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9396A -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9396A
KR20020009396A KR1020010022090A KR20010022090A KR20020009396A KR 20020009396 A KR20020009396 A KR 20020009396A KR 1020010022090 A KR1020010022090 A KR 1020010022090A KR 20010022090 A KR20010022090 A KR 20010022090A KR 20020009396 A KR20020009396 A KR 2002000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hift
deceleration
state
gear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1451B1 (ko
Inventor
도시오 오오쓰카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0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1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4Smoothing ratio shi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6Inhibiting or initiating shift during unfavourable conditions, e.g. preventing forward reverse shift at high vehicle speed, preventing engine over speed
    • F16H2061/163Holding the gear for delaying gear shifts under unfavorable conditions, e.g. during corn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4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machine speed of the machine, e.g.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48Inputs being a function of ac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 interruption of dr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51Control mechanism
    • Y10T74/19256Automatic
    • Y10T74/1926Speed respon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급제동시에 발생하는 고속단으로부터의 연속 다운시프트를 억제해서 다운시프트에 따른 급속쇼크나 기어울림현상의 발생을 방지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를 얻는다.
유단변속기(3)의 기어단(23~28)을 전환하는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와 브레이크스위치(17)와 액셀개도 α를 검출하는 액셀포지션센서(13)와 차속 Vr를 검출하는 출력회전속도센서(8)와 각종센서 신호에 따른 변속판정에 따라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기어제어수단(4)을 구비하고, 브레이크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 차속으로부터 산출되는 감속도가 소정감속도 이하인 경우에 기어단을 중립위치로 이동해서 변속 판정을 보류한다.

Description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SYNCHROMESH TYPE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동기맞물림식의 유단변속기의 기어단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에 관해 특히 급제동시에 고속단으로 부터의 연속다운시프트를 억제함으로서 빈번한 다운시프트에 따른 변속 쇼크나 기어의 소리현상의 발생을 방지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에 관한것이다.
종래로부터, 차량엔진의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3-270252호 공보에 참조되는 것이 있고, 전자클러치의 오프, 온 조작에 의해 엔진의 구동력을 톱니바퀴식 자동변속기에 입력하고 있다.
또, 상기 공보에 기재한 종래 장치에서 변속시의 기어단의 전환동작은 셀렉트용 3위치유압실린더 및 시프트용 3위치유압실린더를 구동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한쌍의 유압전자밸브의 동작 조합에 의해 셀랙트용 3위치유압실린더를 구동해서 변속기어의 선택을 하는 동시에 한쌍의 유압전자밸브의 동작조합에 의해 시프트용 3위치유압실린더를 구동한다.
또, 이러한 변속시의 기어단의 전환제어에서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미리 설정된 변속기시프트패턴을 참조함으로써, 차량 주행상태에 적합한 변속단이 결정된다.
그러나 예를들어 4속이나 5속등의 고속단기어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급제동 상태가 된 경우, 다운시프트패턴선을 가로지르는 시간 간격이 짧아지므로, 빈번하게 다운시프트가 발생하고, 심한경우에는 앞의 다운시프트가 완료되기 전에 다음의 다운시프트가 발생해 버리는 일이 생긴다.
또, 상기 급제동 상태는 다운시프트중에도 계속하고 있으므로 싱크로중의 회전동기가 통상의 다운시프트시에 비해 빨리 성립하고 이때문에 불쾌한 기어소리 현상등이 발생 될 염려가 있다.
