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587A -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 Google Patents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587A
KR20020014587A KR1020000047942A KR20000047942A KR20020014587A KR 20020014587 A KR20020014587 A KR 20020014587A KR 1020000047942 A KR1020000047942 A KR 1020000047942A KR 20000047942 A KR20000047942 A KR 20000047942A KR 20020014587 A KR20020014587 A KR 20020014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ircuit
circuit
data terminal
terminal control
mobil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선
Original Assignee
조영선
(주)싸이버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선, (주)싸이버뱅크 filed Critical 조영선
Priority to KR102000004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4587A/ko
Publication of KR20020014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5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하기 편하면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적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하여 대형화면 표시장치를 부착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의 가능성, 이때 단말기 본체만으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단말기의 본체에도 송수화기기능을 추가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같은 형태의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무선모뎀(PCMCIA 타입)이 아닌 특수한 인터페이스 기능이 이동전화수단과 중앙제어수단 상호간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표준화된 PCMCIA형태의 무선모뎀으로는 착신기능과 음성통화 및 여러 부가기능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즉, 이동전화수단과 외부의 제어장치(PDA,HPC) 간의 데이터통신 연결선. 스피커 연결선, 마이크 연결선, 블루투쓰모듈 연결선, 상태표시 및 제어선, 이동전화 모듈 온/오프선, 착신제어선 등이 설치되어 상호간에 데이터와 신호를 전달하도록 정의되어야, 외부 제어장치에서 음성통화도 하고 음성 및 문자메시지 착발신과 함께 양방향 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이루어졌다.

Description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Which has the Function of Interface with Other Devices}
발명의 분야
갈수록 인기를 더해가고 있는 휴대용 이동전화기는 단순히 무선으로 음성통화를 하기 위한 이동전화기에서 인터넷을 통해 편리하게 정보를 교환하고 개인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무선데이터 통신단말기로 발전해 가고 있으므로미래 사회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대형화면 표시장치를 적용하여 시각적인 데이터 정보를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리라 보며, 이를 통한 인터넷, 전자상거래 및 모빌뱅킹이본격적으로 전개되리라 본다.
반면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 서비스를 위주로 개발되어 있어 화면표시장치의 크기가 작아, 사용자가 현재와 같은 음성 위주의 이동통신 전화기로 시각 정보가 많은 데이터 통신 기능을 사용하기에는 역부족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발명자는 송수신 스피커와 마이크를 주요부품으로 하는 휴대하기 편리한 작은 크기의 음성통신용 핸드셋과 시각적 데이터통신을 위한 대형화면 표시장치가 부착된 본체를 발명(출원번호: 99-03446호, 99-47252호)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본체와 핸드셋을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하고 본체에는 이동통신안테나, 대형 액정화면 표시장치 및 배터리를 내장하여 벨트에 차거나 임의의 장소(포켓)에 휴대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시각적 데이터통신을 할 경우에는 본체만으로 데이터 검색기능을 하게 되고 음성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에는 핸드셋(분리된 송수화기)으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핸드셋을 분실하거나 방전 또는 고장 등으로 인하여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본체만으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단말기의 본체에도 송수화기기능을 추가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하지만 이와같은 형태의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무선모뎀(PCMCIA 타입)이 아닌 특수한 인터페이스 기능이 이동전화수단과 중앙제어수단 상호간에 구현되어야 하는데, 이는 현재의 표준화된 PCMCIA형태의 무선모뎀으로는 착신기능과 음성통화 및 여러 부가기능이 제공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동전화수단과 외부의 제어장치(PDA,HPC) 간의 데이터통신 연결선. 