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0625A -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0625A
KR20220020625A KR1020200101168A KR20200101168A KR20220020625A KR 20220020625 A KR20220020625 A KR 20220020625A KR 1020200101168 A KR1020200101168 A KR 1020200101168A KR 20200101168 A KR20200101168 A KR 20200101168A KR 20220020625 A KR20220020625 A KR 20220020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rescription
server
patient
prescrip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6977B1 (ko
Inventor
김성국
조인식
윤경용
Original Assignee
김성국
조인식
윤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국, 조인식, 윤경용 filed Critical 김성국
Priority to KR102020010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6977B1/ko
Publication of KR20220020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단말기에서 처방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의 서버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로부터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서버에서 상기 처방 정보에 대응되는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문자열과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약국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용 코드가 판독됨에 따라 상기 인증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식별용 코드에서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여 처방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정보에 매칭된 처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약국 단말기에서 상기 처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 및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NTELLIGENT ELECTRONIC PRESCRIPTION}
본 발명은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정보 시스템은 진료행정 관련 분야와 진료정보 제공 관련 분야로 나누어지며, 최근 진료 지원 기술 중심으로 기술 혁신이 변해가는 추세이다.
대형 종합병원들은 지속적인 병원의 디지털화에 활발히 힘쓰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 처방전달 시스템(OCS, Ordering Communication System) 및 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등의 병원 및 약국에 적용 가능한 진료 지원 관련 디지털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여기서,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은 종이 매체에 의해 기록되어 온 모든 의료 기록에 대해 정보의 범위 및 내용 변형 없이 동일하게 전산화시킨 형태로서, 환자의 진료 행위를 중심으로 발생한 업무상의 자료나 진료 및 수술/검사 기록을 전산에 기반해 입력/정리/보관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또한, 처방전달시스템(OCS, Ordering Communication System)은 각종 의학 정보 및 환자들의 진찰 자료를 보관한 DB와 처방전을 통신망을 통해 각 해당 진료 부서로 전달해 주는 시스템으로, 환자의 등록에서 진료, 수납까지 원내의 모든 데이터를 관리 전달하는 것은 물론 병원의 모든 행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및 처방전달시스템(OCS)과 연계되어 디지털화된 전자처방전을 이용한 환자정보 관리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개발이 진행중에 있다.
특히, 병의원에서 발급한 처방내역을 종이처방전이 아니라 전자처방전의 형태로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약국에 송신하는 전자처방전을 제공하는 시스템이 그 예이다.
전자처방전 시스템의 경우 환자는 병의원에서 발급받은 종이처방전을 구비하지 않고도 약국에 방문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기만 하면 처방 약품을 처방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일반 병의원이나 약국에서 이러한 전자처방전 시스템에 대한 인식 부족과 의사와 환자들의 처방내역의 통신망 전송 및 저장에 대한 거부감이 맞물려 아직도 종이처방전이 이용되는 경우가 허다한 것이 현실이다.
