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4114Y1 -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 Google Patents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4114Y1
KR200184114Y1 KR2020000000357U KR20000000357U KR200184114Y1 KR 200184114 Y1 KR200184114 Y1 KR 200184114Y1 KR 2020000000357 U KR2020000000357 U KR 2020000000357U KR 20000000357 U KR20000000357 U KR 20000000357U KR 200184114 Y1 KR200184114 Y1 KR 200184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locking
coupled
handl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0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우
정상천
Original Assignee
향상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향상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향상산업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4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4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08B5/38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using flashing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41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resonant converter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 즉, 잠금버튼을 조작한 후 핸들을 접어야 함으로써 핸들의 사용이 불편하였고, 축 연결부재와 핸들부재에 유격이 발생하여 작동소음은 물론, 부품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고안은 창문 개폐장치의 구동축(1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에 끼움돌기(28)가 돌설된 축 연결부재(20)와, 상기 축 연결부재(20)의 타단이 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양 측판(32) 사이에 걸림부(36)를 구비한 걸림부재(34)가 형성된 핸들부재(30)와, 일측에 상기 축 연결부재(20)에 결합되는 고정공(52)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삽입/이탈되는 걸림홈(54)이 형성된 자체 탄성을 구비한 지지부재(50)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축 연결부재(20)와 축(40)으로 결합된 핸들부재(30)가 자체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50)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지지되거나 접힌 상태가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접힘과 펼쳐짐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 및 펼쳐짐 상태가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FOLDING TYPE HANDIE FOR OPEN-CLOSING APPARATUS OF WINDOW}
본 고안은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핸들의 접힘부위에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자체탄성을 구비한 지지부재에 의해 별도의 조작없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여 핸들의 사용이 용이한 접이식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은 창문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개폐장치의 구동축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노브(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는 일측으로 굽어져 창문 개폐장치(4)의 구동축(5)이 결합되도록 결합부(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개폐장치(4)의 구동축(5)을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핸들(1)은 그 자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구동축(5)에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상기 노브(2)가 결합된 일단부가 상기 구동축(5)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있었고, 이로 인하여 창문 조작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핸들(1)이 구동축(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었기 때문에, 조작자의 활동시 상기 핸들(1)의 노브(2)에 조작자가 부딪힘으로써, 타박상과 같은 상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돌출된 핸들(1)에 상해를 입는 문제점은 도 1b, 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이식 핸들(6)에 의해 다소 해소될 수 있었다.
상기 접이식 핸들(6)은 도 1b,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장치(4)의 구동축(5)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결부재(7) 일측에 핸들부재(8)의 일단부가 힌지(9)로 결합되고, 상기 핸들부재(8)의 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걸림편(8-1)이 상기 연결부재(7)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7-1)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접이식 핸들(6)의 접힘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b에 도시된 바과 같이, 상기 핸들부재(8)를 접기 위해서 상기 연결부재(7)의 걸림홈(7-1)에 삽입된 걸림편(8-1)을 상기 걸림홈(7-1)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핸들부재(8)를 도 1b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8)는 상기 힌지(9)를 중심으로 접혀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8)를 펼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부재(8)를 도 1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편(8-1)이 자체 탄성에 의해 상기 걸림홈(6-1)에 삽입됨으로써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8)가 접혀질 수 있음으로써, 상기 핸들부재(8)가 일측으로 돌출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조작자와의 간섭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접이식 핸들(6)은 상기 핸들부재(8)를 접기 위하여 상기 걸림편(8-1)을 별도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상기 걸림홈(7-1)에 삽입된 걸림편(8-1)과 걸림홈(7-1) 내면 사이에 유격(t)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8)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유격(t)에 의하여 상기 핸들부재(8)가 흔들거리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접이식 핸들을 구성함에 있어서, 핸들을 별도의 조작없이 접힘 및 펼침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핸들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핸들의 펼침 또는 접힘상태가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접이식 핸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창문 개폐용 링크를 작동시키는 구동축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구동축이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되고, 타단 일측에는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의 일측으로는 단이진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의 일측에 끼움돌기가 돌설된 축 연결부재; 상기 축 