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756A -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 Google Patents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756A
KR20020005756A KR1020017014844A KR20017014844A KR20020005756A KR 20020005756 A KR20020005756 A KR 20020005756A KR 1020017014844 A KR1020017014844 A KR 1020017014844A KR 20017014844 A KR20017014844 A KR 20017014844A KR 20020005756 A KR20020005756 A KR 20020005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generating
chamber
generating chamber
gas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4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유키 가츠다
요시히로 나카시마
마사유키 야마자키
Original Assignee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296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7367B2/ja
Application filed by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다이셀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고지마 아끼로, 오가와 다이스께
Publication of KR2002000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7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 B60R2021/2633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a variable source, e.g. plural stage or controlled output with a plurality of inflation lev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에어백의 팽창성이 더 개선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제공한다.
가압매질이 고압 충전된 하우징(102) 내의 가스발생기가 제1가스발생실 (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을 갖고,2개의 가스발생실로부터 따로따로 고온 연소가스를 발생시키므로써,에어백의 팽창속도 등이 더 개선된다.

Description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MULTI-STAGE EXPANSION TYPE HYBRID INFLATOR}
자동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용의 인플레이터의 발전에 따라, 가압가스와 고형가스 발생제를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가 주목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주된 설계요건은 에어백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소정의 시간에서 소정의 양만큼 팽창시키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고, 종래 그 구조에 관해서여러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8-282427호 공보 참조).
이러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 자동차량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동차량의 중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플레이터의 중량 및 치수가 중요한 설계요건으로 된다. 더욱이 인플레이터의 제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인플레이터로부터의 가스의 누설의 염려가 없고, 연소가스중의 유독가스량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미국특허3,773,353, 동 3,868,124에는 2개의 가스발생실을 구비한 인플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는데, 어느 경우에도 2개의 가스발생실은 인플레이터의 작동전에 있어서 상압(常壓)이고, 인플레이터내에는 산소가스도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용화에 있어서는 안정된 연소의 확보나 연소가스의 안전성 등의 많은 개선점이 있다.
또 미국특허 제 5,351,988호에도 2개의 가스발생실을 구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는데, 일방의 가스발생실은 인플레이터 하우징 밖에서, 또한 상압으로 유지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는 가스발생실이 1개의 싱글형의 것, 가스발생실이 2개의 듀얼형의 것이 있는데, 싱글형의 것은 약량(가스발생제량) 조절용으로 리테이너가 사용되고, 듀얼형의 것은 약량 조절용 및 2개의 가스발생실의 분리용으로 리테이너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에는 상기한 약량 조절기능이나 2개의 가스발생실의 분리기능이 요구되는데, 특히 듀얼형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는, 2개의 가스발생실의 분리기능이 중요하게 된다. 즉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정상으로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제 1 가스발생실내의 제 1 가스발생제가 연소할 때, 고온의 연소가스가 제 2 가스발생실내로 유입되어 제 2 가스발생제를 연소시키는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기능을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리테이너의 부착작업이 용이한 것도 공업상 중요한 요건으로 된다.
본 발명은 자동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백을 신속히 팽창시킬 수 있고, 게다가 연소가스중의 유독가스 등의 함유량을 감소화할 수 있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그것을 사용한 가스발생기 및 상기 가스발생기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에어백 시스템에 관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1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collar)와 2개의 이니시에이터를 포함하는 점화수단이 단일부재로 된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0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변형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및 가스발생기의 길이방향으로의
개략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및 가스발생기의 다른 실시형태의
길이방향으로의 개략단면도,
도 10은 도 9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의 사시도, 및
도 11은 도 9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인플레이터의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에어백을 신속히 팽창시키고, 또한 연소가스중의 유독가스 등의 함유량을 감소화할 수 있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로서 사용한 경우에, 약량조절기능 및/또는 가스발생실의 분리기능을 가지고 있고, 동시에 가스발생기에 리테이너를 부착할 때의 작업성도 양호한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사용한 가스발생기 및 상기 가스발생기를 사용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에 2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가 고정되어 단일부재로 된 점화수단(点火手段)을 갖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납된 가스발생기와, 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불활성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加壓媒質)이 충전되고, 가스발생기가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을 갖는 것인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수납된 가스발생기와, 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불활성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이 충전되어 있고, 가스발생기가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을 갖는 것이며, 더욱이 작동전에 외부로의 배출구에 이르는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주폐쇄수단과, 작동시에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파괴수단이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내압의 상승에 의한 것 또는 전기적수단인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의 배치상태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또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이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또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인플레이터 하우징의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 작동전에 있어서는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충전된 가압매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가압매질의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이동경로의 원하는 부위에, 가압매질의 이동을 차단하는 주폐쇄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시에 있어서,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여 가스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파괴수단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괴수단은 상기 이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파괴수단으로서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내압의 상승에 의한 것 및/또는 전기적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내압의 상승에 의한 파괴수단은 가스발생실내의 가스발생수단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고온가스에 의한 내압의 상승만으로 주폐쇄수단을 파괴하는 것이다. 전기적 수단에 의한 파괴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주폐쇄수단의 근방, 바람직하게는 주폐쇄수단에 대향 또한 근접시켜서 설치된 전기식 점화기를 작동시켜서 파괴하는 수단을 적용할 수 있고, 이 때, 필요에 따라서 부스터(booster)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한 어느 파괴수단을 사용할 경우에도, 주폐쇄수단을 확실히 파괴하여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폐쇄수단의 크기나 강도 등을 결정한다.
또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 가스발생기와, 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이 충전되고, 가스발생기가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 작동전에 있어서 외부로의 배출구에 이르는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주폐쇄수단과, 작동시에 있어서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기 위한 발사체를 가지고 있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의 배치상태를 적당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는것 또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이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하여 또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작동시에 있어서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기 위한 압력을 이용한 발사체의 선단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의 가압매질이 충전된 공간과 동일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 작동전에 있어서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충전된 가압매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가압매질의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이동경로의 원하는 부위에, 가압매질의 이동을 차단하는 주폐쇄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시에 있어서는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고, 가스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파괴수단으로서, 압력을 이용한 발사체, 즉 주폐쇄수단에 발사체를 충돌시키므로써 이로 인한 파괴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발사체의 선단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의 가압매질이 충전된 공간과 동일한 공간에 위치되어 있다. 이 발사체의 형상, 강도, 중량 등은, 주폐쇄수단을 확실히 파괴하여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폐쇄수단의 크기나 강도 등을 고려해서 결정한다. 또 발사체의 충돌에 의한 주폐쇄수단의 파괴를 확실히 행하기 위해 발사체를 주폐쇄수단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작동시에 있어서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기 위한 압력을 이용하여 발사체의 선단부가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의 가압매질이 충전된 공간과는 상이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 작동전에 있어서는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충전된 가압매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가압매질의 배출구에 이르는 가스 이동경로의 원하는 부위에, 가압매질의 이동을 차단하는 주폐쇄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작동시에 있어서는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고, 가스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파괴수단으로서, 압력을 이용한 발사체, 즉 주폐쇄수단에 발사체를 충돌시키므로써 이로 인한 파괴수단을 사용하고 있다. 이 발사체의 선단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의 가압매질이 충전된 공간(가스발생기나 점화수단실이 설치된 공간부분은 제외한다. 여기서는 「대공간」이라고 한다)과는 상이한 공간(여기서는 「소공간」이라고 하며 당연히 대공간>소공간의 용적관계를 가진다)에 위치하고 있다. 이 소공간은 예를 들면 통형상부재로 형성할 수 있고, 대공간과 소공간은 소요수의 작은 구멍(가스 유입구멍)만에 위해서연통되어 있다. 발사체의 형상, 강도, 중량 등은 주폐쇄수단을 확실히 파괴하여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주폐쇄수단의 크기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가스발생기용으로서 적합하고, 가스발생기의 가스발생실이 1개의 싱글형의 것, 가스발생실이 2개의 듀얼형의 것, 가스발생실이 3개 이상의 것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이고, 상기 리테이너가 일단면이 폐색되고 타단면이 개구된 통형상물로 이루어지는 것인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는 측벽의 길이가 동일 또는 부분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가 일방의 측벽의 길이가 타방의 대향하는 측벽의 길이보다도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벽의 길이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가스발생실의 형상 등의 상태에 따라 원하는 분리기능 및/또는 약량조절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가 1 또는 2 이상의 가스 발생실내에 배치된 가스발생기이고, 리테이너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 폐색단면(閉塞端面)에 의해 가스발생실이 길이방향으로 2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는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이때의 분리상태는 리테이너에 의해 분리된 가스발생실 상호간에서 화염이 전파하지 않도록 분리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하에 있어서, 이와 같은 분리상태를 「화염방지상태」라고 칭한다. 또한 리테이너가 화염방지상태로 분리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동시에 가스발생제의 유지 및/또는 약량 조정기능도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가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내에 배치된 가스발생기이고, 리테이너가 가스발생제의 유지용 및/또는 약량조정용으로서 배치된 것으로, 리테이너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 폐색단면에 의해 가스발생실의 용적이 조정되어 있는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리테이너는 가스발생제의 유지용 및/또는 약량 조정작용을 이루기 위하여 배치된 것으로, 리테이너를 길이방향으로 적당히 이동배치하여 가스발생실의 용적을 조정함으로써 상기한 작용을 이룰 수 있다.
상기 가스발생기에 있어서는, 2 이상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개구면측이 동일방향으로 되도록 해서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이고, 상기 리테이너가, 일 단면이 폐색되고 타단면이 개구된 대구경 통형상물과, 상기 통형상물과 일체로 그 내측에 또한 개구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양 단면이 개구된 소구경 통형상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제공한다.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는 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의 길이와 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의 길이가 동일 또는 상이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는 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의 길이가 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의 길이보다도 긴 것 또는 짧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구경 통형상물과 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의 길이를 적당히 조절함으로써, 가스발생실의 형상 등의 상태에 따라, 원하는 분리기능 및/또는 약량 조정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가 배치된, 전화수단실(傳火手段室)의 주위에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이고, 리테이너가 소구경 통형상물의 개구부에 있어서 전화수단실에 끼워 넣어져서 부착되어 있고, 리테이너의 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 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내면이 전화수단실 외벽면에 접하고 있으며, 폐색단면에 의해 가스발생실이 길이방향으로 2 이상으로 화염방지상태로 분리되어 있는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가 배치된, 전화수단실의 주위에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이고, 리테이너가 가스발생제의 유지용 및/또는 약량 조정용으로서 배치된 것이며, 리테이너가 소구경 통형상물의 개구부에 있어서 전화수단실에 끼워 넣어져서 부착되어 있고, 리테이너의 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 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 내면이 전화수단실 외벽면에 접하고 있으며, 가스발생실의 용적이 조정되어 있는 가스발생기를 제공한다.
