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065A - 연료탱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065A
KR20020008065A KR1020010043153A KR20010043153A KR20020008065A KR 20020008065 A KR20020008065 A KR 20020008065A KR 1020010043153 A KR1020010043153 A KR 1020010043153A KR 20010043153 A KR20010043153 A KR 20010043153A KR 20020008065 A KR20020008065 A KR 20020008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connector
flange
connector body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4642B1 (ko
Inventor
기미사와도시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2000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4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88Container connection means
    • B67D7/0294Combined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과제) 연료탱크와 이송관 등을 연통상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부착되는 커넥터 본체를 연료탱크에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부착하도록 한다.
(해결수단) 연료탱크(T)의 개구부(H)보다도 외경을 크게 한 플랜지(22)를 구비하며, 플랜지(22)의 하측을 삽입부(20)로 함과 아울러 플랜지(22)의 상측을 접속부(10)로 하는 커넥터 본체(2)와, 연료탱크(T)의 외면에 가열융착되는 고정부(41)를 하면측에 구비하며, 하면측이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상면을 눌러 붙이도록 고정부(41)에 의해서 연료탱크(T)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커넥터{Connect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연료나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 또는 이송튜브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연료탱크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접속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연료탱크 내로 상기 유체를 유입하도록 상기 연료탱크에 부착되는 커넥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연료탱크의 개구부를 막도록 부착됨과 아울러, 연료탱크 내에 삽입된 삽입부와 연료탱크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접속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유체의 유로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접속부에 접속된 이송관이나 이송튜브를 통해서 연료탱크 내의 연료나 증발가스를 유출시키거나 혹은 상기 이송관이나 이송튜브를 통해서 공급되는 연료 등을 연료탱크 내로 유입하는 커넥터(대부분의 경우, 밸브로서 구성된다)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한 커넥터에 있어서는, 통상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상기 삽입부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부를 막도록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 접촉시키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플랜지의 돌출단부측의 하면에 용착 돌기부를 형성해 두고, 이 용착 돌기부를 가열용착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 고정함으로써 연료탱크에 부착하는 것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용착 돌기부가 커넥터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플랜지의 돌출단부에 직접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용착 돌기부를 가열용융할 때에 커넥터의 플랜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삽입부 등의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부분이 방해가 되기 쉬우며, 따라서 이러한 커넥터의 부착작업은 반드시 용이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연료탱크와 이송관 등을 연통상태로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부착되는 커넥터 본체를 연료탱크에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외부 캡체(1)의 사시도
도 2는 외부 캡체(1)의 평면도
도 3은 커넥터 본체(2)에 고정 플레이트(4)를 겹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커넥터 본체(2)와 외부 캡체(1)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커넥터 본체(2)에 외부 캡체(1)를 끼워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구성의 일부를 다르게 구성한 외부 캡체(1)의 사시도
도 7은 상기 외부 캡체(1)의 평면도
도 8은 상기 커넥터 본체(2)에 고정 플레이트(4)를 겹쳐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상기 커넥터 본체(2)와 외부 캡체(1)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상기 커넥터 본체(2)에 외부 캡체(1)를 끼워붙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 이송관 또는 이송튜브 C - 커넥터
T - 연료탱크 H - 개구부
R - 유로 10 - 접속부
2 - 커넥터 본체 20 - 삽입부
4 - 고정 플레이트 41 - 고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연료탱크용 커넥터를, 연료나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 또는 이송튜브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연료탱크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접속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형성된 유로를 통해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연료탱크 내로 상기 유체를 유입하도록 상기 연료탱크에 부착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부보다도 외경을 크게 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의 하측을 상기 삽입부로 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의 상측을 상기 접속부로 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 가열융착되는 고정부를 하면측에 구비하며, 상기 하면측이 상기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상면을 눌러 붙이도록 상기 고정부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의 것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를 그 삽입부가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셋트한 후, 커넥터 본체와 별체로 된 고정 플레이트를 그 고정부의 가열용착에 의해 연료탱크에 고정하도록 함에 의해서 커넥터 본체를 연료탱크에 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돌출단부에 연료탱크에 가열용착되는 용착 돌기부를 직접 형성한 경우와 같이, 상기 용착 돌기부를 가열용융할 때에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삽입부 등이 방해가 되어 상기 커넥터 본체의 부착작업을 하기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이 없게 된다. 