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783Y1 - 넥타이 - Google Patents

넥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783Y1
KR200199783Y1 KR2020000010582U KR20000010582U KR200199783Y1 KR 200199783 Y1 KR200199783 Y1 KR 200199783Y1 KR 2020000010582 U KR2020000010582 U KR 2020000010582U KR 20000010582 U KR20000010582 U KR 20000010582U KR 200199783 Y1 KR200199783 Y1 KR 2001997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guide rail
shirt
narrow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0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수
Original Assignee
홍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수 filed Critical 홍경수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7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7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Neckties
    • A41D25/003Neckties provided with holding devices, e.g. button holes or loops for securing them to a shirt or for holding the two ends of the neckti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4Strips of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FGARMENT FASTENINGS; SUSPENDERS
    • A41F1/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garments
    • A41F1/008Adjustable fasteners comprising a track and a slide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넥타이의 소폭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이용하여 넥타이 착용길이에 상관없이 와이셔츠 단추에 넥타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넥타이 착용 후 허리를 굽힐 때 넥타이의 중간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는 대폭부(1)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2)로 이루어진 통상의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의 소폭부(2) 이면에 얇은 평판(4a)과 이 평판(4a)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선단부가 원형으로 돌출된 레일(4b)로 형성된 연질의 안내레일(4)이 설치되고, 이 안내레일(4)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레일(4b)을 따라 이동하는 반원형의 고리로 된 이동구(5)가 구비되며, 이 이동구(5)에 연결줄(6)을 매개로 연결되어 와이셔츠 단추(8)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캡(7)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넥타이{necktie}
본 고안은 넥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넥타이의 소폭부에 설치되는 안내레일을 이용하여 넥타이 착용길이에 상관없이 와이셔츠 단추에 넥타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넥타이 착용 후 허리를 굽힐 때 넥타이의 중간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넥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넥타이는 주로 남성 성인들이 정장 차림 시에 와이셔츠 위에 착용하여 단추 부위를 덮도록 가지런히 늘어뜨려 다양한 의상 효과를 연출하게 된다.
도 5는 통상적인 넥타이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넥타이(30)는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어 소정 위치에 라벨(20)이 구비된 대폭부(34)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32)로 나누어지며, 상기 대폭부(34)와 소폭부(32)가 일체로 구성되어 하나의 넥타이(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넥타이(30)를 착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넥타이(30)를 와이셔츠(40) 위로 목에 감아 매듭을 지어 착용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넥타이(30)를 착용한 상태에서 바람이 불게 되면, 대폭부(34)와 소폭부(32)가 와이셔츠(40)로부터 분리되면서 바람에 날려 미관상 좋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넥타이(30)를 착용한 상태에서 상체를 구부리게 되면, 넥타이(30)의 대폭부(34)가 하부로 늘어지게 됨에 따라 식사를 하거나 또는 세안 등을 할 때 넥타이(30)의 끝 부분이 음식물이나 물, 혹은 기타 물질에 오염되어 더러워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넥타이(30)를 단정하게 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종래에 주로 사용하는 방법은 도시되지 않은 넥타이핀을 이용하여 와이셔츠 (40)에 넥타이(30)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넥타이핀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집게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와이셔츠(40) 위에 넥타이(30)를 착용한 상태에서 넥타이핀으로 와이셔츠(40)와 넥타이 (30)를 고정시켜 바람이 불어도 넥타이(30)가 와이셔츠(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넥타이핀과 같은 넥타이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일일이 넥타이 고정구를 구입해야만 하므로 넥타이 고정구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됨은 물론, 넥타이(30)에 고정된 넥타이핀을 분실한 위험이 있는 등의 넥타이핀 착용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넥타이핀이 없는 경우에는 임시 방편으로 넥타이(30)의 여분을 와이셔츠(40) 속으로 집어넣거나 포켓에 구겨 넣는 등의 불편함을 겪어야만 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최근에는 와이셔츠에 형성된 단추에 넥타이를 고정하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즉,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와이셔츠 단추를 이용하여 넥타이를 고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넥타이의 소폭부에 설치되는 연질의 안내레일을 이용하여 넥타이 착용길이에 상관없이 와이셔츠 단추에 넥타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넥타이 착용 후 허리를 굽힐 때 넥타이의 중간부분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넥타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는 