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1825A - 차량의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1825A
KR20020001825A KR1020017013029A KR20017013029A KR20020001825A KR 20020001825 A KR20020001825 A KR 20020001825A KR 1020017013029 A KR1020017013029 A KR 1020017013029A KR 20017013029 A KR20017013029 A KR 20017013029A KR 20020001825 A KR20020001825 A KR 200200018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outlet temperature
air outlet
blower ai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3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 스트로벨
Original Assignee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하인쯔 호르닝어,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칼 하인쯔 호르닝어
Publication of KR20020001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182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92Arrangement of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내부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내부 온도가 내부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내부 온도 제어 장치에서 희망 내부 온도 값과 비교된다. 내부 온도 제어 장치의 출력 신호는, 차량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냉각/가열 장치를 제어하는 공기 공급 출구 온도 제어 장치에 제공된다. 상기 공급된 공기의 공기 공급 출구 온도는 차량 내부의 서로 상이한 지점까지 연장하는 공기 공급 덕트에 배치되는 2 개 이상의 공기 공급 출구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내부 온도 제어부의 출력 신호는 공기 공급 출구 온도 제어 장치에서 공기 출구 온도 센서 중 하나에 의해 측정된 값과 비교되며, 동시에 그 출력 신호는 내부 온도 제어를 위해 공급 공기 덕트내에 배치된 공기 분배 제어 부재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온도를 신뢰할 수 있게 제어하고 공기 공급 출구 온도를 동시에 제어하며, 단순하고 신뢰성 있게 작동되면서도, 차량의 탑승칸내의 승객에게 안락함을 보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공기 공급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의 측정 신호가 측정값을 각각 가중하는 공기 공급 출구 온도 제어 장치(27)에 제공된다. 공기 공급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의 가중된 측정값의 하나 만이 내부 온도 제어 장치(21)의 출력 신호와 비교된다.

Description

차량의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THE INTERIOR TEMPERATURE OF A MOTOR VEHICLE}
차량 공조 시스템은 기후 조절 장치를 구비하며, 그 공조 시스템은 기후가 제어될 차량의 탑승칸으로 분배될 송풍 공기를 발생시킨다. 그러한 기후 조절 장치는 냉각 유닛, 가열 유닛, 팬 및 승객 탑승칸으로 연장하는 송풍 공기 덕트를 구비한다. 기후 조절 장치의 각 부품들이 제어되고, 송풍 공기 출구의 분포는 제어 부재에 의해 다양한 송풍 공기 덕트로 향하게 된다.
공기 출구 덕트내에 하나의 송풍 공기 출구 센서만이 배치되었다면, 송풍 공기 덕트로부터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측정을 이용할 수 없다.
DE 43 36 934 C2 에는 승객 탑승칸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 방법에서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를 소정의 온도 범위 내에서 제어하기 위하여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가 실시되며, 2 개의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가 사용된다. 승객의 안락함을 보다 증대시키기 위해,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 및 송풍 공기 센서 모두의 출력 신호를 다수의 폐쇄 및 개방 제어 회로의 복잡한 조합으로 서로 연결시킨다.
본 발명은 차량의 승객 탑승칸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탑승칸의 온도는 탑승칸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그리고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에서 탑승칸 온도 설정점과 비교되며,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에 먼저 공급되고, 그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는 승객 탑승칸에 공급되는 송풍 공기를 냉각/가열 하는 장치를 제어하며, 송풍 공기의 출구 온도는 승객 탑승칸의 각각 상이한 지점에서 끝나는 송풍 공기 덕트내에 배치된 2 개 이상의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에서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과 비교되며, 동시에 상기 출력 신호는 송풍 공기 덕트내에 각각 배치된 공기 배급 제어 부재에 공급되어, 탑승칸 온도를 조절한다.
도 1 은 차량의 공조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차량의 탑승칸 온도 제어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가 실시되는 신뢰할 수 있는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장치는 단순하고도 신뢰성 있게 작동되면서도 차량 탑승칸내의 승객의 안락함을 높은 수준으로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로부터의 측정신호가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로 공급되며, 그 제어 장치는 측정값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가중(weight)하며,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로부터의 가중 측정치 중 하나 만이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비교되는 것에 의해, 이상의 목적들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이점은, 그러한 간단한 평가에도 불구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후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온도 센서는 그 온도 센서 주위로 공기가 유동하는 경우에만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주위로 공기가 가장 많이 유동하는 센서의 측정치에 가장 큰 가중치를 부여한다. 공기 분배 제어 부재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송풍 공기 배출 온도 센서의 각 측정치는 배정된 센서가 배치된 배출 덕트내의 송풍 공기 배출 유동을 제어하는 송풍 공기 배출 제어 부재의 위치 함수로서 가중된다. 각 송풍 공기 덕트로의 공기 분배로부터, 송풍 공기 배출 온도 센서에 배정된 송풍 공기 덕트에 의해 배출되는 송풍 공기의 비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신뢰할 만한 가중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많은 실시예로 변형 가능하다. 그 실시예들 중 하나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 부호로 표시하였다. 도 1 은 차량(2)내에 실제로 배치된 상태의 공조 유닛(1)을 나타낸다.