또,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가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서 연료탱크의 외면에 충분히 눌려 붙여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플랜지의 하면을 통한 증발가스 등의 누출을 저지할 수 있는상태로 상기 커넥터 본체를 연료탱크에 부착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연료탱크용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부와의 사이에서의 유체의 누출을 저지하도록 구비되는 실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 눌려 붙여지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고정부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에 의해서, 플랜지가 연료탱크의 외면측을 향해서 눌려 붙여지는 커넥터 본체를 통해서 실부재가 연료탱크의 외면에 눌려 붙여짐으로써, 상기 실부재가 장착된 위치에서의 상기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하면을 통한 연료가스의 누출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고정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돌출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용착 돌기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용착 돌기부의 가열용착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본체를 연료탱크에 부착할 때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와 별체로 된 고정 플레이트의 용착 돌기부를 단지 가열용융하면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착 돌기부를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돌출단부에 직접 형성한 경우와 같이 용착 돌기부를 가열용융할 때에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삽입부 등이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므로, 커넥터 본체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터 본체가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연료탱크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료와 잘 융합하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증발가스의 누출을 용이하게 저지하는 상태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용착 돌기부를 가열용착에 의해서 연료탱크에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있어서의 상기 커넥터 본체가 폴리아세탈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폴리에틸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다.
폴리아세탈은 상기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연료탱크에는 합성수지 재료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가장 범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증발가스의 누출을 용이하게 저지하는 상태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용착 돌기부를 가열용착에 의해서 연료탱크에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에 의거하여 상세하게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C)의 일례를, 도 6 내지 도 10은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커넥터(C)의 구성의 일부를 다르게 구성한 커넥터(C)의 다른 일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커넥터(C)를 구성하는 외부캡체(1)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7은 상기 외부캡체(1)의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8은 상기 커넥터(C)를 구성하는 커넥터 본체(2)에 고정 플레이트(4)를 겹쳐 놓은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9는 연료탱크(T)에 부착된 커넥터 본체(2)와 이 커넥터 본체(2)에 끼워붙여지는 외부 캡체(1)를 분리상태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10은 상기 커넥터 본체(2)에 외부 캡체(1)를 끼워붙인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도 5, 도 9 및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고정 플레이트(4)의 용착 돌기부(41a)를 용융시키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C)는, 연료나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 또는 이송튜브(P)에 접속되는 접속부(10)와 연료탱크(T)에 형성된 개구부(H)에 삽입되는 삽입부(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부(20)와 상기 접속부(10)와의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는 유로(R)를 통해서 상기 연료탱크(T) 내의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연료탱크(T) 내로 상기 유체를 유입하도록 상기 연료탱크(T)에 부착되는 커넥터(C)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넥터(C)를, 연료탱크(T)내에 있는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를 이송튜브(P)를 통해서 캐니스터로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접속부(10)가 상기 이송튜브(P)에 접속됨과 아울러 상기 삽입부(20)가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료탱크(T)에 부착되는 구성의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C)는 상기 접속부(10)를 구비한 외부 캡체(1)와 상기 삽입부(20)를 구비한 커넥터 본체(2)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0)가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삽입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2)를 상기 연료탱크(T)에 부착하고, 이와 같이 부착된 커넥터 본체(2)의 외측 개구부(21)를 막도록 이 외측 개구부(21)에 상기 외부 캡체(1)를 끼워 붙임으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2)의 삽입부(20)를 통해서 송출되는 상기 연료가스를 상기 외측 개구부(21)에서 상기 외부 캡체(1)로 송출시키고, 이어서 상기 외부 캡체(1)의 접속부(10)에서 이 접속부(10)에 접속된 상기 이송튜브(P) 내로 송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커넥터(C)는, 상기 연료탱크(T)의 외면에 가열융착되는 고정부(41)를 하면측에 구비하며, 이 하면측이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후술하는 플랜지(22)의 상면을 눌러 붙이도록 상기 고정부(41)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T)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를 구비하고 있으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이 연료탱크(T)의 외측에서 상기 삽입부(20)가 삽입되도록 셋트된 상기 커넥터 본체(2)를 상기 고정 플레이트(4)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T)에 고정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커넥터(C)는 상기 커넥터 본체(2)와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와의 사이에서의 유체의 누출을 저지하도록 구비되는 실부재(3)를 가지고 있으며, 이 실부재(3)가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T)의 외면에 눌려 붙여지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4)가 상기 고정부(41)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T)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2)〉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넥터 본체(2)가 이하의 (a)∼(g)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a) 외주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환형상 플랜지(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랜지(22)는 그 외경이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지름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b) 상기 플랜지(22)를 중심으로 하여 그 하부측을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삽입되는 삽입부(20)로 하고, 또한 상기 플랜지(2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측에 상기 외측 개구부(21)를 구비하고 있다.
