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1637A -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1637A
KR20020011637A KR1020000045043A KR20000045043A KR20020011637A KR 20020011637 A KR20020011637 A KR 20020011637A KR 1020000045043 A KR1020000045043 A KR 1020000045043A KR 20000045043 A KR20000045043 A KR 20000045043A KR 20020011637 A KR20020011637 A KR 2002001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octor
information
pharmacist
prescri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3720B1 (ko
Inventor
최성락
Original Assignee
최성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락 filed Critical 최성락
Priority to KR10-2000-0045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3720B1/ko
Publication of KR2002001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3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3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병/의원의 의사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환자의 처방전을 입력하고, 병원/약국의 약사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처리되지 않은 처방전을 보고 약을 조제하며, 환자의 응급 상황시 응급의료시설 관계자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환자의 진료 및 투약 사항을 점검하여 적절한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도록 한다. 또한, 환자는 웹서버에 개설된 가상약국을 통해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을 전자상거래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 System and Method Managing Integrated Physicians and Medicine Using Internet }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병/의원의 의사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환자의 처방전을 입력하고 병원/약국의 약사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처리되지 않은 처방전을 보고 약을 조제하며, 환자의 응급 상황시 응급의료시설 관계자가 웹서버에 접속하여 환자의 진료 및 투약 사항을 점검하여 적절한 응급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을 환자의 요청에 따라 판매하고 환자에게 배달하는 가상 약국을 구비한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새로운 의약분업에 의하여 병원 내에서 주사 및 투약되는 일부 의약품을 제외한 모든 약품은 의사가 처방하고 약사가 조제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의사는 수기에 의하여 환자의 처방전을 작성하고 환자는 그 처방전을 약사에게 전달함으로써, 약품을 조제하였는 바 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의사는 진찰시 수기에 의해 3장의 동일한 처방전을 발급하여 1장은 의사(병원)가 보관하고, 나머지 2장은 환자에게 준다. 환자는 의사로부터 받은 2장의 처방전 중 1장은 본인이 보관하고 나머지 1장은 약국으로 가져가서 약사에게 제시한다. 약사는 환자가 제시한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약을 조제하며, 이 처방전을 복사하여 1부는 약사(약국)이 보관하고, 1부는 차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 보낸다.
종래의 처방전 처리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처리과정이 복잡하고, 의사가 양식화된 종이에 환자의 정보와 처방사항 등을 수기로 기록하기 때문에 필체에 따른 약사의 오독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환자가 병원에서 약국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처방전을 분실, 훼손 및 위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의약품의 오용 및 남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처방전에 지시된 약품이 해당 약국에 비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약사가 임의대로 해당 약품이 아닌 비슷한 용도의 다른 약품으로 대체하여 판매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기에 의한 처방전 처리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몇 대형 종합병원에서는 의사와 약사 사이에 전용 터미널을 설치하여 처방전을 전용 터미널을 통해 전달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 역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먼저, 전용 터미널 등의 고가의 설치비가 요구되며, 전용 소프트웨어를 의사와 약사가 구입하거나 배포받아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해야 하고, 설치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또한, 병원과 일부 특정 약국간에 전용 터미널을 설치하므로 의약품 업체나 약국의 병원을 상대로 한 로비가 가능하고 이로 인한 의약품 가격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또한, 전용 터미널 등의 장비들이 고장났을 때에는 복구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병/의원의 의사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에 대한 처방전을 입력하고 병원/약국의 약사는 웹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환자의 처리되지 않은 처방전을 보고 약을 조제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응급 상황 발생시 응급의료시설 