스피커 연결선, 마이크 연결선, 블루투쓰모듈 연결선, 상태표시 및 제어선, 이동전화 모듈 온/오프선, 착신제어선 등이 설치되어 상호간에 데이터와 신호를 전달하도록 정의되어야, 외부 제어장치에서 음성통화도 하고 음성 및 문자메시지 착발신과 함께 양방향데이터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이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하기 편하면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적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한 대형화면 표시장치가 부착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를 구현하기 위한, 착발신 및 데이터통신,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 이동전화기와 달리 PDA 등과 같은 무선데이터단말기에는 PCMCIA 형태의 무선모뎀을 이용하여 데이터통신을 하고 있지만, 이 경우 단지 단말기가 켜진 상태에서 무선데이터통신만을 할 수 있으며, PCMCIA 인터페이스회로가 동작시 50~60mAh, 대기시 10~20mAh의 전류를 소비하므로 휴대용기기에는 전력소비 관리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PCMCIA는 버스 규격이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어 음성전화나 메시지가 착신시 데이터단말기가 대기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깨어나도록 할 수 없으며, 데이터단말기가 백업모드로 들어갈 경우 이동전화모듈의 전원을 차단할 수 없고 필요시 이동전화를 온/오프시킬 수 없으며, 데이터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스피커나 마이크로 음성통화를 할 수 없으며, 데이터단말기가 이동전화의 상태를 알 수 없고 이동전화도 데이터단말기의 상태를 알 수 없으며, 데이터단말기에 탑재될 블루투쓰를 통한 통화가 어려운 문제점들이 있어, 이를 해결하도록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데이터통신 중에도 메시지수신이나 이동이동전화의 상태를 데이터단말기 부문에서 알 수 있도록 듀얼포트메모리를 지원할 수 있도록 데이버버스와 어드레스버스 및 제어선을 설치하며, 전화기 플레쉬메모리의 프로그램을 데이터단말기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접속소켓에서 할 수 있도록 통신 및 제어라인을 설치하며, 전화기수신감도, 시간, 배터리상태 등과 같은 전화기상태를 나타내는 소형LCD를 제어하도록 제공하는데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모두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서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발명에 따른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 안테나 내장형 기구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이동전화회로 2: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
3: 중앙처리장치 4: 이동전화수단
5: 메모리 6: 그래픽 액정
7: 터치스크린 8: 음성처리수단
9: 스피커/마이크 10: 전원회로
11: 외부통신 지원수단 12: 근거리 무선통신수단
13: 키보드 입력수단 14: 몸체
15: 부싱 16: 안테나 접촉단자
17: 안테나봉 18: 안테나바디
19: 스피커 20: 마이크
21: 이어마이크신호 22: 블루투쓰 입출력
23: 단말기 웨이크업 24: 단말기 상태
25: 이동전화 상태 26: 이동전화 온/오프
27: 이동전화 인터럽트 28: 단말기 인터럽트
29: 벨소리 30: 데이터통신 입출력
31: 듀얼포트 메모리입출력 32: 전원공급
33: 회전중심축 34: 부싱
35: 몸체 36: 안테나봉
37: 안테나봉 38: 몸체
데이터 통신용 이동 전화기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발전될 전망이다. 본 발명인이 출원한 바 있는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통신용 이동전화기는 두개로 나뉘어 진다. 하나는 시각 정보통신을 위주로 하는 대형화면 표시장치가 부착된 본체이고, 또 하나는 휴대성이 뛰어나고 음성통신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핸드셋이다. 본체는 다시 이동통신기지국과의 전파 송수신을 위한 이동전화장치와 이동통신안테나; 휴대용 단말기의 구동에 필요한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충전용 배터리 팩; 상대방의 음성데이터를 듣기 위한 스피커; 시각적 데이터의 화면출력 및 입력에 필요한 그래픽액정 및 터치스크린; 핸드셋과의 근거리통신을 위한 근거리안테나; 음성데이터 통신에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때 필요한 키보드; 음성데이터 통신에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입력시키기 위한 마이크; 외부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접속소켓으로 구성되어 있어 기본적으로 인터넷을 단순 문자정보(예:WAP)가 아닌 웹(WEB) 상태로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현재의 PDA와는 달리 자체에 내장된 스피커와 마이크로 음성통화를 할 수 있으며, 이와함께 PDA의 여러 기능과 특히 전력소비 최적화와 관련하여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PDA는 전력 절감을 위해 입력이 없이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아이들모드(백라이트 밝기 감소), 아이들모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슬립모드(백라이트 및 프로세서 동작 중단)로 진입하는데, 각각의 경우에도 이동전화와 관련된 기능들 특히 착신과 관련하여 동작하도록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동전화도 슬롯모드라고도 하는 전력절감기능이 있어 슬립모드와 트래픽모드로 변환이 이루어지며, 파워오프 모드에서는 외부 통신라인도 차단되므로 데이터단말 부문에서도 이동전화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과 같이 음성과 데이터가 동시에 지원되는 복합단말기의 경우 내장되거나 끼울 수 있는 이동전화장치는 데이터단말기의 프로세서와 상호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도록 하는 접속수단 및 프로토콜을 반드시 필요로 하며, 이는 이동전화의 프로세서와 데이터단말기의 프로세서가 원칩화되더라도 내부 회로 설계 및 프로그램상에서 구현되어야 한다. 