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3773B1 -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3773B1
KR102573773B1 KR1020220118073A KR20220118073A KR102573773B1 KR 102573773 B1 KR102573773 B1 KR 102573773B1 KR 1020220118073 A KR1020220118073 A KR 1020220118073A KR 20220118073 A KR20220118073 A KR 20220118073A KR 102573773 B1 KR102573773 B1 KR 10257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data
digital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정
서정철
채화성
유승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이디지털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220118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정보 없이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간 처방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외부 본인인증서비스 연동을 통한 환자의 본인 인증과 정보 제공 동의를 획득하여,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 환자 단말기간 환자의 처방 데이터와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DIGITAL THERAPEUTICS PRESCRIPTION DATA EXCHANGE SYSTEM AND METHOD APPLYING DE-IDENTIF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본 발명은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인정보 없이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간 처방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외부 본인인증서비스 연동을 통한 환자의 본인 인증과 정보 제공 동의를 획득하여,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 환자 단말기간 환자의 처방 데이터와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치료제는 의학적 장애나 질병의 예방, 치료를 위해 약물과 동일한 임상적 유효성을 가지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지털기기로 기술의 발전에 따라 효율적인 새로운 의료서비스가 가능해지고 디지털 헬스케어가 부각되면서 단순한 건강관리를 넘어 질병을 예방하고 관리하며 치료하는 근거 기반의 디지털 치료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라 비대면 진료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만성질환자의 치료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우울증 등 정신건강에 문제가 생긴 환자가 급증하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라 현재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를 개발하는 업체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디지털 치료제를 처방하는 의료기관과 디지털 치료제 제공 업체와의 처방 데이터의 공유를 위해서는 환자 개인 정보를 관리해야 하므로, 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의 규정에 맞는 환자의 개인 정보와 처방 데이터의 접근통제, 암호화, 접속 기록 관리 등의 데이터 보안 장치 또는 시스템이 수반되어야 한다.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는 업체들이 이러한 데이터 보안 장치 또는 시스템을 구비하기에는 많은 비용과 관리 자원이 필요하므로, 처방 데이터 식별을 위한 최소한의 환자 개인 정보만을 관리하고, 의료기관과 디지털 치료제 제공 업체에게 처방 데이터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통합 교환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개인정보 없이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 및 환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간 개인 정보 없이 처방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외부 본인인증서비스 연동을 통한 환자의 본인 인증과 정보 제공 동의를 획득하여,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 및 환자의 단말기에 설치된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이 환자의 처방 데이터와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지원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모듈,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처방 데이터의 조회, 저장 및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모듈,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 및 환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처방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상호교환모듈 및 상기 환자 단말기에게 정보 제공 동의 여부를 수집하기 위한 채널을 제공하고, 해당 결과를 수신하는 정보제공동의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는 환자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별코드 생성모듈은 의료기관 식별자 및 처방 식별자와 특정 시점의 날짜 및 시간을 조합하여 유일성을 가지는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호교환모듈은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털 치료제 서버 또는 상기 환자 단말기와 상기 처방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동의모듈은 본인인증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에게 본인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모듈은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제공 동의를 획득한 후 상기 처방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관리모듈은 상기 정보 제공 동의 과정의 유효 시간을 체크하여 동의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방 데이터의 사용을 요청하는 대상에 대한 인증 처리 또는 권한 관리를 수행하는 인증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치료제 업체 정보, 디지털 치료제 기본 정보 및 디지털 치료제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관리하는 DTx정보 관리모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교환 방법에 있어서,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방정보수신단계, 개인정보가 제외된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처방 데이터를 저장하는 개인정보 비식별화단계, 환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제공 동의를 수집하는 정보제공동의수집단계, 상기 환자 단말기가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하고, 사용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처방데이터 사용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를 제공하는 결과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는 환자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동의수집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게 본인 인증 채널을 제공하고,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 동의 여부를 획득하여, 상기 처방 데이터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의료기관은 다양한 디지털 치료제 업체가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정보를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제공받아 환자에게 처방할 수 있다.