관계자가 환자의 특수체질과 특이사항, 주치의 정보, 및 최근 환자의 진료 및 투약에 관계된 자료를 알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응급 상황에 신속하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의 요청에 따라 환자의 처방전대로 약품을 조제하고 환자에게 직접 배달하도록 한 가상 약국을 포함한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해당 병/의원의 진료 상황 및 약국의 약품 투약 상황에 대한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공유함으로써, 진료비 및 약제료 등의 보험청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의약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원의 의사가 처방전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약국 및 병/의원의 약사가 처방전을 열람하고 처방전에 따른 약품을 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응급의료기관이나 시설에서 응급 접속기능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가 여러 가지 조회서비스와 의약품 배달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가상약국)에서 의사의 처방전을 열람하고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을 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은,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근 가능하고, 상기 접근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자격(의사, 약사, 환자)에 따라 각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에서의 종합 의약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가 의사와 약사, 및 환자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사가 접근하면, 상기 의사가 문의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의사에게 공개하며, 상기 의사가 입력하는 처방전과 처방 의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웹서버에 약사가 접근하면, 상기 약사가 문의한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환자의 비조제된 처방전을 상기 약사에게 공개하며, 상기 약사가 입력하는 조제 처리 상황과 조제 약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처방전과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은 종합 의약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먼저, 의사(11), 약사(12), 환자(13)는 각각 인터넷 접속 단말기를 이용하여 인터넷망(14)을 통해 웹서버(16)에 접속한다. 환자를 진료한 병/의원이나 혹은 환자에게 의약품을 조제한 약국에게 보험료를 지급하는 가칭 국민건강보험공단(15)도 인터넷 접속 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16)에 접속하여 데이터베이스(17)를 공유한다. 웹서버(16)에는 처방전 입력기능, 처방전 조회 및 처방전에 대한 약품 조제 상황 입력기능, 응급 접속기능, 및 가상 약국 등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가 개설된다. 의사(11)와 약사(12), 및 환자(13)는 이 웹서버(16)에 접속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하여야 한다.
일단 회원으로 가입한 의사(11)와 약사(12), 및 환자(13)는 회원가입시 설정한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웹서버(16)에 로그인하는데, 의사(11)는 환자(13)를 진찰한 결과에 대한 처방전을 입력하고 약사(12)는 처방전을 조회하여 처방전대로 약품을 조제한 후 그 조제 여부를 입력한다. 의사(11)가 환자(13)를 진료하고 처방전을 기록하면 의사(11)의 프로필이 처방전과 함께 기록되고, 약사(12)가 환자(13)에게 의약품을 조제한 결과를 입력할 때에도 약사(12)의 프로필이 함께 기록된다. 의사(11)와 약사(12)가 환자(13)의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환자(13)의 주민등록번호나 환자의 회원 식별자(ID)를 입력해야 하며, 이외에 환자(13)의 비밀번호를 더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환자(13)는 자신의 데이터에 처방전을 기록하거나 이를 열람한 의료기관이나 인물, 날짜 등을 조회할 수 있고,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 즉, 가상 약국에서 해당 처방전에 대한 의약품을 구입할 수 있다.
응급의료기관(18)은 환자에 관한 최소한의 정보만으로 환자에 관한 기본적인 정보(특수체질과 특이사항, 환자의 진료 및 투약에 관한 정보, 환자를 진료하였던 의사나 주치의에 관한 정보, 및 환자의 의료보험에 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는데, 이로써 환자의 상태를 조기에 정확하게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를 적절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병/의원의 의사가 환자를 진찰한 후 처방전을 입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병/의원의 의사는 인터넷 접속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에 접근하는 바(S21),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다(S22). 회원 가입시, 의사는 의료기관명, 주소 및 전화번호, 요양기관번호, 의사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의사면허번호 및 종별, 의사긴급 연락처 및 전자우편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의사가 입력한 정보를 확인 및 검증하여 정식 회원 의사로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원으로 가입한 의사는 즉시 로그인할 수 있다(S23). 즉, 회원 가입시 설정한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한 회원 의사는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처방전 입력 서비스를 이용하여 처방전을 발행한다.