종래의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는 이상과 같이, 고속단기어로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급제동 상태가 된 경우에, 빈번하게 다운시프트가 발생해서 승차감을 현저하게 손상시키는 동시에 기어소리현상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것으로, 급제동시에 발생하는 고속단으로부터의 연속다운시프트를 억제함으로써 시프트에 따른 변속쇼크나 기어소리 현상의 발생을 방치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는 동기맞물림식의 유단변속기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와, 브레이크페달을 밟고있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스위치와 액셀페달의 밟는량을 액셀개도로서 검출하기위한 액셀포지션센서와, 유단변속기의 아웃풋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차속으로서 검출하기위한 출력회전속도센서와 각종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변속판정을 하는 동시에 변속판정에 따라 시프트셀랙트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기어제어 수단을구비하고 유단변속기의 다수의 기어단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에서 기어단제어수단은 차속에서 가속도 및 감속도를 계산하는 가감속도 연산수단과 감속도를 소정감속도와 비교하는 감속도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브레이크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 감속도가 소정감속도 이하라고 판정 되었을때에 기어단을 중립위치에 이동하는 동시에 그후의 변속판정을 보류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는 청구항 1에서 기어단제어수단은 브레이크스위치의 오프상태 또는 차속이 0인 상태가 성립했을때에 변속판정의 보류상태를 해제해서 액셀개도 및 차속에 의한 시프트패턴에서 구해지는 변속단에 기어단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는, 청구항 1에서 기어단제어수단은 브레이크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 감속도가 소정감속도 이하라고 판정 되었을 때에 급제동성립플래그를 셋하는 동시에, 급제동성립플래그의 전번주기 및 이번주기에서의 각 값을 참조해서 급제동성립플래그가 클리어상태에서 셋상태로 변화했을때는, 기어단을 중립위치로 이동시켜서 보존하기 위한 기어중립제어플래그를 셋하고, 급제동성립플래그가 셋상태에서 클리어상태로 변화했을때는 기어단을 중립위치에서 통상제어로 복귀 시키기 위한 복귀플래그를 셋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내의 시프트, 셀렉트액추에이터와 시프트셀렉트포지션센서와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내의 시프트포지션센서에 의한 시프트위치와 검출전압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
도 4는 도 2내의 셀렉트포지션센서에 의한 시프트위치와 검출전압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급제동시의 변속보류판정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급제동 성립시의 변속판정보류용의 처리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급제동시 성립시에서의 기어전환 처리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2 : 전자클러치,
3 : 유단변속기(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 4 : 컨트롤유닛,
5 :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 6 : 시프트셀렉트포지션센서,
7 : 입력회전속도센서, 8 : 출력회전속도센서,
13 : 액셀포지션센서, 14 : 시프트레버,
15 : 엔진회전속도센서, 16 : 후퇴기어스위치,
17 : 브레이크스위치, 21 : 크랭크축,
22 : 인풋샤프트, 23 : 4속기어,
24 : 3속기어, 25 : 2속기어,
26 : 1속기어, 27 : 5속기어,
28 : 후퇴기어, 29 : 5속기어,
30 : 아웃풋샤프트, 31 : 카운터샤프트,
51 : 시프트모터, 53 : 셀렉트모터,
61 : 시프트포지션센서, 62 : 셀렉트포지션센서,
Ne : 엔진회전속도, Ni : 입력회수속도,
Vr : 차속, VX : 셀렉트위치,
VY : 시프트위치, α : 액셀개도,
Q : 스로틀개도, S100 : 차속을 판정하는 스텝,
S101 : 브레이크스위치를 판정하는 스텝,
S102 : 감속도를 판정하는 스텝,
S103 : 급제동성립플래그를 셋하는 스텝,
S104 : 급제동성립플래그를 클리어하는 스텝,
S201 : 변속판정처리를 실행하는 스텝,
S300,S301 : 급제동성립플래그의 셋변화를 판정하는 스텝,
S302 : 중립제어플래그를 셋하는 스텝,
S303 : 기어전환제어를 실행하는 스텝,
S300,S303 : 급제동성립플래그의 클리어변화를 판정하는 스텝,
S305 : 기어투입제어의 복귀플래그를 셋하는 스텝.
실시의 형태 1.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블록구성도 이다.
