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588A -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588A
KR20020007588A KR1020000040961A KR20000040961A KR20020007588A KR 20020007588 A KR20020007588 A KR 20020007588A KR 1020000040961 A KR1020000040961 A KR 1020000040961A KR 20000040961 A KR20000040961 A KR 20000040961A KR 20020007588 A KR20020007588 A KR 20020007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flame retardant
component
organic
organic c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1232B1 (ko
Inventor
이윤환
정원범
양준호
Original Assignee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현식,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현식
Priority to KR10-2000-0040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232B1/ko
Priority to AU2001271114A priority patent/AU2001271114A1/en
Priority to PCT/KR2001/001224 priority patent/WO2002006388A1/en
Publication of KR2002000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2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two or thre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능기를 함유한 변성 폴리프로필렌(A성분) 1∼30중량%와 상기 A성분의 관능기와 화학 결합한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 단독 또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와 알킬암모늄 화합물로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B 성분) 1∼20중량% 및 상기 A성분 및 B성분이 분산되어지는 폴리올레핀 수지 매트릭스(C성분) 50∼98중량%로 된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복합체는 나노미터 크기의 유기점토 광물의 분산성이 우수하여 강성, 내열성, 내충격성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며 그밖의 난연성, 투명성, 기체와 액체의 투과 억제능 등이 우수하고 그에 따라 박막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Polypropylene polymer composite comprising an organic layered clay which has excellent fire resistance and production process therefor}
본 발명은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로 유기화된 층상구조의 점토광물을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킴으로써, 우수한 난연성을 가짐과 동시에 기존의 1 미크로미터 이상의 입자 크기의 무기 충전제/강화제 충전 복합체의 단점을 한층 보완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난연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난연제의 첨가를 통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대부분의 난연제들이 수지에 대비하여 매우 고가이고, 경우에 따라서 수지와 함께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게다가, 수지의 다른 기계적 물성 또는 내열성 등을 크게 저하시키며, 완제품의 재활용 측면에서 환경적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최근에 유기화된 무기 층상 화합물을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개개의 단위층을 나노미터 크기로 분산시켜, 기계적 물성, 내열성뿐만 아니라 난연성을 높이는 많은 기술들이 발표되었다. 이 기술들은 처음 일본의 도요타 연구소에서 나일론 6-층상 점토광물 복합체 개발로부터 유래되었다. 이 기술을 이용하여 박리형(exfoliated) 또는 삽입형(intercalated) 구조의 나일론6-층상 점토광물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5% 층상 점토광물을 포함하는 나일론6-층상 점토광물 복합체가 순수한 나일론6에 비해 열적, 기계적 물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Sample Journal, Vol.33, 40∼46면(1997)에 의하면, 5% 무기 실리케이트 점토 광물을 포함하는 나일론6-층상 점토광물 복합체는 피이크 열방출 속도(peak heat release rate)가 순수한 나일론6 수지에 비하여 63% 감소하면서, 동량의 연소열을 가진다. 따라서, 난연성 향상뿐만 아니라 종래의 난연제 첨가에 의하여 감소되었던 기계적 물성 또는 내열성 등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밖에도 폴리스티렌, 에폭시, 폴리에스테르, 그리고 폴리올레핀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 등에 대하여서도 이들과의 층상 점토광물 복합체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폴리올레핀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폴리올레핀 수지의 기계적 물성을 개선할 목적으로 무기 충전제로 활석, 운모와 같은 무기 물질을 그대로 기계적 수단에 의해 혼입하는 기술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무기물의 입자 자체가 다층 집합체이고, 게다가 폴리올레핀 매트릭스와의 상용성이 나쁘기 때문에 무기 물질의 분산이 불충분하였다
수지내에서의 무기 물질의 분산성 향상을 위해, 지금까지 고분자 매트릭스내에 층상 무기 화합물의 개개의 단위층을 나노미터 크기로 분산시키는 많은 기술들이 발표되어 왔다. 이들 기술에 따르면, 층상 무기 물질을 친유기성 물질로 표면처리하지 않고는 단량체 또는 고분자와 같은 유기물이 층상 무기 물질의 층사이 공간으로 충분히 침투되지 못하며, 층상 무기 물질의 단위층들은 고분자 매트릭스에 충분히 균일하게 분산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분자 수지에 대한 층상 무기 물질의 균일한 분산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제4,889,885호에서는 무기 실리케이트와 같은 다층미립자 층상 물질의 단위층 사이에 천연 상태로 존재하는 나트륨 또는 칼륨이온을 오늄(예: 알킬암모늄 이온 또는 작용성화된 유기실란)으로 대체시킨 후, 이러한 층상 물질을 중합체의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와 혼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양이온 교환 작용은 기존의 친수성 실리케이트를 친유기성으로 만들고, 층상 물질의 층간 거리를 확장시켜, 수지에 대한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Journal of Appl. Polym. Scien., Vol.55, 119~123면(1995)에는 12-아미노라우린산으로 처리된 무기 실리케이트를 이용하여 폴리아미드 박리형 복합체를 생성하는 기술이 보고되어 있다.
