스트를 다운로드 받는 단계(600); 전송리스트 정보 따라 리스트 작업창에 해당하는 목록과 연결된 HTML 문서 리스트가 출력되는 단계(601); 수정ㆍ보완하기 원하는 목록의 HTML 문서를 선택하고 편집 버튼을 누르는 단계(602); 선택된 파일의 확장명과 이와 연결된 파일의 확장명을 분석하여 아스키 모드 또는 이진 모드로 전송모드를 변경한 후 다운로드하는 단계(603, 604, 605, 606); 다운로드된 HTML 문서를 등록된 편집기로 불러오는 단계(607); 편집기에서 수정ㆍ보완 작업을 실행한 후 작업이 완료되면 저장버튼을 누르는 단계(608, 609); 변경사항에 따라 전송리스트가 갱신(610)된 후 웹서버로 전송되는 단계(500, 501, 502, 503, 5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KR1020000048370A 2000-08-21 2000-08-21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020015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70A KR20020015190A (ko) 2000-08-21 2000-08-21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8370A KR20020015190A (ko) 2000-08-21 2000-08-21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190A true KR20020015190A (ko) 2002-02-27

Family

ID=19684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370A KR20020015190A (ko) 2000-08-21 2000-08-21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51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342B1 (ko) * 2002-01-24 2005-03-08 (주)베인스 양방향 통신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
KR100620897B1 (ko) * 2001-10-23 2006-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펙-4 컨텐츠를 위한 비아이에프에스 언어 생성 방법 및그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897B1 (ko) * 2001-10-23 2006-09-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엠펙-4 컨텐츠를 위한 비아이에프에스 언어 생성 방법 및그 시스템
KR100472342B1 (ko) * 2002-01-24 2005-03-08 (주)베인스 양방향 통신으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작성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n et al. WebSplitter: a unified XML framework for multi-device collaborative Web browsing
US8381093B2 (en) Editing web pages via a web browser
US6822663B2 (en) Transform rule generator for web-based markup languages
US8020094B2 (en) Editing web pages via a web browser
US7873588B2 (en) Mobile e-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media adapted learning objects
US7873668B2 (en) Application data binding
WO2002039310A1 (en) Content publication system for supporting real-time integration and processing of multimedia content including dynamic data, and method thereof
CA2516125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extual mark-up of formatted documents
JPWO2007132568A1 (ja) データ処理サーバ及びデータ処理方法
JP2005063412A (ja) 表示データ生成装置、表示装置、表示データ生成システム、表示データ生成装置の制御方法、表示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記録媒体、電子装置及び電子装置の制御方法
Gottfried et al. Drawsocket: A browser based system for networked score display
JP2000067038A (ja) ホームページ作成装置
US20110295785A1 (en) Mobile e-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media adapted learning objects
KR100261265B1 (ko) 웹 문서 저작을 위한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Hart Beginning ASP. Net 2.0
KR20020015190A (ko) 가상교육용 멀티미디어 교재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을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JP4087754B2 (ja) ウェブリソース再編成によるウェブ利用学習支援方法、ウェブリソース再構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eds Microsoft Expression Web 4 Step by Step
Miura Sweetie: Lightweight web authoring environment
Wilson The Absolute Beginner’s Guide to HTML and CSS
JP2002251338A (ja) ブックマーク提示機能を有する文書表示装置
Bond et al. PrepLab: Web
Deitel Javascript for programmers
KR20030006451A (ko) 사용자 정의 모드의 웹문서 생성 방법
Chang et al. Mobile Website Creation based on Web Data eXtraction and Re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