의료기관은 처방한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사용 결과를 하나의 시스템을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디지털 치료제 제공 업체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통해 환자의 개인정보 없이 처방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고, 해당 환자에게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서 데이터 교환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교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교환 방법에서 처방 교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성 식별코드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써 이는 발명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은 데이터 교환서버(100), 의료기관 시스템(110),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 및 환자 단말기(130)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장치들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네트워크라 함은 유선 공중망, 무선 이동 통신망,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통합된 코어 망일 수도 있고,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 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HTTPS(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등을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서버는 일종의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및 모바일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역할을 하는 서버로 구축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처리된 결과를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웹페이지 상에서 보여주거나 필요한 입력 데이터를 웹 페이지를 통해 전송 받을 수 있고, 여기서 웹페이지는 단순한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동영상 등 이외에도 웹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또한 데스크탑,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웹 서버, 모바일 서버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물리적 서버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개의 서버로 구성되어 운영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버의 종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의 의료기관 시스템(110)는 일반/종합병원, 한방병원, 요양병원 등의 의료 기관에서 사용하는 처방 시스템(OCS, Order Communication System) 또는 전자 의무 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이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병원정보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 일 수 있다.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연동 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데이터 교환서버(100)로 전송하고, 이후 환자 단말기(130)가 사용한 디지털 치료제의 사용 결과를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는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서버와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디지털 치료제는 의학적 장애나 질병의 예방, 치료를 위해 약물과 동일한 임상적 유효성을 가지는 소프트웨어 또는 디지털기기로,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디지털 콘텐츠, 컴퓨터 게임, 메타버스, 모바일 등의 기술이 적용되기도 하며, 치료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빅데이터 또는 인공지능 등의 기술이 적용되기도 한다. 디지털 치료제는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하는 사이트 또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을 통해 제공되며, 하드웨어 전용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의료기기 내장형 디지털치료기기도 있다.
상기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는 데이터 교환서버(100)에게 디지털 치료제 목록, 디지털 치료제의 기본 정보(이름, 코드, 설명, 제공업체), 구성요소, 의학적 효능, 사용 대상, 주의점 및 디지털 치료제 접속 방법을 제공하여, 의료기관 시스템(110)이 해당 정보를 참조하여 처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환자 단말기(130)에게 디지털 치료를 제공하고, 해당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를 데이터 교환서버(100)에게 전달하여 의료기관 시스템(110)이 처방에 대한 사용 결과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의, 환자 단말기(130)는, 데스크탑, 태블릿,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폰,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 등의 다양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웹 기반 또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서버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환자 단말기(130)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이 제공한 처방 데이터를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가 조회할 수 있도록 정보 제공 동의 과정을 수행하고, 데이터 교환서버(100)로부터 디지털 치료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을 설치하거나 디지털 치료제 사이트로 접속하여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환자 단말기(130)는 데이터 교환서버(100)로부터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App)의 설치 URL을 수신하여, 상기 App을 설치하고, 설치한 상기 App의 제어를 통해 메타버스,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반 디지털 컨텐츠를 상호작용형 게임, 시청각 교육, 상담 등의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치료제 프로그램을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고, 처방 데이터를 구별하기 위한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처방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 관리하고, 처방 데이터 또는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를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 또는 환자 단말기(130)와 상호 교환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서 데이터 교환서버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데이터 교환서버(100) 서버에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인증모듈(210), 식별코드 생성모듈(220), 정보제공동의모듈(230), 데이터 관리모듈(240), DTx정보 관리모듈(250), 상호교환모듈(260)을 구비할 수 있다.
인증모듈(210)은 데이터 교환서버(100)에 접속하는 서버, 장치 등의 구성요소에 대해 인증을 처리하고, 데이터 접근 권한을 관리한다. 데이터 교환서버(100)에서 관리되는 데이터는 환자의 처방 데이터가 담긴 데이터로, 데이터의 안전한 상호 교환을 위해 대상에 서버 접근 대한 초기 인증 등록, 처방 데이터 접근 시 정보제공동의모듈(230)과 연동하여 환자 본인 인증과 정보제공 동의 확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인증모듈(210)은 의료기관 시스템(110)과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에 대해 기관 인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의료기관 시스템(110) 또는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는 데이터 교환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 또는 웹 포털 사이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격증명(Credential) 인증을 요청하고, 인증모듈(210)은 자격 증명과 기관 정보(의료기관, 디지털 치료제 업체)를 등록한 후 Secret Key를 발급하여 인증 정보 및 권한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Credential 인증이란 특정인이 해당 자격을 가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온라인 상에서는 주로 아이디와 암호를 통해 자격을 판단한다.