일본 특개평10-182892호에는 유기화한 층상 점토광물에 관능기를 함유한 폴리올레핀계 올리고머를 삽입(intercalation)시켜 점토광물의 층간거리를 어느 정도 확장시킨 후, 이 복합 재료를 올레핀계 수지와 혼합하여 층상 점토광물이 올레핀계 수지의 매트릭스 중에 분산되도록 하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주로 층상 무기물질의 유기화에 의해서만 분산성 향상을 도모한 것으로서, 분산성의 향상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층상 점토광물과 같은 무기물질에 난연제를 치환 결합시켜 사용함과 동시에 난연제가 치환결합된 층상 무기물질과 고분자 수지 매트릭스 사이에 화학적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고분자 수지를 특정 물질로 변성 처리하여 사용하므로써 층상 무기물질과 고분자 매트릭스와의 상용성 및 분산성을 극대화시킴에 따라 기계적 물성, 내열성 뿐아니라 난연성이 크게 향상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는 관능기를 함유한 변성 폴리프로필렌(A성분) 1.0∼30중량%와 상기 A성분의 관능기와 화학 결합한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 단독 또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와 알킬암모늄 화합물로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B성분) 1.0∼20중량% 및 상기 A성분 및 B성분이 분산되어지는 폴리올레핀 수지 매트릭스(C성분) 50∼98중량%로 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A성분)은 폴리프로필렌을 극성이 높은 화학구조를 갖는 관능기 단량체에 의해 변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변성 폴리 프로필렌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MI)가 1.0∼100g/10분(ASTM D1238, 230℃)이고 결정성을 갖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프로필렌/α-올레핀 비공역 디엔화합물 공중합체(예:EPDM) 등이바람직하고, 상기 α-올레핀으로는 에틸렌, 부텐-1, 헵텐-1, 헥센-1,4-메틸펜텐 등이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되어질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의 용융지수가 1.0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부품의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 용융지수가 10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을 변성시키기 위한 극성이 높은 관능기 단량체로는 불포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인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디트라콘, 수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에테르, 티오카르복실산, 알콕시카르복실산 예컨대, 메톡시카르복실산, 에톡시카르복실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관능기가 폴리프로필렌에 공유결합되어 있는 부위는 분자의 말단기에서도 좋고, 분자쇄의 도중에 결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의 각종의 관능기 단량체 중, 층상 점토광물에 결합된 비할로겐 난연제의 아민기와 같은 관능기와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높은 인터컬레이션 능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무수말레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 단량체로 폴리프로필렌을 변성시키는 경우, 상기 물질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을 변성시키는 방법은 폴리프로필렌을 적당한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관능기 단량체와 라디칼 발생제를 첨가하여 혼련가공하는 방법 또는 상기의 각 성분에 대해 압출기를 이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을 행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변성제인 불포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의 부가량이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기준으로 0.10∼10중량%가 바람직하다. 0.1중량% 미만에서는 인터컬레이션 효과를 발현하기 어려우며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량 배합에 의해 폴리프로필렌 속에 미반응의 변성제가 다량 잔존하고, 그로 인하여 실제 폴리프로필렌과의 상용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바람직한 분자량은 1,000~500,000정도이다. 상기의 분자량 범위에 대해 저분자량쪽으로는 점토 복합재료의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층상 점토광물의 층간의 팽창이 불충분하고, 고분자량쪽으로는 용융점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층상 점토광물 층간에 침투가 어렵게 될 수가 있다.