연결부재의 타단이 일단의 양 측판 사이에 삽입되어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회동시 상기 안착부가 밀착되도록 상기 양 측판 사이에 걸림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의 일측면 중간부에 걸림부가 돌출 형성된 핸들부재; 및 일측에 상기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고정공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부재의 끝단부가 삽입 이탈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며, 자체 탄성을 구비한 지지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을 제공한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의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1c는 도 1b에 도시된 접이식 핸들의 사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핸들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 4a는 작동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4b는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4c는 작동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부재와 걸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시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구동축 20 : 축 연결부재
22 : 결합공 24 : 안착부
26 : 고정턱 28 : 끼움돌기
30 : 핸들부재 32 : 측판
34 : 걸림부재 36 : 걸림부
40 : 축 50 : 지지부재
52 : 고정공 54 : 걸림홈
56 : 탄성보강홈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이식 핸들을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미설명 부호 '29'는 축 연결부재(20)의 타단에 형성된 축공이고, '39'는 핸들부재(30)의 양 측판(32)에 형성된 축공이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핸들은 안착부(24)와 끼움돌기(28)가 형성된 축 연결부재(20)와, 상기 축 연결부재(20)에 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부재(34)가 형성된 핸들부재(30)와, 축 연결부재(20)의 끼움돌기(28)에 일단부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걸림부재(34)에 걸리거나 해제되며, 자체 탄성을 구비한 지지부재(50)로 구성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 연결부재(2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축(10)과 핸들부재(30)를 연결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창문 개폐용 링크(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키는 구동축(10)이 결합되도록 일단에 결합공(22)이 형성되고, 타단 일측에는 안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4)의 일측으로는 단이진 고정턱(2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6)의 일측에는 끼움돌기(28)가 돌설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핸들부재(30)는 상기 구동축(10)에 결합되는 축 연결부재(20)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측은 폐쇄되고 타측은 개방된 '⊂'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재(30)의 타단에는 노브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에는 상기 축 연결부재(20)가 축(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핸들부재(30)는 일단의 양 측판(32) 사이에 상기 축 연결부재(20)의 타단이 축(40)으로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일단 내측의 양 측판(32) 사이에는 판재 형상의 걸림부재(34)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34)의 일측면(상기 축(40)이 설치되는 반대방향)에는 걸림부(36)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핸들부재(30)가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내측(접히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34)의 타측면은 상기 안착부(24)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는 상기 고정턱(26)에 걸리는 상태가 되어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자체탄성을 구비하여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상태와 펼친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끼움돌기(28)가 삽입되는 고정공(52)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와 걸림부(36)가 삽입 이탈되는 걸림홈(5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지지부재(50)는 판재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고,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과 펼쳐짐시에 탄성을 부여하고, 접힘과 펼쳐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성을 구비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족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축 결합부재(20)와 상기 핸들부재(30)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핸들부재(30) 일단의 양 측판(32) 사이에 상기 축 연결부재(20)의 타단을 삽입하여 상기 축 결합부재(20)에 형성된 축공(29)과 상기 핸들부재(30)의 양 측판(32) 에 형성된 축공(39)을 일치시킨 후 상기 축(40)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기 축 결합부재(20)와 핸들부재(30)가 축(40)에 의해 결합되면, 상기 핸들부재(30)는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한정된 범위내에서 자유스럽게 회동되는 상태가 된다. 즉, 도 3 내지 도 4a에 도시된 초기상태의 각도에서 도 4c에 도시된 접혀진 각도(θ) 범위내에서만 자유스럽게 회동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이때,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의 자유 회동을 구속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부재(30)를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5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52)에 상기 끼움돌기(28)를 삽입하여 상기 지지부재(50)의 일측이 상기 축 연결부재(20)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에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공(52)에 상기 끼움돌기(28)가 삽입되면, 상기 끼움돌기(28)의 끝단부를 확개하거나 또는 상기 끼움돌기(28)를 억지끼움하여 상기 지지부재(50)의 일단을 상기 축 연결부재(20)에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지지부재(50)의 일단이 상기 축 연결부재(20)에 고정 되면, 상기 지지부재(5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54)에는 상기 핸들부재(30)의 걸림부재(34) 끝단부가 삽입되어 상기 핸들부재(3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핸들부재(2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50)의 일단이 상기 축 연결부재(20)에 고정되고, 상기 핸들부재(20)의 걸림부재(34) 끝단부가 상기 지지부재(5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54)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20)의 접힘은 방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축 연결부재(20)와 상기 핸들부재(30)가 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 연결부재(20)와 핸들부재(30)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50)가 