이후 의료기관 시스템(110)과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는 발급받은 Secret Key를 사용하여 인증 코드를 발급받아 데이터 상호교환 또는 데이터 조회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인증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인증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인증모듈(210)은 접속 대상에 따라 권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의료기관 시스템(110)의 경우 처방 데이터의 등록과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 조회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고,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의 경우 처방 데이터의 조회와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 등록에 대한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환자 단말기(130)의 경우 본인 인증과 정보 제공 동의 후 본인의 처방 데이터에 대한 조회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이로써, 처방 데이터에 대한 안전성과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식별코드 생성모듈(220)은 처방 데이터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기관 시스템(110)에서 전송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하여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코드 생성모듈(220)은 개인정보가 제외된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처방 데이터를 매핑하고,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 또는 환자 단말기(130)와 처방 데이터를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일례로,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처방 데이터 전송 시 의료기관 식별자, 처방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 중 의료기관 식별자와 처방 식별자로 처방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고, 처방 식별자로는 환자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의료기관 식별자와 처방 식별자로 처방 데이터를 조합하여 Hash 함수로 생성하고, 처방 데이터 사용 유효 시간 체크를 위해 생성 시점의 날짜 및 시간 정보와 결합하여 유일한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 시점의 날자 및 시간 정보는 'YYYYMMDDSS'의 형식을 가지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Hash 함수 또는 Hash 알고리즘은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로 매핑하는 단방향 함수이다.
생성된 일회성 식별코드는 환자를 구분하기 위한 개인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를 전달 인자로 포함하여 처방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데 사용한다.
정보제공동의모듈(230)은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 또는 환자 단말기(130)에 설치된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이 처방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환자로부터 정보제공동의를 제공받기 위한 채널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 후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처방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디지털 치료제 서버 또는 환자 단말기(130)가 처방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접근 권한 부여(이하, 데이터 활성화)하는데, 데이터 활성화를 위해 환자의 정보 제공 동의를 수집하여야 한다.
일례로, 정보제공동의모듈(230)는 환자의 정보 제공 동의 수집을 위한 웹 페이지의 URL을 환자 단말기(130)에게 문자 또는 SNS 알림 메시지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알림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환자 단말기(130)의 전화번호, 이메일, SNS 아이디 중 어느 한가지를 처방 데이터에 포함하여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웹 페이지의 URL을 전달할 때, 처방 데이터의 일회성 식별코드를 상기 URL의 전달 인자로 포함하여 전달함으로써, 동의 여부 결과 수신 시 어떤 처방 데이터에 대한 정보 제공 동의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정보제공동의모듈(230)은 정보 제공 동의 수집을 위한 웹페이지에서 본인 인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 단말기(130)는 정보 제공 동의를 위해서 본인 인증을 거쳐야 하는 하는데, 상기 정보제공동의모듈(230)은 본 발명의 디지털 치료제 교환 시스템 외부에 있는 본인인증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본인인증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웹 페이지로 연결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130)가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 받거나 내부적으로 관리하지 않고, 외부의 인증 서비스 연동을 통한 본인 인증 후 정보 제공 동의를 수집할 수 있다.
데이터 관리모듈(240)은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처방 데이터의 조회, 저장 및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 관리모듈(240)은 데이터베이스(DB)상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는데, 상기 데이터베이스(DB)는 데이터 교환서버(100) 내부에 설치되거나, 데이터 교환서버(100)의 외부에 존재하며 동일 네트워크 상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DB) 서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관리모듈(240)은 식별코드 생성모듈(220)이 생성한 일회성 식별코드와 처방 데이터를 매핑 저장하고, 정보제공동의모듈(230)의 수집한 정보제공 동의여부를 전달받아 일회성 식별코드에 포함된 데이터 생성 시간과 동의여부를 전달받은 시간을 비교하여 정해진 유효 시간 내에 있는지 판단하고, 유효한 데이터인 경우, 해당 처방 데이터를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 또는 환자 단말기(130)의 처방 데이터에 대한 사용 요청 시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처방 데이터 조회, 사용 결과 저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환자의 개인정보 없이 처방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일례로, 데이터 관리모듈(240)은 저장된 데이터의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관리 할 수 있다.