(c)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플랜지(22)의 하면 대략 중앙부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바닥부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융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부(20)의 바닥부 대략 중앙에 연료가스의 유입구(20a)를 형성하고 있다.
(d) 상기 외측 개구부(21)는, 하단이 상기 유입구(20a)에 연통되도록 상기 플랜지(22)의 대략 중앙에서 상측을 향해서 돌출형상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체(21a)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e) 상기 플랜지(22)의 상면측에는 상기 원통형상체(21a)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서 환형상 돌기부(2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상체(21a)의 외주면과 상기 환형상 돌기부(22a)와의 사이에 상기 외부 캡체(1)가 끼워 붙여지는 환형상 홈(2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형상 홈(22b)은 그 내측 바닥면(22d)이, 커넥터 본체(2)를 그 삽입부(20)가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삽입되도록 부착하였을 때에, 상기 연료탱크(T)의 외면보다도 하측에 위치시키는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f) 상기 플랜지(22)의 하면측에는, 일단부를 상기 플랜지(22)의 하면에 일체로 접합시킨 원통체(2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체(22e)의 내측에 상기 삽입부(20)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원통체(22e)의 외경은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 이 원통체(22e)의 타단부는 투공(22j)이 형성된 캡(22g)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g) 상기 원통체(22e) 내에는 플로트(22h)가 수납되어 있다. 이 플로트(22h)는, 통상은 자중(自重)에 의해서 상기 캡(22g)의 내면에 상기 플로트(22h)의 바닥면이 접하는 위치에 있으며, 이 위치에서는 플로트(22h)의 상면이 상기 삽입부(20)의 유입구(20a)를 막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플로트(22h)의 외면과 상기 원통체(22e)의 내면과의 사이는 상기 원통체(22e)의 내면에 형성된 리브(22f)에 의해서 간격이 확보되며, 플로트(22h)가 하강한 상태에서는 상기 캡(22g)에 형성된 투공(22j) 및 상기 원통체(22e)의 측면에 형성된 투공(22j)을 통해서 상기 원통체(22e) 내로 유입되는 연료가스를 상기 간격을 통해서 상기 삽입부(20)의 유입구(20a)에서 외부로 송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플로트(22h)는 연료보다도 비중이 약간 무거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 플로트(22h)의 하면과 캡(22g)의 내면의 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22k)이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캡(22g)의 투공(22j) 및 원통체(22e)의 측면에 형성된 투공(22j)을 통해서 상기 원통체(22e) 내로 연료가 진입한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22k)의 작용에 의해서 신속하게 부상하여 플로트(22h)의 상면 대략 중앙에 형성된 밸브용 돌기부(22i)가 상기 유입구(20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유입구(20a)로부터의 연료의 유입을 저지하도록 기능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고정 플레이트(4)〉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4)가 이하의 (a)∼(e)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a) 중앙부에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가 하측에서 수납되는 둥근구멍(40)을 구비한 도너츠 판형상을 이루고 있다.