상기한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전체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1.0∼30중량%가 바람직하다.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에서는 유기화 층상 점토광물과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계면접착력을 충분히 유지할수 없어 인터컬레이션 효과 및 물성 향상에 기여도가 없고, 30중량% 초과시에는 투입량을 증가시켜도 더 이상 물성 향상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화 층상 점토광물(B성분)은 비할로겐 난연제 단독 또는 비할로겐 난연제와 알킬암모늄 화합물에 의해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층상 점토광물의 대표적인 예로서는 몬트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등의 스멕타이트계 층상 점토광물이나, 버미큘라이트, 하로이사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층상 점토광물은 층위에 전하 및 이온, 바람직하게는 오늄이온(onium ion, 예: 암모늄 양이온)에 의해 교환될 수 있는 이온(예: 나트륨, 칼슘이온)을 가지며, 관능기를 갖는 변성 폴리프로필렌과의 접촉면적이 큰 것을 이용하면 층상 점토광물의 층간을크게 팽창시키기가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층상 점토광물의 표면위의 음전하의 양이온 교환 용량은 점토광물 100그램당 20밀리당량(miliequivalents) 이상, 바람직하게는 50내지 200밀리당량이다.
20밀리당량/100g 미만의 경우에는 유기 오늄이온의 교환에 의한 유기화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층상 점토광물의 팽창이 곤란해 지는 경우가 있다. 양이온 교환용량이 200밀리당량/100g을 초과하는 경우는 층상 점토광물의 단위 입자 층들간의 결합력이 강하기 때문에 유기오늄이온의 이온교환에 의한 층간으로의 침투가 곤란해지고 결과적으로 층상 점토광물의 팽창이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유기 오늄이온은 주로 양이온 그룹과 친유성 그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양이온 그룹은 점토광물 표면에 존재하는 이온을 교환하는 역할을 하며 친유성 그룹은 단량체 또는 고분자와 같은 유기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층간거리를 증가시켜 유기물의 층간 침투를 용이하게 한다. 통상적으로 단량체 또는 고분자와 같은 유기물과 반응성이 있는 작용기에는 친전자성 또는 친핵성 치환반응, 커플링반응 및 개환반응을 할 수 있는 친핵성 또는 친전자성 작용기가 포함된다. 이러한 반응기의 예로는 에폭시, 아미노, 카르복시, 하이드록시, 이소시아네이트, 할로겐 및 에피클로로하이드린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유기 삽입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유기 오늄이온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옥타데실, 헥사데실, 테트라데실, 도데실 잔기를 갖는 옥타데실 트리메틸암모늄염, 디테트라데실 디메틸 암모늄염 같은 4급 암모늄염이 포함되며, 바람직한 암모늄염에는 비스(2-하이드록시에틸)메틸 옥타데실 암모늄염, 디하이드록시에틸 메틸수소화 암모늄염이 포함된다.
상기 유기 삽입제로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 단독, 또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와 알킬암모늄염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로는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멜라민 포스페이트 등이 포함된다.
상기한 유기화 층상 점토광물(B성분)의 함량은 전체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의 중량 기준으로 1.0∼20중량%가 바람직하다. 유기화 층상 점토광물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물성향상에 대한 기여가 없고, 20중량% 초과시에는 단위입자들간의 뭉침현상이 크게 증가하여 나노미터 크기의 분산이 어렵고, 그에 따른 물성발현 효과도 크지 않다.
