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914A -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Google Patents
곡물자동야적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09914A KR20020009914A KR1020000043563A KR20000043563A KR20020009914A KR 20020009914 A KR20020009914 A KR 20020009914A KR 1020000043563 A KR1020000043563 A KR 1020000043563A KR 20000043563 A KR20000043563 A KR 20000043563A KR 20020009914 A KR20020009914 A KR 200200099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in
- running rail
- rod
- cereals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4—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downwards
- B65G2814/031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downwards to a storage ro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4—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downwards
- B65G2814/0319—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downwards through a closable or non-closable outlet op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1—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4/0332—Bucke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에 하역되어오는 각종 곡물을 보관하치하는 야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만에 대형컨테이너선을 이용하여 각종 곡물류(옥수수, 밀, 쌀등)가 해상반입되면 일정한 장치에 의하여 거대한 원통형저장고에 임시로 하적되면, 그 저장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차량을 이용하여 광활한 장소에 별도로 적재하여 보관한다. 이 보관장소는 특별한 수단이 없이 야적후 천막을 덮어주는 정도에 불과하여 손실이 크고, 다량의 먼지발생과 파손으로 그 손실율은 막대하다.
본 발명은 버킷컨베이어가 설치된 차량을 이용하여 이송카트에 곡물을 자동이송하여 주면, 이송카트는 상측에 설치된 연속된 레일을 따라 이송하면서 목적한 장소에 도달하며 콘트롤장치에 의하여 카트하부를 개방하며 원하는 위치에 곡물을 하치토록 하였으며, 발생되는 이송카트를 이동하게 하는 레일은 조립식 지주부에 의하여 임의로 연장축소가능토록 하였다. 그리고 이송중 발생하는 먼지는 별도의 먼지흡입부에 의하여 흡입하여 처리토록 하며, 외부는 연속체결식의 커버장치로 밀봉처리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내부에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임의로 쌓으면서 균일한 적재가 불가능하던 것을 원하는 위치에 적재가능토록 하였고, 발생된 먼지는 흡입제거하므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민원도 근본적으로 제거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만에서 수십 내지 수백만톤씩 하역되어 오는 곡물을 대량으로야적할 수 있으면서 그 크기를 임의로 축소 확장가능한 곡물야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항만을 통하여 밀가루, 옥수수, 콩, 쌀등과 같은 알곡류를 적재한 거대한 컨테이너선이 입항하면 진공흡입과 자동컨베이어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곡물분배용 원형임시저장조에 하역된다. 이 임시저장조는 그 하부가 개방되어져 있어, 운반차량을 이곳에 대고 저장조하부를 임의로 개방하여 준다. 그러면 자중에 의하여 곡물이 낙하하므로 차량에 적재하여 보다 넓은 야적장소에 옮기도록 하고 있다. 이때에 야적장소를 사용하는 곳이 간단한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성한 다음 이곳에 곡물을 적재하며, 적재하는 방법은 화물차량이 야적장에 접근한 다음 화물칸을 승강시켜 적재된 곡물이 쏟아지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쏟아진 야적물의 양이 많아지면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밀어주거나 다져주고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야적시스템은 곡물이송에 적합치아니한 일반화물차량을 이용하므로 이송중에 상당량의 곡물이 유출되며, 야적하는 곡물의 상태도 균분야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별도의 중장비를 이용하여 한쪽에만 치우쳐 쌓인 곡물을 밀거나 퍼내서 균일하게 쌓도록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중장비의 사용과 곡물의 하역시 곡물간의 마찰로 다량의 미세먼지가 발생하며, 발생된 미세먼지는 인근의 주택가로 비산하여 민원이 끊이지 않는 것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발생된 먼지의 입자로 인하여 열이 발생하면서 화제의 위험도 항시 상존하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발명은 야적하고자 하는 곡물을 가능한한 골고루 균일하게 쌓을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야적과정도 별도의 자동시스템에 의하여 임의로 