0001)한국등록특허 제1329003호(2013.11.12.공고)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단말 및 전자처방전 관리 서버"
본 발명은 처방전에 따라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에 발급함과 더불어 국민건강보험공단로부터 인증된 처방전 서버를 통해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기와 공유함으로써, 식별용 코드의 판독을 통해 약국에서 처방전에 대한 약을 조제받을 수 있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이 중복 조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동의 하에 처방전 서버를 통해 병원간의 처방 정보가 공유될 수 있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병원 단말기에서 처방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의 서버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로부터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서버에서 상기 처방 정보에 대응되는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문자열과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약국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용 코드가 판독됨에 따라 상기 인증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식별용 코드에서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여 처방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정보에 매칭된 처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약국 단말기에서 상기 처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 및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 정보의 수신에 따라 랜덤한 문자열에 상기 서버에 접속 가능한 접속 정보를 포함시킨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용 코드를 상기 처방 정보에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데이터 코드에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 식별용 코드 및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인증된 서버에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다른 병원 단말기에서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에 환자 동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동의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에 포함한 데이터 코드를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처방 정보를 상기 다른 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처방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에 전송하여 유효성 체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성 체크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유효하다는 유효성 체크 결과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는 환자에 대한 처방에 따른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병원 단말기, 처방 정보에 따라 약을 조제한 후 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약국 단말기, 처방 정보 및 조제 내역 정보를 관리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을 제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국민건강보험공단측로부터 인증되고,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방 정보에 대한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여 환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문자열과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약국 단말기로부터 식별용 코드의 판독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에 매칭된 처방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3 기능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약국 단말기로부터 조제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4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데이터 코드에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키는 제 5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약국 단말기로부터 식별용 코드의 판독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상기 검색한 데이터 코드 내 사용 완료 플래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 식별용 코드에 대응되는 문자열 및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다른 병원 단말기에서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에 환자 동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동의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에 포함한 데이터 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데이터 코드 내 처방 정보를 상기 다른 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6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처방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에 전송하여 유효성 체크를 요청하며, 상기 유효성 체크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유효하다는 유효성 체크 결과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방전에 따라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에 발급함과 더불어 국민건강보험공단로부터 인증된 처방전 서버를 통해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기와 공유함으로써, 처방전에 따른 약 조제 시 종이 발급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대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처방전을 이용하여 약이 중복 조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시스템에서 중복 조제를 방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병원 단말기(100), 환자 단말기(110),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 처방전 서버(130) 및 약국 단말기(1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병원 단말기(100), 처방전 서버(130) 및 약국 단말기(140) 등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비한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환자 단말기(110)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식별용 코드를 무선으로 송신하여 기록매체(미도시됨)에 저장 가능한 무선 통신 기능을 갖는 디바이스로서, 그 예로서 환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서버(130)는 국민건강보험공단측으로부터 인증된 업체에 의해 운영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처방 정보의 저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약국, 병원 및 환자의 요청에 따라 처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처방전 서버(130)는 병원 단말기(100)에서 처방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한 후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110)에 메시지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처방전 서버(130)는 환자의 식별 정보(예컨대, 스마트폰의 전화번호)와 처방 정보를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며, 환자의 식별 번호를 이용하여 식별용 코드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처방전 서버(130)는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처방 정보와 환자의 식별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하며, 생성한 문자열을 이용하여 식별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처방전 서버(130)는 처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식별용 코드 생성과 더불어 식별용 코드에 대응되는 문자열, 처방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며, 생성한 데이터 코드를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식별용 코드는 바코드, QR 