상기의 가스발생기에 있어서, 2 이상의 리테이너를 개구면측이 동일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들의 2 이상의 리테이너는 동일사양(동일 형상, 치수, 재질 등)이라도 좋고, 상이한 사양이라도 좋은데, 동일사양 쪽이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시간도 단축되며, 더욱 조립공정도 효율화 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 가스발생기와, 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을 구비한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용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이고, 상기 가스발생기가 상기 가스발생기인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 가스발생기가,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된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을 때.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 사이를 화염방지상태로 분리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개구면을 제 1 가스발생실측을 향해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면을 제 1 가스발생실측을 향해서 배치함으로써, 즉, 폐색단면을 제 2 가스발생실측을 향해서 배치함으로써, 제 1 가스발생실내의 제 1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한 압력을 리테이너의 개구부가 받았을 때, 리테이너는 측벽부분을 외측으로 눌러 확대하는 변형을 한다. 이 때문에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의 화염방지상태는 유지되므로, 제 1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제 2 가스발생제가 연소해서 오작동이 생기는 일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은 인플레이터 하우징과,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납된 가스발생기와, 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을 포함하는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불활성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이 충전되고, 가스발생기가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 1 가스발생실과 제 2 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점화수단이 1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내에 2개의 이니시에이터가 고정된 것인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제공한다.
이 발명에서 점화수단은 미리 이니시에이터 칼라의 내부형상을 2개의 이니시에이터의 외부형상과 일치시켜 놓고, 상기 이니시에이터 칼라에 2개의 이니시에이터를 끼워 넣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1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내에 2개의 이니시에이터가 고정된 점화수단으로 함으로써, 이니시에이터 칼라와 2개의 이니시에터가 단일부재로 되기 때문에 인플레이터 하우징으로의 점화수단의 부착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더욱이 1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내에 수지에 의해 2개의 이니시에이터가 고정되어 단일부재로 된 점화수단으로 함으로써, 점화수단의 조립과 인플레이터 하우징으로의 점화수단의 부착공정이 용이하게 된다. 이 발명의 경우는 이니시에이터 칼라의 내부형상과 2개의 이니시에이터의 외부형상을 일치시켜 놓을 필요는 없다.
상기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는, 하기와 같이 제 1 가스발생실에 수용하는 제 1 가스발생제와 제 2 가스발생실에 수용되는 제 2 가스발생제(가스발생수단) 또는 가스발생실이 1개의 경우에 수용되는 가스발생제(가스발생수단)는, 인플레이터 하우징내에 충전되는 가압매질의 조성과의 관련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압매질은 산소와, 아르곤, 헬륨 등의 불활성가스(본 발명에서는 질소도 불활성가스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로 이루어지는 조성으로 한 경우, 산소는 가스발생수단으로서의 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생긴 일산화탄소나 수소를 이산화탄소나수증기로 변환하도록 작용하고, 아르곤은 가압매질의 열팽창을 촉진하도록 작용하고, 헬륨을 함유시켜 놓으면 가압매질의 누출의 검출이 용이하게 되므로, 불량품의 유통이 방지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가압매질의 충전압력(=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의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10,000∼70,000kPa,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00∼60,000 kPa 이다. 또한, 가압매질은 산소를 함유하더라도 함유하고 있지 않더라도 좋고,산소를 함유한 경우는 최대로 30몰%가 바람직하다.
제1가스발생실에 수용되는 제1가스발생제와, 제2 가스발생실에 수용되는 제2가스발생제는, 예를 들면, 건 프로펠런트(gun propellant)를 이용할 수 있다. 건 프로펠런트로서는 싱글베이스 건 프로펠런트, 더블베이스 건 프로펠런트, 트리플베이스 건 프로펠런트 외에, 2차폭약, 결합제, 가소제, 안정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혼합하고,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2차 폭약으로서는, 헥사히드로트리니트로트리아진(RDX),시클로테트라메틸렌테트라니트라민(HMX),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니트레이트레이트(PETN), 트리아미노구아니딘니트레이트(TAGN)등을 들 수 있다.예를 들면,2차 폭약으로서 RDX를 사용하고, 산소가 없는 분위기 중, 20,670kPa의 압력하,연소온도 3348K로 연소시킨 경우, 연소가스 중의 생성가스는 mole%로 질소 33%, 일산화탄소 25%, 수증기 23%, 이산화탄소 8% 및 다른 가스성분으로 된다.
결합제로서는, 셀룰로스아세테이트, 셀룰로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셀룰로스아세테이트프로피올레이트,에틸셀룰로스, 폴리아세트산비닐,아디드폴리마,폴리부타디엔,수소화폴리부타디엔,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고;가소제로서는, 트리메틸올에탄트리니트레이트,부탄트리올트리니트레이트,니트로글리세린,비스(2,2-디니트로프로필)아세탈/포르말, 글리시딜아지드,아세틸트리에틸시트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안정제는,에틸센트랄릿,디페닐아민,레조르시놀 등을 들 수 있다.
2차 폭약과 결합제,가소제 및 안정제와의 비율은,2차폭약이 약 50∼90 중량%,결합제,가소제 및 안정제의 합계량이 약 10∼5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한 조성의 가스발생제는, 상압하에서는 연소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와 같이 내부가 미리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안정되고 또한 원활히 연소시키는 것이 가능한다.
그 밖에,제1가스발생실에 수용되는 제1가스발생제와, 제2가스발생실에 수용되는 제2가스발생제는, 예를 들면,연료 및 산화제 또는 연료, 산화제 및 슬래그 형성제를 포함하는 것을, 필요에 따라 결합제와 함께 혼합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 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이와 같은 가스 발생제를 사용한 경우는, 그 연소에 의 해 발생되는 가스를, 가압매질과 함께 에어백의 팽창전개에 이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슬래그 형성제를 포함하는 가스발생제를 사용한 경우는, 인플레이터로부터 배출되는 미스트의 양을 대폭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연료로서는, 니트로구아니딘(NQ), 구아니딘질산염(GN), 구아니딘탄산염, 아미노니트로구아니딘, 아미노구아니딘질산염, 아미노구아니딘탄산염, 디아미노구아니딘질산염, 디아미노구아니딘탄산염, 트리아미노구아니딘질산염 등의 구아니딘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되는1 또는 2 이상이 바람직하다.또 연료로서,테트라졸 및 테트라졸 유도체 등에서 선택되는1 또는 2 이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산화제로서는, 질산스트론튬, 질산칼륨, 질산암모늄, 과염소산칼륨, 산화동, 산화철, 염기성질산동 등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이 바람직하다. 산화제의 배합량은, 연료 100중량부에 대하여,바람직하게는 10∼8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50중량부이다.
슬래그 형성제로서는, 산성백토, 활석, 벤토나이트, 규조토, 카올린, 실리카, 알루미나, 규산나트륨, 질화규소, 탄화규소, 히드로탈사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이 바람직하다. 슬래그 형성제의 배합량은, 연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5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부이다.
결합제로서는, 칼복실메틸셀룰로스의 나트륨염,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전분, 폴리비닐알코올, 구아고무,미결정성셀룰로스, 폴리아크릴아미드, 스테아린산칼슘 등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이상이 바람직하다. 결합제의 배합량은 연료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3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3∼10중량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충격센서 및 컨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신호 출력수단과, 케이스내에 상기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수용된 모듈케이스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으로서,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가스발생기」는, 가스발생기 하우징(가스발생실)내에 존재하는 가스발생수단(가스발생제)의 연소에 의해 고온의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고,상기 고온의 연소가스를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로 유출시키는 가스 발생기능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또,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상기 가스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상 기재된 구조상의 요건 및 기능은 2개 이상을 조합시켜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 2개의 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으므로써,차량 충돌시에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보다 원활히 하며 또한 확실하게 하여,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또,내부가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가스발생제의 연소가 안정화된다.또,가스발생실을 2개로 한 경우에도,그들의 배치관계를 조정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자체의 용량 및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사용한 가스발생기를 편입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오작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고,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1)실시형태 1,2
이하,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에 의하여,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도 1은,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고,도 2는, 다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20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 통형상의 내압성 용기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103)에는 가압매질이 충전되며,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다. 가압매질은통상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일단측에 접속된 보스(145)에 형성된 세공(細孔)(107)으로부터 충전되고,상기 세공은 가압매질의 충전후에 실링 핀(109)에 의해 폐쇄된다.
가스발생기(108)는,통형상의 가스발생기 하우징(105),격벽(106) 및 약량 조정기능도 갖는 격벽(126)으로 형성되는 제1가스발생실(120)과,가스발생기 하우징(105),격벽(126) 및 보스(145)에 의해 형성되는 제2가스발생실(130)을 가지고 있다.가스발생기(108)는,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에 배치되고,그 길이 방향의 일단부에 있어,보스(145)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제1가스발생실(120)의 내부에는,소요량의 제1가스발생제(124)가 충전되어 있고,제1가스발생실(12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제1가스발생실(120)에는 부스터 컵으로 충전된 부스터제(전화약)(112)로 이루어지는 전화수단이 접속되고, 또한 제1폐쇄수단으로서의 제1파열판(119)을 통해서 제1의 점화기(117)가 접속되어 있다.
제2가스발생실(130)의 내부에는,소요량의 제2가스발생제(134)가 충전되어 있고,제2가스발생실(13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제2가스발생실(130)에는 제2폐쇄수단으로서의 제2파열판(139)을 통하여 제2의 점화기(140)가 접속되어 있다.
또,상기와 같이,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은, 각각에 있어 제1가스발생제(124)와 제2가스발생제(134)가 연소하여 발생된 가스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에 유입되는 경로가 독립된 경로로 되어 있다.즉, 제1가스발생실(120)에서 발생된 가스는,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되고,제2가스발생실(130)에서 발생된 가스는 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된다.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의 배치순서는 역의 순서이라도 좋다.