자동조절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야적에 동원되는 인원의 수도 최소화하면서 발생가능한 곡물미입자의 분산을 최대한 억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발생된 먼지류의 비산을 극소화하여 공해발생도 없도록 하고자하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중장비를 동원하는 경우 다량의 유지비가 소모되므로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던 것을 자동화하므로서 경제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야적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하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곡물이송공급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포장부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캐리어의 일부절개된 측단면도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부 11 : 상측체결부 12 : 하측보조기둥 14 : 베이스지지부 21 : 흡입공 25 : 흡입부 33: 횡지지멤버 31 : 레일보디 34: 스위치로드 35; 푸시풀로드 42 : 상개구부 43 : 하측도어부 75 : 구동력발생수단 76 : 동력전동수단 73 : 버킷엘리베이터 77 : 측압플레이트 78 : 구동휠 74 : 운전자
본 발명은 일반적인 화물차량에 의하여 곡물을 적재후 목적한 장소에 쏟아붇기식의 단순 하적을 벗어나서 목표한 지점에 정확히 곡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곡물하적장소에 별도의 포크레인과 같은 평탄화장비의 동원이 없이 균일적재가능하게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적재중에 발생하는 다량의 먼지를 흡입하여 별도의 장소에 수집하여 미세분진에 확산을 최소화하여 공해발생이 없도록 하는 동시에 먼지들의 비산으로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의 발생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곡물의 적재량에 맞추어 적재장소의 넓이를 임의로 확장축소가능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서 적재장소를 넓히거나 축소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그 축소와 확대설치가 조립식으로 연속설치가능하므로서 설치비와 유지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곡물의 적재시 내부를 가변성의 천막을 이용하여 외부를 밀폐하면서도 내부에 정확한 센서장비에 의하여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카트로 부터 곡물이 정확하게 하적되도록 외부에서 콘트롤 가능하게 하되, 외부에서 1인의 콘트롤러에 의하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화물차량을 이용하는 대신에 곡물이송장치가 설치된 캐리어를 제공하므로서 중장비이동에 따른 원가상승, 인력낭비등의 문제를 없애고 보다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곡물야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중 실제적인 캐리어를 이용하여 곡물을 적재하는 단계를 도1에서 측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적재부에대하여 외장부를 은선도시하면서 내부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실제 적재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며, 도 4 는 외장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 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등과 같은 건축자재에 혹은 합성수지등의 자재를 이용하여 지면을 평탄화한 베이스부(1)와
봉상구조로서 상부에는 상측체결부(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측보조기둥(12)이 설치되면서 하측보조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탄성지지구(13)가 베이스지지부(14)에 의하여 지지토록 설치된 주기둥부와,
상기한 주기둥부가 연속하여 병렬배치되면서 상측체결부(11)의 상면에 횡배열되면서 하부에 연속적으로 흡입공(21)이 천공되고, 그 측단에는 연통부(23)가 연통되도록 구성한 중공구조의 흡입부(25)와,
상기한 흡입부와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한 연속배치된 주기둥부와횡지지멤버(33)에 의하여 일체화되면서 내부에는 무한궤도식으로 진행하는 레일이 설치된 레일보디(31)가 지면과 곡물적재높이보다 높게 평행배치토록 하였으며, 그 내측에는 푸시풀로드(35)가 설치된 스위치로드(34)가 설치된 주행레일부와,
상기한 주행레일부의 레일보디내에 설치된 레일부에 의하여 주행레일부를 따라 연속하여 무한반복이동하되 상부는 상시개방된 상개구부(42)가 있고 하측에는 2개의 전면도어(43a)와 후면도어(43b)가 설치된 하측도어부(43)이 설치되어 주행레일부에 설치된 스위치로드(34)의 푸시풀로드에 의하여 하측도어부가 개방폐쇄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송카트부와,
전체적으로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방수재질의 막재질로서 중앙과 양측에 견인끈(52)(53))이 막전체에 횡배열되면서 일측단은 고정용접힘부(54)가 형성되면서 하측접힘부(54a)와 반대측단부에 체결공(55)(55a)이 연속형성되고, 정면측단부에는 횡바아(56)이 막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외장부와,