(b) 상면측에는 상기 둥근구멍(40)의 구멍가장자리를 따라서 상측으로 돌출된 환형상 돌기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환형상 돌기부(42)는 그 상단면을, 고정 플레이트(4)의 둥근구멍(40)에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를 하측에서 수납하면서 고정 플레이트(4)의 하면이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상면을 눌러 붙이도록 한 위치{도 4 및 도 9 참조. 이하, 고정 플레이트(4)의 고정위치라고 한다}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의 상단면과 거의 동일한 면상에 위치시키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c) 또, 상기 고정 플레이트(4)는, 상기 고정위치에 있어서, 그 외주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의 외측에 위치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d) 또, 상기 고정 플레이트(4)의 외주부에는, 이 외주부를 따라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횐형상을 이루는 용착 돌기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4)는 상기 연료탱크(T)의 외면에 상기 용착 돌기부(41a)를 가열용착함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T)에 고정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용착 돌기부(41a)가 상기 고정 플레이트(4)에 있어서의 연료탱크(T)에 가열용착되는 고정부(41)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용착 돌기부(41a)는, 상기 고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용착 돌기부(41a)와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와의 사이에 횡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도록 고정 플레이트(4)에 형성되어 있다.
(e) 또, 상기 고정 플레이트(4)의 상면측에는, 일단을 상기 환형상 돌기부(42)에 일체로 접합시킴과 아울러 타단을 상기 고정 플레이트(4)의 외주부에 위치시키도록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보강 리브(43,43)가 형성되어 있다.
〈실부재(3)〉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부재(3)를 고무제로 된 링형상의 실링(30,31)으로 하고 있다.
상기 실링(3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상기 커넥터 본체(2)의 삽입부(20)를 삽입하기 전에 상기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끼워 붙이고, 그 후 상기 삽입부(20)의 삽입에 의해서 상기 삽입부(20)와 상기 개구부(H)와의 사이에서의 증발가스의 누출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실링(30)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의 외측에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가 끼워지는 삽입홈(30a)을 전둘레에 걸쳐서 구비함과 아울러, 링의 내측에 상기 개구부(H)의 내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돌출편(30b)을 전둘레에 걸쳐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30a)을 구성하는 상하 홈벽간의 간격은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의 두께보다도 약간 좁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하 홈벽간의 간격이 벌려지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이 삽입홈(30a)에 상기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실링(30)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편(30b)에 의해서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지름은 상기 커넥터 본체(2)의 상기 원통체(22e)의 외경보다도 약간 작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링(30)을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상기한 바와 같이 장착한 후의 상기 커넥터 본체(2)의 삽입부(20)의 삽입에 의해서 상기 돌출편(30b)이 상기 원통체(22e)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돌출편(30b)을 탄성변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 실링(31)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에 끼워 붙임으로써 상기 커넥터 본체(2)의 삽입부(20)와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와의 사이에서의 증발가스의 누출을 저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실링(31)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의 내측에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가 끼워지는 삽입홈(31a)을 전둘레에 걸쳐서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삽입홈(31a)을 형성하는 하측 홈벽(31c)의 외측에 돌기부(31b)를 전둘레에 걸쳐서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31a)을 구성하는 상하 홈벽간의 간격은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의 두께보다도 약간 좁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 홈 벽간의 간격이 벌려지도록 탄성변형시킨 상태에서, 이 삽입홈(31a)에 상기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를 따라서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실링(31)은, 후술하는 고정 플레이트(4)의 연료탱크(T)에 대한 고정에 의해서 상기 돌기부(31b)를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 상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밀착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2)의 부착〉