제2가스발생제(134)의 양은,제1가스발생제(124)와 동량 또는 제1가스발생제(124)의 양보다도 많게 하거나 적게 하거나 할 수 있고,크기,형상 및 조성은 동일이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또,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의 용적은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상기와 같이,제1가스발생실(12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고,또한 제2가스발생실(13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제1가스발생실(120) 및 제2가스발생실(130)은,모두 고압,즉 인플레이터 하우징 (102) 내부(내부공간(103))와 동일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보스(145)내에는 점화수단실(114)이 형성되고,제1점화실(115)에는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가 수용되며,제2점화실(141)에는 제 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가 수용되어 있고,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는,이니시에이터 칼라(143)에 고정되고,보스(145)에 부착되어 있다.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는,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설치되어 있다.
제1점화실(115)과 제1가스발생실(120)은,제1연통구멍(113)을 통하여 연통되고,또한 제1점화수단의 작동전에는 제1연통구멍(113)은 제1폐쇄수단인 제1파열판(119)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제2점화실(141)과 제2가스발생실(130)은,제2연통구멍(133)을 통하여 연통되고,또한 점화수단의 작동전에는 제2연통구멍(133)은 제2폐쇄수단인 제2파열판(139)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타단측에는,디퓨저(180)가 접속되어 있고,디퓨저(180)는,에어백에 가압매질을 송입하기 위한 복수의 디퓨저 포트(182),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디퓨저 스크린(186)을 갖고 있다.디퓨저(180)의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내부측에는,주폐쇄수단으로서의 주파열판(178)이 형성되고, 외표면측에는 에어백 모듈과 접속하기 위한 스터드볼트(190)가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주파열판(178)은 작동시에 있어서 내부공간(103)의 내압의 상승에 의해 파괴되는 것이다.
다음에,도 2에 근거하여,다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2 0 0)에 관하여 설명한다.도 2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200)는,도 1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와는 2개의 가스발생실의 배치구조가 상이한 것뿐이므로,동일한 부재에 관해서는 도1과 동일한 번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은,하우징(102)내에서,전화수단실(210)을 끼고 폭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을 합친 폭방향의 단면형상은 도넛형상으로 되고,도넛의 구멍의 부분에 전화수단실(210)이 위치하고,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은,도넛을 동일 또는 상이한 용적에 2분할 한 형상으로 된다.
전화수단실(210)은,통형상의 하우징(212)으로 형성되어 있고,부스터제(전화약)(112)가 충전된 부스터 컵과 제1폐쇄수단으로서의 제1파열판(119)을 통하여,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에 연결되어 있다.전화수단실(210)은 ,구멍(214)에 의해 제 1 가스발생실(120)과만 연통되어 있으므로,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가 작동점화 하여, 부스터제(112)가 착화 연소했을 때,제1가스
발생실(120)내의 제1가스발생제(124)만이 연소한다.
제1가스발생실(12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공간(103))은, 스크린
(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에 의하여 연통되고, 제 2 가스발생실(13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공간 (103))은,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연통구멍(125)과 연통구멍(135)은,폭방향으로 반대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도1을 참조하면서,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에 고압 충전된 가압매질은,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작동전에 있어,각각 연통구멍(125 및 135)에 연통된 제1가스발생실(120) 및 제2가스발생실(130)내에 유입되어 있고,그들을 고압으로 또한 등압으로 유지하고 있다.
차량이 충돌시,작동신호 출력수단에 의하여,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가 작동점화되고, 제1파열판(119)을 깨고 부스터제(112)를 착화 연소시켜,고온의부스터가스를 발생시킨다.이 고온의 부스터가스는 제1가스발생실(120) 내에 유입되고,제 1 가스발생제(124)를 착화 연소시켜서,소정량(제1가스발생제(124)의 충전량에 맞는 양)의 고온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이 때,제1가스발생실(120)은,가압매질이 충전된 내부공간(103)과 연통되어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제 1 가스발생제(124)의 연소는 안정되어 있다. 또한,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이 격벽(126)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것과,각각의 연통구멍(125)과 연통구멍(135)과의 배치상태에 의하여,제 1 가스발생제(124)의 연소에 의하여 제2가스발생제(134)가 착화 연소되는 일은 없다.
그 후,이 고온 연소가스가 연통구멍(125)으로부터 유입되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의 압력을 높이고,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 주폐쇄수단인 주파열판(178)이 파열되므로,가압매질은 디퓨저 스크린(186)을 거쳐서,디퓨저 포트(182)로부터 분사되고,에어백 모듈에 부착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또한,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약간 지연되어,작동신호 출력수단에 의하여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가 작동점화되고, 제 2 파열판(139)을 깨고 제2가스발생실(130)내의 제2가스발생제(134)를 착화 연소시켜,소정량(제2가스발생제 (134)의 충전량에 맞는 양)의 고온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이 때,제2가스발생실(130)은 가압매질이 충전된 내부공간(103)과 연통하여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 2 가스발생제(134)의 연소는 안정되고 있다.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의 작동시간의 차이(이하「작동시간차」라고 한다)는,승무원 보호를 보다 적절하게 하기 위해,에어백 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이 받은 충격의 정도에 관련되어 설정된다.차량이 작은 충격을 받은 경우는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만을 작동시키고(즉 제1가스발생제(124)만을 착화 연소시켜),차량이 중 정도의 충격을 받은 경우는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를 작동시킨(즉,제 1 가스발생제(124)를 착화 연소시킨)후,약간 지연되어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를 작동시키고(즉,제 2 가스발생제(134)를 착화 연소시키고), 차량이 큰 충격을 받은 경우는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를 동시에 작동시킨다(즉,제 1 가스발생제(124)와 제2가스발생제(134)를 동시에 착화 연소시킨다).실용적으로는 작은 충격으로부터 큰 충격까지 대처하기 위해, 작동시간차는 0∼50msec 정도로 된다.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가 작동한 경우,제2가스발생제(134)의 연소에 의해 생긴 고온 연소가스는 연통구멍(13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로 유입되어 압력을 높이고,잔부의 가압매질과 함께 디퓨저 포트(182)로부터 분사되고,또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이와 같이 차량이 받는 충격의 정도에 따라서 2단계로 연소가스를 발생시킨 경우는,제 1 가스발생제(124)의 연소에 의하여,차량의 충돌시에 있어서 에어백 팽창동작의 개시지연을 방지함과 동시에,제2가스발생제(134)의 연소에 의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의 가압매질을 완전히 배출하여,안전상 충분한 정도로까지 에어백을 순간에 팽창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이 작은 충격을 받아서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만이 작동한 경우,후에 에어백 시스템을 회수할 때의 안전확보의 관점에서,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의 작동으로부터 100msec 정도 경과한 시점에서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를 작동시켜,미 연소의 제 2 가스발생제(134)를 연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는,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의 작동에 의한 제 1 가스발생제(124)의 착화연소로부터 0∼120msec 정도의 시간차 내에서,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가 작동한 경우를 제외하고 제2가스발생제(130)가 착화하는 일은 없다.
또,2개의 가스발생실을 갖고 있으므로,제1가스발생실(120)만으로부터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거나,제1및 제1가스발생실(120, 130)로부터 동시에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거나,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에 있어서 연소가스 발생시간을 원하는 간격으로 적당히 조정하는 것 같은 실시형태에도 대응할 수 있다.
(2)실시형태 3,4
다음에,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에 의하여,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도 3은,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한 실시형태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고,도 4는,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다른 실시형태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도 3에 근거하여,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를 설명한다.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 통형상의 내압성 용기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103)에는 가압매질이 충전되어,고압으로 유지되어 있다.가압매질은,통상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일단측에 접속된 보스(145)에 형성된 세공(107)으로부터 충전되고,상기 세공은 가압매질의 충전후에 실링 핀(109)에 의해 폐쇄된다.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디퓨저(180) 측의 단부 근방을 제외한 잔부 외형을 균일직경의 형상(잘록함 등이 없는 편평한 외형)으로 할 수 있다.
가스발생기(108)는,전화수단실(110),그 주위에서,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된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을 갖고 있다.이 가스발생기(108)는,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에 배치되어,그 길이방향의 일단에서,보스(145)에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전화수단실(110)은 통형상의 하우징(111)으로 형성되어 있고,부스터제(전화약)(112)가 충전된 부스터 컵(116)과 제1폐쇄수단으로서의 제1파열판(119)에 의해 폐쇄된 제1연통구멍(113)을 통하여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에 연결되어 있다.전화수단실(110)은,연통구멍(118)에 의해 제1가스발생실(120)과 연통되어 있다.
제1가스발생실(120)은,전화수단실(11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통형상의 하우징(105), 전화수단실(110)의 하우징(111), 제 1 격벽(126) 및 제 2 격벽(136)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소요량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의 제 1 가스발생제(124)가 수용되어 있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 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2가스발생실(130)은,통형상의 하우징(105),전화수단실(110)의 하우징 (111),제2격벽(136) 및 보스(145)(및 제2파열판(139))로 형성되어 있고,그 내부에 소요량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의 제2가스발생제(134)가 수용되어 있다.제2 가스발생실(13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2가스발생제(134)의 양은,제1가스발생제(124)와 동량 또는 제1가스발생 제(124)의 양보다도 많게 하거나 적게 하거나 할 수 있고,크기,형상 및 조성은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또,제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의 용적은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고, 격벽(126)과 격벽(136)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전화수단실(110)이 제1가스발생실(120)에 연통되고,제1가스발생실(12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고, 또한 제 2 가스발생실(13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수단실(110),제1가스발생실(120) 및 제 2 가스발생실(130)은,모두 고압,즉 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부(내부공간 (103))와 동일한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으로,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이와 같이 직렬로 배치함으로써,가스발생실을 2개로 한 경우에도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하여, 중량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각각에 있어서 제 1 가스발생제(124)와 제2가스발생제(134)가 연소하여 발생된 가스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되는 경로가 독립된 경로로 되어 있다.즉, 제1가스발생실(120)에 있어서 발생된 가스는,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되고,제2가스발생실 (130)에서 발생된 가스는,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유입된다. 또한,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의 배치순서는 역의 순서이라도 좋다.