도 1에서 엔진(1)의 크랭크축(21)에는 전자클러치(2)를 통해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를 구성하는 유단변속기(3)가 연결되어있다.
컨트럴유닛(4)은 각종연산기능을 갖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고 엔진(1)의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각종센서 정보에 따라 엔진(1), 전자클러치(2) 및 유단변속기 (3)를 제어한다.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는 컨트럴유닛(4)의 제어하에서 동기맞물림식의 유단변속기(3)를 구동한다.
시프트셀렉트포지션센서(6)는 유단변속기(3)의 실제의 시프트셀렉트위치 VY, VX를 검출해서 컨트럴유닛(4)에 입력한다.
유단변속기(3)의 인풋샤프트(22)에는 프라이머리기어로서 기능하는 4속기어 (23)가 직결 되어있다. 4속기어(23)의 후단에는 3속기어(24), 2속기어(25), 1속기어(26), 5속기어(27)및 후퇴기어(28)가 순차배열 되어있다.
각 기어(23~28)사이에는 3개의 슬리브기어(29)가 배치 되어있다. 각 슬리브기어(29)는 유단변속기(3)의 아웃풋샤프트(30)에 직결되는 동시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각 기어(23~28)는 아웃풋샤프트(30)에 병설된 카운터샤프트(31)에 직결된 기어와 세트를 구성하고 있고, 카운터샤프트(31)상의 기어와 항상 맞물려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아웃풋샤프트(30)는 슬리브기어(29)를 통해서 각 기어 (23~28)의 어느것인가에 직결됨으로써 인풋샤프트(22)에 직결되게 되어있다.
이 경우 유단변속기(3)는 카운터샤프트형의 5단기어 변속기이고, 기어 비가 다른 5조의 전진용기어세트와, 기어맞물림 상태전환용의 3개의 슬리브기어를 구비하고 있다.
인풋샤프트(22)상의 4속기어(23)에는 유단변속기(3)의 입력회전속도 Ni을 검출하기 위한 입력회전속도센서(7)가 설치되어있다. 아웃풋샤프트(30)에는 유단변속기(3)의 출력회전속도를 차속 Vr로 해서 검출하기 위한 출력회전속도센서(8)가 설치되어있다.
엔진(1)의 흡기관(9)에는 스로틀액추에이터(11)에 의해 구동되는 스로틀밸브 (10)가 설치되어있다. 스로틀포지션센서(12)는 스로틀밸브(10)의 개도 Q를 검출한다.
액셀포지션센서(13)는 운전자에 의한 액셀페달(도시않음)의 밟는량에 비례한 신호를, 액셀개도 α로서 컨트럴유닛(4)에 입력한다.
컨트럴유닛(4)은 액셀포지션센서(13)의 출력신호를 처리해서 액셀개도 α에 따른 목표스로틀개도 QO를 연산하고 스로틀개도 Q를 피드백제어 하면서 Q-QO가 되도록 스로틀액추에이터(11)를 통해서 스로틀밸브(10)를 구동한다.
시프트래버(14)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된 시프트위치(예를 들면 P, R, N, D)를 컨트롤유닛(4)에 입력한다. 엔진회전속도센서(15)는 엔진(1)의 회전속도 Ne를 검출해서 컨트롤유닛(4)에 입력한다.
유단변속기(3)내의 후퇴기어(28)에는 후퇴기어스위치(16)가 설치되어 있고 후퇴기어의 동작상태가 검출되어있다. 브레이크스위치(17)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도시않음)을 밟는중의 브레이크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컨트롤유닛(4)에 입력한다.
컨트롤유닛(4)는 각종센서신호에 따라 변속판정을 하는 동시에 변속판정에 따라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를 제어하는 기어단 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유단변속기(3)의 다수의 기어단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도록 되어있다.