상기한 구성을 구비하는 커넥터 본체(2)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료탱크(T)의 외부측에서 이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상기 삽입부(20)가 삽입되도록 셋트한 후, 상기 플랜지(22)의 하면이 상기 연료탱크(T)의 외면측에 눌려 붙여지도록 연료탱크(T)의 외면부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T)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2)의 원통체(22e)를 연료탱크(T)의 개구부(H)에 삽입한 후,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가 상기 둥근구멍(40)에 끼워지도록 하면서 상기 커넥터 본체(2)의 상면을 고정 플레이트(4)로 덮고, 또한 이 고정 플레이트(4)에 의해서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가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부에 눌려 붙여지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4)의 용착 돌기부(41)를 연료탱크(T)에 가열용착함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 본체(2)를 연료탱크(T)에 부착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2)를 연료탱크(T)에 부착할 때에는 커넥터 본체(2)와 별체로 된 고정 플레이트(4)의 용착 돌기부(41a)를 단지 가열용융하면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용착 돌기부(41a)를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돌출단부(221)에 직접 형성한 경우와 같이, 상기 용착 돌기부(41a)를 가열용융할 때에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기 삽입부(20) 내지 원통체(22e)가 방해가 되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 커넥터 본체(2)의 부착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용착 돌기부(41a)를 연료탱크(T)의 외면에 가열용착함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T)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4)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가 연료탱크(T)의 외면측을 향해서 눌려 붙여짐으로써 다음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a)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링(30)의 삽입홈(30a)을 형성하는 상측 홈벽(30c)을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의 외면에 눌러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링(30)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하면을 통한 연료가스의 누출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b)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링(31)의 삽입홈(31a)을 형성하는 하측 홈벽(31c)을 상기 연료탱크(T)의 개구부(H)의 구멍가장자리의 외면에 눌려 붙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실링(31)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22)의 하면을 통한 연료가스의 누출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4, 도 5 및 도 9, 도 10에 나타낸 실시형태 모두에는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의 외측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4)의 둥근구멍(40)의 내면과 상기 환형상 돌기부(22a)의 외면과의 사이에서의 연료가스의 누출을 저지하는 실링(5)이 끼워져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외부 캡체(1)가 상기 이송튜브(P)와 접속되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접속관(10a)을 구비하고 있으나, 이 외부캡체(1)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4)에 의해서 연료탱크(T)에 부착된 커넥터 본체(2)에 끼워 붙여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4)에 의한 커넥터 본체(2)의 부착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관(10a)이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외부 캡체(1)〉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외부 캡체(1)가 이하의 (a)∼(e)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하고 있다.
(a) 하단을 개방시키고 상단을 폐색한 원통형상부(11)를 구비하고 있다.
(b) 상기 원통형상부(11)의 외주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부(12)를 구비하고 있다.
(c) 상기 플랜지부(12)를 중심으로 하여 그 하부측을, 이 플랜지부(12)의 하면이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의 상단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홈(22)에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 상기 플랜지부(12)를 중심으로 하여 그 상부측에, 상기 원통형상부(11)의 측부에 일단부가 일체로 접합되고 이 원통형상부(11)의 축선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접속관(10a)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접속관(10a)은 그 일단부측이 상기 원통형상부(11)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어 있다. 또, 이 접속관(10a)의 타단부측이 상기 이송튜브(P)에 대한 접속부(10)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접속관(10a)의 타단부를 이송튜브(P)의 일단부 내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접속관(10a)을 이송튜브(P)에 접속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접속관(10a)의 접속부(10)측에는 환형상을 이루는 3개의 융기부(10b,10b,10b)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융기부(10b,10b,10b)의 정상단부의 외경이 이송튜브(P)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게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면부호 13은 서로 인접하는 융기부 사이에 끼워지는 O링이다.
(e) 상기 플랜지부(12)를 중심으로 하여 그 하부측을, 이 플랜지부(12)의 하면이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의 상단에 맞닺는 위치까지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홈(22)에 끼워 넣은 상태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2)의 원통형상체(21a)의 상단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21)에서 송출되는 연료가스를 상기 접속관(10a)으로 유도하는 연통공간(14)이 외부 캡체(1)의 내부에 확보되도록 하고 있다.