설치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접이식 핸들의 결합은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상호 결합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결합부재(20)에 핸들부재(30)가 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축 결합부재(20)와 핸들부재(30) 사이에 지지부재(5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축 결합부재(20)의 결합공(22)에 상기 구동축(10)을 삽입한 후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창문 개폐장치(11)를 작동시켜 창문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상기 핸들부재(30)를 회전시켜 상기 구동축(10)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핸들부재(30)는 최대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30)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되어 접혀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핸들부재(30)가 펼쳐진 상태에서의 유동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핸들부재(3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핸들부재(30)가 창문 개폐 조작자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재(30)를 접는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30)를 도 4b에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는 상기 지지부재(50)의 타단을 도 4b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는 상태가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지지부재(50)의 타단(걸림홈(54)이 형성된 부위)은 상기 고정공(52)을 중심으로 하여 자체탄성을 극복하면서 상기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는 상기 걸림홈(5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를 상기 일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50)의 타단은 상기 이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더욱 변형되고, 결국에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핸들부재(30)의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로부터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는 상기 지지부재(50)의 내측면(안착부(24)와 마주보는 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이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를 일점쇄선으로 계속하여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이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되었던 지지부재(50)는 자체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재(34)의 외측면(상기 걸림부(36)가 돌설된 면)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의 내측면(상기 안착부(24)와 마주보는 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부재(34)의 내측면은 상기 축 연결부재(20)의 안착부(24)에 밀착되며,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는 상기 고정턱(26)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 회동은 정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 부재(34)의 외측면에 돌설된 걸림부(36)는 상기 지지부재(50)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리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핸들부재(30)를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일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50)가 상기 이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걸림홈(54)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축 연결부재(20)의 안착부(24)와 고정턱(26)에 밀착되면서 상기 핸들부재(30)의 회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부(36)가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에 삽입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3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36)가 걸림홈(54)에 삽입되면,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상태는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걸림부재(34)의 걸림부(36)가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에 삽입되어 걸리는 상태가 되고, 상기 지지부재(50)가 자체탄성력으로 상기 핸들부재(30)의 걸림부재(34)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를 다시 펼쳐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핸들부재(30)를 상기 일점쇄선의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50)가 상기 이점쇄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되고, 상기 걸림부(36)는 상기 걸림홈(54)으로부터 이탈되는 상태가 되며, 계속해서 상기 핸들부재(30)를 상기 일점쇄선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30)의 회동이 정지되는 시점(상기 핸들부재(30)가 더이상 회동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에 삽입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30)의 펼쳐진 상태가 유동없이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지지부재(50)와 걸림부재(34)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중에서 도 5를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재(34)의 걸림부(36)가 단이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은 단이지게 형성된 상기 걸림부(36)에 형합되도록 단이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즉, 상기 걸림부(36)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 측에서 내측으로 단이지게 형성된 것이고, 상기 걸림홈(54)은 상기 걸림부(36)에 형합되도록 상기 고정공(52)의 반대측 끝단부에서 고정공(52) 측으로 단지지게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과 걸림부재(34)의 걸림부(36)가 서로 형합되도록 단이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부재(30)의 펼침 및 접힘 작동을 전술한 작동과정과 같다. 즉, 도 4a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부재(3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단이지게 형성된 상기 지지부재(50)의 걸림홈(54)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이 방지되어 펼쳐짐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들부재(30)가 접혀지게 되면, 상기 걸림부(36)와 걸림홈(5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50)는 자체 탄성력으로 상기 걸림부재(34)를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상태는 유지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핸들부재(30)가 접혀진 상태에서 펼쳐지기 위해서는 상기 걸림부재(34)에 상기 지지부재(50)의 탄성을 극복할 수 있는 정도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부재(50)는 상기 축(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걸림부재(34)에 의해 변형되면서 상기 걸림부재(34)의 펼쳐짐을 허용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핸들부재(30)가 펼쳐지거나 접혀질 때, 상기 핸들부재(30)는 유동없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탄성을 구비한 상기 지지부재(50)에 접촉되면서 작동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34)의 걸림부(36)가 단이지게 형성된 관계로, 상기 핸들부재(30)를 성형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지지부재(50)의 다른 실시예를 도 6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지지부재(50)는 다수개의 탄성보강홈(56)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상기 탄성보강홈(56)은 상기 걸림홈(54)과 같은 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탄성보강홈(56)은 그 형성방향에 구애받지 않는다. 