제2가스발생실(130)은,제2폐쇄수단으로서의 제2파열판(139)에 의해 폐쇄된 제 2 연통구멍(133)을 통하여,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에 연결되어 있다.
보스(145)내에 형성된 점화수단실(114)은,제1점화실(115)과 제2점화실 (141)을 가지며,제1점화실은 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를 수용하고,제2점화실은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를 수용한다.제1 및 제2점화실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는,이니시에이터 칼라(143)를 통하여 보스(145)에 부착되어 있고, 보스(145)는, 접합부위(146)에 있어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전화수단실(110)의 일단측에는 O-링(172)을 통하여,전화수단실(11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내부공간(103)의 양쪽에 걸쳐서,작동시에 주파열판(178)을 파괴하기 위한 도시한 형상의 발사체(175)가 부착되어 있다.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사체(175)의 선단부(주파열판(178) 측의 부분)는,내부공간(103) 내에 위치되어 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일단측에는 디퓨저(180)가 연결되어 있고, 디퓨저(180)는,접합부위(181)에 있어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디퓨저(180)의 발사체(175)에 대향하는 단부측에는,작동전에 있어서의 디퓨저 포트(182)로의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주폐쇄수단으로서의 주파열판(178)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전에 있어서는,이 주파열판(178)에 의하여,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내부공간(103)과 가스 유입공간(150)은 완전히 분리차단되어 있으므로,가압매질의 이동은 저지된다.
디퓨저(180)의 타단측에는,에어백에 가압매질을 송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디퓨저 포트(182),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디퓨저 스크린(186)이 설치되고,외표면측에는 에어백 모듈과 접속하기 위한 스터드볼트(190)가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에 있어서,상기한 각 구성요소는,모두 중심축(도 3 중의 일점쇄선)에 대하여,폭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일부 구성요소 또는 모든 구성요소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는,이하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의 배치관계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의 양단에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을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가압매질은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 사이의 공간부에 충전된다.
또 예를 들면,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에서 전화수단실(110)의 주위에 제 1 가스발생실(120)(또는 제2가스발생실(130))을 배치하고,또한 제 1 가스발생실(120)의 주위에 제 2 가스발생실(130)(또는 제 1 가스발생실(120))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제1 가스발생실과 제2 가스발생실을 다른 배치관계로 한 실시형태를 도 4에 의하여 설명한다.도 4에 도시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는,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의 배치위치가 상이한것 외는,도 3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구성이기 때문에,제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 이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하우징(102) 내에서,전화 수단실(110)을 끼고 폭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제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을 맞춘 폭방향의 단면형상은 도넛형상으로 되고, 도넛의 구멍의 부분에 전화수단실(110)이 위치하여,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 가스발생실(130)은 도넛을 동일 또는 상이한 용적으로 2분할 한 형상으로 된다.또,전화수단실(110)의 연통구멍(118)은,제 1 가스발생실(120)과만 연통하고 있으므로,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가 작동착화했을 때,제1가스발생실(120)내의 가스발생제(124)만이 연소한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공간(103))은,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에 의하여 연통되고,제2가스발생실(13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공간(103))은 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연통구멍(125)과 연통구멍(135)은 폭방향으로 반대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도 3을 참조하면서,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에 고압 충전된 가압매질은,하이브리드 인플레 이터(100)의 작동전에 있어,각각 연통구멍(125 및 135)으로 연통된 제 1 가스발생실(120) 및 제2 가스발생실(130)로 유입되고,또한 연통구멍(118)을 거쳐서 전화수단실(110)에도 유입되어 있고,그들을 고압으로 또한 등압으로 유지하고 있다.또,발사체(175)는,동일압력으로 유지된 내부공간(103)과 전화수단실(110)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으므로,오작동이 방지된다.
차량이 충돌시,작동신호 출력수단에 의하여,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가 작동점화되고, 제1파열판(119)(제1 연통구멍(113)을 형성하고 있는 보스(145)에 고착되어 있는)을 깨고 전화수단실(110) 내의 부스터제(112)를 착화시키고, 고온의 부스터가스를 발생시킨다.
부스터가스의 발생에 의해 전화수단실(110)의 내압이 높아지면,그 압력에 의하여 가압된 발사체(175)가 이동하고,예리한 선단부분에서 주파열판(178)을 파열시킨다.
부스터가스는,연통구멍(118)으로부터 제 1 가스발생실(120) 내로 유입되고,제1가스발생제(124)를 착화 연소시켜서,소정량(제1가스발생제(124)의 충전량에 맞는 양)의 고온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이 때,제 1 가스발생실(120)은,가압매질이 충전된 내부공간(103)과 연통하고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가스발생제(124)의 연소는 안정되어 있다. 또한, 전화수단실(110) 및 제1가스발생실(120)과,제2가스발생실(130)은,각각 통형상 하우징(111) 및 제2 격벽(136)에의해 격리되어 있으므로,제 2 가스발생제(134)가 착화 연소하는 일은 없다. 또한,제 1 가스발생실(120)의 연통구멍(125)과 제2 가스발생실(130)의 연통구멍(135)의 배치상태도,제1가스발생제(124)의 연소에 의해 제 2 가스발생제 (134)가 착화 연소하지 않도록 작용한다.
그 후,이 고온연소가스가 연통구멍(125)으로부터 유입되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의 압력을 높이기 때문에,가압된 가압매질은,파열된 주파열판(178)을 거쳐서 가스유입공간(150) 내로 유입된다.이와 같이 하여 가스유입공간(150) 내에 유입된 가압매질은,또한 디퓨저 스크린(186)을 거쳐서,디퓨저 포트(182)로부터 분사되어, 에어백 모듈에 부착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또한,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34)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약간 지연되어 (작동시간차는 상기 실시형태 1,2와 동일하다),작동신호 출력수단에 의하여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가 작동점화 하고, 제2파열판(139)(제2 연통구멍(133)을 형성한 보스(145)에 고착되어 있는)을 깨고 제 2 가스발생실(130) 내의 제 2 가스발생제(134)를 착화 연소시키고,소정량(제 2 가스발생제(134)의 충전량에 맞는 양)의 고온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이 때,제 2 가스발생실(130)은,가압매질이 충전된 내부공간(103)과 연통하여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제2가스발생제(134)의 연소는 안정되어 있다.
제 2 가스발생제(134)의 연소에 의해 생긴 고온 연소가스는 연통구멍(13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로 유입되어 압력을 높이고,잔부의 가압매질과 함께 디퓨저 포트(182)로부터 분사되어,더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이와 같이 2단계로 연소가스를 발생시키므로써,제1가스발생실(120)의 작용에 의하여,차량의 충돌시에 있어서 에어백 팽창동작의 개시지연을 방지함과 동시에,제 2 가스발생실(130)의 작용에 의하여,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의 가압매질을 완전히 배출하여,안전상 충분한 정도로 까지 에어백을 순간에 팽창시킬 수 있다.
또,2개의 가스발생실을 갖고 있으므로,제 1 가스발생실(120)로부터만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거나,제1 및 제2 가스발생실(120, 130)로부터 동시에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거나,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에 있어서 연소가스 발생시간을 원하는 간격으로 적당히 조정하는 실시형태에도 대응할 수 있다.
(3)실시형태 5,6,7
다음에,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면에 의해,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도 5는,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일 실시형태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고,도 6은,도 5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변형형태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고,도 7은,다른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먼저,도 5에 도시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에 관하여 설명한다.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 통형상의 내압성 용기로 이루어지고,내부공간(103)에는 가압매질이 충전되어,고압으로 유지되어 있다.가압매질은,통상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일단측에 접속된 보스(145)에 형성된 세공으로부터 충전되고,상기 세공은 가압매질의 충전후에 실링핀 등에 의해 폐쇄된다.
가스발생기(108)는,전화수단실(110),그 주위에서,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된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을 갖고 있다.이 가스발생기(108)는,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에 배치되고,그 길이방향의 일단(149)에서,보스(145)에 용접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전화수단실(110)은,통형상의 하우징(111)으로 형성되어 있고,부스터제(전화약)(112)가 충전된 부스터 컵(116)과 제1폐쇄수단으로서의 제1파열판 (119)에 의해 폐쇄된 제1연통구멍(113)을 통하여,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에 연결되어 있다.전화수단실(110)은,연통구멍(118)에 의해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연통되어 있다.
제 1 가스발생실(120)은,전화수단실(11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통형상의 하우징(105),전화수단실(110)의 하우징(111),제1격벽(126) 및 제2격벽(136)으로 형성되어 있고,내부에 소요량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의 제1가스발생제(124)가 수용되어 있다.제1가스발생실(12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2 가스발생실(130)은,통형상의 하우징(105),전화수단실(110)의 하우징 (111),제2격벽(136) 및 보스(145)(및 제2파열판(139))로 형성되어 있고,그 내부에 소요량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의 제 2 가스발생제(134)가 수용되어 있다.제 2 가스발생실(13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스크린(137)을 통하여연통구멍(13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 2 가스발생제(134)의 양은,제1가스발생제(124)와 동량 또는 제1가스발생제(124)의 양보다도 많게 하거나 적게 하거나 할 수 있고,크기,형상 및 조성은 동일하더라도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 제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의 용적은 동일해도 상이해도 좋고, 격벽(126)과 격벽(136)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전화수단실(110)이 제 1 가스발생실(120)에 연통되고,제 1 가스발생실(12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고,또한 제 2 가스발생실(13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수단실(110),제 1 가스발생실(120) 및 제2가스발생실(130)은,모두 고압,즉 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부(내부공간(103))와 동일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으로,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이와 같이 직렬로 배치함으로써,가스발생실을 2개로 한 경우에도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하여,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 ,각각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제(124)와 제 2 가스발생제(134)가 연소하여 발생된 가스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되는 경로가 독립한 경로로 되어 있다.즉 제 1 가스발생실 (120)에서 발생된 가스는,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되고,제 2 가스발생실(130)에서 발생된가스는,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된다. 또한 제 1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의 배치순서는 역의 순서라도 좋다.
제 2 가스발생실(130)은,제2폐쇄수단으로서의 제2파열판(139)에 의해 폐쇄된 제2연통구멍(133)을 통하여,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에 연결되어 있다.