〈외부 캡체(1)와 커넥터 본체(2)의 끼워붙임〉
이상 설명한 외부 캡체(1)와 커넥터 본체(2)는, 상기 연료탱크(T)에 부착된상기 커넥터 본체(2)의 외측 개구부(21)를 막도록 이 외측 개구부(21)에 상기 외부 캡체(1)를 끼워 붙이는 조작에 수반되어, 즉 상기 외부 캡체(1)에 있어서의 상기 플랜지부(12)의 하부측을, 이 플랜지부(12)의 하면이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의 상단에 맞닿는 위치까지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홈(22b)에 끼워 넣는 조작에 수반되어 접합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외부 캡체(1)와 상기 커넥터 본체(2)가,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 붙이는 조작에 수반되어, 상기 외부 캡체(1)와 상기 커넥터 본체(2)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부(15)에 맞닿아서 일단 외측으로 탄성변형된 후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에 걸어맞춤부(23c)가 걸어맞춰지는 상기 외부 캡체(1)와 상기 커넥터 본체(2) 중 어느 타측에 형성된 걸어맞춤 암(23)에 의해서 접합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2)를 연료탱크(T)에 부착한 후, 이 커넥터 본체(2)의 외측 개구부(21)에 상기 외부 캡체(1)를 끼워 붙일 때에,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걸어맞춤부(23c)를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에 걸어맞춤으로써, 별도의 접합부품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원터치로 상기 커넥터 본체(2)와 상기 외부 캡체(1)를 상기 유로(R)를 적절히 확보한 상태로 접합시킬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접합된 커넥터 본체(2)와 외부 캡체(1)의 접합상태를,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에 대한 걸어맞춤부(23c)의 걸어맞춤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상기 걸어맞춤 암(23)을 탄성변형시킴으로써, 필요에 따라서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걸어맞춤 암(23)은 암부(23a)와 이 암부(23a)의 선단부 양측에 돌출부(23b)를 구비한 T자 형상부(23d)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돌출부(23b)에 있어서의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기단부측을 향하는 가장자리부를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에 대한 걸어맞춤부(23c)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는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암부(23a)를 수납하는 간격을 두고서 형성됨과 아울러, 정상부(15b)를 중심으로 하여 그 일측에, 연료탱크(T)에 부착된 커넥터 본체(2)의 외측 개구부(21)를 막도록 외측 개구부(21)에 외부 캡체(1)를 끼워 붙이는 조작에 수반되어, 상기 돌출부(23b)와의 맞닿음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 암(23)을 점차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키는 경사면(15d)을 각각 구비한 1쌍의 돌조(15a,15a)로 구성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끼워 붙이는 조작에 수반되어,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돌출부(23b)가 상기 돌조(15a)의 경사면(15d)에 맞닿게 됨으로써, 이 경사면(15d)에 의해서 상기 걸어맞춤 암(23)을 부드럽게 외측으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고, 또 상기 돌출부(23b)가 상기 돌조(15a)의 정상부(15b)를 타고 넘은 위치에서 1쌍의 돌조(15a,15a) 사이로 상기 암부(23a)가 끼워지도록 상기 걸어맞춤 암(23)이 탄성복원됨으로써, 상기 돌출부(23b)의 걸어맞춤부(23c)를 상기 돌조(15a)의 정상부(15b)를 중심으로 한 타측{즉, 상기 경사면(15d)이 형성된 측의 반대측}에 걸어맞출 수 있다. 상기 걸어맞춤 암(23)은 그 암부(23a)가 상기 1쌍의 돌조(15a,15a) 사이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돌출부(23b)가 걸어맞춤 돌기부(15)에 걸어맞춰지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 외부 캡체(1)에 연직방향에 있는 축선을 중심으로 이 외부 캡체(1)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작용한 경우에도 이 외부 캡체(1)의 회전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으며, 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와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걸어맞춤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된 커넥터 본체(2)와 외부 캡체(1)의 접합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해제하기 위한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탄성변형을, 상기 돌출부(23b)를 파지함에 의해서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23)을 커넥터 본체(2)의 외측 개구부(21)측에 암부(23a)의 기단부를 일체로 연접시켜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를 외부 캡체(1)의 외측에 형성하고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23)을 상기 커넥터 본체(2)에, 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를 