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4120A -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 Google Patents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4120A
KR20020014120A KR1020000047221A KR20000047221A KR20020014120A KR 20020014120 A KR20020014120 A KR 20020014120A KR 1020000047221 A KR1020000047221 A KR 1020000047221A KR 20000047221 A KR20000047221 A KR 20000047221A KR 20020014120 A KR20020014120 A KR 200200141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sing body
water
guide pipe
cab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7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965B1 (ko
Inventor
정수남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47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965B1/ko
Publication of KR20020014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4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에 관해 제시한다.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어 배터리를 내부에 수납 지지하며 바닥에는 물유입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는 드레인 채널을 수직으로 갖는 컵 형상의 케이싱 몸체와, 이 케이싱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그 개구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캡과, 케이싱 몸체의 둘레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단이 캡을 관통하여 기밀하게 고정되며 배터리 단자에 대한 케이블의 접속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파이프 및 케이블 안내 파이프에서 역류한 물이 배터리의 단자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드레인 채널로 유도하는 역류 차단판으로 구성된다. 케이싱 몸체의 하부에는 그 관통구멍과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물살에 의해 물이 순간적으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는 유입 안내판이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침수시 케이싱 몸체내로 물이 유입되면, 몸체내의 공기가 케이블 안내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다가 케이블 안내 파이프의 하단이 물속에 잠기면 공기배출이 멈추면서 더 이상 물이 몸체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차량의 도섭라인 이상이 물에 잠기거나 배터리가 도섭라인의 하부에 장착되더라도 배터리의 단자부는 확실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Description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a battery case for waterproof}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케이스(battery cas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당부분이 물속에 침수되더라도 배터리의 단자부는 확실하게 방수가 이루어져 엔진룸(engin room)의 도섭라인 하면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된 방수용배터리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은 엔진을 기동시키기 위한 점화장치를 비롯하여 그 운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의 소요 장치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전기에 의해 작동된다. 이에 따라 차량에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장치들에 필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너레이터(generator)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제너레이터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그 시동용 점화장치에 작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도 반드시 함께 구비된다. 또한, 배터리는 엔진의 비기동시에도 각 전기장치들을 필요에 따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점화장치 뿐 아니라 각종 전기장치들과도 연결되며, 역으로 엔진의 기동중에는 배터리가 제너레이터에 의해 충전된다.
이러한 배터리는 각종의 장치들이 집결되어 있는 엔진룸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차량의 엔진룸은 방열과 냉각을 위해 그 전면과 하면이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되므로 배터리의 방수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는 장마때와 같이 차량의 주행로에 물이 고여 있어도 그 운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지면으로부터의 수위인 소위 도섭라인 상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되고, 상부에서 침투하는 빗물 등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방수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집중호우 등에 의해 차량의 침수부위가 도섭라인을 넘어설 경우에는 배터리가 그대로 물에 젖어 배터리의 수명단축은 물론 차량운행에 치명적인 악영향이 초래된다. 특히, 군용트럭의 경우 도하(渡河)시 등 수중운행이 빈번하여 배터리의 침수로 인한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이에 따라 군용트럭의 경우에는 배터리를 차량의 실내에 설치하고 있기도 한데, 이 경우 배터리의 방수는 달성할수 있지만 배터리의 화학반응시에 발생하는 유해가스가 탑승자의 큰 불만을 유발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터리를 도섭라인의 상부에서 차내의 외부에 장착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는데, 차량의 구조적 특성상 도섭라인의 상부에서 배터리를 엔진룸에 근접시켜 차내의 외부에 설치하기란 사실상 불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도섭라인 이상이 물속에 잠기더라도 배터리가 침수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를 엔진룸의 도섭라인 하부에 설치할 수 있어 특히 군용트럭에 사용하기 적합한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싱 몸체 11: (케이싱몸체의) 베이스 플레이트
12: (케이싱몸체의) 커버통 15a: 물 유입용 관통구멍
17: 유입 안내판 19: 드레인 채널
20: 캡 30: 케이블 안내 파이프
40: 역류 차단판 C: (배터리 접속용) 케이블
B: 배터리 S: 차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는, 차체에 장착되어 배터리를 내부에 수납 지지하며, 바닥에는 물유입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는 드레인 채널(drain channel)을 수직으로 갖는 컵 형상의 케이싱 몸체; 이 케이싱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그 개구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캡; 케이싱 몸체의 둘레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단이 캡을 관통하여 기밀하게 고정되며, 배터리 단자에 대한 케이블의 접속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파이프; 및 케이블 안내 파이프에서 역류한 물이 배터리의 단자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드레인 채널로 유도하는 역류 차단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케이싱 몸체의 하부에 그 관통구멍과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물살에 의해 물이 순간적으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는 유입 안내판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침수시 케이싱 몸체의 관통구멍으로 물이 유입되면 몸체내의 공기가 케이블 안내 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다가 일정수위가 되어 케이블 안내 파이프의 하단이 물속에 잠기면 몸체내의 공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해 더 이상 물이 몸체내로 유입되지 못하게 되므로, 차량의 도섭라인 이상이 물에 잠기거나 배터리가 도섭라인의 하부에 장착되더라도 배터리의 단자부는 확실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는 배터리(B)를 차체에 수납 지지하는 컵형의 케이싱 몸체(10)와, 이 케이싱 몸체(10)의 상단 개구를 밀폐시키는 캡(20)과, 상단이 캡(20)에 고정되어 배터리(B)에 대한 케이블(C)의 접속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파이프(30)와, 케이블 안내 파이프(30)를 통해 역류한 물이 배터리(B)의 단자(T) 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류 차단판(40)으로 구성된다.