보스(145) 내에 형성된 점화수단실(114)은,제 1 점화실(115)과 제 2 점화실(141)을 가지며,제 1 점화실은 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를 수용하고, 제 2 점화실은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를 수용한다.제 1 및 제 2 점화실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할 수 있다.
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는,이니시에이터 칼라(143)를 통하여 보스(145)에 부착되어 있고, 보스(145)는, 접합부위(146)에서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때,제1점화용 및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140)를 이니시에이터 칼라(143)에 고정하여 단일부재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이니시에이터 칼라(143)에 끼워 넣어서 고정하는 방법 또는 수지에 의해 이니시에이터 칼라(143)에 고정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수지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예를 들면 다음의 순서로 행할 수 있다.내부에 오목형상 공간을 갖는 이니시에이터 칼라를 준비하고,그 오목형상 공간에 제1점화용 및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 140)를 꽂아 넣은 후, 잔여의 오목형상 공간내에 수지를 흘려 넣어, 경화시켜서 이니시에이터 칼라(143)와 제 1 점화용 및 제 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 140)를 일체화 한다.수지는, 열가소성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상온 경화형 또는 가열 경화형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필요에 따라서,또한 경화제,경화촉진제 등을 배합해도 좋다.
전화수단실(110)의 연장상에는 어댑터(170)가 연결되고,전화수단실(110)과 어댑터(170)를 연통하는 개구부에는 O-링(172)을 통하여,전화수단실(110)과 어댑터(170)의 양쪽에 걸쳐서,작동시에 주 파열판(178)을 파괴하기 위한 도시한 형상의 발사체(175)가 부착되어 있다.이 발사체(175)의 선단부는,어댑터(170)의 내부공간(176) 내에 위치하고 있고,상기 내부공간(176)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내부공간(103)은,어댑터(170)의 하우징(105)의 내측면에 대향하는 면에 설치된 소요수의 가스 유입구멍(166)에 의해서만 연통되어 있다.
도 5의 실시형태에서는,하우징(105)의 내측면과 어댑터(170)의 외측면에 의해 가스유로(105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내부공간(103)의 가압매질은,작동시에 있어 반드시 가스유로(105a)를 통과하여 가스유입구멍(166)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된다.한편,도 6의 실시 형태에서는,도 5에 있어서 가스유로(105a)가 없으므로,내부공간(103)의 가압매질은,직접 가스유입구멍(166)으로 유입된다. 또한, 도 6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는,가스유로(105a)를 갖고 있지 않은 것 이외에는,도 5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와 동일한 구성이다.
어댑터(170)에는 디퓨저(180)가 연결되어 있고,디퓨저(180)는,인플레이터 하우징(102)에 접합부위(181)에서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디퓨저(180)의 발사체(175)에 대향하는 단부측에는,작동전에 있어서 디퓨저 포트(182)로의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주폐쇄수단으로서의 주파열판(178)이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전에는,이 주파열판(178)에 의해 가스 유입공간(150)과 어댑터(170)의 내부공간(176)은 완전히 분리 차단되어 있으므로,가압매질의 이동은 저지된다.
디퓨저(180)의 타단측에는,에어백에 가압매질을 송입하기 위한 복수의 디퓨저포트(182),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디퓨저 스크린(186)이 설치되고, 외표면측에는 에어백 모듈과 접속하기 위한 스터드볼트(190)가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에 있어서,상기한 각 구성요소는,모두 중심축(도 5 내의 일점쇄선)에 대하여,폭방향으로 대칭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일부 구성요소 또는 모든 구성요소가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에 있어서는,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의 배치관계를 적당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의 양단에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을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이 경우,가압매질은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 사이의 공간부에 충전된다.
또 예를 들면,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에서,전화수단실(110)의 주위에 제 1 가스발생실(120)(또는 제 2 가스발생실(130))을 배치하고,또한 제 1 가스발생실(120)의 주위에 제 2 가스발생실(130)(또는 제 1 가스발생실(120))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을 다른 배치관계로 한 실시형태를 도7에 의해 설명한다.도 7에 도시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는,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의 배치위치가 상이한 것 이외는,도 5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구성이기 때문에,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 이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하우징(102) 내에서,전화수단실(110)을 끼고 폭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을 합친 폭방향의 단면형상은 도넛형상으로 되고,도넛의 구멍의 부분에 전화수단실(110)이 위치하고,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은 도넛을 동일 또는 상이한 용적으로 2분할 한 형상으로 된다.또,전화수단실(110)의 연통구멍(118)은,오로지 제 1 가스발생실(120)과만 연통하고 있으므로,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가 작동 착화했을 때,제1 가스 발생실(120)내의 가스발생제(124)만이 연소된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공간(103))은,스크린(127)을 통하여 연통구멍(125)에 의해 연통되고,제 2 가스발생실(13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공간(103))은,스크린(137)을 통하여 연통구멍(135)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연통구멍(125)과 연통구멍(135)은,폭방향으로 반대측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도 5를 참조하면서,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동작을 설명한다.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에 고압 충전된 가압매질은,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작동전에,각각 연통구멍(125 및 135)로 연통된 제 1 가스발생실(120) 및 제2 가스발생실(130)로 유입되고,또한 연통구멍(118)을 거쳐서 전화수단실(110)에도 유입되어 있고,그들을 고압으로 또한 등압으로 유지하고 있다.또,가압매질은 어댑터(170)의 내부공간(176) 내에도 유입되고,상기 공간을 전화수단실(110)과 동압으로 유지하고 있으므로,발사체(175)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차량이 충돌시,작동신호 출력수단에 의하여,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가 작동 점화하고, 제1파열판(119)(제1연통구멍(113)을 형성하고 있는 보스(145)에 고착되어 있는)을 깨고 전화수단실(110) 내의 부스터제(112)를 착화시켜, 고온의 부스터가스를 발생시킨다.
부스터가스의 발생에 의하여 전화수단실(110)의 내압이 높아지면,그 압력에 의해 가압된 발사체(175)가 이동하고,예리한 선단부분에서 주 파열판(178)을 파열시킨다.
부스터가스는,연통구멍(118)으로부터 제 1 가스발생실(120) 내로 유입되고,제1가스발생제(124)를 착화 연소시켜서,소정량(제1가스발생제(124)의 충전량에 맞는 양)의 고온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이 때,제 1 가스발생실(120)은,가압매질이 충전된 내부공간(103)과 연통하여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제1가스발생제(124)의 연소는 안정되어 있다. 또한, 전화수단실(110) 및 제 1 가스발생실(120)과,제2가스발생실(130)은,각각 통형상 하우징(111) 및 제2격벽(136)에 의해 격리되어 있으므로,제 2 가스발생제(134)가 착화 연소하는 일은 없다.또한,제 1 가스발생실(120)의 연통구멍(125)과 제2가스발생실(130)의 연통구멍(135)의 배치상태도,제1가스발생제(124)의 연소에 의해 제 2 가스발생제(134)가 착화 연소하지 않도록 작용한다.
그 후,이 고온 연소가스가 연통구멍(125)으로부터 유입되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의 내부공간(103)의 압력을 높이기 때문에,가압된 가압매질은 가스유로(105a)를 통과하여 가스유입구멍(166)으로부터 어댑터의 내부공간(176)으로 유입하고, 또한 파열된 주 파열판(178)을 거쳐서 가스유입공간(150) 내로 유입한다. 또한, 도6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경우는,가스유로(105a)가 없기 때문에,가압된 가압매질은,직접 가스유입구멍(166)으로부터 어댑터의 내부공간(176)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스유입공간(150) 내로 유입된 가압매질은,또한 디퓨저 스크린(186)을 거쳐서,디퓨저포트(182)로부터 분사되어,에어백 모듈에 부착된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또한,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34)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약간 지연되어(작동시간차는 상기 실시형태 1,2와 동일하다),작동신호 출력수단에 의하여 제 2점화용 이니시에타(140)가 작동 점화되고, 제2파열판(139) (제2연통구멍(133)을 형성하는 보스(145)에 고착되어 있다)을 깨고 제 2 가스발생실(130) 내의 제 2 가스발생제(134)를 착화 연소시키고,소정량(제 2 가스발생제(134)의 충전량에 맞는 양)의 고온 연소가스를 발생시킨다.이 때,제 1 가스발생실(130)은,가압매질이 충전된, 내부공간(103)과 연통하여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2가스발생제(134)의 연소는 안정되어 있다.
제 2 가스발생제(134)의 연소에 의하여 생긴 고온 연소가스는 연통구멍(13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로 유입되어 압력을 높이고,잔부의 가압매질과함께 디퓨저포트(182)로부터 분사되고,더 에어백을 팽창시킨다.
이와 같이 2단계로 연소가스를 발생시키므로써,제1가스발생실(120)의 작용에 의하여,차량의 충돌시에 있어서 에어백 팽창동작의 개시지연을 방지함과 동시에,제 2 가스발생실(130)의 작용에 의하여,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의 가압매질을 완전히 배출하여,안전상 충분한 정도로까지 에어백을 순간에 팽창시킬 수 있다.
또,2개의 가스발생실을 갖고 있으므로,제 1 가스발생실(120)만으로부터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거나,제1 및 제2가스발생실(120, 130)로부터 동시에 연소가스를 발생시키거나,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에 있어서 연소가스 발생시간을 원하는 간격으로 적당히 조정하는 실시형태에도 대응할 수 있다.
또한,이상의 실시형태 1∼7은,가스발생기중에 2개의 가스 발생실을 갖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실시 형태인데,본 발명은,가스발생기가 3이상의 가스 발생실을 갖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도 포함하는 것이다.
(4)실시형태 8∼12
먼저,도 8에 근거하여,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도 8은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및 가스 발생기의 길이방향으로의 개략단면도이다.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10)는,일단면은 폐색되어 폐색단면(12)을 형성하고,타단면은 개구된 통형상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10)는,측벽의 길이를 모두 동일하게 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상이하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도 8에 있어서,일방의 측벽 (14)의 길이를 대향하는 타방의 측벽(16)의 길이보다도 길게 하거나,짧게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측벽은 연속된 것이고, 도 8에 도시하는 측벽(14)과 측벽(16)사이에 명확한 경계는 없지만,가스발생기의 가스발생실내에 배치하는 것이기 때문에,측벽을 2분할 한 일방이 측벽(14)이고 타방이 측벽(16)인 형태가 바람직하다.