상기 외부 캡체(1)에 플라스틱 성형에 의해서 각각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커넥터 본체(2)와 상기 외부 캡체(1)의 접합상태, 즉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돌출부(23b)가 걸어맞춤 돌기부(15)에 걸어맞춰져 있는지 아닌지를 외부 캡체(1)의 상측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접합된 커넥터 본체(2)와 외부 캡체(1)의 접합상태를 필요에 따라서 해제하기 위한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탄성변형을 달성함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3b)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걸어맞춤 암(23)이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의 상단에, 그 상단면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걸어맞춤 암(23)은 원통형상을 이루는 상기 환형상 돌기부(22a)의 직경방향 양측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 돌기부(15)는 상기 외부 캡체(1)의 플랜지부(12)를 중심으로 한 상부측의 외측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 돌기부(15)도 원통형상을 이루는 상기 외부 캡체(1)의 직경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각 걸어맞춤 돌기부(15)는 상기 걸어맞춤 암(23)의 암부(23a)를 수납하는 간격을 두고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돌조(15a,15a)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돌조(15a)는 그 하단을 상기 플랜지부(12)의 상면에 일체로 연접시키고 있음과 아울러, 상측을 향해서 점차 돌조(15a)의 돌출칫수가 커지도록 경사지게 한 상기 경사면(15d)을 돌출단면에 가지고 있다. 또, 상기 각 돌조(15a)는 상기 경사면(15d)에 정상부(15b){외부 캡체(1)에서 가장 돌출칫수가 큰 돌조(15a)의 부분}를 사이에 두고서 접하는 상측을 향하고 있는 걸어맞춤면(15c)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복원된 걸어맞춤 암(23)의 돌출부(23b)의 걸어맞춤부(23c)가 상기 걸어맞춤면(15c)에 걸어맞취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본체(2)의 1쌍의 걸어맞춤 암(23,23)의 서로 대향하는 면이 상기 외부 캡체(1)의 플랜지부(12)를 중심으로 한 상부측의 원호형상을 이루는 외곽을 따르도록 만곡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1쌍의 걸어맞춤 암(23,23)의 서로 대향하는 면간의 간격이 상기 외부 캡체(1)의 1쌍의 걸어맞춤 돌기부(15,15)의 돌조(15a)의 정상부(15b)간의 간격보다도 약간 좁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외부 캡체(1)의 플랜지부(12)를 중심으로 한 하부측에 이 외부 캡체(1)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위치결정홈(16)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돌기부(22a)의 내주측에 상기 위치결정홈(16)에 끼워지는 위치결정리브(24)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위치결정홈(16)에 위치결정리브(24)가 끼워지는 방향에서만 상기 끼워붙임조작을 허용함과 아울러, 이 방향에서의 끼워붙임조작에 의해서 커넥터 본체(2)의 1쌍의 걸어맞춤 암(23,23)이외부 캡체(1)의 1쌍의 걸어맞춤 돌기부(15,15) 각각에 용이하게 걸어맞춰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환형상 홈(22b)의 바닥면(22d)을 덮도록 끼워지는 환형상의 실 러버(seal rubber)(6)와 상기 외부 캡체(1)의 플랜지부(12)를 중심으로 한 하부측에 끼워진 O링(17)에 의해서, 상기 외부 캡체(1)와 상기 환형상 홈(22b)과의 사이에서 연료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환형상 홈(22b)의 내측 바닥면(22d)이 연료탱크(T)의 상면보다도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연료탱크(T)의 상면에서의 외부 캡체(1)의 돌출칫수를 가능한 한 작게 한 상태로 상기 외부 캡체(1)를 상기 커넥터 본체(2)에 끼워 붙일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커넥터 본체(2)와 고정 플레이트(4)의 재질〉
또한, 상기 커넥터 본체(2)를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4)를 연료탱크(T)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료와 잘 융합하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 상기 증발가스의 누출을 상기 커넥터 본체(2)의 플랜지부(12)에 의해 연료탱크(T)의 외면에 눌려 붙여지는 실링(30)에 의해서 확실하게 저지하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4)의 용착 돌기부(41a)를 가열용착에 의해서 연료탱크(T)에 적절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폴리아세탈은 상기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고, 연료탱크(T)는 합성수지 재료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가장 범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 본체(2)를 폴리아세탈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물로 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4)를 폴리에틸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연료탱크용 커넥터에 의하면, 연료탱크의 개구부에 삽입부가 삽입되도록 부착되는 커넥터 본체를 연료탱크에 용이하게 또한 적절하게 부착할 수 있다.