이는 두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현재의 인터넷폰은 이동전화기능 만을 파워오프시키는 기능이 없지만, 앞으로의 복합단말기는 PDA기능 중심으로 구현될 전망인 만큼 이동전화 부문은 독립적으로 파워를 온/오프하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이동전화 부문은 교환기와 동기하여 정확한 현재시간정보를 가지므로 데이터단말기 부문에 표시되는 시각도 이동전화 부문에서 제공하는 시간으로 수시로 정정하여 자체 타이머에 의해 표시하도록 한다. 데이터단말기는 일정시간 입력이 없으면 동작모드에서 아이들모드로, 아이들모드에서 슬립모드로 들어가는데 MP3나 MPEG, 녹음기 기능은 프로그램 수행 종료후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데이터단말기의 프로세서에서 제어하는 블루투쓰(Bluetooth) 모듈과 관련하여 이동전화장치에서는 보통 4개의 신호(clock, sync, PCM data in, PCM data out)가 나오도록 하여, 이동전화와 관련하여 무선 블루투쓰 핸드셋과 통화로를 형성하며, 이동전화와 연결되지 않을 때에는 irda 적외선과 같이 무선데이터통신 용도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러한 무선데이터통신으로 사용시 외부의 블루투쓰를 지원하는 기기간에 데이터통신용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기기중에는 블루투쓰를 이용한 지역방송(음성 및 영상)서비스, 블루투쓰 중계기를 통한 해당지역내에서 무선전화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블루투쓰 무선전화서비스는 이동전화장치와 데이터단말기의 프로세서에서 블루투쓰를 통해 입력되는 "PCM data in"의 신호를 코덱을 통해 스피커로 구동하고, 마이크 신호를 코덱을 거쳐 "PCM data out"으로 블루투쓰에 보내도록 통화로를 형성한다. 전화기 제어화면은 데이터단말기에서 제공하며 초기 인증과정 및 다이얼링과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합단말기는 데이터통신은 물론 자체에 내장된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통화를 하는데, 이 경우 스피커와 마이크를 이동전화기와 데이터단말기에서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사용하도록 스위칭회로와 방향제어 신호선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이어마이크의 입력을 감지하여 이어마이크가 끼워져 있을 때는 스피커의 출력수준을 낮추도록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와 데이터단말기장치간의 구성 및 운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접속 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에 있어서, 이동전화회로(1)와 데이터단말기(2) 간의 연결 구성도로, 이동전화의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피커(19)와 마이크(20)선, 이어마이크 통화상태임을 알리는 이어마이크신호선(21), 데이터단말기 제어회로(2)에 있는 블루투쓰모듈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CLOCK. SYNC, PCM Dout, PCM Din으로 구성되는 블루투쓰 입출력선(22),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슬립모드일 때 이동전화회로(1)에서 깨우기 위한 단말기웨이크업선(23),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동작상태인지 슬립모드인지를 표시하는 단말기상태선(24), 이동전화회로(1)가 동작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이동전화상태선(25),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필요시나 백업모드일 때 이동전화회로(1)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이동전화 온/오프선(26),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이동전화회로(2)로 인터럽트를 요구하는 이동전화인터럽트선(27), 이동전화회로(1)에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로 인터럽트를 요구하는 단말기인터럽트선(28), 이동전화의 착신을 알리도록 벨소리를 제어하는 벨소리선(29), 데이터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입출력선(30), 전원공급선(32)으로 이루어진다. 부가적으로 데이터통신 중에도 문자메시지 수신 등의 이동전화의 상태를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 알려주거나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상태를 이동전화회로(1)에 즉시 알려주기 위해서는 듀얼포트메모리를 사용하는데 이를 구성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선으로 구성되는 듀얼포트메모리 입출력선(31)이 구성된다. 듀얼포트메모리를 사용하는 경우 단말기상태선(24), 이동전화상태선(25)은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구성된다. 