처방전 발행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의사가 진료중인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나 환자 식별자(ID)를 입력하면(여기서, 환자는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기가입한 환자라고 가정한다.)(S24),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자의 신상정보(환자의 보험사항과 특수체질 사항 및 기타 진료 및 투약 사항)가 읽혀져서 의사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환자의 개인 신상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가 별도의 비밀번호를 더 입력하여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환자의 신상정보가 표시되도록할 수도 있다. 또한, 환자의 개인 신상정보에 사진 이미지를 더 추가하여 의료보험증을 도용하는 것을 예방할 수도 있다. 의사는 환자의 신상정보를 열람하고 확인한 다음, 환자를 진료하고 해당 질병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함께 처방전을 입력한다(S25). 처방전에는 해당 약품,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 용법, 및 주의사항을 입력한다. 다음, 약품 조제시 참고사항을 입력하고, 입력한 사항을 저장한 다음 로그아웃한다(S26). 이때, 처방전과 함께 의사의 프로필이 저장되며, 약사나 환자 또는 응급의료기관이 환자의 처방전을 조회할 때 의사에 관한 프로필도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약국 및 병/의원의 약사가 처방전을 열람하고 처방전에 따른 약품을 조제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약사는 인터넷 접속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에 접근하는 바(S301),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다(S302). 회원 가입시, 약사는 약국명, 주소 및 전화번호, 요양기관번호, 약사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약사면허번호 및 종별, 약사 긴급 연락처 및 전자우편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약사가 입력한 정보를 확인 및 검증하여 정식 회원 약사로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원으로 가입한 약사는 즉시 로그인할 수 있다(S303). 즉, 회원 가입시 설정한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한 회원 약사는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처방전 조회 서비스와 조제 상황 입력 서비스를 이용한다.
이를 살펴보면, 약사가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나 식별자(ID)를 입력하면(여기서, 환자는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기가입한 환자라고 가정한다.)(S304),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환자의 신상정보(실명과 특수체질 사항 및 보험사항)가 읽혀져서 약사의 화면에 표시된다(S305). 이때, 환자의 개인 신상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환자가 별도의 비밀번호를 더 입력하여야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환자의 신상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약사는 조제 대기중인 처방(의사정보 포함) 및 조제시 주의사항 등을 열람한다. 관리가 요구되는 의약품(항정신성의약품 등)의 최근 투약상황 등을 확인하고(S306), 의사의 처방전을 열람하여(S307) 처방전의 조작 및 의사의 실수 등 처방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조제하기 전에 처방 의사에게 연락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S308). 다음, 해당 의약품을 조제하고(S309), 환자에게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용법 및 주의사항 등을 상기시키고, 처방에 따른 의약품 조제 및 투약사항을 저장한(S310) 후 로그아웃한다(S311). 이때, 의약품 조제 및 투약사항과 함께 해당 약사의 프로필도 함께 기록되는 바, 해당 환자의 의약품 조제상황을 조회하면 해당 약사의 프로필도 함께 조회되도록 한다.
도 4는 응급의료기관이나 시설에서 응급 접속기능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환자의 응급 상황 발생시 환자의 상태를 조기에 파악하고 응급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응급차량은 모빌 인터넷(Mobile Internet)을 이용하거나 본 시설에 무전기 및 이동통신을 이용하여 간접조회가 가능하다.
응급의료시설 및 기관의 담당자는 인터넷 접속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에접근하는 바(S401),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다(S402). 회원 가입시, 응급의료기관의 담당자는 응급의료시설 및 기관명, 주소 및 전화번호, 담당자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기타 면허 및 전자우편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응급의료시설의 담당자가 입력한 정보를 확인 및 검증하여 정식 회원으로 인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회원으로 가입한 응급의료시설은 즉시 로그인할 수 있다(S403). 즉, 회원 가입시 설정한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하고, 이 응급의료시설의 담당자는 응급 접속기능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환자가 의식을 잃은 상태와 같은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소지품을 통해 주민등록번호만을 알 수 있을 때, 응급의료시설의 담당자는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웹사이트에 로그인하고 환자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한다(S404). 그러면, 환자의 실명 및 보험사항, 특이체질 여부, 최근 진료, 처방, 투약, 진료의사 및 주치의의 연락처 등을 열람할 수 있다(S405, S406, S407, S408).
이렇게 환자의 상태를 조회한 후 응급의료시설의 담당자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거나, 필요시 진료의사나 주치의에게 긴급 연락하여 주의사항 및 긴급조치 등을 지시받는다. 또한, 필요시 환자가 이송되어야 할 의료시설로 환자를 신속히 이송하며, 로그아웃한다(S409). 환자의 응급상황시 환자의 데이터를 조회한 응급의료시설 관계자에 관한 정보가 함께 기록되며, 환자가 자신의 데이터에 접근한 사람이나 기관을 조회할 때 해당 관계자에 관한 정보가 함께 조회된다.