컨트롤유닛(4)은 기어단 제어수단은 차속에서 가속도 및 감속도를 계산하는 가감속도 연산수단과 감속도를 소정감속도와 비교하는 감속도판정수단을 포함하고, 브레이크스위치(17)가 온 상태이고, 또 감속도가 소정감속도이하라고 판정되었을때에 유단변속기(3)의 기어단을 중립(뉴트럴)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그후의 변속판정을 보류한다.
또, 기어단제어수단은 브레이크스위치(17)의 오프상태 또는 차속이 0의 상태가 성립했을때에 변속판정의 보류상태를 해제해서 통상기능을 복귀시켜 액셀개도 α및 차속 Vr에 의한 시프트패턴(시프트선도)에서 구해지는 변속단에 기어단을 설정한다.
또, 기어단제어수단은 브레이크스위치(17)가 온 상태이고, 또 감속도가 소정감속도이하라고 판정되었을때에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를 세트하는 동시에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의 전회주기 및 금번주기에서의 각 값을 참조하고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 「0」→「1」에 변화하였을때는 기어중립제어플래그 FLC를 세트하고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 「1」→「0」으로 변화했을때는 복귀플래그 FLR을 세트한다.
도 2는 도 1내의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와 시프트셀렉트포지션센서(6)와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표시하는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서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는 시프트모터(51)및 셀렉트모터(52)와 시프트모터(51)의 출력축에 설치된 감속기(53)와 셀렉트모터(52)의 출력축에 설치된 감속기(5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프트셀렉트포지션센서(6)는 시프트모터(51)및 감속기(53)에 관련한 시프트포지션센서(61)와 셀렉트모터(52)및 감속기(54)에 관련한 셀렉트포지션센서(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시프트포지션센서(61)및 셀렉트포지션센서(62)는 도 2내의 뉴트럴의 기어 위치를 중심으로해서, 각각 화살표방향의 위치를 검출한다.
도 3은 도 2내의 포지션센서(61)에 의한 시프트위치와 검출신호 VY(전압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3에서는 1속, 3속, 5속시의 시프트위치에 대응한 전압학습치 VYα와 뉴트럴시의 시프트위치에 대응한 전압학습치는 VYB와, 2속, 4속, 후퇴시의 시프트위치에 대응한 전압학습치 VYC가 표시되어있다.
도 4는 도 2의 셀렉트포지션센서(62)에 의한 시프트위치와 검출신호 VX(전압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특성도이다.
도 4에서는 1속, 2속시의 셀렉트위치에 대응한 전압학습치 VXα와 3속, 4속시(뉴트럴시를 포함)의 셀렉트위치에 대응한 전압학습치 VXB와 5속 후퇴시의 셀렉트위치에 대응한 전압학습치 VXC가 표시되어있다.
다음 도 1및 도 2에 표시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일반적인 변속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클러치(2)는 컨트롤유닛(4)의 제어하에 클러치전달토크에 비례한 클러치 여자전류에의해 구동되고, 엔진(1)의 크랭크축(21)에서 유단변속기(3)의 인풋샤프트(22)에의 동력의 전달 및 차단을 한다.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는 컨트롤유닛(4)의 제어하에서 슬리브기어(29)의 연결상태를 선택하고 유단변속기(3)의 기어전환을 한다. 유단변속기(3)에의 회전입력은 우선 인풋샤프트(22)상의 4속기어(23), (프라이머리기어)를 통해서 카운터샤프트(31)에 전달된다.
슬리브기어(29)는 아웃풋샤프트(30)상에 배치된 기어(24~28)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가에 의해 전달경로 및 변속비(4속기어(23)의 기어비 ×각속기어의 기어비)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4속에서는 슬리브기어(29)가 4속기어(23)에 연결됨으로서 인풋샤프트(22)와 아웃풋샤프트(30)가 직결상태가 된다.
또, 변속시에는 우선 슬리브기어(29)의 샤프트제어에 의해 현 변속단의 기어끼리의 기계적맞물림상태를 풀어주는 개방동작이 실시하고, 계속해 차기 변속단의 기어끼리를 기계적으로 맞물리는 연결 동작이 실시된다.
