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781Y1 - 넥타이 - Google Patents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781Y1
KR200199781Y1 KR2020000010580U KR20000010580U KR200199781Y1 KR 200199781 Y1 KR200199781 Y1 KR 200199781Y1 KR 2020000010580 U KR2020000010580 U KR 2020000010580U KR 20000010580 U KR20000010580 U KR 20000010580U KR 200199781 Y1 KR200199781 Y1 KR 200199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shirt
button
narrow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수
Original Assignee
홍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수 filed Critical 홍경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2Buttonholes; Eyelets for buttonhol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셔츠의 단추에 끼워지는 이동고리를 넥타이의 소폭부에 설치하여 넥타이 착용길이에 상관없이 와이셔츠 단추에 넥타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넥타이 착용 후 허리를 굽힐 때 넥타이의 중간부분이 들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는 대폭부(1)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2)로 이루어진 통상의 넥타이(T)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T)의 소폭부(2)에 와이셔츠 단추(7)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추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 이동고리(4)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넥타이{necktie}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셔츠의 단추에 끼워지는 이동고리를 넥타이의 소폭부에 설치하여 넥타이 착용길이에 상관없이 와이셔츠 단추에 넥타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넥타이 착용 후 허리를 굽힐 때 넥타이의 중간부분이 들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주로 남성 성인들이 정장 차림 시에 와이셔츠 위에 착용하여 단추 부위를 덮도록 가지런히 늘어뜨려 다양한 의상 효과를 연출하게 된다.
도 4는 통상적인 넥타이를 도시한 것으로서, 넥타이는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어 소정 위치에 라벨(20)이 구비된 대폭부(34)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32)로 나누어지며, 상기 대폭부(34)와 소폭부(32)가 일체로 구성되어 하나의 넥타이(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넥타이(30)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넥타이(30)를 와이셔츠 위로 목에 감아 매듭을 지어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넥타이(3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불게 되면, 대폭부(34)와 소폭부(32)가 와이셔츠로부터 분리되면서 바람에 날려 미관상 좋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넥타이(3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를 구부리게 되면, 넥타이 (30)의 대폭부(34)가 하부로 늘어지게 됨에 따라 식사를 하거나 또는 세안 등을 할 때 넥타이(30)의 끝 부분이 음식물이나 물, 혹은 기타 물질에 오염되어 더러워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넥타이(30)를 단정하게 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종래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넥타이핀을 이용하여 와이셔츠에 넥타이(30)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넥타이핀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집게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와이셔츠 위에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에서 넥타이핀으로 셔츠와 넥타이를 고정시켜 바람이 불어도 넥타이가 셔츠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넥타이핀과 같은 넥타이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일일이 넥타이 고정구를 구입해야만 하므로 넥타이 고정구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됨은 물론, 넥타이에 고정된 넥타이핀을 분실한 위험이 있는 등의 넥타이핀 착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넥타이핀이 없는 경우에는 임시 방편으로 넥타이의 여분을 와이셔츠 속으로 집어넣거나 포켓에 구겨 넣는 등의 불편함을 겪어야만 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에는 