상기한 주기둥부의 수직지지를 위한 것으로서 견인와이어(61)이 상기한 흡입부의 상측면을 걸치도록 한다음 양단 혹은 일단에 텐숀조절구(62)가 설치되어 고정구(63)에 고정토록 한 텐숀조절식와이어(65)와 동일한 와이어로 구성하되 양단에 장력스프링(66)을 매개로 고정구(63)에 고정토록 구성한 텐숀와이어(67)로 구성된 견인지지부와,
상기한 장치들로 조립구성된 적재장소에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동력 혹은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작동하는 동력부를 내장한 구동장치부에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구조의 컨테이너(71)을 설치하되 일측에는 조종자(74)가 직접 탑승가능하도록 탑승부를 구성하여 조정핸들(72)를 파지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되 높이가 상기한 주행레일부에 견인이송하는 이송카트부의 상개구부(42)보다는 높게 구성한 버킷엘리베이터(73)와 같은 이송장치가 설치되어진 캐리어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주기둥부가 설치되는 베이스지지부(14)에는 하측보조기둥(12)의 내측중공부에 삽탈가능하도록 지지돌기(14a)를 설치하여 초기설치시 기둥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흡입부는 미도시한 흡입펌프가 연통부(23)의 말단에 설치되어져 곡물적재시 발생하는 다량의 먼지류를 이곳에서 흡입하도록 한다. 흡입부의 설치는 도 5에 도시하듯이 중앙에 한군데만 설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적재장소의 넓이 폭등에 따라서 설치숫자를 가감가능하다. 또한 적재될 곡물의 종류에 따라서 미립자 발생이 심한 경우에는 설치숫자를 증가시켜 주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주행레일부는 일반적인 노출된 레일의 경우 발생된 다량의 미립자에 의하여 오염이 심화되므로 하측만 개방하고 나머지는 레일보디(31)에 의하여 내장토록 하여 작동시 오염물에 의한 오손을 방지토록 한다. 주행레일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로드(34)는 마그네틱스위치 혹은 솔레노이드와 같은 임의 조절가능한 수단에 의하여 푸시풀로드가 연장축소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이송카트부에 설치된 로드(45)의 걸림단(46)에 연장시 걸리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송카트부에 설치되는 로드(45)는 걸림단(46)가 주행레일부의 안측으로 향하여 연장된 구조이며, 하측단의 크로스로드(47)은 이송카트의 하측도어부(43)에 있는 전면 혹은 후면도어의 일부를 항시 받치도록 구성하고있으나, 스위치로드의 푸시풀로드(35)가 연장되어 있으면 도 3에 부분확대도에 도시하듯이 진행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어의 받침상태를 해제하여 적재된 곡물이 자중에 의하여 낙하토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캐리어는 도 6에 도시하듯이 일반적인 내연기관이나 전동모터등과 같은 구동력발생수단(75)가 일측에 설치되고, 이 구동력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동력전동수단(76)에 의하여 상기한 버킷엘리베이터(73)과 측압플레이트(77) 그리고 구동휠(78)을 구동시키도록 하였으며, 이들의 속도와 방향은 일측에 설치된 운전자(74)용의 조정핸들(72)에 의하여 조정가능하도록 하였다. 측압플레이트(77)은 버킷엘리베이터를 향하여 적재된 곡물류를 화살표(A)의 방향대로 압박하여 주므로서 적재된 곡물이 버킷엘리베이터에 균일적재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버킷엘리베이터는 최상단에 유도슈트(79)를 안내부(80)에 의하여 이동하여 오는 이송카트의 상개구부(42)로 경사지도록 설치하여 주었다. 유도슈트는 최상단에 오른 버킷엘리베이터로 부터 자유낙하하는 곡물을 안내부(80)을 통하여 입수한 다음 이것을 이송카트에 정확히 유도보급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출구부(81)에 간헐개폐기를 설치하여 낙하곡물의 양을 임의로 조정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재시스템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주기둥부의 하측보조기둥(12)을세우기 전에 베이스(1)에 일정거리를 두고 원하는 숫자만큼의 베이스지지부(14)를 설치한다. 베이스지지부에는 적어도 4개방향에 탄성지지구(13)를 설치하여 준다. 그리고 이 탄성지지구의 중아에는 주기둥의 크기가 초기 지지가 필요할 정도로 큰 경우에는 보조돌기를 중앙에 설치하여 하측보조기둥을 세운다. 주기둥부의 설치숫자는 적재될 곡물의 양과 넓이에 따라 조정하여 주며, 적어도 2이상은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기둥이 세워지면 그 상단부에 흡입부의 저면이 고정토록 한다. 고정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 전형적인 용접법이나 리벳, 혹은 볼트너트체결등에 의하여 흡입부를 고정하여 준다. 주기둥부의 상측에 흡입부가 고정이 되면 일정한 거리를 두고 그 하측에 횡지지멤버(33)을 지면에 수평이 되도록 설치하여 준 다음 이곳에 일체로 체결된 주행레일부를 설치하여 준다. 주행레일부에는 원하는 거리만큼 간격을 두고 스위치로드(34)를 설치하여 푸시풀로드가 조정자가 원하는 대로 하향돌출수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주기둥의 고정은 견인지지부에 있는 견인와이어(61)에의하여 와이이고정부(15)에 일단이 고정된 다음 베이스(1)의 측단에 설치된 고정구(63)에 의하여 고정견인되면서 지지된다. 이같은 견인고정은 전후좌우 여러방향에서 설치되며, 좌우의 견인력의 조절은 텐숀조절구(62)에 의하여 장력을 조정하므로서 안정된 수직설치가 보장이 된다.