후퇴기어(28)가 맞물린 상태는 후퇴기어 스위치(16)에 의해 검출된다.
컨트롤유닛(4)은 시프트레버(14)의 조작위치에 따른 스위치(시프트위치)신호와 액셀포지션센서(13)로 부터의 액셀개도 α와, 엔진회전속도센서(15)로부터의 엔진회전속도 Ne와, 출력회전속도센서(8)로 부터의 차속 Vr과 브레이크스위치(17)에서의 브레이크 조작위치에 따른 스위치 신호를 취입한다.
컨트럴유닛(4)내의 기어단제어수단은 시프트·셀렉트포지션센서(6)로부터의 시프트·셀렉트위치 VY, VX를 검출하면서 변속기 시프트패턴(도시않음)에 따라 차량 주행상태에 적합한 변속단을 결정하고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에 대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유단변속기(3)는 상기 개방동작 및 연결동작에 의해 변속조작된다. 변속시에서의 슬리브기어(29)의 동기상태는 입력회전속도 Ni와 차속 Vr의 상호관계에 의해 검출된다.
또 변속시에, 컨트롤유닛(4)은 스로틀액추에이터(11)에 의해 스로틀밸브(10)를 소정개도로 조이고 전자클러치(2)의 여자전류를 오프로 해서 유단변속기(3)를 파워오프상태로 해서 변속단의 절환을 한다.
컨트롤유닛(4)은 샤프트제어에서 시프트포지션센서(61) 도 2참조로부터의 시프트위치 VY를 피드백제어하면서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내의 시프트모터(51)에 의해 감속지(53α)를 통해서 시프트구동을 한다.
마찬가지로 컨트롤유닛(4)은 셀렉트제어에서는 셀렉트포지션센서(62)로부터의 셀렉트위치 VX를 피드백제어하면서,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5)내의 셀렉트모터 (52)에 의해 감속기(54)를 통해서 셀렉트 구동을 한다.
다음 도 5 ~ 도 7을 참조하면서 도 1 및 도 2에 표시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급제동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급제동시에서의 변속보류판정(급제동성립 플래그설정)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5에서 우선 컨트롤유닛(4)은 차속 Vr가 0[Km/h]인지 아닌지 판정하고, (스텝S100), Vr=0(즉, YES)라고 판정되면 급제동성립 플래그 FLAG를 클리어해서(스텝 S104), 도 5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00에서 Vr>0(즉, NO)라고 판정되면 계속해서 브레이크스위치 (17)가 온 상태를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1).
스텝 S101에서 브레이크스위치(17)가 오프 상태라고(즉, NO) 판정되면, 스텝 S104로 진행하고 브레이크스위치(17)가 온 상태이다(즉, YES)라고 판정되면 계속해 그때의 감속도가 소정감속도o(<0)이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 S102).
또, 소정감속도 Bo는 변속제어대상이 되는 차량이 연속다운시프트상태가 될 수 있는 감속도의 허용하한치이고 엔진(1)의 출력특성및 유단변속기(3)내의 기어단수등의 차량사양에 따라 설정된다.
스텝 S102에서>o (즉, NO)라고 판정되면, 즉시 도 2의 처리루틴을 종료하고 o (즉, YES)라고 판정되면,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를 세트해서(스텝 S103), 도 2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도 6은 급제동성립시에 변속판정보류용처리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에서 우선 컨트롤유닛(4)은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0). 스텝 S200에서 FLAG=0 (즉, NO)라고 판정되면 통상의 변속판정처리용의 서브루틴(스텝 S200)으로 진행하고, FLAG=1 (즉, YES)라고 판정되면, 그대로 도 6의 처리루틴을 종료한다.