Claims (5)

  1. 연료나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 등의 유체를 이송하는 이송관 또는 이송튜브에 접속되는 접속부와 연료탱크에 형성된 개구부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접속부와의 사이에 걸쳐서 형성된 유로를 통해서 상기 연료탱크 내의 상기 유체를 유출시키거나 또는 상기 연료탱크 내로 상기 유체를 유입하도록 상기 연료탱크에 부착되는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부보다도 외경을 크게 한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의 하측을 상기 삽입부로 함과 아울러 상기 플랜지의 상측을 상기 접속부로 하는 커넥터 본체와,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 가열융착되는 고정부를 하면측에 구비하며, 상기 하면측이 상기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상면을 눌러 붙이도록 상기 고정부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와 상기 연료탱크의 개구부와의 사이에서의 유체의 누출을 저지하도록 구비되는 실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실부재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의 외면에눌려 붙여지도록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고정부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고정부가 상기 커넥터 본체의 플랜지의 돌출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는 용착 돌기부로 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상기 용착 돌기부의 가열용착에 의해서 상기 연료탱크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연료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투과하기 어려운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연료탱크를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료와 잘 융합하는 합성수지 재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가 폴리아세탈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고정 플레이트가 폴리에틸렌에 의해서 성형된 플라스틱 성형품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탱크용 커넥터.
KR10-2001-0043153A 2000-07-18 2001-07-18 연료탱크용 커넥터 KR100454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16901A JP2002031005A (ja) 2000-07-18 2000-07-18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JP-P-2000-00216901 2000-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065A true KR20020008065A (ko) 2002-01-29
KR100454642B1 KR100454642B1 (ko) 2004-11-03

Family

ID=1871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153A KR100454642B1 (ko) 2000-07-18 2001-07-18 연료탱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2031005A (ko)
KR (1) KR100454642B1 (ko)
TW (1) TW4791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572A (ko) * 2013-11-26 2016-09-12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분배 시스템을 위한 체결구 및 체결구 어댑터와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572A (ko) * 2013-11-26 2016-09-12 엔테그리스, 아이엔씨. 분배 시스템을 위한 체결구 및 체결구 어댑터와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79115B (en) 2002-03-11
KR100454642B1 (ko) 2004-11-03
JP2002031005A (ja) 2002-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713A (en) Valve with integral plastic spring for poppet
KR100565363B1 (ko) 연료 탱크용의 용접가능한 통기 밸브
CA2334149C (en)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s component
EP0482843B1 (en) An improved fluid control unit
US5404907A (en) 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EP0790957B1 (en) A self-sealing bag valve
US8042788B2 (en) Valve device for fuel tank
JPH0261675B2 (ko)
JP4074113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JP7253330B2 (ja)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及びガスケット
KR100507018B1 (ko) 자동차 연료 탱크 밸브용 지지 구조체와, 자동차 연료탱크 밸브 고정 방법
JP3893337B2 (ja) 燃料タンク
US7845366B2 (en)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KR100454642B1 (ko) 연료탱크용 커넥터
WO1987003559A1 (en) Inserts for fixing into openings
CA2335165C (en) Weldable mount for fuel system component
KR100451443B1 (ko) 연료탱크용 커넥터
JPH1178549A (ja) 燃料逆流防止バルブ
JP4629888B2 (ja) 燃料タンク用コネクタ
KR20080102206A (ko) 연료탱크용 커넥터
JP2000240833A (ja) 燃料遮断弁
JP2006009850A (ja) 樹脂タンク用シャッターバルブ取付け構造
JP2528765Y2 (ja) 蓋と受枠との間のパッキング構造
JPS6323659Y2 (ko)
JP7261917B2 (ja) ガスケットの装着構造及びガス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