프로세서 설계 및 제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전화회로(1)의 프로세서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프로세서가 단일화되고 있는데, 이 경우 위의 접속기능들은 내부결선 및 프로그램 프로토콜로도 구현된다. 부가적으로 시간, 수신감도, 배터리양, 메시지수신상태, 통화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소형LCD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선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접속사양이 구성되면 이동전화회로(1)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 간에는 다음과 같은 인터페이스 기능이 구현된다. 데이터단말기 제어회로(2)에서 이동전화회로(1)로 스캔한 키코드 값을 넘겨준다. 이동전화 음성콜의 상태(콜 착신알림, 호 연결알림, 호 끊김알림, 통화권이탈 알림, 호 연결실패 알림, 재다이얼중 알림)를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 넘겨준다.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이동전화회로(1)로부터 호연결신호를 받는 순간부터 통화시간타이머를 동작시킨후 호 끊김알림 신호나 자신이 보낸 "END" 명령에 대한 이동전화회로(1)의 응답을 받으면 정지시킨다. 데이터콜을 발신하는 경우 데이터제어회로(2)의 명령에 의해 초기화를 수행, 이동전화 비동기화모드를 설정, 접속번호를 연결하며, 이동전화회로(1)는 데이터콜에 연결성공, 통화권이탈 및 통화연결 실패, 통화중을 의미하는 신호를 보낸다.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이동전화회로(1)에 수신감도값 요청, 현재시각 및 일정 요청, 전화번호 요청, 이동전화 리셋요청, 스피커볼륨 설정요청, 설성암호 요청, 현재 NAM및 전화번호 요청, 이동전화 파워다운 요청, 설정된 벨상태 요청과 같은 정보를 요구한다. 이동전화 파워다운 요청기능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키(END 키)를 오래 누르고 있다면 이 명령을 이동전화회로(1)가 받아 바로 전원을 오프시키며, 다시 토글 형식으로 오래 누르면 전원을 온시키는 기능으로 사용자가 데이터단말기는 사용하면서 이동전화회로를 사용자가 온/오프시킬 때나 배터리용량이 부족하여 백업모드로 들어갈 때 사용한다.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처음 부팅시나 전화응용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시점에 이동전화회로(1)로부터 시간과 날짜정보를 받아 자신의 시스템 날짜와 시간을 자동으로 수정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주도록 한다.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이동전화회로(1)의 서비스모드를 변경하거나 설정값을 바꿀수 있는데, 이동전화 모니터모드, NAM값 편집모드, 수동테스트모드, 자동테스트모드로 서비스모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통신라인을 진단모드와 데이터통신모드로 설정하거나, 호경로를 데이터단말기에 내장된 오디오단으로 설정하거나 블루투쓰 모듈쪽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것은 사용자의 버튼과 이동전화회로(1)의 단말기웨이크업(23)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동전화 착신시 발생하는 단말기웨이크업(23) 신호는 배터리의 낭비를 막기 위해 첫 번째 신호로 프로세서와 액정을 동작시킨 후 두 번째 신호로는 액정만을 오프시켜 전화관련 프로그램(블루투쓰 제어 프로그램, 각종 키입력 등)들은 수행하도록 한다. 사용자가 블루투쓰 단말을 통해 콜을 착신하거나 발신할 경우 기본적으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액정은 사용자의 요구가 없는 한(다른 프로그램을 수행)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음성통화중 불필요한 전원을 소모하지 않도록 한다. 블루투쓰 단말을 통한 발신은 이동전화회로(1)에서 호경로를 블루투쓰 모듈쪽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다이얼키 값과 "SEND"키 값을 블루투쓰 모듈로 부터 받아 호를 접속하며 "END"키나 콜 릴리이스 신호(call release order)를 받으면 호를 종료한다. 블루투쓰 단말을 통한 착신은 이동전화회로(1)에서 호경로를 블루투쓰 모듈쪽으로 설정하고 "Ring" 데이터를 전달하여 블루투쓰단말에서 부저나 진동모터를 작동시키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음성 통화를 연결한다. 무선데이터단말기(2)에 내장되어 프로세서 있는 블루투쓰를 이용하여 다른 블루투쓰 접속장치(공공장소 및 개인장소에 접속장치 설치, 근거리 블루투쓰 무선통신망 구축)와 통신로를 형성하여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해 인터넷접속, 음성통화, 무선데이터방송을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지원하는데, 이는 블루투쓰 모듈은 상하방향 모두 수Mbps급의 데이터통신이 무선으로 지원되기 때문에 가능하며, 이 경우 프로세서와는 USB방식으로 데이터처리가 이루어진다. 음성통화의 경우 PCM데이터를 전달하거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방식으로 전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장치가 구축되면 사용자는 음성 및 데이터통신을 이동전화망과 블루투쓰망을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한다. 블루투쓰 PCM방식 무선전화서비스는 이동전화장치와 데이터단말기의 프로세서에서 외부 접속장치에서 블루투쓰를 통해 입력되는 "PCM data in"의 신호를 코덱을 통해 스피커로 구동하고, 마이크 신호를 코덱을 거쳐 "PCM data out"으로 블루투쓰에 보내 외부의 접속장치와 통화로를 형성한다. 