케이싱 몸체(10)는 차체(S)에 브래킷(K)을 통해 볼트(13)로 체결되어 배터리(B)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1)상에 고정핀(14)에 의해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배터리(B)를 감싸주는 커버통(12)으로 이루어진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커버통(12)의 내측으로 끼워져 배터리(B)의 하면에 접촉하는 돌출부(15)을 가지는데, 돌출부(12)의 중앙에는 차량의 침수시 케이싱 몸체(10)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15a)이 형성되고, 그 양쪽 스커트(skirt)부(16)에는 고정핀(14)이 관통하는 결합구멍(16a)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하면에는 급격한 물살에 의해 물이 순간적으로 케이싱 몸체(10)내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그 물유입용 관통구멍(15a)과 적정간격 이격되도록 유입 안내판(17)이 부착되는데, 이 유입 안내판(17)은 관통구멍(15a)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커버통(12)의 하단부에는 고정핀(14)이 관통하는 결합구멍(12a)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캡(20)의 고정을 위한 플랜지(18)가 외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통(17)의 내면 한쪽에는 케이블 안내 파이프(30)를 통해 역류한 물을 그 하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채널(19)이 수직으로 배치되어 용접등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다.
캡(20)의 스커트(21) 단부에는 패킹(24)을 개재하여 커버통(12)의 플랜지(18)와 볼트(25) 등으로 체결되는 플랜지(22)가 외향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면 한쪽에는 케이블 안내 파이프(30)의 상단이 끼워지는 조립구멍(23)이 드레인 채널(19)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케이블 안내 파이프(30)는 케이싱 몸체(10)의 커버통(12)의 둘레에 위치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데, 그 하단은 커버통(12) 보다 적정높이 만큼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케이블 안내 파이프(30)의 상단부는 하방을 향하도록 이중으로 절곡되어 캡(20)의 조립구멍(23)에 끼워진 뒤, 일체로 용접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역류 차단판(40)은 캡(20)의 조립구멍(23)과 커버통(12)의 드레인 채널(19) 사이에 위치하여 캡(20)에 용접등으로 접합됨으로써 기밀을 유지한다. 이 역류 차단판(40)의 상단에는 배터리 접속용 케이블(C)이 통과할 수 있도록 안내홈(41)이 형성되는데, 이 안내홈(4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보다 확실한 기밀을 위해 패킹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 안내 파이프(30)의 상단은 역류 차단판(40)의 안내홈(41)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역류한 물이 드레인 채널(19)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적절히 경사지게 설치된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군용트럭 등의 차량에 대한 케이스의 장착은, 엔진룸의 도섭라인 하측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차체(S)에 볼트(13)로 체결한 뒤 그 상부에 배터리(B)를 올려 놓는다. 이 상태에서, 커버통(12)을 배터리(B)에 씌우고 커버통(12)을 고정핀(14)으로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연결 지지시킨다. 다음, 접속용 케이블(C)을 케이블 안내 파이프(30)에 통과시켜 배터리(B)의 단자(T)에 접속하고, 커버통(12)의 상부에 패킹(24)을 개재하여 캡(20)을 결합한 뒤 볼트(25)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배터리(B)가 장착된 상태에서, 도하시 등에 차량의 상당부분이 물속에 잠겨 배터리 케이스가 물속에 들어가게 되면, 먼저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한 케이싱 몸체(10)의 물유입 관통구멍(15a)을 통해 커버통(12)내로 물이 차오르게 되면서 케이싱 몸체(10)내의 공기가 케이블 안내 파이프(30)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 때, 급격한 물살이 발생되더라도 물은 유입 안내판(17)에 의해 적절히 진정되어 순간적인 침투가 방지됨으로써 만약에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단자(T)와 물간의 접촉도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러다가 일정수위가 되면 케이싱 몸체(10)에 이어 케이블 안내 파이프(30)도 물속에 잠기게 되고, 이에 따라 케이싱 몸체(10)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됨으로써 더 이상 케이싱 몸체(10)내로 물이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차량의 상당부분이 물속에 잠겨 배터리(B)가 침수되더라도 배터리(B)의 단자(T)는 확실한 방수가 보장되며, 이에 따라 일반 차량은 물론이고 특히 군용트럭에 있어 배터리(B)를 도섭라인 하부의 엔진룸에 안심하고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이 물속에서 빠져나오게 되면, 케이싱 몸체(10)내에 유입된 물의 수위가 케이블 안내 파이프(30)에 유입된 물의 수위보다 높으므로 양자간의 압력차에 의해 커버통(12)내의 물이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물유입용 관통구멍(15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케이블 안내 파이프(30)내에 존재하는 소량의 물이 커버통(12)내로 역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역류 차단판(40)에 의해 역류한 물이 배터리(B)의 단자(T) 쪽으로 침투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경사지게 설치된 역류 차단판(40)을 따라 커버통(12)의 드레인 채널(19)로 유도되어 