도 7은 급제동 성립시의 기어전환(중립)제어용의 처리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7에서 우선 컨트롤유닛(4)은 전회 주기에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n-1)가 세트되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0).
스텝 S300에서 FLAG(n-1)=1 (즉, YES)라고 판정되면 계속해 금번 주기에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n)가 세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4).
즉, 스텝 S304에서는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 세트(=1)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스텝 S304에서 FLAG(n)=0 (즉, NO)라고 판정되면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 「1」→「0」으로 변화해있으므로 중립에서 기어를 제어의 복귀플래그 FLR을 세트해서(스텝 S305),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또, 스텝 S304에서 FLAG(n)=1 (즉, YES)라고 판정되면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 「1」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즉시 스텝 S303으로 진행하고 기어변경제어를 실행한다.
한편, 스텝 S300에서 FLAG(n-1)=0 (즉, NO)라고 판정되면 계속해 금번주기의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n)가 세트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1).
스텝 S301에서 FLAG(n)=1 (즉, YES)라고 판정되면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0」→「1」으로 변화해 있으므로, 기어중립제어플래그 FLN을 세트하고 스텝 S302 ,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또, 스텝 S301 에서 FLAG(n)=0 (즉, NO)라고 판정되면, 급제동성립플래그 FLAG가 「0」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즉시 스텝 S303으로 진행하고 기어교환제어를 실행한다.
기어교환제어(스텝 S303)에서 컨트롤유닛(4)은 FLN=1에 응답해서 기어단을 중립(뉴트럴)위치로 이동해서 보존한 후, 기어중립제어플래그 FLN를 클리어한다.
또, 기어교환제어(스텝 S303)에서 컨트롤유닛(4)은 FLR=1에 응답해서, 기어단의 중립보존 상태를 해제해서, 기어투입제어 상태로 복귀시킨후 복귀플래그FLR을 클리어한다.
이와같이 브레이크스위치(17)가 온 상태이고, 또 차속 Vr의 감속도가 소정감속도o이하를 표시 할때에 기어를 중립(뉴트럴)위치로 이동해서 변속판정을 보류하도록 함으로써 급제동시의 빈번한 다운시프트이 발생을 회피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급제동시의 변속쇼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유단변속기(3)내에서의 빠른 동기성립에 기인하는 기어소리의 발생을 방지해서 승차감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 브레이크스위치(17)가 오프상태, 또는 차속 Vr가 0을 표시하는 경우에 변속판정의 보류상태를 해제해서 통상의 변속제어기구를 복귀시켜 액셀개도 α 및 차속 Vr에 의한 시프트패턴(시프트선도)에서 구해지는 변속단으로 변속하도록 하였으므로, 변속제어조건의 복귀시에 적정한 기어단에 의해 신속하게 가속운전을 할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맞물림식의 유단변속기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스위치와 액셀페달의 밟는량을 액셀개도로 검출하기 위한 액셀포지션센서와 유단변속기의 아웃풋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차속으로해서 검출하기 위한 출력회전속도센서와, 각종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변속판정을 하는 동시에 변속판정에 따라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기어단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유단변속기의 다수의 기어단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에서 기어단 제어수단은, 차속에서 가속도 및 감속도를 계산하는 가감속도연산수단과 감속도를 소정감속도와 비교하는 감속도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브레이크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 감속도가 소정감속도 이하라고 판정되었을때에, 기어단을 중립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그 후의 변속판정을 보류하고 급제동시에 발생하는 고속단으로부터의 연속다운시프트를 억제 하도록 하였으므로, 다운시프트에 따른 변속 쇼크나 기어소리의 발생을 방지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청구항 1에서 기어단제어수단은, 브레이크스위치의 오프 상태 또는 차속이 0의 상태가 성립되었을때 변속판정의 보류상태를 해제해서 액셀개도 및 차속에 의한 시프트패턴에서 구해지는 변속단을 설정하도록하였으므로, 급제동 상태에서 빠져 나온 시점에서 신속하게 액셀개도에 따른 자동변속제어로 복귀가능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청구항 1에서 기어단제어수단은 브레이크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 감속도가 소정감속도 이하라고 판정되었을때에 급제동성립플래그의 전번 주기 및 금번 주기에서의 각 값을 참조하고 급제동성립플래그가 클리어상태에서 세트상태로 변화 했을때에는 기어단을 중립위치로 이동시켜서 보존하기 위한 기어중립제어플래그를 세트하고 급제동성립플래그가 세트상태에서 