전화기 제어화면은 데이터단말기에서 제공하며 사용자가 이동전화망과 블루투쓰망을 선택하며, 블루투쓰망의 서비스 가능지역에서 블루투쓰망을 선택하면초기 인증과정 및 다이얼링과정을 이동전화와 같이 제공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회로구성 및 연결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 가능한 데이터통신용 이동전화기는, 이동전화기지국과 통화로를 형성하는 무선회로가 포함된 이동전화수단(4),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5), 전화상태 및 인터넷화면,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대형 그래픽 액정(6)과 터치스크린(7), 스피커와 마이크(9)를 연결하는 음성처리수단(8), 핸드셋과 연결하는 근거리무선통신수단(12), 각종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보드입력수단(13)을 중앙제어장치(3)가 제어하도록 구성한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의 안테나를 외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는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안테나바디(18)는 몸체(14)에 고정되어 있는 부싱(15)을 통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안테나봉(17)은 슬롯이 파져있는 안테나바디(18)의 회전중심축(33)에 끼워져 있어 좌우로 임의의 각도로 꺾을 수 있는 구조의 안테나에 있어서, 몸체(14) 위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안테나바디(18)가 몸체 위면에 부싱(18)을 설치하면 안테나가 돌출되지만 안테나바디(18)를 몸체(14) 아래면으로 내려 안테나봉(17)을 안테나바디(18)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꺾으면 돌출되지 않아 휴대시 편리하며, 필요시 안테나봉(17)의 꺾는 각도를 변화시켜 돌출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부싱(34)을 몸체(35) 위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부싱(18)을 설치하여 안테나봉을 -90도 꺾은 상태(36)로 돌출되지 않도록 휴대하며 필요시에만 꺼내 사용하도록 구성하며, 윗방향으로 꺾이는 각도는 안테나봉(37)과 몸체의 접촉면(38)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이와 같은 이동전화회로(1)가 연결된 데이터단말기를 얇게 설계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그 과정중에 배터리를 케이스안에 내장하는 추세이다. 배터리를 내장하면 두께를 최대 2mm 줄일 수 있으며, 배터리가 리튬이온과 리튬폴리머로 바뀌면서 메모리효과가 최소화되고 충방전 사이클이 보장되면서 내장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 경우 방전되었을 경우에 별도의 배터리를 끼우려면 매우 복잡한 기구가 설계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는데, 대부분의 데이터단말기는 PCMCIA나 CF타입, 스마트미디어 타입의 카드를 꽂을 수 있는데 배터리팩을 이러한 형태로 제공하면 별도의 공간과 기구없이 방전시 배터리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위의 배터리팩은 PCMCIA나 CF탑입, 스마트미디어 타입의 소켓을 통해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하면에 전원접촉단자를 만들어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은 휴대하기 편하면서, 인터넷을 중심으로 하는 시각적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수준의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하여 대형화면 표시장치를 부착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의 가능성, 이때 단말기 본체만으로도 통화가 가능하도록 단말기의 본체에도 송수화기기능을 추가한 데이터 통신용 이동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형태의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무선모뎀(PCMCIA 타입)이 아닌 특수한 인터페이스 기능이 이동전화수단과 중앙제어수단 상호간에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표준화된 PCMCIA형태의 무선모뎀으로는 착신기능과 음성통화 및 여러 부가기능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5)

  1. 데이터통신용 이동전화기에 있어서, 이동전화기지국과 통화로를 형성하는 무선회로가 포함된 이동전화회로(1)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 사이에 신호를 주고받기 위한 선들이 설정되고,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5), 전화상태 및 인터넷화면, 프로그램 실행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대형 그래픽 액정(6)과 터치스크린(7), 스피커와 마이크(9)를 연결하는 음성처리수단(8), 블루투쓰단말과 연결하는 근거리무선통신수단(12), 각종 동작을 지시하기 위한 키보드입력수단(13)을 중앙제어장치(3)가 제어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이동전화회로(1)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 간의 연결은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피커(19)와 마이크(20)선, 이어마이크 통화임을 알리는 이어마이크신호선(21),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슬립모드일 때 이동전화회로(1)에서 깨우기 위한 단말기웨이크업선(23),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동작상태인지 