이상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4에 도시한 방수막을 설치하여준다. 외장막의 설치는 고정용접힘부(54)에 외장막(51)의 일측단에 형성된 체결공(55)가 체결되면서 고정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단에 연장된 견인끈(52)(53)에 의하여 강하게 견인되면서 막이 처짐이 없이 팽팽하게 견인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횡바아(56)에 의하여 막단부에 굴곡이 없이 평행한 고정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치가 된 것에 본 발명의 캐리어가 도1에 도시하듯이 접근하면 버킷엘리베이터에 의하여 적재된 곡물이 이송카트의 상개구부(42)에 이송된다. 이송은 이송카트가 계속 주행레일을 따라 연속 주행하므로 주행속도에 맞추어 곡물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부어주면 된다. 이송카트는 주행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다가 스위치로드(34)를 만나게 된다. 만일 이곳에 곡물을 저장하고자 하면 스위칭로드(34)의 푸시풀로드(35)가 돌출토록 조정하므로서 이송카트에 측면에 설치된 로드(45)의 걸림단(46)에 걸리게 되어 로드가 이송방향과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이 되면 크로스로드(47)가 하측도어부(43)의 지지력이 해제되게된다. 하측도어부에 대한 지지력이 해제되면 적재된 곡물의 자중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면서 곡물이 낙하하게 된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 곡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저장시스템의 크기를 주기둥부의 연장설치로 얼마든지 확장 또는 축소가 가능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확장축소에 별도의 토록공사와 같은 대형공사가 필요없이 현재의 평탄면에 주기둥을 견인와이어를 이용하여 견인하여 주면 조립식으로 설치가능하게 하여 새로운 설치와 해체에 기존의 토록공사식 야적시스템에 비하여 수분의 일 이하의 가격으로 설치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곡물적재중에 발생하는 각종 미립자상의 공해물질을 흡입수거하여 제거하여 주므로서 주변환경을 더럽히면서 각종 민원발생의 소인을 미리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곡물의 균일한 적재를 위하여 종래에 사용하던 고가의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어 현장유지비용의 획기적인 절감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 화물차량의 이용만이 가능하던 것을 컨베이어벨트식의 곡물이송캐리어을 이용하므로서 정확한 곡물이송은 물론이고 화물차량의 이동시 상당량의 곡물이 지면에 소실제거되던 손실을 기본적으로 막아주게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야적된 곡물을 항시 폐쇄된 막에 의하여 실내보관이 가능하므로 곡물의 부패와 손상을 막을 수 있으며, 내부에는 사람이 전혀 진입할 필요가 없이 외부에서 간단한 콘트롤장치로 모든 조정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위생성을 확보함은 물론 단위시간당 처리능력이 수십배로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 방수성과 내충격성을 갖는 자재를 이용하여 지면을 평탄화한 베이스부(1)와봉상구조로서 상부에는 상측체결부(11)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측보조기둥(12)이 설치되면서 하측보조기둥의 외주면을 따라 탄성지지구(13)가 베이스지지부(14)에 의하여 지지토록 설치된 주기둥부와,상기한 주기둥부가 연속하여 병렬배치되면서 상측체결부(11)의 상면에 횡배열되면서 하부에 연속적으로 흡입공(21)이 천공되고, 그 측단에는 연통부(23)가 연통설치된 중공구조의 흡입부(25)와,상기한 흡입부와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한 연속배치된 주기둥부와 횡지지멤버(33)에 의하여 일체화되면서 내부에는 무한궤도식으로 진행하는 레일이 설치된 레일보디(31)가 지면과 곡물적재높이보다 높게 평행배치토록 하였으며, 그 내측에는 푸시풀로드(35)가 설치된 스위치로드(34)가 설치된 주행레일부와,상기한 주행레일부의 레일보디내에 설치된 레일부에 의하여 주행레일부를 따라 연속하여 무한반복이동하되 상부는 상시개방된 상개구부(42)가 있고 하측에는 2개의 전면도어(43a)와 후면도어(43b)가 설치된 하측도어부(43)이 설치되어 주행레일부에 설치된 스위치로드(34)의 푸시풀로드에 의하여 하측도어부가 개방폐쇄가능하도록 구성된 이송카트부와,전체적으로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방수재질의 막재질로서 