클리어상태로 변화했을때에는 기어단을 중립위치에서 통상제어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플래그를 세트 하도록 하였으므로 급제동 성립시에 신속하게 다운시프트 억제를 하는 동시에 급제동 상태에서 빠져나온 시점에서 신속하게 통상의 자동 변속제어로 복귀가능한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동기맞물림식의 유단변속기를 구동하기 위한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와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는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브레이크스위치와 액셀페달의 밟는량을 액셀개도로서 검출하기 위한 액셀포지션센서와 상기 유단변속기의 아웃풋샤프트의 회전속도를 차속으로서 검출하기 위한 출력회전속도센서와 상기 각종 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변속판정을 하는 동시에 상기 변속 판정에 따라 상기 시프트셀렉트액추에이터를 제어하는 기어단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단변속기의 다수의 기어단을 자동적으로 전환하는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에서 상기 기어단제어수단은 상기 차속에서 가속도 및 감속도를 계산하는 가감속도 연산수단과 상기 감속도를 소정 감속도와 비교하는 감속도 판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 상기 감속도가 상기 소정감속도 이하라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기어단을 중립위치로 이동하는 동시에 그 후의 변속판정을 보류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단제어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스위치의 오프상태 또는 상기 차속이 0의 상태가 성립했을때에 상기 변속판정의 보류상태를 해제해서 상기 액셀개도 및 상기 차속에 의한 샤프트패턴에서 구해지는 변속단에 상기 기어단을 설정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단제어 수단은, 상기 브레이크스위치가 온 상태이고, 또 상기 감속도가 상기 소정감속도 이하라고 판정되었을때에 급제동성립플래그를 세트하는 동시에, 상기 급제동성립플래그의 전번주기 및 금번 주기에서의 각 값을 참조하고, 상기 급제동성립플래그가 클리어상태로부터 세트상태로 변화했을때에는 상기 기어단을 중립위치로 이동시켜서 보존하기 위한 기어 중립제어 플래그를 세트하고, 상기 급제동성립플래그가 세트상태에서 클리어상태로 변화했을때는 상기 기어단을 중립위치에서 통상제어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플래그를 세트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KR10-2001-0022090A 2000-07-25 2001-04-24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KR100411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3542 2000-07-25
JP2000223542A JP2002039347A (ja) 2000-07-25 2000-07-25 同期噛合式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396A true KR20020009396A (ko) 2002-02-01
KR100411451B1 KR100411451B1 (ko) 2003-12-18

Family

ID=18717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2090A KR100411451B1 (ko) 2000-07-25 2001-04-24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28446B1 (ko)
JP (1) JP2002039347A (ko)
KR (1) KR100411451B1 (ko)
DE (1) DE10110663B4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067B1 (ko) * 2002-06-19 2005-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가 채용된 차량의 급제동 제어방법
KR101714260B1 (ko) * 2015-11-24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CN110281900A (zh) * 2018-03-19 2019-09-2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辆推进系统和用于控制车辆推进系统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9143A (ja) * 2000-11-06 2002-05-17 Tokai Rika Co Ltd 車両用変速機制御装置
EP1399327B1 (de) * 2001-06-28 2007-01-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steuern eines antriebsstrangs eines kraftfahrzeugs
EP1538370A3 (en) * 2003-12-05 2011-11-30 Honda Motor Co., Ltd. Transmission control system
FR2870486B1 (fr) * 2004-05-21 2006-07-28 Renault Sas Procede de retrogradage sur freinage au rapport 1
DE502005009175D1 (de) * 2004-08-24 2010-04-22 Luk Lamellen & Kupplungsbau Verfahren zum Regeln eines Schaltvorgangs bei einem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
US7988582B1 (en) * 2004-10-14 2011-08-02 Hydro-Gear Limited Partnership Planet brake differential
JP2006143000A (ja) * 2004-11-19 2006-06-08 Toyota Motor Corp 車両の制御装置