가스발생기(108)에 있어서는,가스발생기 하우징(105)에 의해 외각(外殼)이 형성된 가스발생실내의 소정위치에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10)가 배치되어 있고,리테이너(10)의 측벽 외벽면이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즉, 가스발생실)의 내벽면에 접함으로써,폐색단면(12)에 의해,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 길이방향으로 화염방지상태로 분리되어 있다(이 때,리테이너(10)는 가스발생제의 유지 및/또는 약량 조정기능도 가지고 있다).리테이너(10)를 가스발생제의 유지용 및/또는 약량 조정용으로서 배치한 경우,가스발생제의 사용량 등에 맞는 가스발생실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다음에,도9 및 도 10에 근거하여,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도 9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및 가스발생기의 길이방향으로의 개략단면도,도 10은 도 9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20)는,일단면은 폐색되어 폐색단면(22)을 형성하고,타단면은 개구된 대구경의 통형상물(24)과,대구경 통형상물(24)과 일체로 그 내측에 또한 개구부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양단면이 개구된 소구경 통형상물(26)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대구경 통형상물(24)과 소구경 통형상물(26)의 직경의 크기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20)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의 길이와,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의 길이를 동일 또는 상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의 길이를 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부(27)의 길이보다도 길게 할 수 있고,역으로 짧게 할 수도 있다.
가스발생기(108)에 있어서는,가스발생기 하우징(105)에 의해 외각이 형성된 가스발생실내의 소정위치에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20)가 배치되어 있고,리테이너(20)의 소구경 통형상물(26)이 관통된 개구부를 전화수단실의 하우징(도시 생략)에 끼워 넣으므로써 부착되어 있다. 리테이너(20)의 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 (25)의 외면이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즉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 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의 내면이 전화수단실 외벽면에 접함으로써, 폐색단면(22)에서, 2개의 가스발생실(120,130)은 길이방향으로 화염방지상태로 분리되어 있다(이 때, 리테이너(20)는 가스발생제의 유지 및/또는 약량 조정기능도 가지고 있다). 리테이너(20)를 가스발생제의 유지용 및/또는 약량 조정용으로서 배치할 경우, 가스발생제의 사용량 등에 맞는 가스발생실의 용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다음에,도 11,도 5,도 3에 근거하여,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가스발생기내에 배치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를 설명한다.도 11,도 5,도 3은 ,모두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의 길이방향으로의 단면도이다.
① 도 11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20)로서,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의 길이보다도,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의 길이의 쪽이 긴 제1리테이너(제1격벽)(126)와,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과 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의 길이가 동일한 제2리테이너(제2격벽)(136)를 사용했다.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 통형상의 내압성 용기로 이루어지고, 내부공간(103)은 가압매질이 충전되고,고압으로 유지되어 있다.가압매질은,통상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일단측에 접속된 보스(145)에 형성된 세공으로 충전되고,상기 세공은 가압매질의 충전후에 실링핀 등에 의해 폐색된다.
가스발생기(108)는,전화수단실(110),그 주위에서,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된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전화수단실(110)의 연장상에 배치된 애프터버너(150)을 갖고 있다.
가스발생기(108)는,인플레이터 하우징(102)내에 배치되고,그 길이방향의 양단에 있어,각각 보스(145)와 어댑터(170)(보스(172))를 통하여,인플레이터 하우징 (102)에 접속 고정되어 있다.
전화수단실(110)은,통형상의 하우징(111)으로 형성되어 있고,부스터제(전화약)(112)가 충전된 부스터 컵(113)과 제1폐쇄수단으로서의 제1파열판(116)에 의해 폐쇄된 제1연통구멍(119)을 통하여,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에 연결되어 있다.전화수단실(110)은,구멍(118)에 의해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연통되어 있다.
제 1 가스발생실(120)은,전화수단실(110)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통형상의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전화수단실(110)의 하우징(111),제1리테이너(제1격벽) (126) 및 제2리테이너(제 2 격벽)(136)로 형성되어 있고,내부에 소요량의 가스 발생수단으로서의 제1가스발생제(124)가 수납되어 있다.제 1 가스발생실(12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스크린(127)을 통하여 구멍(12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제1리테이너(126)와 제2리테이너(136)는,소구경 통형상물(26)이 관통한 개구부에 있어서 통형상의 하우징(111)에 끼워 넣으므로써 부착되어 있다.
제1리테이너(126)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짧은 측벽(25)이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의 내벽면에 접촉하고,소구경 통형상물(26)의 긴 측벽(27)이 통형상의 하우징(111)의 외벽면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리테이너(126)는,약량(제1가스발생제(124))의 조정용,즉 제 1 가스발생실(120)의 용적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제1가스발생제(124)의 양에 맞는 적정한 용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리테이너(136)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이 가스발생기 하우징 (105)의 내벽면에 접촉하고,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의 길이와 동일 길이)이 통형상의 하우징(111)의 외벽면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이 제2리테이너(136)에 의하여,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 화염방지상태로 분리되어 있다.이 때,제2리테이너(136)는,제2 가스발생제(134)의 유지 및/또는 약량 조정기능도 갖고 있다.
제 2 가스발생실(130)은,통형상의 하우징(105),전화수단실(110)의 하우징 (111),제 2 리테이너(136) 및 보스(145)(및 제 2 파열판(139))로 형성되어 있고,그 내부에 소요량의 가스발생수단으로서의 제 2 가스발생제(134)가 수납되어 있다.제 2 가스발생실(130)과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스크린(137)을 통하여 구멍(135)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제 2 가스발생제(134)의 양은 제1가스발생제 (124)와 동량이라도 좋고,제1가스발생제(124)의 양보다도 많게 하거나,적게 하거나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전화수단실(110)이 제 1 가스발생실(120)에 연통되어,제 1 가스발생실(12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고, 또한 제 2 가스발생실(130)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과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수단실(110),제 1 가스발생실(120) 및 제2가스발생실(130)은,모두 고압,즉 인플레이터 하우징(102) 내부(내부공간(103))와 동일한 압력으로 유지되어 있다.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 방향으로,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다.이와 같이 직렬로 배치함으로써,가스발생실을 2개로 한 경우에도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전체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하여, 중량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제1가스발생실(120)에 있어서 연소의 영향을 제 2 가스발생실(130)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가스출구(174)에 가까운 쪽에서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 가스발생실(130)의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역의 배치순서라도 좋다.
제 2 가스발생실(130)은,제2폐쇄수단으로서의 제2파열판(139)에 의해 폐쇄된 제2연통구멍(119)을 통하여,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각각에 있어 제1 가스발생제(124)와 제 2 가스발생제(134)가 연소하여 발생된 가스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에 유입되는 경로가 독립된 경로로 되어 있다.즉 제 1 가스발생실(120)에서 발생된 가스는,스크린(127)을 통하여 구멍(12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되고,제 2 가스발생실(130)에 있어 발생된 가스는,스크린(137)을 통하여 구멍(135)으로부터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으로 유입된다.
보스(145) 내에 형성된 점화수단실(114)은,제1점화실(115)과 제2점화실 (141)을 갖고,제1점화실은 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를 수용하고,제2점화실은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를 수용한다.제 1 및 제 2점화실은,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할 수 있다.
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는, ,보스(145)에 부착되어 있고,보스(145)는,접합부위(146)에 있어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또,보스(145)와 하우징(105)은,접합부위(149)에 있어 용접 등에 의하여 고착되어 있다.
애프터버너(150)는,하우징(152)으로 형성되어 있고,전화수단실(110)의 연장상의 가스출구(174) 방향으로 배치되고,일단측은 접합부위(154)에 있어 하우징 (105)에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애프터버너(150)의 일단측의 단면에는,애프터버너 노즐(또는 아스피레이터) (162)가 부착되어 있다.애프터버너(150)와 인플레이터 하우징(102)은, 구멍(166)에 의해 연통되어 있고,애프터버너(150) 내의 구멍(166)에 접하는 위치에는, 밸브(164)가 배치되어 있다.
밸브(164)는 그 주위의 일부에서,예를 들면 캔틸레버 접속에 의해 하우징(152)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데,고정되어 있지 않는 부분은 내외로부터의 압력(내외 차압)에 의해 변형이 생기는 것이다. 이 밸브(164)로서는, 예를 들면,압력에 의해 변형 가능한 대략 원주형상의 롤로 이루어지는 채우기 철재료(예를 들면,300 시리즈의 스테인리스강으로, 두께가 약0.0508mm의 것)를 사용할 수 있다.
애프터버너(150)의 타단측(가스출구(174) 측)은, 0-링(168)을 통하여 어댑터(170)에 접속되고,어댑터(170)는,접합부위(176)에서 용접 등에 의해 보스(172)에 고착되어 있다.또,상기 접합부위(176)에는,가스출구(174)를 폐쇄하도록 하여,주파열판(178)이 그 주변 가장자리에서 용접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보스(172)에는, 접합부위(181)에서 용접 등에 의해 디퓨저(180)가 고착되어 있다. 디퓨저(180)는,에어백에 가압매질을 송입하기 위한 복수의 디퓨저 포트(182),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디퓨저 스크린(184)을 갖고 있다.디퓨저(180)는, 외부 표면측에 에어백 모듈과 접속하기 위한 스터드볼트(190)를 가지고 있다.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에 있어서, 상기한 각 구성요소는,모두 중심축(도 11 중의 일점쇄선)에 대하여,폭방향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부 구성요소 또는 모든 구성요소가 상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편심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② 도5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도5에 도시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에 있어서,제1리테이너(126)는, 도 11의 것과는 반대로,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의 길이가 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제 1 리테이너(126)와 제 2 리테이너(136)는,소구경 통형상물(26)이 관통한 개구부에서 통형상 하우징(111)에 끼워 넣으므로써 부착되어 있다.
제 1 리테이너(126)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긴 측벽(25)이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의 내벽면에 접촉하고,소구경 통형상물(26)의 짧은 측벽(27)이 통형상의 하우징(111)의 외벽면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 1 리테이너(126)는 약량(제 1 가스발생제(124))의 조정용,즉 제 1 가스발생실(120)의 용적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제1가스발생제(124)의 양에 맞는 적정한 용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리테이너(136)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이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의 내벽면에 접촉하고,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이 통형상의 하우징(111)의 외벽면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이 제 2 리테이너(136)에 의해,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가스발생실(130)은 화염방지상태로 분리되어 있다.이 때,제 2 리테이너(136)는,제2가스발생제(134)의 유지 및/또는 약량 조정기능도 가지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 주파열판(178)의 파열기구는,상기의 실시형태5로 설명한 바와 같다.