코드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처방전 서버(130)는 처방전 서버(130)에 접속한 가능한 접속 정보, 예컨대 URL 정보와 문자열을 포함시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처방전 서버(130)는 약국 정보(예컨대, 약국 등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소정의 약국 단말기(120)로부터 식별용 코드의 판독을 통해 처방 정보 요청 메시지(약국 정보를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약국 정보를 이용하여 정상적인 등록 약국인지를 판단하며, 정상적인 등록 약국인 경우 식별용 코드를 포함한 데이터 코드를 데이터베이스(132)에서 검색한 후 검색한 데이터 코드 내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약국 단말기(140)는 식별용 코드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기, 예컨대 바코드, QR 판독기를 구비하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식별용 코드가 판독됨에 따라 약국 정보 및 식별용 코드를 통해 판독한 정보를 이용하여 처방 정보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약국 단말기(140)는 처방 정보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갑으로 처방전 서버(130)로부터 처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수신된 처방 정보를 저장매체(미도시됨)에 자동으로 저장시키고, 처방 정보를 디스플레이(미도시됨)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약국 단말기(140)는 처방 정보를 기초하여 조제가 완료됨에 따라 조제 내역 정보를 국민건강보험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처방전 서버(130)는 약국 단말기(140)에서 식별용 코드가 판독됨에 따라 약국 단말기(140)로부터 식별용 코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매칭된 처방 정보를 전송한 후 데이터 코드에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서버(130)는 약국 단말기(140)로부터 처방 정보 요청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처방 정보 요청 메시지 내 식별용 코드의 판독을 통해 획득한 정보에 대응되는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에 전송하여 유효성 체크를 요청하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유효한다는 유효성 체크 결과가 수신됨에 따라 처방 정보를 약국 단말기(1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는 유효성 체크를 위해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환자의 식별 정보와 처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됨)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는 유효성 체크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처방 정보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유효성 체크 결과를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서버(130)는 병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 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즉, 처방전 서버(130)는 병원의 식별 정보, 환자의 식별 정보, 문자열 및 처방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처방전 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된 데이터 코드를 이용하여 임의의 병원 단말기(100)의 처방 정보 요청이 처방 정보를 생성한 병원으로부터의 요청인지 또는 다른 병원으로부터의 요청인지를 판단하며, 다른 병원으로부터의 요청인 경우 데이터 코드 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동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동의 응답이 수신되는 경우 임의의 병원 단말기(100)에 처방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방전 서버(130)는 병원 단말기(100)와 연동하여 중복 체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처방전 서버(130)는 데이터 코드의 생성 시간 정보를 관리하며,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환자의 식별 정보 및 처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환자의 식별 정보에 매칭된 데이터 코드가 존재할 경우 데이터 코드의 생성 시간 정보와 처방 정보의 수신 시간간의 비교를 통해 시간 차이 값을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중복 처방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단말기(100)는 환자의 진료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처방 정보, 병원의 식별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한다(S200).
이에 따라, 처방전 서버(130)는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하고, 생성한 문자열과 처방전 서버(130)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한다(S202).
그런 다음, 처방전 서버(130)는 문자열, 처방 정보, 병원의 식별 정보 및 환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 코드 생성 시간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한다(S204).
이후, 처방전 서버(130)는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110)에 전송하여 환자 단말기(110)에 저장시킨다(S206).
그리고나서, 약국 단말기(140)에서 환자 단말기(110) 내 저장된 식별용 코드가 판독(S208)됨에 따라, 약국 단말기(140)는 판독된 정보, 즉 문자열과 약국 정보를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하여 처방 정보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처방 정보를 수신한다(S210).
이때, 처방전 서버(130)는 처방 정보의 전송에 따라 데이터 코드 내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킨다(S212).
한편, 처방 정보에 의거하여 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약국 단말기(140)는 조제 내역 정보를 국민간강보함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한다(S214). 예시적으로, 약국 단말기(140)는 결제 시스템(미도시됨)과 연동하여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조제 내역 정보를 국민간강보함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처방 정보를 전송한 후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조제 내역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킬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원 단말기(100)는 환자의 진료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환자의 식별 정보를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하여 중복 체크를 요청한다(S300).
이에 따라, 처방전 서버(130)는 병원 단말기(100)로부터 환자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중복 처방인지를 판단한다(S302). 구체적으로, 처방전 서버(130)는 환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코드가 데이터베이스(132)에 존재하는지를 1차적으로 판단하고, 존재할 경우 데이터 코드의 생성 시간 정보와 중복 체크를 요청한 시간 정보(처방 정보의 수신 시간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시간 차이 값을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중복 처방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S302의 판단 결과, 중복이 아닌 경우 병원 단말기(100)는 환자의 진료에 따라 처방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처방 정보, 병원의 식별 정보 및 환자의 식별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한다(S304).
이후, 처방전 서버(130)는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하고, 생성한 문자열과 처방전 서버(130)의 접속을 위한 접속 정보를 포함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한다(S306).
그런 다음, 처방전 서버(130)는 문자열, 처방 정보, 병원의 식별 정보 및 환자의 식별정보와 함께 데이터 코드 생성 시간 정보를 매칭시켜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한다(S308).
이후, 처방전 서버(130)는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110)에 전송하여 환자 단말기(110)에 저장시킨다(S310).
그리고나서, 약국 단말기(140)에서 환자 단말기(110) 내 저장된 식별용 코드가 판독(S312)됨에 따라, 약국 단말기(140)는 판독된 정보, 즉 문자열과 약국 정보를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하여 처방 정보를 요청한 후 이에 대한 응답으로 처방 정보를 수신한다(S314).
