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0006A -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 Google Patents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0006A
KR20020000006A KR1020000033773A KR20000033773A KR20020000006A KR 20020000006 A KR20020000006 A KR 20020000006A KR 1020000033773 A KR1020000033773 A KR 1020000033773A KR 20000033773 A KR20000033773 A KR 20000033773A KR 20020000006 A KR20020000006 A KR 20020000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andle
piece
coupling
hand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장우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우,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이장우
Priority to KR1020000033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00006A/ko
Publication of KR20020000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00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1/00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 E05F11/02Man-operated mechanisms for operating wings, including those which also operate the fastening for wings in general, e.g. fanl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걸림홈에 삽입된 걸림편과 걸림홈의 내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 유격에 의하여 핸들부재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삽지공과 결합턱과 돌출편이 형성된 축 결합부재와, 상기 축 결합부재에 결합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와 삽지부와 가이드부 및 노브연결축이 형성된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의 삽지부에 연결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상기 돌출편에 걸리거나 이탈 해제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축 연결부재와 결합축으로 결합된 핸들부재가 작동부재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지지되거나 접힘상태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핸들부재가 접힘 및 펼침 상태에서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FOLDING TYPE HANDLE TO OPEN-CLOSE APPARATUS FOR WINDOW}
본 발명은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핸들의 접힘 및 펼침부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작동부재에 의해 핸들의 펼침 및 접힘상태가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개페장치용 핸들은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장치의 구동축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핸들(A)은 일단부에 노브(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는 일측으로 굽어져 창문 개폐장치(D)의 구동축(E)이 결합되도록 결합부(C)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폐장치(D)의 구동축(E)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핸들(A)은 그 자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브(B)가 결합된 일단부가 상기 구동축(E)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창문 조작자에게상해를 입히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핸들(A)이 구동축(E)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자가 활동시 상기 핸들(A)의 노브(B)에 조작자가 부딪히게 됨으로써, 타박상과 같은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된 핸들(A)에 의해 상해를 입는 문제점은 도 1b,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이식 핸들에 의해 해소될 수 있었다.
도 1b,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150)의 구동축(152)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부재(110)의 일측에 핸들부재(120)의 일단부가 힌지(140)로 결합되고, 상기 핸들부재(120)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편(130)이 상기 연결부재(11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11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접이식 핸들(100)의 접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120)를 접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재(110)의 걸림홈(111)에 삽입된 걸림편(130)을 상기 걸림홈(111)으로부터 이탈 시킨 후, 상기 핸들부재(120)를 도 1c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120)는 상기 힌지(140)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120)를 펼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부재(120)를 도 1c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편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홈(111)에 삽입됨으로써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120)가 접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핸들부재(120)가 일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조작자와의 간섭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접이식 핸들(100)은 상기 걸림홈(111)에 삽입된 걸림편(130)과 걸림홈(111)의 내면 사이에 유격(t)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120)가 펼쳐지거나 접혀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유격(t)에 의하여 상기 핸들부재(120)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접이식 핸들을 구성함에 있어, 핸들의 펼침 및 접힘상태가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창문 개폐용 링크를 작동시키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도록 삽지공이 형성되고, 타단 중앙에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의 일측으로는 