본 발명의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가 치환된 유기화 층상 점토광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예로는, 80℃의 뜨거운 물에 완전히 분산된 층상 점토광물 수용액에, 난연제 단독 또는 난연제와 알킬암모늄염이 함께 녹아 있는 염산을 함유하는 80℃의 뜨거운 수용액을 넣고 교반하여 침전시켜 제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매트릭스(C성분)는 용융지수가 1.0∼100g/10분이고, 결정성을 갖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용융지수가 1.0g/10분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반면, 용융지수가 100g/1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격강도가 급격히 저하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는 산화방지제, 핵제, 윤활제, 착색제, 이형제, 대전방지제, 안료와 같은 다양한 다른 부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임의의 부가제 및 이들의 사용량은 원하는 최종 용도,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따라 적절히 조정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의 아민기가 작용성화된 층상 점토광물과 무수 말레산기와 같은 관능기가 포함된 변성 폴리프로필렌과의 반응을 위해 용매를 사용한 용액반응과, 적절한 혼합기(예:압출기, 밴버리 혼합기)를 사용한 용융 혼련을 임의의 순서로 조작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적절한 불활성 용매로는 관능기를 갖는 변성 폴리올레핀을 녹이기 위해 탄화수소(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과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녹이기에 충분한 온도인 약 100~120℃ 범위에서 반응시킬 수 있으며, 높은 온도일수록 반응은 더욱 빠르다. 반응시간은 두 물질간 반응도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과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용액 혼합 또는 용융 혼합한 후 폴리올레핀 수지 매트릭스 성분을 첨가하여 용융 혼련한다.
본 발명에서 용융 혼련 공정시에는 중합체의 융점 이상인 온도에서 압출기, 벤버리형 혼합기 또는 브라벤더형 혼합기에 의한 기계적 전단법이 사용된다. 삽입된 난연제 등의 유기 이온물질 및 복합체의 용융물은 원하는 정도로 박리될 때까지 전단 혼합한다.
상기한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복합체에서 폴리프로필렌의 결정들 사이에 보다 많은 연결사슬(tie chains)들이 생겨날 수 있다는데 장점이 있다. 이들 연결사슬들은 폴리프로필렌 결정부위의 결정들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계면접착력을 증가시켜 응력(Stress) 또는 변형이 고분자에 가해질때 모듈러스와 인장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크랙(crack) 성장은 파열부분 양쪽 결정면들 사이에 있는 연결사슬들의 절단이 필요하기 때문에 연결사슬들의 상대적 양의 증가는 그 만큼 크랙 성장을 느리게 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들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의 실시예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이며, 비교실시예 1∼4는 본 발명과 비교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각 성분들의 함량과 제조된 복합체의 물성학적 특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의 실시예 1∼4와 비교예 1∼4에 사용된 각 성분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1) 폴리프로필렌: 용융지수(MI)가 5g/10분(230℃)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2) 몬트모릴로나이트(1): 옥타데실 암모늄 양이온과 난연제인 멜라민 포스페이트로 치환된 몬트모릴로나이트이다. 이 점토는 층간거리는 18Å이고, 서던 클레이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Southern Clay Products,Inc.,Texas)의 나트륨 몬트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이다.
3) 몬트모릴로나이트(2): 난연제인 멜라민 포스페이트로 치환된 몬트모릴로나이트로서 층간거리는 15Å이고, 서던 클레이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Southern Clay Products,Inc.,Texas)의 나트륨 몬트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이다.
4) 몬트모릴로나이트(3): 나트륨 몬트모릴로나이트로서 층간거리는 11Å이고, 서던 클레이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Southern Clay Products, Inc.,Texas)의 제품이다.