슬립모드인지를 표시하는 단말기상태선(24), 이동전화회로(1)가 동작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이동전화상태선(25),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필요시나 백업모드일 때 이동전화회로(1)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이동전화 온/오프선(26)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이동전화회로(1)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 간의 연결은 음성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스피커(19)와 마이크(20)선, 이어마이크 통화임을 알리는 이어마이크신호선(21),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슬립모드일 때 이동전화회로(1)에서 깨우기 위한 단말웨이크업선(23),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동작상태인지 슬립모드인지를 표시하는 단말상태선(24), 이동전화회로(1)가 동작상태인지를 표시하는 이동전화상태선(25),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필요시나 백업모드일 때 이동전화회로(1)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이동전화 온/오프선(26)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단말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 제어회로(2)에 있는 블루투쓰모듈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CLOCK, SYNC, PCM Dout, PCM Din으로 구성되는 블루투쓰 입출력선(22), 이동전화의 착신을 알리도록 벨소리를 제어하는 벨소리선(29), 데이터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입출력선(30), 전원공급선(32)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 및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이동전화회로(2)로 인터럽트를 요구하는 이동전화인터럽트선(27), 이동전화회로(1)에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로 인터럽트를 요구하는 단말기인터럽트선(28)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 및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통신중에도 문자메시지 수신 등의 이동전화의 상태를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 알려주거나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상태를 이동전화회로(1)에 즉시 알려주기 위해서는 듀얼포트메모리를 사용하고, 이를 구성하기 위한 어드레스, 데이터, 제어선으로 구성되는 듀얼포트메모리 입출력선(31)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 및 단말기제어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프로세서 설계 및 제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전화회로(1)의 프로세서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프로세서가 단일화되고 있는데, 이 경우 위의 접속기능들은 내부결선 및 프로그램 프토토콜로도 구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 및 단말기제어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시간, 수신감도, 배터리양, 메시지수신상태, 통화연결상태를 표시하는 소형액정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선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 및 단말기제어회로.
  9.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이동전화회로(1)로 스캔한 키코드 값과, 이동전화 음성콜의 상태(콜 착신알림, 호 연결알림, 호 끊김알림, 통화권이탈 알림, 호 연결실패 알림, 재다이얼중 알림)를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 넘겨주며,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이동전화회로(1)로부터 호연결신호를 받는 순간부터 통화시간타이머를 동작시킨후 호 끊김알림 신호나 자신이 보낸 "END" 명령에 대한 이동전화회로(1)의 응답을 받으면 정지시킨고, 데이터콜을 발신하는 경우 데이터제어회로(2)의 명령에 의해 초기화를 수행, 이동전화 비동기화모드를 설정, 접속번호를 연결하며, 이동전화회로(1)는 데이터콜에 연결성공, 통화권이탈 및 통화연결 실패, 통화중을 의미하는 신호를 보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간의 접속 규격.
  10.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이동전화회로(1)에 수신감도값 요청, 현재시각 및 일정 요청, 전화번호 요청, 이동전화 리셋요청, 스피커볼륨 설정요청, 설정암호 요청, 현재 NAM 및 전화번호 요청, 이동전화 파워다운 요청, 설정된 벨상태 요청과 같은 정보를 요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간의 접속규격.
  11. 제10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키(END 키)를 오래 누르고 있다면 이 명령을 이동전화회로(1)가 받아 바로 이동전화회로(1) 전원을 오프시키며, 다시 토글 형식으로 오래 누르면 전원을 온시키도록 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단말기는 사용하면서 이동전화회로를 온/오프시킬 때나 배터리용량이 부족하여 백업모드로 들어갈 때 사용하도록 하는 이동전화 전원온오프 기능.