중앙과 양측에 중앙견인끈(52)(53))이 막전체에 횡배열되면서 일측단은 고정용접힘부(54)가 형성되면서 하측접힘부(54a)와 반대측단부에 체결공(55)(55a)이 연속형성되고, 정면측단부에는 횡바아(56)가 막단부에 일체로 고정된 외장부와,상기한 주기둥부의 수직지지를 위한 것으로서 견인와이어(61)이 상기한 흡입부의 상측면을 걸치도록 한다음 양단 혹은 일단에 텐숀조절구(62)가 설치되어 고정구(63)에 고정토록 한 텐숀조절식와이어(65)와 동일한 와이어로 구성하되 양단에 장력스프링(66)을 매개로 고정구(63)에 고정토록 구성한 텐숀와이어(67)로 구성된 견인지지부와,상기한 장치들로 조립구성된 적재장소에 곡물을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체동력 혹은 공급된 전원에 의하여 작동하는 동력부를 내장한 구동장치부에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구조의 컨테이너(71)을 설치하되 일측에는 조종사(72)가 탑승가능하도록 탑승부를 구성하여 조정핸들(72)를 파지하도록 하고, 타측에는 무한궤도식으로 회전하되 높이가 상기한 주행레일부에 견인이송하는 이송카트부의 상개구부(42)보다는 높게 구성한 버킷엘리베이터(73)이 설치되어진 캐리어부로 구성된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주기둥부가 설치되는 베이스지지부(14)에는 하측보조기둥(12)의 내측중공부에 삽탈가능하도록 지지돌기(14a)를 설치하여 초기설치시 기둥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흡입부는 흡입펌프가 연통부(23)의 말단에 설치되어지며, 곡물야적장소의 넓이 폭등에 따라서 설치숫자를 가감가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주행레일부는 하측만 개방하고 나머지는 레일보디(31)에 의하여 내장토록 하였으며,주행레일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로드(34)는 임의 조절가능한 수단에 의하여 푸시풀로드가 연장축소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송카트부에 설치된 로드(45)의 걸림단(46)에 연장시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이송카트부에 설치되는 로드(45)는 걸림단(46)가 주행레일부의 안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면서 리턴스프링(46a)에 의하여 항상 주행레일부에 수직교차토록 설치된 구조이며, 하측단의 크로스로드(47)은 이송카트의 하측도어부(43)에 있는 전면 혹은 후면도어의 일부를 항시 받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곡물자동야적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캐리어는 구동력발생수단(75)을 일측에 설치하고, 이 구동력발생수단에 의하여 발생된 동력을 동력전동수단(76)에 의하여 일측에 설치된 무한궤도식의 버킷엘리베이터(73)와 측압플레이트(77) 그리고 구동휠(78)을 구동시키도록 하였으며,상기한 버킷엘리베이터, 측압플레이트 그리고 구동휠의 속도와 일측에 설치된 운전자(74)용의 조정핸들(72)에 의하여 조정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자동야적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3563A KR20020009914A (ko) | 2000-07-28 | 2000-07-28 |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3563A KR20020009914A (ko) | 2000-07-28 | 2000-07-28 |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09914A true KR20020009914A (ko) | 2002-02-02 |
Family
ID=19680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3563A KR20020009914A (ko) | 2000-07-28 | 2000-07-28 |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0991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4926B1 (ko) | 2019-09-04 | 2021-02-09 | 김종범 | 곡물가루 하역 장치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47074A (ko) * | 1974-05-17 | 1975-11-26 | ||
JPS55101533A (en) * | 1979-01-30 | 1980-08-02 | Mitsui Miike Mach Co Ltd | Incoming and outgoing method and device of bulk goods |
JPS56155125A (en) * | 1980-04-30 | 1981-12-01 | Konoike Constr Ltd | Storage with cylindrical column at its center |