DE102005011273A1 (de) 2005-03-11 2006-09-2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von Schaltabläufen in einem automatisierten Schaltgetriebe in Vorgelegebauweise
US7853385B2 (en) * 2007-08-10 2010-12-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shifting during vehicle braking along a decline
US8106529B2 (en) * 2009-08-31 2012-01-31 Cnh America Llc Farm implements with capacitor for peak electric loads
US8577563B2 (en) 2011-11-09 2013-11-05 Cnh America Llc Initiating tractor stop and bale wrap function
JP6123518B2 (ja) * 2013-06-28 2017-05-1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自動変速機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20750A (ja) * 1986-03-17 1987-09-28 Aisin Seiki Co Ltd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S63270252A (ja) 1987-04-30 1988-11-08 Toyota Motor Corp 同期噛合式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JPH01269748A (ja) * 1988-04-22 1989-10-27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217258A (ja) * 1988-07-06 1990-01-22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自動エンジンブレーキ制御装置
DE19711384B4 (de) * 1996-05-17 2007-09-20 Volkswagen Ag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raftübertragung im Getriebe eines Fahrzeugs
US6003396A (en) * 1998-04-20 1999-12-21 Cummins Engine Company, Inc. System for controlling downshift points of automatically selectable transmission gear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067B1 (ko) * 2002-06-19 2005-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가 채용된 차량의 급제동 제어방법
KR101714260B1 (ko) * 2015-11-24 2017-03-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제어방법
CN110281900A (zh) * 2018-03-19 2019-09-2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辆推进系统和用于控制车辆推进系统的方法
CN110281900B (zh) * 2018-03-19 2022-04-15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车辆推进系统和用于控制车辆推进系统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2039347A (ja) 2002-02-06
US6428446B1 (en) 2002-08-06
DE10110663A1 (de) 2002-02-14
KR100411451B1 (ko) 2003-12-18
DE10110663B4 (de) 2012-10-31
US20020032098A1 (en) 200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1906B2 (ja) 同期噛合式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411451B1 (ko) 동기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JP4486602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338048B1 (ko) 변속제어방법및장치
KR100246972B1 (ko) 적응시프트 제어방법 및 장치
JPH07208600A (ja) アップシフト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4296249A (ja) 選択シフトを実行する制御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470738B1 (ko) 변속장치제어시스템
JPH04351371A (ja) 車両の半自動機械式ギヤ変速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2115757A (ja) 車両用手動変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31126B2 (ja)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の制御装置
JP3835326B2 (ja) 農業用トラクタの走行変速制御装置
JP4333687B2 (ja) 農業用トラクタの変速制御装置
JP4100057B2 (ja) 変速制御装置
KR100415743B1 (ko) 동기 맞물림식 자동변속기의 제어장치
JP3653255B2 (ja) 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制御装置
KR100496358B1 (ko) 자동 변속기에서 피스톤 행정의 완료를 결정하는 장치 및방법
JP4304928B2 (ja) 変速制御装置及び方法
JP4411826B2 (ja) 変速制御装置
JP4366902B2 (ja) 変速制御装置
JP4426051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3888150B2 (ja) 変速制御装置
JP4221957B2 (ja) 変速制御装置
JP4314721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EP1312837B1 (en) Shif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ssion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