이때, 처방전 서버(130)는 처방 정보의 전송에 따라 데이터 코드 내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킨다(S316).
한편, 처방 정보에 의거하여 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약국 단말기(140)는 조제 내역 정보를 국민간강보함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한다(S318). 예시적으로, 약국 단말기(140)는 결제 시스템(미도시됨)과 연동하여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조제 내역 정보를 국민건강보함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전자 처방전 시스템에서 중복 처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약국 단말기(140)에서 환자 단말기(110) 내 저장된 식별용 코드가 판독(S400)됨에 따라, 약국 단말기(140)는 판독된 정보, 즉 문자열과 약국 정보를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하여 처방 정보를 요청한다(S402).
이에 따라, 처방전 서버(130)는 식별용 코드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매칭된 데이터 코드를 데이터베이스(132)에서 검색하고, 검색한 데이터 코드 내 사용 완료 플래그가 존재하는지를 체크하여 중복 처방인지를 판단한다(S404).
S404의 판단 결과, 중복 처방인 경우 처방전 서버(130)는 임의의 약국 단말기(140)에 중복 처방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406).
한편, S404의 판단 결과, 중복 처방이 아닌 경우 처방전 서버(130)는 임의의 약국 단말기(140)로부터 수신한 문자열에 포함한 데이터 코드 내 처방 정보를 임의의 약국 단말기(140)에 전송한다(S408).
이때, 처방전 서버(130)는 처방 정보의 전송에 따라 데이터 코드 내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킨다(S410).
이후, 처방 정보에 의거하여 약을 조제하여 환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약국 단말기(140)는 조제 내역 정보를 국민간강보함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한다(S412). 예시적으로, 약국 단말기(140)는 결제 시스템(미도시됨)과 연동하여 결제가 완료됨에 따라 조제 내역 정보를 국민건강보함공단측 서버(120) 및 처방전 서버(13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생략되었지만, 처방전 서버(130)는 약국 단말기(140)로부터 처방 정보 요청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120)와의 연동을 통해 처방 정보가 유효성을 체크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병원 단말기
110 : 환자 단말기
120 :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
130 : 처방전 서버
132 : 데이터베이스
140 : 약국 단말기

Claims (9)

  1. 병원 단말기에서 처방 정보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의 서버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로부터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서버에서 상기 처방 정보에 대응되는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문자열과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한 식별용 코드를 환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와,
    약국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용 코드가 판독됨에 따라 상기 인증된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식별용 코드에서 판독된 정보를 상기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여 처방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인증된 서버에서 상기 전송받은 정보에 매칭된 처방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약국 단말기에서 상기 처방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한 후 이를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 및 인증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처방 정보의 수신에 따라 랜덤한 문자열에 상기 서버에 접속 가능한 접속 정보를 포함시킨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용 코드를 상기 처방 정보에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데이터 코드에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더 전송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 식별용 코드 및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인증된 서버에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다른 병원 단말기에서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에 환자 동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동의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에 포함한 데이터 코드를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상기 환자의 처방 정보를 상기 다른 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처방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에 전송하여 유효성 체크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성 체크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유효하다는 유효성 체크 결과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6. 환자에 대한 처방에 따른 처방 정보를 생성하는 병원 단말기, 처방 정보에 따라 약을 조제한 후 조제 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약국 단말기, 처방 정보 및 조제 내역 정보를 관리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측로부터 인증되고,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방 정보에 대한 랜덤한 문자열을 생성한 후 이를 기반으로 식별용 코드를 생성하여 환자의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문자열과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약국 단말기로부터 식별용 코드의 판독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에 매칭된 처방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후 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3 기능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한 후 상기 약국 단말기로부터 조제 내역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제 4 기능을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한 후 상기 데이터 코드에 사용 완료 플래그를 추가하여 상기 데이터 코드를 업데이트시키는 제 5 기능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약국 단말기로부터 식별용 코드의 판독을 통해 획득한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코드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며, 상기 검색한 데이터 코드 내 사용 완료 플래그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전송 여부를 결정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 단말기로부터 환자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며,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 식별용 코드에 대응되는 문자열 및 처방 정보를 매칭시킨 데이터 코드를 생성하며,