즉, 상기 지지부재(50)의 자체탄성을 보강할 수 있으면 족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50)에 탄성보강홈(56)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50)의 탄성이 보강되어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과 펼쳐짐 상태가 더욱 견고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축 연결부재(20)와 축(40)으로 결합된 핸들부재(30) 사이에 자체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50)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핸들부재(30)의 접힘 및 펼쳐짐 상태가 상기 지지부재(50)에 의해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은 안착부와 끼움돌기가 형성된 축 연결부재와, 상기 축 연결부재에 축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재와, 일단은 상기 축 연결부재에 고정되고, 타단부의 걸림홈에는 상기 핸들부재의 걸림부재와 걸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걸리거나 이탈 해체되도록 형성되며, 자체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축 연결부재와 축으로 결합된 핸들부재가 자체 탄성을 갖는 지지부재에 의해 접히지 않도록 지지되거나 접힌 상태가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별도의 조작없이 접힘과 펼쳐짐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부재의 접힘 및 펼쳐짐 상태가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유동없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창문 개폐용 링크를 작동시키는 구동축(10)을 회전시키도록 설치되고, 일측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에 있어서,
    일단에 상기 구동축(10)이 결합되도록 결합공(22)이 형성되고, 타단 일측에는 안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부(24)의 일측으로는 단이진 고정턱(26)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6)의 일측에 끼움돌기(28)가 돌설된 축 연결부재(20);
    상기 축 연결부재(20)의 타단이 일단의 양 측판(32) 사이에 삽입되어 축(40)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양 측판(32) 사이에 걸림부(36)를 구비한 걸림부재(34)가 형성된 핸들부재(30); 및
    일측에 상기 끼움돌기(28)가 삽입되는 고정공(52)이 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걸림부재(34)의 끝단부가 삽입 이탈되는 걸림홈(54)이 형성되며, 자체 탄성을 구비한 지지부재(5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50)에는 다수개의 탄성보강홈(5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2020000000357U 2000-01-07 2000-01-07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20018411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607A KR100365720B1 (ko) 2000-01-07 2000-01-07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607A Division KR100365720B1 (ko) 2000-01-07 2000-01-07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4114Y1 true KR200184114Y1 (ko) 2000-06-01

Family

ID=196369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0357U KR200184114Y1 (ko) 2000-01-07 2000-01-07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1020000000607A KR100365720B1 (ko) 2000-01-07 2000-01-07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607A KR100365720B1 (ko) 2000-01-07 2000-01-07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41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06A (ko) * 2000-06-20 2002-01-04 이장우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100418132B1 (ko) * 2000-09-09 2004-02-11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25010A (zh) * 2018-05-29 2018-11-16 江苏派欧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把手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1978A (en) * 1961-02-09 1963-06-04 Gen Slicing Machine Co Inc Swivelled cranks
US5168770A (en) * 1991-08-15 1992-12-08 Ellis Frederick G Pivotal handle for a window actuator
US5560082A (en) * 1994-09-15 1996-10-01 Truth Hardware Corporation Folding window operator handle
KR100317164B1 (ko) * 1999-02-19 2001-12-22 이장우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006A (ko) * 2000-06-20 2002-01-04 이장우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KR100418132B1 (ko) * 2000-09-09 2004-02-11 주식회사 3지테크놀러지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601A (ko) 2001-07-23
KR100365720B1 (ko) 200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89913B2 (ja) 自動開放型折畳み携帯無線機
KR100418132B1 (ko) 창문 개폐장치용 핸들구조
US5988928A (en) Foldable joint of a playpen
KR200184114Y1 (ko)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JPS58110325A (ja) 蝶着パネルのラツチ機構
JP3798803B1 (ja) 折り畳み式たも網
WO1996030165A1 (en) Folding tool
JP3931522B2 (ja) 蓋構造
JP2002303316A (ja)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式電子機器
JP2004060697A (ja) 多段階展開ヒンジ装置
CN209670562U (zh) 壳体结构及打印装置
JP3271450B2 (ja) カバーロック機構
JP4159646B2 (ja) ヒンジ装置およびフリップならびに携帯式電話機
KR200275876Y1 (ko) 가구용 힌지
JPH01212051A (ja) 折り畳み式電話機
KR20020000006A (ko) 창문의 개폐장치용 접이식 핸들
JPH08270301A (ja) 跳ね上げドア用のヒンジ
JP3248899B2 (ja) 観音開き式バックル
KR200352006Y1 (ko) 상다리 경첩
JP2006281879A (ja) 車両用開閉体の位置保持機構
JPH1198228A (ja) 折畳み型携帯電話
JP3927313B2 (ja) 携帯式電子機器ならびにフリップ
KR20039903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 모듈
JPH09242414A (ja) ヒンジ装置
JPH0740046Y2 (ja) 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