신선한 공기가 외기 플랩(flap)(3)에 의해 차량의 주위로부터 차량(2)내로 유입되며, 그 플랩의 위치는 공조 제어 모듈(5)로부터의 전기적 출력 신호를 함수로 하여 서보 모터(4)에 의해 제어된다.
차량의 탑승칸으로부터 순환하는 공기는 순환 공기 플랩(6)에 의해 공조 유닛(1)내로 유입된다. 순환 공기 플랩(6)의 위치 역시 공조 제어 모듈(5)로부터의 전기적 출력 신호를 함수로 하여 서보 모터(7)에 의해 제어된다. 팬(8)이 순환 공기 및 외기를 공조 유닛(1)내로 배급하며, 그에 따라 팬(8)의 하류에 혼합 공기(9)를 생성한다.
이 혼합 공기(9)는 증발기(10)로 공급된다.
냉각 모드에서, 혼합 공기(9)는 출구 덕트(11, 12, 13)에 의해 탑승칸(14)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출구 덕트(11, 12, 13)는 앞유리창, 운전자 및 앞쪽 탑승객, 그리고 운전자 및 앞쪽 탑승객의 발쪽 영역을 향한다. 공기 유입구는, 각 덕트(11, 12, 13)에 배치된 공기 분배 플랩(15, 16, 17)을 통해, 서보 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운전자 및/또는 앞쪽 탑승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열교환기(18)가 증발기(10)에 연결된다. 증발기(10)에 의해 분배되는 공기 유동은 온도 플랩(19)에 의해 열교환기(18)를 통과하고, 가열된다. 난방 모드에서, 그렇게 가열된 혼합 공기(9)가 탑승칸(14)으로 유동한다.
공조 제어 모듈(5)은 일반적으로 차량(1)의 대시보드내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주행 중에 운전자 또는 앞쪽 탑승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다.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조 제어 모듈(5)에 배치된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탑승칸(14)의 내부 온도를 제어한다.
공조 제어 모듈(5)에 배치된 작동 제어부(20)에 의해, 운전자 또는 앞쪽 탑승자가 탑승칸 온도 제어부(21)에 설정값으로서 희망 탑승칸 온도를 입력한다. 상기 제어부(21)는 탑승칸 온도 센서(22)에 의해 측정된 실제 내부 온도와 비교한다. 플랩(15, 16, 17)은 상기 비교를 함수로 하여 작동되며, 그에 따라 탑승칸(14)의 내부 온도를 조절한다.
제어 중에, 공기를 소정 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해,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21)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송풍 공기 출력 온도 제어 장치(23)로 공급된다. 이는, 송풍 공기 출구 덕트(11, 12, 13)에 각각 배치된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에 의해 측정되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를 함수로 하여, 난방을 위해 열교환기(18) 및 온도 플랩(19)을 작동시키거나 또는 냉방을 위해 외기 플랩(3) 및 팬(8)을 작동시킨다.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에 의해 별도로 제공되는 측정 결과들은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27)에서 가중된다.
각 출구 덕트(11, 12, 13)에 배치된 플랩(15, 16, 17)의 위치의 함수로서, 측정 결과들이 가중된다. 동시에, 출구 덕트에 배치된 송풍 공기 출구 센서가 동일 덕트내에 배치된 플랩과 연관된다.
각 공기 분배 플랩(15, 16, 17)에 대한 가중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공기 분배 플랩(15, 16, 17)이 폐쇄된 경우 즉, 해당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 주위에 공기 유동이 없는 경우, 측정값은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부(23)에서 고려되지 않는다.
공기 분배 플랩(15, 16, 17)이 완전히 개방된 것으로 측정되면, 해당 공기배출 덕트(11, 12, 13)내에 위치한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 주위에 공기가 완전히 유동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에 의해 제공되는 측정값 전체를 고려한다. 공기 분배 플랩(15, 16, 17)이 40 % 만 개방된 경우, 그 공기 분배 플랩(15, 16, 17)내의 관련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의 값은 마찬가지로 40 % 만 가중된다.
가중 후에, 주위의 공기 유동량이 가장 클 때의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의 측정값이 추가로 처리된다.