  12. 제10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처음 부팅시나 전화응용 프로그램이 수행되는 시점에 이동전화회로(1)로부터 시간과 날짜정보를 받아 자신의 시스템 날짜와 시간을 자동으로 수정하여 보여줌을 특징으로 하는 날짜와 시간 자동정정기능.
  13.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는 이동전화회로(1)의 서비스모드를 변경하거나 설정값을 바꿀 수 있는데, 이동전화 모니터모드, NAM값 편집모드, 수동테스트모드, 자동테스트모드로 서비스모드를 설정하거나, 데이터통신라인을 진단모드와 데이터통신모드로 설정하거나, 호경로를 데이터단말기에 내장된 오디오단으로 설정하거나 블루투쓰 모듈쪽으로 설정하는 기능이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회로와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 간의 접속규격.
  14.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가 슬립모드에서 깨어나는 것은 사용자의 버튼이나 이동전화회로(1)의 단말기웨이크업(23) 신호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의 웨이크업 기능.
  15. 제14항에 있어서, 이동전화 착신시 발생하는 단말기웨이크업(23) 신호는 배터리의 낭비를 막기위해 첫 번째 신호로 프로세서와 액정을 동작시키 후 두 번째 신호로는 액정만을 오프시켜 전화관련 프로그램(블루투쓰 제어 프로그램, 각종 키입력 등)들은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의 웨이크업 기능.
  1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블루투쓰 단말을 통해 콜을 착신하거나 발신할 경우 기본적으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의 액정은 사용자의 요구가 없는한(다른 프로그램을 수행) 오프상태를 유지하여 음성통화중 불필요한 전원을 소모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의 전원관리기능.
  17. 제1항에 있어서, 블루투쓰 단말을 통한 발신은 이동전화회로(1)에서 호경로를 블루투쓰 모듈쪽으로 설정하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다이얼키 값과 "SEND"키 값을 블루투쓰 모듈로 부터 받아 호를 접속하며 "END"키나 콜 릴리이스 신호(call release order)를 받으면 호를 종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단말의 호발신 기능.
  18. 제1항에 있어서, 블루투쓰 단말을 통한 착신은 이동전화회로(1)에서 호경로를 블루투쓰 모듈쪽으로 설정하고 "Ring" 데이터를 전달하여 블루투쓰단말에서 부저나 진동모터를 작동시키고, 사용자의 키 입력에 의해 음성 통화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단말의 호착신 기능.
  19. 제1항에 있어서,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 내장되어 있는 블루투쓰를 이용하여 다른 블루투쓰 접속장치(공공장소 및 개인장소에 접속장치 설치, 근거리 블루투쓰 무선통신망 구축)와 무선통신로를 형성하여, 무선데이터통신을 통해 인터넷접속, 음성통화, 무선데이터방송을 데이터단말기제어회로(2)에서 지원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방식의 무선통신.
  20. 제19항에 있어서, 음성통화의 경우 PCM데이터를 전달하거나 VOIP 방식으로 전환하여 이루어지는데, 블루투쓰 PCM방식은 이동전화장치와 데이터단말기의 프로세서에서 외부 접속장치에서 블루투쓰를 통해 입력되는 "PCM data in"의 신호를 코덱을 통해 스피커로 구동하고, 마이크 신호를 코덱을 거쳐 "PCM data out"으로 블루투쓰에 보내 외부의 접속장치와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구간 무선전화 구현방식.
  21. 제19항에 있어서, 전화기 제어화면은 데이터단말기에서 제공하며 사용자가 이동전화망과 블루투쓰망을 선택하며, 블루투쓰망의 서비스 가능지역에서 블루투쓰망을 선택하면 초기 인증과정 및 다이얼링과정을 이동전화와 같이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쓰 구간 무선전화 기능.
  22. 이동전화회로(1)가 연결된 데이터단말기를 얇게 설계하기 위해서, 데이터단말기가 PCMCIA나 CF타입, 스마트미디어 타입의 카드를 꽂을 수 있는 사양으로 제공되고, 배터리팩을 이러한 PCMCIA나 CF타입, 스마트미디어 타입의 소켓을 설치하여 전원공급을 할 수 있도록 카드 형태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의 배터리.