5) 변성 폴리프로필렌(1): 반응된 무수말레산을 폴리프로필렌 중량기준 2.0중량%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6) 변성 폴리프로필렌(2): 반응된 무수말레산을 폴리프로필렌 중량기준 0.1중량%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실시예 1∼3
하기 표 1의 성분 및 배합 비율로 먼저 약 100∼120℃의 크실렌 2,000ml에 일정량의 산화방지제를 포함하여 변성 폴리프로필렌(1) 150g을 완전히 녹인 후, 몬트모릴로나이트(1) 150g을 넣고 약 4시간 이상 세게 교반하였다. 다음, 상온에서 아세톤 3,000ml를 이용하여 침전시켰다. 이렇게 얻은 침전물을 100℃ 진공오븐에서 12시간 이상 건조시켜 유기 점토광물 표면에 말레이티드 폴리프로필렌이 커플링되어 아미드 화합물로 연결된 복합체를 얻었다. 이는 적외선 분광기(infrared spectroscopy)와 핵자기공명 분광기(NMR)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이렇게 얻은 유기 점토화합물 266g을 폴리프로필렌 1734g, 산화방지제 4g과 헨셀믹서로 드라이 블렌드 한 후, SW TEX44ALPHA 2축 혼련압출기에서 메인 호퍼에 한번에 모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점토 입자들의 분산성은 X-선 회절에 의해 시험편에 포함된 층상 점토광물의 층간거리를 측정하였고, 복합체중의 층상 점토입자들의 분산상태는 투과형 전자현미경(TEM)관찰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기계적 물성은 삼성클뢰크너 FCM-110(형체력 110톤)으로 사출하여 미국재료시험학회(ASTM) 규격에서 정하는 시편을 제작하고 굴곡탄성율, 열변형온도와 난연성 평가를 위해 한계산소지수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4
하기 표 1의 성분 및 배합 비율로 먼저 변성 폴리프로필렌(1) 1500g과 몬트모릴로나이트(1) 1500g을 드라이 브렌드하고, 니더 블렌더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하여 유기점토 화합물 마스터 뱃치를 얻었다. 이렇게 얻은 유기점토 화합물 266g을 폴리프로필렌 1734g, 첨가제와 헨셀믹서로 다시 드라이 블렌드 한 후, SW TEX44ALPHA 2축 혼련압출기에서 메인 호퍼에 한 번에 모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4
하기 표 1의 성분 및 배합 비율로 점토 광물인 몬트모릴로나이트 단독 또는 변성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여 폴리프로필렌, 첨가제를 동시에 헨셀믹서로 드라이 블렌드 한 후, SW TEX44ALPHA 2축 혼련압출기에서 메인 호퍼에 한번에 모두 투입하고 용융 혼련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각 복합체 시험편에서 층상 점토광물의 층간거리 및 분산상태 관찰조건은 다음과 같다.
1) X-선 회절법: 일본 리가꾸(주) RINT-2000을 이용하였고, 관찰시 CuKα(α=0.15나노미터)광선을 이용하였다.
2) 투과형 전자현미경(TEM): 시험편을 마이크로톰으로 자른 박편을 사산화루테늄으로 염색한 것을 이용하였고, 장치는 JEOL 2000EX를 이용하였고 관찰시의 가속전압은 100kV로 하였다. 여기서, 관찰결과는 O, X로 나누어 평가하였고, O는 분산성 양호로 육안으로 층상 점토광물 입자가 보여지지 않고 층상 점토광물의 본래의 층간거리와 비교해 10이상의 층간거리 확대가 보여지고, 또한 투과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 층상 점토광물의 분산성이 양호한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X는 분산성 불량으로 육안으로 층상 점토광물의 입자가 보여지고 층상 점토광물의 본래의 층간거리와 비교해 10이하의 층간 거리 확대가 보여지고, 또한 투과형 전자현미경 관찰에 있어 층상점토 광물이 응집되어 있어 분산성이 불량한 것을 의미한다.
각 시험물성별 시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1) 굴곡탄성율
미국재료시험학회(ASTM) D790에 의거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2) 열변형온도
미국재료시험학회(ASTM) D648에 의거하여 저하중(4.6KG)하에서 측정하였다.
난연성 평가 시험조건은 다음과 같다.
1) 한계 산소지수(LOI; Limiting oxygen index)
미국재료시험학회(ASTM) D2863에 의거하여 산소와 질소 혼합가스를 흘림으로써 불꽃 연소를 위해 필요로 되는 최소 산소 농도 즉, 산소 지수를 측정하였다.