DTx 정보 관리모듈(250)은 디지털 치료제 업체 정보, 디지털 치료제 기본 정보 및 디지털 치료제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관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DTx 정보 관리모듈(250)은 기관 인증을 수행한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로부터 디지털 치료제 목록, 디지털 치료제의 기본 정보(이름, 코드, 설명, 제공업체), 구성요소, 의학적 효능, 사용 대상, 주의점 및 디지털 치료제 접속 방법을 전달받아,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디지털 치료제 처방을 받은 환자 단말기(130)에게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이나 접속 사이트의 URL을 제공한다. 이때, 처방 데이터 식별을 위해 일회성 식별코드를 전달 인자로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후 환자 단말기(130)가 상기 App 또는 디지털 치료제 사이트에 접속하여 해당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호교환모듈(260)은 의료기관 시스템(110),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 및 환자 단말기(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처방 데이터를 상호 교환 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호교환모듈(260)은 각각의 통신 대상과 사전에 협의된 인터페이스 규약에 맞추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고, 인터페이스 방식은 HTTP, HTTPS 기반 SOAP, REST API 등 온라인 데이터 전송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규약에 따르는 의료기관 시스템(110) 및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을 하나의 표준 규약에 따른 처방 데이터의 상호 교환을 지원하기 위해 표준화된 공개(Open) API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터페이스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수준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교환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교환 방법은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서 수행되며, 처방정보수신단계(310), 개인정보 비식별화단계(320), 정보제공동의수집단계(330), 처방데이터 사용단계(340) 및 결과제공단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처방정보수신단계(310)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이다. 처방 데이터는 데이터 교환서버(100)와 의료기관 시스템(110) 간에 미리 정의된 인터페이스 규약으로 전달되며, 이때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는 의료기관 식별자와 처방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데이터 교환서버(100)와의 연동을 위해 데이터 교환서버(100)에서 제공하는 기관 인증 과정을 수행하여 기관 정보를 등록한 후 처방 데이터를 교환을 할 수 있다.
개인정보 비식별화단계(320)는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와 환자 단말기(130)에게 환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처방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처방 데이터와 환자를 매칭할 수 있는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처방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정보 없이 처방 데이터를 전달하고,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와 환자 단말기(130)은 상기 처방 데이터를 수신 받아 환자를 식별해야 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 교환서버(100)에서는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는 의료기관 식별자와 처방 식별자를 조합하여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사용하여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와 환자 단말기(130)와 데이터를 교환한다.
정보제공동의수집단계(330)는 환자 단말기(130)로부터 정보 제공 동의를 수집하는 단계로, 처방 데이터 제공에 대한 환자의 동의를 수집하기 위해, 환자 단말기(130)로 정보 제공 동의 채널을 제공하는데, 의료기관 시스템(110)으로부터 수신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환자 연락 정보(전화번호/이메일/SNS 아이디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정보 제공 동의 페이지 URL을 문자 또는 SNS 알림 메시지로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시스템 외부에 있는 본인인증서비스와의 연동을 통해 환자 단말기(130)가 직접 본인 인증 과정을 수행하고,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정보 제공 동의 여부만 수집한다.
처방데이터 사용단계(340)는 데이터 교환서버(100)가 환자 단말기(130)에게 디지털 치료제 접속 정보를 전달하고, 환자 단말기(130)가 해당 정보로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을 설치하여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하는 단계이다. 환자 단말기(130)는 설치된 App을 통해 데이터 교환서버(100)로부터 일회성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처방 데이터를 조회하여 해당 처방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치료제를 전달받아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상기 App이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와 일회성 식별코드를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로 전달하고,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는 상기 정보를 데이터 교환서버(100)로 전달한다.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수신한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상기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를 저장한다.