③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도 3에 도시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에 있어서,제1리테이너(126) 및 제 2 리테이너(136)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의 길이가 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의 길이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제 1 리테이너(126)와 제 2 리테이너(136)는,소구경 통형상물(26)이 관통된 개구부에서 통형상의 하우징(111)에 끼워 넣으므로써 부착되어 있다.
제 1 리테이너(126)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긴 측벽(25)이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의 내벽면에 접촉하고,소구경 통형상물(26)의 짧은 측벽(27)이 통형상의 하우징(111)의 외벽면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이 제 1 리테이너(126)는 약량(제1가스발생제(124))의 조정용,즉 제 1 가스발생실(120)의 용적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제1가스발생제(124)의 양에 맞는 적정한 용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리테이너(136)는,대구경 통형상물(24)의 긴 측벽(25)이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의 내벽면에 접촉하고,소구경 통형상물(26)의 짧은 측벽(27)이 통형상의 하우징(111)의 외벽면에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이 제 2 리테이너(136)에 의하여,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2가스발생실(130)은 화염방지상태로 분리되어있다.이 때,제 2 리테이너(136)는,제 2 가스발생제(134)의 유지 및/또는 약량 조정기능도 가지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실시형태에서 주 파열판(178)의 파열기구는,상기 실시형태3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에,도 11,도 5,도 3에 도시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에 있어서 리테이너(126, 136)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1, 도 5,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제 1 리테이너(126)와 제 2 리테이너(136)는,모두 개구면측이 동일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제 2 리테이너(136)는 제 1 가스발생실(120) 측이 개구면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이와 같이 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써,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의 작동,전화약(112)의착화연소를 거쳐서,제1가스발생제(124)가 착화연소되어 제 1 가스발생실(120) 내의 압력이 상승한 경우에도,제 2 리테이너(136)는 개구부를 눌러 확대하도록 변형하고,즉 대구경 통형상물(24)의 측벽(25)은 가스발생기 하우징(105)을 가압하고,소구경 통형상물(26)의 측벽(27)은 통형상의 하우징(111)을 가압하므로, 제 1 가스발생실(120)과 제 2 가스발생실(130)은 화염방지상태로 분리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가스발생제(124)의 연소에 의해 제2가스발생제가 연소하는 것이 방지되므로,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오작동이 방지된다.
제 1 가스발생실(120)에서의 제1가스발생제(124)의 연소에 계속해서,제2 가스발생제(130)에서 제2가스발생제(134)가 연소했을 때,고온의 연소가스는 연통구멍(135)으로부터 유출되는데,이 때,제 2리테이너(136)와 가스발생기 하우징(105) 또는 통형상의 하우징(111) 사이를 통과해서 제 1 가스발생실(120)에 소량의 연소가스가 유출되었다고 하더라도,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기능에는 영향이 없다.
이와 같이 해서 유출된 고온의 연소가스에 의한 압력의 상승을 받아서,도 11의 형태로는 가압된 가압매질에 의하여,밸브(164)에 변형이 생겨서 가압매질의 통로가 확보되어 주파열판(178)이 파열되고,도 5 및 도 3의 형태로는 발사체(175)에 의해 주파열판(178)이 파열되고,각각 가압매질을 디퓨저 포트(182)로부터 배출한다.그리고,접속된 에어백을 순간에 팽창시킨다.
(5)에어백 시스템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에어백 시스템은,충격센서 및 컨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신호 출력수단과,모듈케이스 내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와 에어백이 수납된 모듈케이스를 구비한 것이다. 도 1∼도 7,도 11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또는 200)는,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2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측에 있어서 작동신호 출력수단(충격센서 및 컨트롤 유닛)에 접속되고,에어백을 부착한 모듈케이스 내에는, 스터드볼트(190)를 나사박음함으로써 접속 고정된다.그리고,이러한 구성의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작동신호 출력수단에 있어서 작동신호 출력조건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충격의 정도에 따라서 가스발생량을 조정하고,에어백의 팽창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차량이 작은 충격을 받은 경우에는,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 (또는 200)의 제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에만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점화시키고,가스발생기(108)로부터의 가스발생량을 억제함으로써,에어백의 팽창속도를 느리게(또는 팽창압력을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충격의 정도에 따라 가스발생량을 조정함으로써,작은 충격에도 불구하고,에어백이 급격히 팽창전개되어 승무원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강한 압력을 주는 것이 방지된다.
또,차량이 큰 충격을 받은 경우에는,제 1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 및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에 동시에 작동신호를 출력하여 점화 시키고,가스발생기(108)로부터의 연소가스 발생량을 최대로 하여,에어백의 팽창속도를 빨리할 수 있다.
또한,중간의 충격을 받은 경우,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100)의 제 1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와 제 2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40)에서 점화시간에 적당한 폭을 갖게 함으로써,승무원의 상황에 맞는 팽창속도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즉, 충격을 받은 직후는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늦추고, 그 후 더 팽창속도를 크게 하여 팽창전개시켜서,승무원 앞에 쿠션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또,차량이 받는 충격의 크기 뿐만 아니라, 승무원의 체격, 체중 및/또는 승무원의 위치를 감지하여,양 점화용 이니시에이터(117, 140)로의 출력신호를 컨트롤하고, 상황에 따라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 2개의 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으므로써,차량 충돌시에 에어백의 팽창전개를 보다 원활히 하며 또한 확실하게 하여,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또,내부가 고압으로 유지되어 있으므로,가스발생제의 연소가안정화된다.또,가스발생실을 2개로 한 경우에도,그들의 배치관계를 조정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자체의 용량 및 중량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를 사용한 가스발생기를 편입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는,오작동을 일으킬 염려가 없고,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37)

  1. 인플레이터 하우징과,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납된 가스발생기와,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이 충전되고,가스발생기는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2. 인플레이터 하우징과,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납된 가스발생기와,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 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이 충전되고,가스발생기가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을 갖는 것으로, 또한 작동전에 있어 외부로의 배출구에 이르는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주폐쇄수단과, 작동시에 있어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 파괴수단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내압의 상승에 의한 것 또는 전기적 수단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 인플레이터 하우징과,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 가스발생기와,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실을 갖는,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이 충전되고,가스발생기가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 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고,더욱이 작동전에 있어 외부로의 배출구에 이르는 가압매질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주폐쇄수단과,작동시에 상기 주폐쇄수단을 파괴하기 위한 발사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의 선단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의 가압매질이 충전된 공간과 동일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체의 선단부는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의 가압매질이 충전된 공간과는 상이한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실과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연통되어 있고,또한 제2가스발생실과 인플레이터 하우징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은,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은,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은,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또는 이격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에서 발생된 가스의 인플레이터 하우징으로의 유입경로는, 각각 독립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실에서 발생된 가스가,독립된 유입경로를 통과하여 가스흐름으로서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를 일 방향으로 흘러 갈 때,제2가스발생실의 유입경로는, 제 1 가스발생실의 유입경로에 대하여 상기 가스흐름의 역 방향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점화수단실이,각각 점화수단을 포함하는 제1점화실과 제2점화실을 가지고,제1점화실이 제1가스발생실과는 제1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고,또한 제1점화수단의 작동전에는 제1연통구멍은 제1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되고,제2점화실이 제2가스발생실과는 제2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고,또한 점화수단의 작동전에는 제2연통구멍은 제2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점화실과 제 2 점화실은,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는 전화수단실을 더 가지고 있고, 전화수단실과 제 1 가스발생실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15. 충격센서 및 컨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신호 출력수단과, 케이스 내에 청구항 1 내지 14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수납된 모듈케이스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으로서, 에어백의 팽창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
  16.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이고,상기 리테이너는,일단면이 폐쇄되고 타단면이 개구된 통형상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측벽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일방의 측벽의 길이가 타방의 대향하는 측벽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19. 청구항 16 내지 18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가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내에 배치된 가스발생기이고,리테이너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폐색단면에 의해 가스발생실이 길이방향으로 2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0. 청구항 16 내지 18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가 배치된 가스발생기이고,리테이너가 가스발생제의 유지용 및/또는 약량 조정용으로서 배치된 것이고, 리테이너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폐색단면에 의해가스발생실의 용적이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2 이상의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는,개구면측이 동일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2.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내에 배치되는 리테이너이고,상기 리테이너는,일단면이 폐색되고 타단면이 개구된 대구경 통형상물과,상기 통형상물과 일체로 그 내측에 또한 개구부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양단면이 개구된 소구경 통형상물과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부의 길이와 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부의 길이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의 길이가 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의 길이보다도 긴 것 또는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
  25. 청구항 22 내지 24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리테이너가 배치된,전화수단실의주위에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이고,리테이너는 소구경 통형상물의 개구부에서 전화수단실에 끼워 넣어져서 부착되어 있고, 리테이너의 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 내면이 전화수단실 외벽면에 접하여 있고,폐색단면에 의해 가스발생실이 길이방향으로 2 이상으로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6. 청구항 22 내지 25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리테이너가 배치된,전화수단실의 주위에 1 또는 2 이상의 가스발생실을 갖는 가스발생기이고,리테이너가 가스발생제의 유지용 및/또는 약량 조정용으로서 배치된 것이고,리테이너가 소구경 통형상물의 개구부에서 전화수단실에 끼워 넣어져 부착되어 있고, 리테이너의 대구경 통형상물의 측벽 외면이 가스발생실 내벽면에 접하고,소구경 통형상물의 측벽 내면이 전화수단실 외벽면에 접하여 있고,폐색단면에 의해 가스발생실의 용적이 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2 이상의 리테이너는,개구면측이 동일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28. 인플레이터 하우징과,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용된 가스발생기와,가스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을 구비한 점화수단실을 갖는 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용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이고, 상기 가스발생기는 청구항19, 20, 21, 25, 26 또는 27에 기재된 가스발생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29. 제 28 항에 있어서, 가스발생기는,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된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고,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 사이를 분리하는 가스발생기용 리테이너는,개구면이 제1가스발생실측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0. 충격센서 및 컨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신호 출력수단과,케이스 내에 청구항 28 또는 29에 기재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수용된 모듈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
  31. 인플레이터 하우징과,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수납된 가스발생기와, 가스 발생기에 접속된 점화수단을 포함하는 점화수단실을 갖는,에어백을 구비한 차량의 팽창식 안전시스템을 위한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로서,상기 인플레이터 하우징 내에 불활성가스를 포함하는 가압매질이 충전되고,가스발생기가 각각 가스발생수단을 포함하는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을 가지고 있고,더욱이 점화수단이 1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 내에 2개의 이니시에이터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2. 제 31 항에 있어서, 1개의 이니시에이터 칼라 내에 2개의 이니시에이터가 수지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3. 제 31 항 또는 제 32 항에 있어서, 제1가스발생실과 제2가스발생실이,인플레이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직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4. 제 31 항 내지 제 33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점화수단실이,각각 점화수단을 포함하는 제1점화실과 제2점화실을 가지고,제1점화실이 제1가스발생실과는 제1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고,또한 제1점화수단의 작동전에는 제1연통구멍은 제1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되고,제2점화실이 제2가스발생실과는 제2연통구멍을 통하여 연통되고,또한 점화수단의 작동전에는 제2연통구멍은 제2폐쇄수단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제1점화실과 제2점화실이 인플레이터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병렬로 또한 인접해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6. 제 31 항 내지 제 35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가스발생기가 전화수단실을 더 가지고 있고,전화수단실과 제1가스발생실이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37. 충격센서 및 컨트롤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작동신호 출력수단과,케이스 내에 청구항 31 내지 36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와 에어백이 수용된 모듈케이스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시스템.