도 5는 환자가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의 회원으로 가입하고 가상 약국을 통해 의약품을 구매 신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환자는 인터넷 접속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에 접근하는 바(S501),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다(S502). 회원 가입시, 환자는 실명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의료보험 조합기호, 증번호, 피보험자내용, 전자우편주소 및 의약품 조제/배송료 지불방법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이러한 환자의 회원 가입은 병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회원으로 가입한 환자는 즉시 로그인할 수 있다(S503). 즉, 회원 가입시 설정한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한 회원 환자는 여러 가지 조회 서비스와 인터넷을 이용하여 의약품의 조제 및 배송을 신청할 수 있다. 즉, 로그인한 환자는 본인의 보험사항을 조회할 수 있고(S504), 처방 및 조제내역, 해당 의약품의 약국간 의약품 조제가격을 비교할 수 있으며, 또한 본인의 데이터를 열람한 모든 담당자와 해당 기관 및 날짜를 조회하여(S505) 불법적인 정보의 유출이 있었을 경우 서비스 제공업체 및 해당 기관에 신고할 수 있다.
환자가 의사에게 진료를 받고 그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을 조제받는 방법은 직접 약국을 방문하여 해당 약국의 약사에게 의약품을 조제받는 방법과 인터넷의 의약품 유통업체(가상 약국)를 통해 의약품을 조제 및 배송 신청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병/의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다. 환자는 의사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에 접근하여 본인의 데이터를 조회하고 처방전을 발행하는것을 확인한다. 이때, 환자는 의사에게 본인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주민등록번호나 자신의 식별자(ID)를 알려줄 수 있고, 그 외에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의사가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처방전 입력 서비스를 이용하여 환자의 처방전을 발행하면, 환자는 해당 처방전 약국이나 인터넷 상의 가상 약국을 통해 구입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환자는 의사에게 처방을 받은 후 인터넷망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근하고, 회원 가입시 부여받은 본인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한다. 로그인한 회원 환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인 보험상황 및 처방, 조제 및 열람기록을 조회할 수 있다.
즉, 의사의 처방 중 조제전인 처방전을 조회할 수 있는데 이러한 처방전을 열람한다(S506). 또한, 환자는 해당 처방전을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에 자동으로 전달하거나(S507) 각각의 의약품의 가격을 조회하는 방식으로 해당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 조제 및 배송가격을 조회한다. 가격 조회 후 해당 의약품을 배달 신청하는데(S508), 해당 의약품의 가격을 결재할 수단(카드결재 및 온라인 송금)을 확정하고(S509), 배송 희망장소와 시간에 조제된 의약품의 배송을 의뢰한다. 이렇게 인터넷상에서의 의약품 구매과정을 모두 진행한 후 로그아웃하고(S510), 배송장소와 시간에 해당 조제된 의약품을 수취한다(S511).
한편, 환자는 본 웹사이트에 회원 가입을 하지 않고도 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의사나 약사에 의해 본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일부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환자가 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을 때, 실명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조합기호, 증번호, 피보험자내용을 제공하고, 해당 병원에서는 이를 웹사이트의 방문자 환자 입력란에 입력하고, 의사는 해당 방문자 환자에게 처방을 내린다.
방문자 환자는 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약국을 방문하여 위의 병원에서 입력한 바와 같은 실명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조합기호, 증번호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약사는 해당 방문자 환자의 처방전을 조회하고 해당 의약품을 조제한다.
도 6은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가상 약국)에서 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환자에게 의약품을 조제하고 배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는 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환자에게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을 조제하여 배송해 주고, 본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 약국에게 의약품을 판매한다. 이를 위하여 해당 의약품의 제품명, 구성 성분, 사진, 가격정보, 약효, 및 재고 상황 등의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의 약사는 인터넷 접속단말기를 이용하여 웹서버에 접근하고(S601), 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 회원으로 가입한다(S602). 회원 가입시,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의 약사는 업체명, 면허번호, 주소 및 전화번호, 요양기관번호, 약사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약사면허번호 및 종별, 약사긴급 연락처 및 전자우편주소 등의 정보를 입력한다. 회원으로 가입한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의 약사는 즉시 로그인할 수 있다(S603). 즉, 회원 가입시 설정한 식별자(ID)와 비밀번호를 사용하여 로그인하여 본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의약품 배달신청을 접수하고 해당 처방전 열람 및 조제과정을 수행한다.