축공이 천공된 돌출편이 일체로 형성된 축 결합부재; 상기 축 결합부재의 결합턱이 삽입되어 결합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게 전면 일단에 작동부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작동부와 연통되는 삽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지부의 일단으로는 상기 돌출편이 위치할 수 있게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후면 타단에는 노브연결축이 설치된 핸들부재; 및 상기 삽지부에 삽입되어 연결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중앙부에는 축공이 천공된 연결편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의 일단에는 끝단부가 일측으로 굽어져 상기 돌출편에 걸릴 수 있게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타단에는 일측으로굽어진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와 연결편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축이 설치된 작동부재;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삽지부의 타단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이탈방지편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는 종래 창문의 개폐장치용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b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접이식 핸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접이식 핸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4a는 핸들이 작동되기전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b는 핸들이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a,b,c는 작동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축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축 20 : 축 결합부재
21 : 삽지공 22 : 결합턱
23 : 돌출편 23a : 축공
30 : 핸들부재 32 : 작동부
34 : 삽지부 34a : 이탈방지편
36 : 가이드부 38 : 노브연결축
40 : 결합축 50 : 작동부재
51 : 연결편 51a : 축공
53 : 고정돌기 55 : 걸림돌기
57 : 고정축 60 : 탄성부재
70 : 연결축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접이식 핸들이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접이식 핸들은 삽지공(21)과 결합턱(22)과 돌출편(23)이 형성된 축 결합부재(20)와, 상기 축 결합부재(20)에 결합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32)와 삽지부(34)와 가이드부(36) 및 노브연결축(38)이 형성된 핸들부재(30)와, 상기 핸들부재(30)의 삽지부(34)에 연결축(7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연결편(51)과 고정돌기(53)와 걸림돌기(55)로 형성된 작동부재(50)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미설명부호 (80)은 상기 노브연결축(38)에 결합되는 노브이고, (82)는 상기 노브(80)와 노브연결축(38) 사이에 설치된 와셔이며, (84)는 상기 노브(80)에 결합되는 마감덮개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 결합부재(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구동축(10)과 핸들부재(30)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창문 개폐용 링크(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구동축(10)에 결합되도록 일단에 삽지공(21)이 형성되고, 타단 중앙에는 결합턱(2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22)의 일측으로는 축공(23a)이 천공된 돌출편(23)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23)이 형성된 축 결합부재(20)의 타단 일측면은 일정각도 경사지게 경사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핸들부재(30)는 상기 구동축(10)에 결합되는 축 결합부재(2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축 결합부재(20)의 결합턱(22)이 삽입되어 결합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게 전면 일단에 작동부(32)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작동부(32)와 연통되는 삽지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삽지부(34)의 일단으로는 상기 돌출편(23)이 위치할 수 있게 가이드부(36)가 형성되고, 후면 타단에는 노브연결축(38)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30)가 상기 결합축(40)을 중심으로 내측(접히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작동부(32)의 양측에 형성된 측판(33)에 경사부(24)가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가이드부(36)는 돌출편(23)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삽지부(34)의 타단에는 후술할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이탈방지편(34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재(50)는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상태와 펼친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삽지부(34)에 삽입되어 연결축(7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중앙부에는 축공(51a)이 천공된 연결편(5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51)의 일단에는 끝단부가 일측으로 굽어져 상기 돌출편(23)에 걸릴 수 있게 고정돌기(53)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51)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굽어진 걸림돌기(55)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55)와 연결편(51)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축(57)이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30)가 펼쳐진 상태이면 탄성부재(60)가 설치된 상기 작동부재(50)의 타단이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작동부재(50)의 고정돌기(53)가 상기 돌출편(23)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핸들부재(30)가 유동없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 결합부재(20)와 핸들부재(3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핸들부재(30)의 측판(33) 사이에 형성된 작동부(32)에 상기 축 결합부재(20)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턱(22)을 삽입하여 상기 핸들부재(30)의 측판(33)에 형성된 끼움공(33a)과 축 결합부재(20)의 돌출편(23)에 형성된 축공(23a)을 일치시킨 후 결합축(40)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키다. 