표 1.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조성(중량%) 폴리프로필렌 86.6 86.6 79.9 86.6 100 93.3 94.6 79.9
몬트모릴로나이트(1) 6.7 6.7 6.7
몬트모릴로나이트(2) 6.7 6.7 6.7
몬트모릴로나이트(3) 5.4
변성 폴리프로필렌(1) 6.7 6.7 13.4 6.7
변성 폴리프로필렌(2) 13.4
분산성 층간거리(Å) 55 48 58 42 15 12 20
분산상태 O O O O - X X X
기계적물성 굴곡탄성율(MPa) 2,270 2,150 2,440 2,180 1,360 1,760 1.720 1,890
열변형온도(℃) 120 119 122 119 105 108 107 106
난연성 한계산소지수(LOI) 22.3 23.0 21.9 22.1 17.5 19.9 18.4 19.8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가 비교예 1~4에 비하여 분산성 측면에서 유기점토 층간거리가 훨씬 넓으며 분산상태 또한 모두 양호하였다. 기계적 물성면에서는 내열성을 나타내는 열변형 온도가 높고, 굴곡강도가 크며, 한계 산소지수 즉, 난연성이 비교예 1∼4와 비교하여 모두 우수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는 난연제가 치환 결합된 층상 구조의 점토광물을 폴리프로필렌 기본 단위로 박리하여 고분자 수지에 분산시킴으로써 고분자 수지의 물성, 내열성 뿐 아니라 난연성 등이 우수하고 그에 따라 제품의 박막화, 결량화, 난연화가 가능하여 자동차, 산업자재, 전기전자 등 전반에 걸쳐 기존 소재들의 대체가 가능하다.

Claims (8)

  1. 관능기를 함유한 변성 폴리프로필렌(A성분) 1∼30중량%와 상기 A성분의 관능기와 화학 결합한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 단독 또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와 알킬암모늄 화합물로 유기화된 층상 점토광물(B 성분) 1∼20중량% 및 상기 A성분 및 B성분이 분산되어지는 폴리올레핀 수지 매트릭스(C성분) 50∼98중량%로 된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성분의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프로필렌/α-올레핀 비공역 디엔화합물 공중합체를 불포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에 의하여 변성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는 무수말레산, 무수이타콘산, 무수디트라콘산, 수산,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카르복실산 에테르, 또는 티오카르복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의 양은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0.10∼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상 점토광물은 몬트모릴로나이트, 헥토라이트, 사포나이트, 논트로나이트, 베이델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또는 하로이사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는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또는 멜라민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성분이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8. 먼저 관능기를 함유한 변성 폴리프로필렌(A성분)과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 단독 또는 아민계 비할로겐 난연제와 알킬암모늄 화합물(B성분)을 적절한 불활성 용매를 사용하거나, 또는 전단력을 수반하여 용융 혼합한 후, 폴리올레핀 수지 매트릭스(C성분)를 전단력을 수반하여 용융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의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0-0040961A 2000-07-18 2000-07-18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KR100371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61A KR100371232B1 (ko) 2000-07-18 2000-07-18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AU2001271114A AU2001271114A1 (en) 2000-07-18 2001-07-18 Polypropylene-clay composite having excellent flame-resistan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PCT/KR2001/001224 WO2002006388A1 (en) 2000-07-18 2001-07-18 Polypropylene-clay composite having excellent flame-resistance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0961A KR100371232B1 (ko) 2000-07-18 2000-07-18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588A true KR20020007588A (ko) 2002-01-29
KR100371232B1 KR100371232B1 (ko) 2003-02-06

Family

ID=1967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0961A KR100371232B1 (ko) 2000-07-18 2000-07-18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71232B1 (ko)
AU (1) AU2001271114A1 (ko)
WO (1) WO2002006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30B1 (ko) * 2002-05-29 2004-11-18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Epdm 고무/층상점토광물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의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04935A (zh) * 2001-06-22 2005-04-06 出光兴产株式会社 复合树脂组合物、树脂发泡体及其制造方法
KR100394905B1 (ko) * 2001-06-25 2003-08-19 제일모직주식회사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NL1021222C2 (nl) * 2002-08-06 2004-02-10 Tno Brandwerende polymeersamenstelling.