결과제공단계(350)는 데이터 교환서버(100)가 의료기관 시스템(110)의 요청에 따라 처방 데이터의 사용 결과를 전달하는 단계이다.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이 전달한 의료기관 식별자와 처방 식별자에 해당하는 처방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를 조회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교환 방법에서 처방 교환 흐름도이다.
의료기관 시스템(110)이 의료기관 식별자, 처방 식별자, 최소한의 환자정보(전화번호/이메일/SNS 아이디 중 하나)를 포함한 처방 데이터를 데이터 교환서버(100)로 전달하면,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기관에 대한 인증 처리와 권한을 체크한 후,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식별하는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처방 데이터와 매핑하여 관리한다.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와 환자 단말기(130)가 처방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환자로부터 정보제공동의를 받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환자 단말기(130)로 정보 제공 동의 요청 페이지 URL과 전달 인자로 일회성 식별코드와 TimeStamp(특정한 시각을 나타내거나 기록하는 문자열)를 전달하고, 환자 단말기(130)는 해당 정보 제공 동의 페이지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을 절차를 수행한다. 본인 인증 절차는 외부의 본인인증서비스 연동을 통해 진행되는데, 해당 환자 단말기(130)가 제공된 본인 인증 페이지에 접속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하면,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그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한다. 본인 인증은 본 발명의 시스템 외부에 존재하는 본인인증서비스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웹페이지로 연결하여 환자 단말기(130)가 직접 개인 정보를 입력하고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시스템은 정보 제공 동의 페이지의 URL과 디지털 치료제 App에 접속하기 위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연락처(전화번호, 이메일, SNS 아이디 중 하나)를 제외한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이름, 주소, 생년월일, 주민등록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때, 환자 단말기(130)가 동의한 경우, 일회성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처방 데이터를 활성화한다.
한편,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로부터 일회성 식별코드에 해당하는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 설치 페이지를 요청하고, 수신한 상기 App의 설치 URL을 환자 단말기(130)에게 일회성 식별코드와 함께 전달한다. 환자 단말기(130)은 해당 App을 설치하고, 데이터 교환서버(100)에게 해당 App을 통해 전달된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한 처방 데이터를 요청하여,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한다. 환자 단말기(130)가 디지털 치료제를 사용한 후 사용 결과를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에게 전달하고,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가 다시 데이터 교환서버(100)에게 전달하면, 데이터 교환서버(100)는 결과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후,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데이터 교환서버(100)에게 의료기관 식별자, 처방 식별자를 사용하여 상기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를 조회 할 수 있다.
상기 처방 데이터 흐름은 환자의 개인정보 없이 데이터 교환서버(100)에서 생성한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의료기관 시스템(110),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 및 환자 단말기(130)간의 처방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로써, 의료기관 시스템(110)은 의료기관 식별자와 처방 식별자로 처방 데이터 전달, 사용 결과를 조회할 수 있고, 디지털 치료제 서버(120)와 디지털 치료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App)이 설치된 환자 단말기(130)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에서 전달한 처방 데이터를 환자의 개인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처방 데이터와 처방 데이터 사용 결과를 교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성 식별코드의 구성도이다.