  23. 제22항에 있어서, 배터리는 PCMCIA나 CF탑입, 스마트미디어 타입의 소켓을 통해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상하면에 전원접촉단자를 만들어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의 배터리.
  24. 이동전화장치의 안테나를 외부에 돌출되지 않도록 안테나바디(18)는 몸체(14)에 고정되어 있는 부싱(15)을 통해 360도 회전이 가능하며 안테나봉(17)은 슬롯이 파져있는 안테나바디(18)에 회전중심축(33)에 끼워져 있어 좌우로 임의의 각도로 꺾을 수 있는 구조의 안테나에 있어서, 몸체(14) 위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안테나바디(18)가 몸체 위면에 부싱(18)을 설치하면 안테나가 돌출되지만 안테나바디(18)를 몸체(14) 아래면으로 내려 안테나봉(17)을 안테나바디(18)와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꺾으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안테나봉(17)의 꺾는 각도를 변화시키면 돌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전화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부싱(34)을 몸체(35) 위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부싱(18)을 설치하여 안테나봉을 -90도 꺾은 상태(36)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이동전화장치.
KR1020000047942A 2000-08-18 2000-08-18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KR20020014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942A KR20020014587A (ko) 2000-08-18 2000-08-18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942A KR20020014587A (ko) 2000-08-18 2000-08-18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587A true KR20020014587A (ko) 2002-02-25

Family

ID=1968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942A KR20020014587A (ko) 2000-08-18 2000-08-18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458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32A (ko) * 2002-08-07 2004-02-14 주식회사 유엠텍 무선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방법
KR100818449B1 (ko) * 2006-08-18 2008-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모드에서의 VoIP호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VoIP호 응답방법
KR100969140B1 (ko) * 2003-10-21 2010-07-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유선망 접속을 통한 브이오아이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CN102637140A (zh) * 2011-05-27 2012-08-15 南京信核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新的裸数据磁带备份系统
CN115065746A (zh) * 2020-05-31 2022-09-16 深圳市睿耳电子有限公司 无线耳机智能找回方法和相关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3632A (ko) * 2002-08-07 2004-02-14 주식회사 유엠텍 무선 이어마이크로폰 장치 및 방법
KR100969140B1 (ko) * 2003-10-21 2010-07-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유선망 접속을 통한 브이오아이피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8449B1 (ko) * 2006-08-18 2008-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절전모드에서의 VoIP호 응답기능을 갖는 통신 시스템및 이를 이용한 VoIP호 응답방법
CN102637140A (zh) * 2011-05-27 2012-08-15 南京信核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新的裸数据磁带备份系统
CN115065746A (zh) * 2020-05-31 2022-09-16 深圳市睿耳电子有限公司 无线耳机智能找回方法和相关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7543B1 (ko) 개인용통신단말기
CN102695302B (zh) 用于扩展便携终端电子设备移动通信功能的系统和方法
US20080020708A1 (en) Blue tooth wireless earphone and wireless network phone supported as extension thereof
JP4561986B2 (ja) 無線端末機
KR100400168B1 (ko) 휴대폰에서 표시장치의 전원제어를 이용한 배터리 절약방법
JPH10210550A (ja) 複合携帯端末装置
EP1458171A1 (en) Integrated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isplay unit
CN201044441Y (zh) 双卡双待手机
JP3179360U (ja) ユニバーサル電話機能を集成したコンピュータ
JP3658182B2 (ja) 携帯電話端末
KR20020014587A (ko) 외부접속기능이 강화된 이동전화장치
JPH11239203A (ja) 携帯型端末装置及びその照明制御方法
JP2001127874A (ja) 無線電話システム、無線電話装置、通信装置、無線通話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101193A (ja) 携帯電話機
JPH0591172A (ja) 携帯電話装置
JP4561985B2 (ja) 無線端末機
JP2011061846A (ja) 携帯電話端末の消費電力を低減する方法
KR100452844B1 (ko) 절전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0032421A (ja) 携帯テレビ電話端末
KR100996084B1 (ko) 전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휴대용 단말기와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 간의 통신 연결방법
CN102055838A (zh) 组合式智能终端
CN100490485C (zh) 与便携终端互连的无线装置
JP3600077B2 (ja) 移動体通信装置の電力制御装置
KR20050043294A (ko) 이동 전화 단말기에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070542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