커버통(12)의 하측으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B)에는 아무런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도섭라인 이상이 물에 잠기거나 배터리가 도섭라인의 하부에 장착되더라도 배터리의 단자부는 확실한 방수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특히 군용트럭에 사용하기 적합하며 배터리를 엔진룸에 최대한 근접시켜 장착할 수 있어 배터리 접속용 케이블의 저항을 최소화시켜 정격 전력을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음은 물론 배터리를 종래와 같이 차내에 장착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군용트럭 등 차량의 안정성과 신뢰성 및 주행환경의 쾌적성 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에 장착되어 배터리를 내부에 수납 지지하며, 바닥에는 물유입용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내면 일측에는 드레인 채널을 수직으로 갖는 컵 형상의 케이싱 몸체;
    상기 케이싱 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그 개구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캡;
    상기 케이싱 몸체의 둘레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단이 상기 캡에 기밀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 단자에 대한 케이블의 접속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 파이프;
    상기 케이블 안내 파이프에서 역류한 물이 배터리의 단자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드레인 채널로 유도하는 역류 차단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몸체의 하부에 그 관통구멍과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물살에 의해 물이 순간적으로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는 유입 안내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KR1020000047221A 2000-08-16 2000-08-16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KR100340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21A KR100340965B1 (ko) 2000-08-16 2000-08-16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7221A KR100340965B1 (ko) 2000-08-16 2000-08-16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4120A true KR20020014120A (ko) 2002-02-25
KR100340965B1 KR100340965B1 (ko) 2002-06-20

Family

ID=1968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7221A KR100340965B1 (ko) 2000-08-16 2000-08-16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9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304A (ko) 2014-03-18 2015-10-01 (주)앤디포스 자동차 배터리용 방수 테이프
KR20200068468A (ko) * 2018-12-05 2020-06-1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도어 컨트롤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304A (ko) 2014-03-18 2015-10-01 (주)앤디포스 자동차 배터리용 방수 테이프
US10293366B2 (en) 2014-03-18 2019-05-21 Ndfos Co., Ltd. Waterproof tape for automobile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00068468A (ko) * 2018-12-05 2020-06-1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도어 컨트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965B1 (ko) 200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0006875A1 (en) Electrolysis cell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it comprising the same
KR101315029B1 (ko) 요소수센더
CN102934260A (zh) 用于容器的改进的过压保护通气和排气装置
BR0012379B1 (pt) calha defletora de eletrólito; cobertura de bateria e bateria.
KR100340965B1 (ko) 방수용 배터리 케이스
KR102371227B1 (ko) 요소수 필러넥 장치
US2640138A (en) Heater for the coolant liquid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CN212839608U (zh) 一种用于汽车油箱上的新型组合阀
KR101000419B1 (ko) 주행풍에 의해 동작하는 드레인 밸브를 구비한 차량용 물저장장치
US6616425B2 (en) Feed device for a motor vehicle and reservoir for a feed device
JP3736655B2 (ja) プルアウト形水中モータポンプ
KR102529047B1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팩 케이스용 압력조정유닛
KR101558347B1 (ko) 차량용 전동식 워터 펌프의 증기 배출장치
CN215863148U (zh) 一体化防水路灯
CN217333445U (zh) 一种防水性能好的声光报警器
CN215486326U (zh) 外置小型燃油泵
CN218906953U (zh) 车载充电器和新能源汽车
KR100188540B1 (ko) 연료탱크 베이퍼 라인의 밸브장치
CN213451917U (zh) 燃料箱用压力阀
KR200180659Y1 (ko) 배터리액에 의한 차체 부식방지 구조
CN220615458U (zh) 电池安装结构、车架总成与车辆
CN217036140U (zh) 一种穿缸连接器
CN219707122U (zh) 一种发动机舱和车辆
CN216116560U (zh) 电池注气用连接装置
KR100251196B1 (ko) 연료 탱크의 수분 유입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