일회성 식별코드는 의료기관 시스템(110)에서 전달한 처방 데이터에 포함된 의료기관 식별자와 처방 식별자로 처방 데이터를 조합하여 Hash 함수로 생성하고, 처방 데이터의 유효 시간 체크를 위해 생성 시점의 날짜 및 시간 정보와 결합하여 유일한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 시점의 날자 및 시간 정보는 'YYYYMMDDSS'의 형식을 가지는 TimeStamp(특정한 시각을 나타내거나 기록하는 문자열) 값을 사용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 데이터 교환서버 110 : 의료기관 시스템
120 : 디지털 치료제 서버 130 : 환자 단말기
210 : 인증모듈 220 : 식별코드 생성모듈
230 : 정보제공동의모듈 240 : 데이터 관리모듈
250 : DTx정보 관리모듈 260 : 상호교환모듈
310 : 처방정보수신단계 320 : 개인정보 비식별화단계
330 : 정보제공동의수집단계 340 : 처방데이터 사용단계
350 : 결과제공단계

Claims (10)

  1.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식별코드 생성모듈;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를 사용하여 처방 데이터의 조회, 저장 및 활성화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관리모듈;
    의료기관 시스템, 디지털 치료제 서버 및 환자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상기 처방 데이터의 교환을 수행하는 상호교환모듈;
    상기 환자 단말기에게 정보 제공 동의 여부를 수집하기 위한 채널을 제공하고, 해당 결과를 수신하는 정보제공동의모듈; 및
    디지털 치료제 서버로부터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이름, 코드, 제공업체 및 디지털 치료제 App설치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DTx정보 관리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는 환자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의료기관 식별자, 의료기관에서 발행한 처방 식별자, 특정 시점의 날짜 및 시간을 조합하여 생성되며, 유일성을 가지고, 의료기관에서 전송한 처방 데이터와 매핑되어 처방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로 사용되고,
    상기 정보제공동의모듈은 디지털 치료제 서버 및 환자 단말기로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환자의 정보 제공 동의 수집을 위한 웹 페이지 URL 및 처방 데이터와 매핑된 일회성 식별코드를 환자 단말기에게 전달하고,
    상기 상호교환모듈은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개인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식별코드 생성모듈을 통해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고; 수신한 처방 데이터와 생성한 일회성 식별코드가 매핑되면, 수신한 처방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치료제 App 설치정보 및 상기 처방 데이터에 매핑된 일회성 식별코드를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환자 단말기에 설치된 디지털 치료제App으로부터 일회성 식별코드가 포함된 처방 데이터 조회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한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처방 데이터를 전달하고; 디지털 치료제 App을 통해 디지털 치료제 서버로 전달된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 및 일회성 식별코드를 디지털 치료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 관리모듈을 통해 수신한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처방 데이터를 검색하여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를 저장하고;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동의모듈은 본인인증서비스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환자 단말기에게 본인 인증 기능을 제공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모듈은 상기 환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제공 동의를 획득한 후 상기 처방 데이터의 접근을 허용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관리모듈은 상기 정보 제공 동의 과정의 유효시간을 체크하여 동의 결과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처방 데이터의 사용을 요청하는 대상에 대한 인증 처리 또는 권한 관리를 수행하는 인증모듈을 더 구비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방법에 있어서,
    의료기관 시스템으로부터 처방 데이터를 수신하는 처방정보수신단계;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일회성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처방 데이터와 매핑하여 저장하는 개인정보 비식별화단계;
    디지털 치료제 서버 및 환자 단말기로 환자의 처방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환자의 정보 제공 동의 수집을 위한 웹 페이지 URL 및 처방 데이터와 매핑된 일회성 식별코드를 환자 단말기에게 전달하고 환자 단말기로부터 정보 제공 동의를 수집하는 정보제공동의수집단계;
    수집한 정보제공동의 여부에 따라 상기 처방 데이터에 대응하는 디지털 치료제 App 설치정보 및 상기 처방 데이터에 매핑된 일회성 식별코드를 환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환자 단말기에 설치된 디지털 치료제App으로부터 일회성 식별코드가 포함된 처방 데이터 조회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처방 데이터를 전달하고, 상기 디지털 치료제 App을 통해 디지털 치료제 서버로 전달된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 및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를 디지털 치료제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처방 데이터를 검색하여 상기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를 저장하는 처방데이터 사용단계; 및
    상기 의료기관 시스템의 요청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치료제 사용 결과를 제공하는 결과제공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일회성 식별코드는 환자 개인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의료기관 식별자, 의료기관에서 발행한 처방 식별자, 특정 시점의 날짜 및 시간을 조합하여 생성되며, 유일성을 가지고, 의료기관에서 전송한 처방 데이터와 매핑되어 처방 데이터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로 사용되고,
    상기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방법은,
    디지털 치료제 서버로부터 디지털 치료제에 대한 이름, 코드, 제공업체 및 디지털 치료제 App설치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동의수집단계는 상기 환자 단말기에게 본인 인증 채널을 제공하고, 본인 인증이 완료되면 정보 제공 동의 여부를 획득하여, 상기 처방 데이터를 활성화하는,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방법.