JPS59217531A (ja) * | 1983-05-24 | 1984-12-07 | Ohbayashigumi Ltd | 貯鉱ヤ−ド |
JPH07187407A (ja) * | 1993-12-28 | 1995-07-25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野積バラ物等のシート掛け装置 |
JPH07285675A (ja) * | 1994-04-19 | 1995-10-31 | Ishikawajima Materials Handling Equip Co Ltd | コンベア装置 |
-
2000
- 2000-07-28 KR KR1020000043563A patent/KR20020009914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147074A (ko) * | 1974-05-17 | 1975-11-26 | ||
JPS55101533A (en) * | 1979-01-30 | 1980-08-02 | Mitsui Miike Mach Co Ltd | Incoming and outgoing method and device of bulk goods |
JPS56155125A (en) * | 1980-04-30 | 1981-12-01 | Konoike Constr Ltd | Storage with cylindrical column at its center |
JPS59217531A (ja) * | 1983-05-24 | 1984-12-07 | Ohbayashigumi Ltd | 貯鉱ヤ−ド |
JPH07187407A (ja) * | 1993-12-28 | 1995-07-25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野積バラ物等のシート掛け装置 |
JPH07285675A (ja) * | 1994-04-19 | 1995-10-31 | Ishikawajima Materials Handling Equip Co Ltd | コンベア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4926B1 (ko) | 2019-09-04 | 2021-02-09 | 김종범 | 곡물가루 하역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25316B2 (en) | 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to be placed in landfill | |
US10688542B2 (en) | Portabl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waste to be placed in landfill | |
KR20040014559A (ko) | 벌크상 재료의 컨테이너화된 취급 및 그것을 위한 장치 | |
US5236261A (en) | Conditioned ash surge bin | |
CN110653945A (zh) | 一种紧凑型模块化混凝土搅拌设备 | |
US20070295581A1 (en) |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 |
EP0375667A2 (de) | Förderanlage aus Sektionen | |
US3640411A (en) | Refuse disposal transfer station | |
US20070297883A1 (en) | Bulk material unloading system and method | |
KR20020009914A (ko) | 곡물자동야적시스템 | |
CN214933418U (zh) | 一种自卸料的混合料提升装置 | |
EP2739787B1 (en) | Container, railway truck using such a container and process for loading or unloading aggregates from railway transport truck | |
CN214440755U (zh) | 一种高效环保履带式移动电动重型筛分站 | |
CN203944624U (zh) | 一种移动式疏通机 | |
US8821100B1 (en) | Portable railcar unloading p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
CN202687246U (zh) | 一种地埋式垃圾中转站系统 | |
DE102009019135A1 (de) | Fördersystem zum Transportieren von Gepäck oder dergl. Stückgut, insbesondere von Fluggepäck | |
WO2007143213A2 (en) | Transport discharge material flow regulation device and method | |
CN208700120U (zh) | 自锁功能可移动皮带机及装车系统 | |
CN211281311U (zh) | 一种出料方便的物料搬运车 | |
RU208374U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грузки вагонов | |
CN111302836B (zh) | 一种畜禽固废处理系统 | |
JP3191075B2 (ja) | 斜面用懸架型運搬装置 | |
KR200205240Y1 (ko) | 음식물쓰레기 수거차량의 이송대차구조 | |
JP3185123B2 (ja) | 斜面用の揚重運搬設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