넥타이에 단추구멍을 형성하여 이 단추구멍을 통해 와이셔츠에 형성된 단추에 끼워서 와이셔츠 에 넥타이를 고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30)의 소폭부(32) 이면에 단추구멍 (52)이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천 조각(50)을 덧붙여서 와이셔츠 (40)의 앞면 중앙에 위치한 단추(44)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30)의 소폭부(32) 이면에 단추구멍(52)을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직접 형성하여 와이셔츠(40)의 앞면 중앙에 위치한 단추(44)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넥타이(30) 착용 시에 와이셔츠(40) 단추(44)에 상기 단추구멍(52)을 끼워서 넥타이(30)가 와이셔츠(40)로부터 들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넥타이 고정 방법은 착용하는 넥타이의 착용길이에 따라 단추구멍(52)과 와이셔츠(40)의 단추(44)와의 높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에 단추구멍(52)에 와이셔츠 단추(44)를 억지로 끼우더라도 넥타이(30)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밑으로 처지지 못하고 중간부분이 들쳐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자로 곧게 선 상태에서 단추구멍(52)과 와이셔츠(40)에 달린 단추(44)의 높이가 일치되는 경우에도 허리를 굽히거나 고개를 숙이게 되면, 넥타이(30)의 중간 부분이 활 모양으로 처지면서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넥타이핀과 같은 것의 도움을 빌리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셔츠의 단추에 끼워지는 이동고리를 넥타이의 소폭부에 설치하여 넥타이 착용길이에 상관없이 와이셔츠 단추에 넥타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넥타이 착용 후 허리를 굽힐 때 넥타이의 중간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넥타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면 중간에 라벨이 설치된 넥타이에 있어서, 넥타이의 소폭부 이면에 와이셔츠의 앞면 중앙에 위치한 단추가 끼워질 수 있는 단추구멍이 형성됨과 더불어 넥타이의 소폭부를 따라 이동 가능한 천 조각으로 된 이동고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고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착용한 상태를 보이는 사용예도,
도 4는 일반적인 넥타이를 도시한 배면도,
도 5(a)는 종래 기술로써, 단추구멍이 구비된 넥타이를 착용한 상태를 보이는 사용예도,
도 5(b)는 종래 기술로써, 넥타이의 소폭부에 직접 단추구멍이 형성된 상태에서 넥타이를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대폭부 2 : 소폭부
3 : 라벨 4 : 이동고리
5 : 단추구멍 6 : 삽입고리
7 : 단추 T : 넥타이
Y : 와이셔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구성을 보이는 배면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고리를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착용한 상태를 보이는 사용예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T)는 통상적인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이면 중간에 라벨(3)이 설치된 넥타이(T)의 소폭부(2)에 적어도 하나의 단추구멍(5)이 형성됨과 아울러 넥타이(T)의 소폭부(2)를 따라 이동 가능한 천 조각으로 된 이동고리(4)가 끼워져 구비되어, 와이셔츠(Y)의 앞면 중앙에 위치한 단추(7)가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넥타이(T)의 대폭부(1) 이면에는 상기 소폭부(2)의 끝 부분이 끼워져 걸리는 삽입고리(6)가 구비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천 조각으로 된 이동고리(4)는 띠 형태로 재단하여 그 중간에 와이셔츠 단추(7)를 끼울 수 있는 단추구멍(5)이 형성되어 있는바, 넥타이(T)의 소폭부(2)에 설치할 때는 천 조각의 끝 부분을 안쪽으로 접어서 박음질 한 다음, 소폭부(2)에 끼워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고리(6)는 종래의 라벨(3)과 유사하게 띠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 그 양단을 안쪽으로 접은 다음 상기 넥타이(T)의 대폭부(1) 이면에 박음질하였다.
상기와 같이 라벨(3)이외에 별도의 삽입고리(6)를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이동고리(4)로 넥타이(T)를 와이셔츠 단추(7)에 고정한 상태에서 라벨(3)과 삽입고리 (6)가 대폭부(1)와 소폭부(2)를 밀착시킨 상태로 양쪽 부위를 잡아주어 중간부위가 들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적인 넥타이(T)를 매는 방법에 의해 넥타이(T)를 와이셔츠(Y)의 깃에 맨 다음, 밑으로 늘어진 소폭부(2)를 라벨(3)로 통과시켜 아래쪽으로 늘어뜨린다.
이후 늘어진 소폭부(2)에 끼워져 있는 이동고리(4)를 상하로 이동시켜 넥타이(T)를 고정하고자 하는 적당한 위치에서 이동고리(4)에 형성된 단추구멍(5)을 와이셔츠 단추(7)에 맞춘 다음, 단추구멍(5)에 와이셔츠(Y)의 앞면에 있는 단추(7)를 끼우게 되면, 넥타이(T)가 와이셔츠(Y)에 고정된다.