KR1020220118073A 2022-09-19 2022-09-19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KR102573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073A KR102573773B1 (ko) 2022-09-19 2022-09-19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073A KR102573773B1 (ko) 2022-09-19 2022-09-19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773B1 true KR102573773B1 (ko) 2023-09-04

Family

ID=88018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073A KR102573773B1 (ko) 2022-09-19 2022-09-19 개인정보 비식별 처리를 적용한 디지털 치료제 처방 데이터 교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773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756A (ko) * 2009-11-18 2011-05-25 지누스(주) 전자 처방전 인증 처리 시스템
KR101347124B1 (ko) * 2012-09-18 2014-01-03 주식회사 드림시큐리티 일회용 공개 정보 기반 전자 처방전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708774B1 (ko) * 2016-05-27 2017-03-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제3자 중심의 공개인증 기반 의료기록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5332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공인기관에 의한 의료기록 관리 및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6911A (ko)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 제3자의 의료정보 열람 시스템
KR20210035662A (ko) * 2019-09-24 2021-04-01 (주)미라벨소프트 약 처방전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6246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20220020625A (ko) * 2020-08-12 2022-02-21 김성국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6722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엑소시스템즈 근육 검사에 근거한 디지털 처방 관리 서버
KR102427390B1 (ko) * 2022-05-24 2022-08-01 주식회사 야나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756A (ko) * 2009-11-18 2011-05-25 지누스(주) 전자 처방전 인증 처리 시스템
KR101347124B1 (ko) * 2012-09-18 2014-01-03 주식회사 드림시큐리티 일회용 공개 정보 기반 전자 처방전 처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1708774B1 (ko) * 2016-05-27 2017-03-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제3자 중심의 공개인증 기반 의료기록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35332A (ko) * 2016-05-31 2017-12-0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공인기관에 의한 의료기록 관리 및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76911A (ko) * 2016-12-28 2018-07-06 (주)메디컬로직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 제3자의 의료정보 열람 시스템
KR20210035662A (ko) * 2019-09-24 2021-04-01 (주)미라벨소프트 약 처방전을 전자적으로 관리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86246A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에스알파테라퓨틱스 경도 인지 장애와 치매 치료를 위한 디지털 장치 및 애플리케이션
KR20220020625A (ko) * 2020-08-12 2022-02-21 김성국 지능형 전자 처방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66722A (ko) *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엑소시스템즈 근육 검사에 근거한 디지털 처방 관리 서버
KR102427390B1 (ko) * 2022-05-24 2022-08-01 주식회사 야나두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방법,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6776B2 (en) Unified identification protocol in training and health
TW510997B (en) Privacy and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a world-wide-web site
CA2432141C (en) Computer oriented record administration system
JP7005102B2 (ja) Bcn(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を使用したデータ利用方法、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101528785B1 (ko) 개인정보 소유자의 동의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정보 보호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026823A (zh) 用于处理匿名数据的计算机系统及其操作方法
US11343330B2 (en) Secure access to individual information
KR101708774B1 (ko) 제3자 중심의 공개인증 기반 의료기록 전송 시스템 및 방법
WO2009006609A1 (en) Records access and management
US10148658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KR20170135332A (ko) 공인기관에 의한 의료기록 관리 및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706765B1 (ko)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8124501A1 (ko) 응급상황에서 제3자에 대한 응급의료 정보제공 방법
KR20220124674A (ko) 블록체인과 피케이아이기술을 이용한 개인의료기록 공유방법
JP2014109826A (ja) 広域分散医療情報ネットワークの緊急時のためのデータ管理機構
KR20180076911A (ko) 일회용 비밀번호 기반 제3자의 의료정보 열람 시스템
JP5090425B2 (ja) 情報アクセス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024390A (ko) 환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JP2019185642A (ja) 電子処方せん管理方法、電子処方せん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iu et al. A reliable authentication scheme of personal health records in cloud computing
JP2001257668A (ja) 認証システム、携帯端末、認証方法及び記録媒体
KR20200134744A (ko) 환자에 대한 진료정보 액세스 방법 및 시스템
CN113722731A (zh) 一种医疗数据共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Symvoulidis et al. Facilitating health information exchange in medical emergencies
JP2000331101A (ja) 医療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