이때, 상기 돌출편(23)의 끝단부는 상기 핸들부재(30)의 가이드부(36)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축 결합부재(20)와 핸들부재(30)가 결합축(40)에 의해 상호 결합되면, 상기 핸들부재(30)는 상기 결합축(40)을 중심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자유스럽게 회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의 자유 회동을 구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부재(30)를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상기 삽지부(34)에 작동부재(50)를 설치하면된다. 즉, 핸들부재(30)의 삽지부(34)에 고정축(57)에 탄성부재(60)가 설치된 작동부재(50)를 삽입하여 상기 핸들부재(30)에 형성된 결합공(31)과 작동부재(50)의 연결편(51)에 천공된 축공(51a)을 일치시킨 후 연결축(70)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핸들부재(30)와 작동부재(50)가 연결축(40)에 의해 결합되면, 상기 작동부재(50)의 고정돌기(53)는 상기 작동부재(50)의 타단에 설치된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축 결합부재(20)의 돌출편(23)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핸들부재(30)가 접히지 않을 뿐더러 유동없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핸들부재(30)의 타단에 설치된 노브연결축(38)에 노브(80)를 결합시키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축 결합부재(20)와 상기 핸들부재(30)가 결합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부재(30)의 삽지부(34)에는 작동부재(50)가 설치되고, 노브결합축(38)에는 노브(80)가 설치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핸들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결합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결합부재(20)에 핸들부재(30)가 결합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핸들부재(30)의 삽지부(34)에 작동부재(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축 결합부재(20)의 삽지공(21)을 구동축(10)에 삽입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 개폐장치(16)를 작동시켜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핸들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축(1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핸들부재(30)가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작동부재(50)의 고정돌기(53)가 돌출편(23)의 일측면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3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어 접혀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핸들부재(30)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부재(3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핸들부재(30)가 창문 개폐조작자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재(30)를 접으면 된다. 그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서 상기 핸들부재(3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전에 상기 작동부재(50)의 타단을 눌러준다. 그러면 상기 작동부재(50)의 타단이 연결축(70)을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부재(60)가 압축됨과 동시에 도 5b와 같이 상기 돌출편(23)에 걸려있던 고정돌기(53)가 이탈되면서 걸림 해제가 되며, 상기 고정돌기(53)가 돌출편(23)에서 걸림 해제가 되면 상기 작동부재(50)의 조작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상기 작동부재(50)의 타단은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를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30)가 결합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가이드부(36)의 일측으로 돌출편(23)을 위치시키려 하고, 동시에 상기 핸들부재(30)의 측판(33)은 상기 축 연결부재(20)의 경사부(24)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를 계속해서 회동시키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30)의 측판(33) 하단부가 축 결합부재(20)의 경사부(24)에 밀착되면서 상기 핸들부재(30)의 회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핸들부재(30)의 가이드부(36) 일측은 상기 축 결합부재(20)의 돌출편(23)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3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상태는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핸들부재(30)의 측판(33) 하단부가 축 결합부재(20)의 경사부(24)에 밀착되고, 상기 작동부재(50)의 고정돌기(53)가 탄성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편(23)의 일측면을 가압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도 5c참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를 다시 펼쳐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부재(30)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돌출편(23)의 일측면을 가압하고 있는 고정돌기(53)가 이탈되고 동시에 상기 핸들부재(30)의 측판(33)이 경사부(24)에서 이탈되며, 계속해서 상기 핸들부재(30)를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30)의 회동이 정지되는 시점에서 상기 작동부재(50)의 고정돌기(53)가 돌출편(23)의 내측면에 걸리게 된다.