회원으로 가입한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웹사이트를 통해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에게 의사의 처방전에 따른 의약품 조제 및 배달을 신청하는데,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로그인 후, 의사의 처방전 및 환자의 의약품 배달 신청서를 접수한다(S604). 환자의 의약품 배달 신청서를 접수할 경우 환자의 식별자나 실명, 주민등록번호, 보험사항, 특이체질 등의 환자 정보를 열람한다(S605).
다음, 약사는 관리가 요구되는 의약품(항정신성 의약품 등)의 최근 투약상황 등을 확인하고(S606), 조제 대기중인 최근 처방전(의사정보 포함) 및 조제시 주의사항 등을 열람한다(S607). 의사의 처방전을 열람하여 처방전의 조작 및 의사의 실수 등 처방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을 경우에는 조제하기 전에 처방 의사에게 연락하여 확인하는 과정을 거친다(S608). 다음, 해당 의약품을 조제 및 배송하고(S609), 처방에 따른 의약품 조제 및 투약사항을 저장한(S610) 후 로그아웃한다(S611). 이때, 의약품 조제 및 투약사항과 함께 해당 약사의 프로필도 함께 기록되는 바, 해당 환자의 의약품 조제상황을 조회하면 해당 약사의 프로필도 함께 조회되도록 한다. 환자에게 조제한 의약품을 배송할 때, 투약량, 투여횟수, 투약일수 용법 및 주의사항 등을 명시하여 환자가 지시한 시간과 장소로 배송한다. 또한, 환자가 요구한 지불방법(신용카드, 직불카드, 및 온라인 입금)으로 조제 및 배송료를 청구한다. 배송 담당자나 위탁자는 배달시 수령자가 환자 본인임을 신분증 대조를 통하여 확인하고 수취영수증에 서명을 받는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병원, 약국, 의약품 유통업체, 응급의료기관 및 환자에게 환자의 보험사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는 의료기관이나 약국에서 해당 환자에게 처방한 진료나 조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제공한다. 이로써, 병/의원 및 약국의 진류 및 약제료에 대한 보험청구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보험가입자와 피보험자에 대한 관리 등이 자동화된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의료기관과 약국은 인터넷 연결만 하면되기 때문에 초기 설치비와 유지비가 매우 저렴하고, 의사의 처방전이 지역이나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의사에게서 약사에게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처방전의 분실, 위조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자에게 응급한 상황이 발생할 때, 자격을 갖춘 관계자가 인터넷상에서 환자의 진료 및 투약에 관계된 기록, 환자의 특수체질 및 특이사항을 열람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하거나 해당 환자를 진료한 의사나 주치의에게 연락함으로써, 해당 환자에게 적절한 응급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자신이 원하는 약국이나 가상약국을 이용하여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고, 환자의 데이터에 접근하여 처방전을 입력하거나 열람한 관계자들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환자에 대한 불법적인 데이터 유출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가상약국)를 이용하여 의약품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까지 조제된 의약품을 배달받을 수 있으며, 저렴하게 필요한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베이스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공유함으로써, 진료단계에서부터 처방, 조제, 및 보험청구 등의 모든 과정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Claims (8)

  1. 다수의 사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접근 가능하고, 상기 접근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자격(의사, 약사, 환자)에 따라 각기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서버에서의 종합 의약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가 의사와 약사, 및 환자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웹서버에 의사가 접근하면, 상기 의사가 문의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의사에게 공개하며, 상기 의사가 입력하는 처방전과 처방 의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웹서버에 약사가 접근하면, 상기 약사가 문의한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환자의 비조제된 처방전을 상기 약사에게 공개하며, 상기 약사가 입력하는 조제 처리 상황과 조제 약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처방전과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의사가 상기 환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접속 식별자(ID)를 포함한 정보를 입력하여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가 상기 의사에게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의사가 환자에 관한 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환자에 관한 처방전을 입력하지 않고 종료하면, 상기 열람일자와 상기 열람 의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약사가 상기 환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접속 식별자(ID)를 포함한 정보를 입력하여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가 상기 약사에게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약사가 환자에 관한 정보를 열람한 후 상기 환자에 관한 처방전 조제 처리 상황을 입력하지 않고 종료하면, 상기 열람일자와 상기 열람 약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웹서버에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를 개설하고,
    상기 환자가 상기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에게 상기 처방전에 관한 의약품 배달을 요청하면,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처방전이 상기 인터넷 의약품 유통업체의 약사에게 전달되어 공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서버가 응급의료기관 관계자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제 4 단계,
    상기 응급의료기관 관계자가 상기 웹서버에 접근하여 최소한의 환자 정보를 입력하면서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를 문의하면, 환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응급의료기관 관계자에게 공개하고 상기 응급의료기관 관계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 5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8. 웹서버에,