3 개의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의 사용에 의해, 송풍 공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값이 항상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부(23)의 조정에 사용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차량의 탑승칸 온도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탑승칸의 온도는 탑승칸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그리고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에서 탑승칸 온도 설정점과 비교되며, 상기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에 공급되고, 상기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는 승객 탑승칸에 공급되는 송풍 공기를 냉각/가열 하는 장치를 제어하며, 송풍 공기의 출구 온도는 승객 탑승칸의 각각 상이한 지점에서 끝나는 송풍 공기 덕트내에 배치된 2 개 이상의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며, 상기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에서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된 값과 비교되며, 동시에 상기 출력 신호는 송풍 공기 덕트내에 각각 배치된 공기 배급 제어 부재에 공급되어, 탑승칸 온도를 조절하는 제어 장치로서,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로부터의 측정 신호가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27)로 공급되고, 상기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는 각각의 측정값을 가중하며,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로부터의 가중된 측정값 중 하나만이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21)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비교되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공기 분배 제어 부재(14, 15, 16)는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제어 장치(27)에 연결되고,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가 배정된 송풍 공기 출구 제어 부재(14, 15, 16)의 위치를 함수로 하여 상기 송풍 공기 출구 온도센서(24, 25, 26)의 각 측정값이 가중되는 제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 송풍 공기 출구 온도 센서(24, 25, 26)는 공기 출구 덕트(11, 12, 13)내에 또는 출구 개구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어 장치.
KR1020017013029A 1999-04-14 2000-03-10 차량의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 KR200200018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6691.9 1999-04-14
DE19916691A DE19916691A1 (de) 1999-04-14 1999-04-14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Innenraumtemperatur eines Kraftfahrzeuges
PCT/EP2000/002140 WO2000063034A1 (de) 1999-04-14 2000-03-10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innenraumtemperatur eines kraftfahrzeug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1825A true KR20020001825A (ko) 2002-01-09

Family

ID=7904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3029A KR20020001825A (ko) 1999-04-14 2000-03-10 차량의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87733B1 (ko)
JP (1) JP2002542095A (ko)
KR (1) KR20020001825A (ko)
AU (1) AU763646B2 (ko)
DE (2) DE19916691A1 (ko)
ES (1) ES2234576T3 (ko)
WO (1) WO20000630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50B1 (ko) * 2007-06-04 2015-02-26 르노 에스.아.에스. 공기 조화 안락 레벨 설정점의 로딩 시에 일시적인 초과 파워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61792A1 (de) * 2002-12-23 2004-07-15 Robert Bosch Gmbh Klimatisier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limatisierung eines begrenzten Volumens
DE10317512B3 (de) 2003-04-16 2004-09-23 Daimlerchrysler Ag 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n Kraftwagensitz
JP5468982B2 (ja) * 2010-05-14 2014-04-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816421B1 (ko) * 2016-07-01 201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36934C2 (de) * 1992-05-02 1995-10-12 Hella Kg Hueck & Co Verfahren zur Regelung der Innenraumtemperatur eines Fahrzeuges bei gleichzeitiger Ausblastemperaturregelung und Klimaanlage mit Ausblastemperaturregelung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es
DE4397190C2 (de) * 1993-02-11 2002-02-14 Saab Automobil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Klimatisierung des Innenraums eines Fahrzeugs
US5775415A (en) * 1993-07-07 1998-07-07 Nippondenso Co., Ltd. Air conditioning system
JP3146817B2 (ja) * 1993-12-22 2001-03-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DE19708383C1 (de) * 1997-03-01 1998-06-10 Hella Kg Hueck & Co Klimaanlage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es mit für zwei unterschiedliche Bereiche des Innenraums getrennt vorgebbaren Innenraumtemperatur-Sollwert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450B1 (ko) * 2007-06-04 2015-02-26 르노 에스.아.에스. 공기 조화 안락 레벨 설정점의 로딩 시에 일시적인 초과 파워을 얻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 조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63034A1 (de) 2000-10-26
AU3428800A (en) 2000-11-02
EP1187733A1 (de) 2002-03-20
DE50009290D1 (de) 2005-02-24
EP1187733B1 (de) 2005-01-19
ES2234576T3 (es) 2005-07-01
DE19916691A1 (de) 2000-10-19
JP2002542095A (ja) 2002-12-10
AU763646B2 (en) 200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287A (en)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the mixed-air of a heating/air-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US6293339B1 (e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with independent left/right temperature control during maximum cooling
KR890002120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JP2780060B2 (ja) 車輛用空調制御装置
US5725052A (en) Dual zone air-condition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with improved air flow rate
EP2088014A2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920004196A (ko) 자동차용 에어 컨디셔너
US4962302A (en)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air-conditioners
US5137213A (en) Heater unit for the automobile air conditioner
US5907954A (en) Method and system for regulating mixed air in an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AU3579099A (en) Air-supply device and method of regulating the air supply in a vehicle
KR20020001825A (ko) 차량의 탑승칸 온도 제어 장치
US665985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gulating air mixing in a heating or air condition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US6581022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4919328A (en) Automobile air conditioning system
JP3644101B2 (ja) 空調装置
US495363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mobile air-conditioner to control defrost bleed air
JP2579514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9980039793A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940152B2 (ja) 空気調和装置
KR19980039792A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817273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732130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S6342015Y2 (ko)
JPH0532124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