    상기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한 처방 정보 요청이 다른 병원 단말기에서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 단말기에 환자 동의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기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동의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환자의 식별 정보에 포함한 데이터 코드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데이터 코드 내 처방 정보를 상기 다른 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 6 기능을 더 포함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처방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에 전송하여 유효성 체크를 요청하며, 상기 유효성 체크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유효하다는 유효성 체크 결과가 상기 국민건강보험공단측 서버로부터 수신됨에 따라 상기 처방 정보를 상기 약국 단말기에 전송하는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200101168A 2020-08-12 2020-08-12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168A KR102526977B1 (ko) 2020-08-12 2020-08-12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168A KR102526977B1 (ko) 2020-08-12 2020-08-12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625A true KR20220020625A (ko) 2022-02-21
KR102526977B1 KR102526977B1 (ko) 2023-04-27

Family

ID=80475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168A KR102526977B1 (ko) 2020-08-12 2020-08-12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6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773B1 (ko) * 2022-09-19 2023-09-04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636860B1 (ko) * 2023-02-20 2024-02-16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일회성 코드를 활용한 디지털 치료제 App 인증/연동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29A (ko) * 1999-12-03 2001-07-02 이화단 조제 및 의료보험 웹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KR20020011637A (ko) * 2000-08-03 2002-02-09 최성락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KR20120026412A (ko)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KR20200054552A (ko) * 2018-11-12 2020-05-20 남현욱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29A (ko) * 1999-12-03 2001-07-02 이화단 조제 및 의료보험 웹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KR20020011637A (ko) * 2000-08-03 2002-02-09 최성락 인터넷을 이용한 종합 의약 관리방법
KR20120026412A (ko) * 2010-09-09 2012-03-19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KR101329003B1 (ko) 2010-09-09 2013-11-12 주식회사 케이티 전자처방전의 환자용, 약국용 전달 방법, 이를 수행하는 환자 클라이언트 장치 및 중계 장치
KR20200054552A (ko) * 2018-11-12 2020-05-20 남현욱 전자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3773B1 (ko) * 2022-09-19 2023-09-04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636860B1 (ko) * 2023-02-20 2024-02-16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일회성 코드를 활용한 디지털 치료제 App 인증/연동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6977B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795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0750071B1 (ko) 의료 정보 공유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234805B1 (ko) 개인 건강 기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20081306A (ko) 전자 카드를 이용한 의료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26977B1 (ko)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0300093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a product
US8375057B2 (en) Database system, server device, terminal device, and data presentation method
WO2001067345A1 (en) Automated electronic encrypted prescription filling and record keeping and retrieval system
KR20200134744A (ko)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액세스 방법 및 시스템
US20170193187A1 (en) Medication history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registration terminal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20220156504A (ko) 건강 정보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0375430B1 (ko) 조제 및 의료보험 웹 호스팅 서비스 시스템
JP5799155B1 (ja) 処方箋データ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10335468A1 (en) Electronic system for automatically recommendating pharmacy stores all suitable drug products and methods thereof
KR101269682B1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환자 포탈 장치 및 환자 단말의 조제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US923586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goods
JP2020095758A (ja) 問診受付システム、問診受付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02152B2 (ja) 情報取得端末装置および方法、情報管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7361559B2 (ja) お薬情報閲覧システム、中継サーバおよび医療機関端末
KR102172364B1 (ko)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의 2채널 처방 전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3199767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170062046A (ko) Pmr카드를 이용한 병원 통합 관리 시스템
KR20120088289A (ko) 전자 처방전을 이용한 의료 관련 서비스 평가 시스템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의료 관련 서비스 평가 정보 제공 방법
CA3206118A1 (en) Data input assistance system
CN115660553A (zh) 一种物品属性数据更新的方法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