    의사와 약사, 및 환자에 관한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의사가 접근하면, 상기 의사가 문의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상기 의사에게 공개하며, 상기 의사가 입력하는 처방전과 처방 의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와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 2 단계, 및
    약사가 접근하면, 상기 약사가 문의한 상기 환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환자의 비조제된 처방전을 상기 약사에게 공개하며, 상기 약사가 입력하는 조제 처리 상황과 조제 약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처방전과 링크시켜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0-0045043A 2000-08-03 2000-08-03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KR100433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043A KR100433720B1 (ko) 2000-08-03 2000-08-03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043A KR100433720B1 (ko) 2000-08-03 2000-08-03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1637A true KR20020011637A (ko) 2002-02-09
KR100433720B1 KR100433720B1 (ko) 2004-05-31

Family

ID=1968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043A KR100433720B1 (ko) 2000-08-03 2000-08-03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37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499B1 (ko) * 2020-04-19 2020-10-30 (주) 휴그린 처방전 관리시스템
KR20220020625A (ko) * 2020-08-12 2022-02-21 김성국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1807A (ja) * 1994-05-19 1995-11-28 Hitachi Vlsi Eng Corp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
JPH08235273A (ja) * 1995-02-23 1996-09-13 Hitachi Ltd 処方箋伝送システム
US5924074A (en) * 1996-09-27 1999-07-13 Azron Incorporat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system
KR100375430B1 (ko) * 1999-12-03 2003-03-10 이화단 조제 및 의료보험 웹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KR20010093986A (ko) * 2000-04-03 2001-10-31 김진태 네트워크를 통한 의료정보 통합관리 시스템
KR20000037512A (ko) * 2000-04-03 2000-07-05 임상진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처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2499B1 (ko) * 2020-04-19 2020-10-30 (주) 휴그린 처방전 관리시스템
KR20220020625A (ko) * 2020-08-12 2022-02-21 김성국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3720B1 (ko) 200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74167B2 (en) The extended order communic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and method thereof
US20030074234A1 (en) Customer-centered pharmaceutical product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9501623B2 (en) Prescription verification system
US20020055856A1 (en) Adjudicating pharmaceutical drug sample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US20030177033A1 (en) Method of internet-based medical record database configuration and system thereof by mutual certification between patient and doctor
CA2884949C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rifying correlation of diagnosis and medication as part of qualifying program eligibility verification
US20200082327A1 (en) Healthcare system for recording and monitoring transactions of system participants
US20120046970A1 (en) Controlled substance distribution system
US20080235059A1 (en) Service for managing medications
US200301671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fraud and mistake in the issuance, filling and payment of medical prescriptions
KR100303713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전자처방전달 시스템
KR102261680B1 (ko) 통합 의료정보 제공시스템
KR1004337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CN210378503U (zh) 一种电子处方流转系统
KR100425275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처방전 송달 방법과 시스템
KR20000049673A (ko) 인터넷 화상 진료를 통한 홈페이지 전자 처방전 발급 방식
KR20010090423A (ko) 인터넷을 통한 처방전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88699A (ko) 전자건강보험 카드를 이용한 의료보험 인증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441592B1 (ko) 온라인을 이용한 전자처방 시스템 및 전자처방 방법
US20090112628A1 (en) Method and system to create a national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KR100768139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처방전 중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WO2002027999A2 (en) Method and device for a health management system
EP1528500A1 (en) Electronic prescription system and method
JP4460231B2 (ja) 保険療養支援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保険療養支援方法
WO2001097140A1 (en) Customer-centered pharmaceutical product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