이때, 넥타이(T)를 착용한 사람이 허리를 숙이더라도 넥타이(T)의 대폭부(1)와 소폭부(2)가 라벨(3)과 삽입고리(6)에 의해 서로 겹쳐 있고, 소폭부(2)는 이동고리(4)의 단추구멍(5)에 의해 와이셔츠 단추(7)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므로, 밑으로 처지지 않고 와이셔츠(Y)에 밀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즉, 넥타이(T)의 대폭부(1)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삽입고리(6)에 소폭부(2)가 끼워져 있으므로, 소폭부(2)가 대폭부(1)에 겹쳐진 상태에서 이탈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넥타이(T)가 와이셔츠(Y)에 밀착되어 단추(7)를 풀지 않는 이상 허리를 굽히거나 바람이 부는 환경 하에서도 넥타이(T)가 와이셔츠(Y)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넥타이를 맬 때 소폭부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고리의 단추구멍에 와이셔츠의 단추를 끼우게 됨에 따라 넥타이가 와이셔츠에 고정됨으로써, 허리를 굽히더라도 넥타이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식사 중에 음식물에 더럽혀지거나 세면 중에 물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바람이 심하게 부는 환경 하에서도 넥타이가 바람에 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넥타이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는 대폭부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의 소폭부에 와이셔츠 단추가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단추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천 조각으로 된 이동고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고리에 형성되는 단추구멍은 이동고리의 뒷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폭부 하단부에 라벨이외에 천 조각으로 된 삽입고리를 재봉하여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KR2020000010580U 2000-04-14 2000-04-14 넥타이 KR2001997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608A KR20010096734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08A Division KR20010096734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781Y1 true KR200199781Y1 (ko) 2000-10-16

Family

ID=19664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0580U KR200199781Y1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KR1020000019608A KR20010096734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08A KR20010096734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9781Y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082B1 (ko) * 1988-09-20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고스피드용 레벨시프트회로
US5095546A (en) * 1988-12-05 1992-03-17 Jones Jerry R Necktie restraint
JPH02110621U (ko) * 1989-02-21 1990-09-04
US5239707A (en) * 1991-07-02 1993-08-31 Pileggi Vincent J Method of manufacturing apparatus for restraining a necktie
JPH06294005A (ja) * 1993-04-08 1994-10-21 Kenji Iwata ネクタイの揺動防止機構
KR950016604A (ko) * 1993-12-06 1995-07-20 박원배 넥타이의 고정라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734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5489C (en) Device for hanging spectacles on garment
US20050198724A1 (en) Interchangeable hemline for the hem of a garment
US6775846B1 (en) Sleeve holder
US5584074A (en) Article holding loop on shirt
US3439360A (en) Reversible and adjustable neckwear and holders therefor
US3068486A (en) Clerical collars
US3353189A (en) Disposable gown with one-piece body and sleeves having elastic sleeve closure
KR200199781Y1 (ko) 넥타이
KR200199782Y1 (ko) 넥타이
KR200199788Y1 (ko) 넥타이
KR20000056945A (ko) 넥타이
KR200199783Y1 (ko) 넥타이
US2027641A (en) Shirt
KR19990008002U (ko) 넥타이 고정띠
JP2000226710A (ja) ネクタイ
JP3097927U (ja) 日焼け防止用ショール
JP3041219U (ja) ワイシャツ
JP3576785B2 (ja) 着物
JPS5837921Y2 (ja) 和洋折衷服
KR200258931Y1 (ko) 유아용 보낭 드레스
KR200258915Y1 (ko) 와이셔츠
JPH0232084Y2 (ko)
US2342379A (en) Tie support
KR200219374Y1 (ko) 드레스셔츠 단추에 고정시킬 수 있는 넥타이
KR200165936Y1 (ko) 넥타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