KR1020017014844A 1999-06-18 2000-06-16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KR20020005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7214499 1999-06-18
JPJP-P-1999-00172144 1999-06-18
JPJP-P-1999-00306598 1999-10-28
JP30660199 1999-10-28
JPJP-P-1999-00306592 1999-10-28
JPJP-P-1999-00306601 1999-10-28
JP30659899 1999-10-28
JP30659299 1999-10-28
JPJP-P-2000-00129688 2000-04-28
JP2000129688A JP4557367B2 (ja) 1999-06-18 2000-04-28 ガス発生器用リテーナ
PCT/JP2000/003960 WO2000078580A1 (fr) 1999-06-18 2000-06-16 Dispositif de gonflage hybride expansible multiet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756A true KR20020005756A (ko) 2002-01-17

Family

ID=27528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4844A KR20020005756A (ko) 1999-06-18 2000-06-16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93244B1 (ko)
EP (1) EP1190919B1 (ko)
KR (1) KR20020005756A (ko)
CN (1) CN1356944A (ko)
DE (1) DE60035990T2 (ko)
HU (1) HUP0202279A2 (ko)
TW (1) TW504475B (ko)
WO (1) WO20000785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7584B2 (ja) * 2000-03-28 2010-11-24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2002120687A (ja) * 2000-10-19 2002-04-23 Daicel Chem Ind Ltd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US6860510B2 (en) 2001-08-21 2005-03-0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Multistage inflating-type hybrid inflator
US7438313B2 (en) * 2003-08-06 2008-10-21 Arc Automotive, Inc. Compact multi-level output gas generator
DE20319564U1 (de) * 2003-12-17 2004-04-15 Trw Airbag Systems Gmbh Gasgenerator
US7588265B2 (en) * 2004-04-12 2009-09-1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ressurized gas release mechanism
JP4621016B2 (ja) * 2004-12-10 2011-01-26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7325829B2 (en) 2005-10-03 2008-02-05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inflator
US7320479B2 (en) * 2005-10-03 2008-01-22 Key Safety Systems, Inc. Hybrid inflator
US7341276B2 (en) 2005-10-03 2008-03-11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module with external venting
JP2008081098A (ja) * 2006-08-30 2008-04-10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7942990B2 (en) * 2006-12-18 2011-05-17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Hybrid inflator
EP2349794B2 (en) * 2009-05-11 2017-02-22 Takata AG Gas generator for inflating a gas bag of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of inflating a gas bag
US9994188B1 (en) * 2011-05-27 2018-06-12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Gas generating system
DE102016001611A1 (de) 2016-02-12 2017-08-17 Trw Airbag Systems Gmbh Hybridgasgenerato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gasgenerators,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CN109641567B (zh) * 2016-08-29 2021-10-08 株式会社大赛璐 气体发生器
JP6714495B2 (ja) * 2016-11-10 2020-06-24 株式会社ダイセル ガス発生器
DE102017100857A1 (de) 2017-01-18 2018-07-19 Trw Airbag Systems Gmbh Hybridgasgenerator,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ybridgasgenerators, Gassackmodul und Fahrzeugsicherheitssystem
CN112248962A (zh) * 2020-11-30 2021-01-22 宜致汽车安全系统(常熟)有限公司 一种安全气囊混合式气体发生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075773A (en) * 1972-01-11 1974-07-04 Allied Chemical Corporation Inflation apparatus for safety device
US3773353A (en) * 1972-09-05 1973-11-20 Olin Corp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US3868124A (en) 1972-09-05 1975-02-25 Olin Corp Inflating device for use with vehicle safety systems
US3905515A (en) * 1972-11-20 1975-09-16 Aerojet General Co Two-stage, pressure augmented inflator assembly
US3972545A (en) * 1975-03-10 1976-08-03 Thiokol Corporation Multi-level cool gas generator
JPH0349047U (ko) * 1989-09-04 1991-05-13
US5351988A (en) * 1990-11-27 1994-10-04 Alliedsignal Inc. Hybrid inflator with staged inflation capability
US5602361A (en) 1994-03-18 1997-02-11 Oea, Inc. Hybrid inflator
EP0673809B1 (en) 1994-03-18 2001-10-31 Oea, Inc. Hybrid inflator with rapid pressurization-based flow initiation assembly
US5788275A (en) * 1994-03-18 1998-08-04 Oea, Inc. Hybrid inflator
IL115567A0 (en) 1994-10-25 1996-01-19 Oea Inc Compact hybrid inflator
US5564743A (en) * 1995-03-22 1996-10-15 Morton International, Inc. Multiple stage air bag inflator system
JP3143880B2 (ja) 1995-05-02 2001-03-07 オーイーエイ・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貯蔵ガスハウジング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型
KR0156299B1 (ko) * 1995-08-31 1998-10-15 배순훈 자동차 핸들장착용 하이브리드 에어백 장치
IN192753B (ko) * 1995-09-11 2004-05-15 Oea Inc
JP3040049U (ja) * 1996-01-30 1997-08-05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適応性のあるエアバッグ膨張装置
US5685558A (en) * 1996-02-06 1997-11-11 Trw Inc. Air bag inflator mounting
US5851027A (en) * 1996-09-09 1998-12-22 Bendix-Atlantic Inflator Company Variable output driver side hybrid inflator
JP3049048U (ja) * 1996-11-20 1998-05-29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エアバッグ膨張器
US6089598A (en) 1996-11-22 2000-07-18 Autoliv Asp, Inc. Pyrotechnic inflator with reduced extent filter and cartridge charges
US5794973A (en) 1996-12-04 1998-08-1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ual stage air bag inflator
DE19654315A1 (de) * 1996-12-24 1998-06-25 Dynamit Nobel Ag Hybrid-Gasgenerator
US6010153A (en) 1997-02-21 2000-01-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Hybrid inflator for airbags
FR2763548B1 (fr) * 1997-05-23 1999-06-18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daptatif a chambres tubulaires pour coussin de protection
DE19725475A1 (de) * 1997-06-17 1998-12-24 Dynamit Nobel Ag Gasgenerator
DE19725476A1 (de) * 1997-06-17 1998-12-24 Dynamit Nobel Ag Gasgenerator
US5882036A (en) * 1997-09-10 1999-03-16 Autoliv Asp, Inc. Hybrid inflator with reduced solid emissions
JPH11129858A (ja) * 1997-10-31 1999-05-1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エアバッグのインフレータ
US6068292A (en) * 1997-11-25 2000-05-30 Oea, Inc. Controlling gas flow in a hybrid inflator
US6019389A (en) * 1998-03-31 2000-02-0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inflator
US6206414B1 (en) * 1998-08-05 2001-03-27 Trw Inc. Air bag inflator including plural burst disks
US6168200B1 (en) * 1998-12-01 2001-01-02 Atlantic Research Corporation Dual level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5990D1 (de) 2007-09-27
HUP0202279A2 (en) 2002-10-28
US6793244B1 (en) 2004-09-21
DE60035990T2 (de) 2007-12-06
EP1190919A1 (en) 2002-03-27
WO2000078580A1 (fr) 2000-12-28
CN1356944A (zh) 2002-07-03
EP1190919A4 (en) 2005-07-27
TW504475B (en) 2002-10-01
EP1190919B1 (en)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05756A (ko) 다단팽창식 하이브리드 인플레이터
US6488310B1 (en) Hybrid inflator
KR100390078B1 (ko) 소형합성팽창기
JP4587558B2 (ja)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4587584B2 (ja)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4708606B2 (ja)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WO2002032728A1 (fr) Gonfleur hybride
US20030057689A1 (en) Hybrid inflator
WO2003055727A1 (fr) Generateur de gaz destine a un coussin gonflable de securite
KR100445230B1 (ko) 토로이드형저장가스하우징을구비한하이브리드인플레이터의제조방법
US6851709B2 (en) Multistage-inflating type hybrid inflator
US6908105B2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JP4137347B2 (ja) 多段膨張式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4557367B2 (ja) ガス発生器用リテーナ
EP1236625A1 (en) Hybrid inflator
JP4342068B2 (ja)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KR100390076B1 (ko) 유동개시조립체를기초하여신속한가압을이룰수있는합성팽창기
KR100390077B1 (ko) 소형측면팽창기
JP4864250B2 (ja) 多段膨張式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3013881B2 (ja) 同軸上の室を備えた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2003054355A (ja) 多段膨張式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KR100388334B1 (ko) 동축챔버를구비한합성팽창기
JP2001253312A (ja) ハイブリッドインフレータ
JP2002096705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