(도 5a참조) 즉, 상기 핸들부재(30)가 완전히 펼쳐지면 상기 핸들부재(30)의 가이드부(36) 일측이 돌출편(23)에 위치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작동부재(50)의 고정돌기(53)가 돌출편(23)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30)의 펼쳐진 상태가 유동없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동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 6a는 일측에 돌출편(23)이 형성된 결합턱(22)의 타측에 외측면이 만곡부(59a)를 갖는 만곡편(59)을 돌출 형성한 것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만곡편(59)이 상기 만곡부(59a)의 상부에서 상기 돌출편(23) 방향으로 수평면(59b)을 형성한 것으로, 상기 작동부재(5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축 결합부재(20)와 핸들부재(30)가 결합축(40)으로 상호 결합되고, 상기 핸들부재(30)의 삽지부(34)에는 작동부재(50)를 연결축(70)으로 설치함으로써, 상기 핸들부재(30)의 펼침과 접힘 상태가 상기 작동부재(50)에 의해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에 따르면 삽지공과 결합턱과 돌출편이 형성된 축 결합부재와, 상기 축 결합부재에 결합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와 삽지부와 가이드부 및 노브연결축이 형성된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의 삽지부에 연결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상기 돌출편에 걸리거나 이탈 해제시키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된 작동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축 연결부재와 결합축으로 결합된 핸들부재가 작동부재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지지되거나 접힘상태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핸들부재가 접힘 및 펼침 상태에서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창문 개폐용 링크를 작동시키는 구동축(1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구동축(10)에 결합되도록 삽지공(21)이 형성되고, 타단 중앙에는 결합턱(2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22)의 일측으로는 축공(23a)이 천공된 돌출편(23)이 일체로 형성된 축 결합부재(20);
    상기 축 결합부재(20)의 결합턱(22)이 삽입되어 결합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게 전면 일단에 작동부(32)가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작동부(32)와 연통되는 삽지부(34)가 형성되며, 상기 삽지부(34)의 일단으로는 상기 돌출편(23)이 위치할 수 있게 가이드부(36)가 형성되고, 후면 타단에는 노브연결축(38)이 설치된 핸들부재(30); 및
    상기 삽지부(34)에 삽입되어 연결축(7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일측 중앙부에는 축공(51a)이 천공된 연결편(5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51)의 일단에는 끝단부가 일측으로 굽어져 상기 돌출편(23)에 걸릴 수 있게 고정돌기(53)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51)의 타단에는 일측으로 굽어진 걸림돌기(55)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55)와 연결편(51) 사이에는 탄성부재(6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고정축(57)이 설치된 작동부재(5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지부(34)의 타단에는 상기 탄성부재(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이탈방지편(34a)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1020000033773A 2000-06-20 2000-06-20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20020000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773A KR20020000006A (ko) 2000-06-20 2000-06-20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773A KR20020000006A (ko) 2000-06-20 2000-06-20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006A true KR20020000006A (ko) 2002-01-04

Family

ID=1967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773A KR20020000006A (ko) 2000-06-20 2000-06-20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00006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770A (en) * 1991-08-15 1992-12-08 Ellis Frederick G Pivotal handle for a window actuator
US5740632A (en) * 1995-05-18 1998-04-21 Andersen Corporation Multi-position window operator handle
JPH10280797A (ja) * 1997-04-10 1998-10-20 Nakanishi Eng:Kk 開き窓の開閉装置
KR200184114Y1 (ko) * 2000-01-07 2000-06-01 향상산업주식회사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JP2000328817A (ja) * 1999-04-29 2000-11-28 Interlock Group Ltd 折畳式ハンド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770A (en) * 1991-08-15 1992-12-08 Ellis Frederick G Pivotal handle for a window actuator
US5740632A (en) * 1995-05-18 1998-04-21 Andersen Corporation Multi-position window operator handle
JPH10280797A (ja) * 1997-04-10 1998-10-20 Nakanishi Eng:Kk 開き窓の開閉装置
JP2000328817A (ja) * 1999-04-29 2000-11-28 Interlock Group Ltd 折畳式ハンドル
KR200184114Y1 (ko) * 2000-01-07 2000-06-01 향상산업주식회사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8132B1 (ko)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KR100708458B1 (ko) 글로브 박스용 리드 록 장치
JP3940318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3605926B2 (ja) カバーのヒンジ装置
KR20030022569A (ko) 힌지장치
KR20020000006A (ko)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100365720B1 (ko)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JP4159646B2 (ja) ヒンジ装置およびフリップならびに携帯式電話機
JP3271450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
KR200275876Y1 (ko) 가구용 힌지
KR100376318B1 (ko) 휴대형 이동단말기의 자동개폐 장치
KR200272034Y1 (ko) 가구용 힌지 스프링
KR910003308Y1 (ko) 가전제품의 회전형 콘트롤도어 개폐장치
KR19990068461A (ko) 폴더형휴대폰의덮개펼침방법및그장치
KR100468124B1 (ko) 전자렌지의 도어 결합장치
KR100526336B1 (ko) 휴대폰 폴더
KR200203250Y1 (ko) 로킹장치
KR100485631B1 (ko) 휴대폰의 커버 개폐 및 로테이션장치
KR100620503B1 (ko) 2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는 폴더형 휴대장치
KR200314028Y1 (ko) 절첩사다리용 힌지
KR200269323Y1 (ko) 가구용 힌지
KR100551210B1 (ko) 휴대폰의 커버 힌지장치
KR200417631Y1 (ko) 상다리용 경첩
KR960013528B1 (ko) 세탁기의 도어힌지 구조
KR200249501Y1 (ko) 진공청소기의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