KR20070085641A (ko) * 2004-12-01 2007-08-27 아크조 노벨 엔.브이. 전하-균형 유기성 이온을 포함하는 클레이 및 이를포함하는 나노 복합 물질
CA2637405A1 (en) * 2006-02-10 2007-08-23 Euracli Modified clays, method of obtaining them, and applications
FR2897352B1 (fr) * 2006-02-10 2008-04-18 Euracli Sarl Argiles modifiees, procede d'obtention et application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68852A (en) * 1977-11-10 1979-06-02 Idemitsu Kosan Co Ltd Resin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JP3344785B2 (ja) * 1993-10-04 2002-11-18 昭和電工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U705183B2 (en) * 1995-06-23 1999-05-20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olymer nanocomposite formation by emulsion synthesis
WO1997031053A1 (en) * 1996-02-23 1997-08-28 The Dow Chemical Company Dispersions of delaminated particles in polymer foams
US5962553A (en) * 1996-09-03 1999-10-05 Raychem Corporation Organoclay-polymer composites
JP3489411B2 (ja) * 1996-11-06 2004-01-19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粘土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3497369B2 (ja) * 1998-02-12 2004-02-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JP2000109705A (ja) * 1998-10-02 2000-04-18 Tokuyama Corp 難燃性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130B1 (ko) * 2002-05-29 2004-11-18 주식회사 아이엔씨테크 Epdm 고무/층상점토광물로 이루어진 나노 복합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06388A1 (en) 2002-01-24
AU2001271114A1 (en) 2002-01-30
KR100371232B1 (ko) 200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2868B2 (en) Intercalates formed with polypropylene/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intercalants
US6462122B1 (en) Intercalates formed with polypropylene/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intercalants
US6117932A (en) Resin composite
EP0598836B1 (en) Melt process formation of polymer nanocomposite of exfoliated layered material
Shah et al. Nanocomposites from poly (ethylene-co-methacrylic acid) ionomers: effect of surfactant structure on morphology and properties
US6271297B1 (en) General approach to nanocomposite preparation
Chieng et al. Effect of organo-modified montmorillonite on poly (butylene succinate)/poly (butylene adipate-co-terephthalate) nanocomposites
KR20020002786A (ko)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204097A (zh) 一种增强聚烯烃复合材料
KR100371232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유기점토 복합체 및 이의제조방법
JPH10182892A (ja) 粘土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Boucard et al. Processing of polypropylene‐clay hybrids
WO2004033549A1 (en)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nanofillers
Uwa et al. Effect of cloisite® 20A reinforced polypropylene nanocomposite for thermal insulation
US7446143B2 (en) Intercalates, exfoliates and concentrates thereof formed with protonated, non-carboxylic swelling agent and nylon intercalants polymerized in-situ via ring-opening polymerization
EP2074156B1 (en) Compatibilizers for producing nanocomposites, microcomposites and polymer blends and process for obtaining them.
KR100529365B1 (ko) 폴리프로필렌-층상구조점토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EP2294008B1 (en) Method for exfoliating organoclay to produce a nanocomposite
WO2002094920A2 (en) Hydrogenated resin modified polyolefin nanocomposite
Passador et al. Influence of blending protocol on the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DPE/LLDPE blend-based nanocomposites
JP4865941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52132B1 (ko) 상용성이 우수한 나일론/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혼합물
JP2002121397A (ja) 樹脂−層状珪酸塩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Herrero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oplastic vulcanizates-organoclay nanocomposites
LI et al. VERFAHREN ZUR SCHÄLUNG VON ORGANISCHEM TON ZUR HERSTELLUNG EINES NANOVERBUNDSTOFFS PROCÉDÉ POUR L’EXFOLIATION D’ARGILE ORGANIQUE POUR PRODUIRE UN NANOCOMPO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