대폭부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의 소폭부 이면에 얇은 평판과 이 평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선단부가 원형으로 돌출된 레일로 형성된 연질의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이 안내레일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반원형의 고리로 된 이동구가 구비되며, 이 이동구에 연결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와이셔츠 단추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캡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소폭부 구성을 보이는 배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레일과 고정캡의 연결 상태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착용한 상태를 보이는 사용예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안내레일과 고정캡의 연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일반적인 넥타이를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종래 일반적인 넥타이를 착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대폭부 2 : 소폭부
3 : 라벨 4 : 안내레일
4a : 평판 4b : 레일
5 : 이동구 6 : 연결줄
7 : 고정캡 7a : 걸림턱
8 : 단추 T : 넥타이
Y : 와이셔츠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의 소폭부 구성을 보이는 배면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안내레일과 고정캡의 연결 상태을 도시한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를 와이셔츠에 착용한 상태를 보이는 사용예도 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T)는 종래의 일반적인 넥타이와 마찬가지로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어 소정 위치에 라벨(3)이 구비된 대폭부(1)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2)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넥타이(T)는 상기 소폭부(2)에 연질의 안내레일(4)이 설치되고, 이 안내레일(4)을 따라 이동하는 반원형의 고리로 된 이동구(5)가 안내 레일(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이 이동구(5)에 연결줄(6)을 매개로 연결되어 와이셔츠 단추(8)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캡(7)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내레일(4)은 구부러짐이 매우 용이한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얇은 평판(4a)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선단부가 원형으로 돌출된 레일(4b)이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러한 형상의 안내레일(4)이 넥타이(T)의 소폭부(2) 이면에 접착 또는 재봉에 의해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4)을 구부러짐이 용이한 연질로 하는 이유는 넥타이(T)를 착용할 때, 소폭부(2)에 설치된 안내레일(4)이 잘 구부러져야만 넥타이(T) 착용을 위한 매듭과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이동구(5)는 반원형으로 된 고리로, 상기 안내레일(4)의 레일(4b)에 끼움 결합되어 레일(4b)의 접촉면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5)에는 짧은 연결줄(6)이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줄(6)의 타단에 고정캡(7)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캡(7)은 와이셔츠 단추(8)에 끼움 결합되어 넥타이(T)가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되어 그 선단부가 내측으로 걸림턱(7a) 형식으로 절곡된 둥근 캡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구(5)와 고정캡(7)은 연결줄(6)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는 바, 이는 와이셔츠 단추(8)에 고정캡(7)을 끼움 결합할 때 이동구 (5)의 유동폭을 줄이면서 고정캡(7)의 움직임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끼움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구(5)와 고정캡(7)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이동구(5)와 고정캡(7)을 일체로 형성한 상태에서 넥타이(T)를 고정하고자 할 때, 이동구(5)를 와이셔츠 단추(8) 위치에 맞춰 안내레일(4)을 따라 이동시킨 다음, 고정캡(7)과 와이셔츠 단추(8)가 일치하는 위치에서 고정캡(7)을 와이셔츠 단추(8)에 끼움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통상적인 넥타이(T)를 매는 방법에 의해 넥타이(T)를 와이셔츠(Y)의 깃에 맨 다음, 밑으로 늘어진 소폭부(2)를 라벨(3)로 통과시켜 아래쪽으로 늘어뜨린다.
이후 늘어진 소폭부(2)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레일(4)에 상기한 고정캡(7)이 연결된 이동구(5)를 끼움 결합하고, 이동구(5)를 안내레일(4)을 따라 상하로 이동시켜 넥타이(T)를 고정하고자 하는 적당한 위치에서 고정캡(7)과 와이셔츠 단추(8)를 일치시킨 다음, 와이셔츠 단추(8)에 고정캡(7)을 끼워 넥타이(T)가 와이셔츠(Y)에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넥타이(T)를 단추에 고정하게 되면, 넥타이(T)를 착용한 사람이 허리를 숙이더라도 넥타이(T)의 대폭부(1)와 소폭부(2)가 라벨(3)에 의해 서로 겹쳐 있고, 소폭부(2)는 고정캡()에 의해 와이셔츠 단추(8)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넥 타이(T)의 중간부위가 들쳐지거나 밑으로 처지지 않고 와이셔츠(Y)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넥타이(T)가 와이셔츠(Y)에 밀착된 상태에서 와이셔츠 단추(8)를 풀지 않는 이상 허리를 굽히거나 바람이 부는 환경 하에서도 넥타이(T)가 와이셔츠(Y)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넥타이를 맬 때 소폭부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레일을 이용하여 고정캡으로 와이셔츠 단추를 끼우게 되면, 넥타이가 와이셔츠에 고정되면서 허리를 굽히더라도 넥타이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식사 중에 음식물에 더럽혀지거나 세면 중에 물에 묻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바람이 심하게 부는 환경 하에서도 넥타이가 바람에 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넥타이핀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를 위한 별도의 구매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비교적 폭이 넓게 형성되는 대폭부와 비교적 폭이 좁게 형성되는 소폭부로 이루어진 통상의 넥타이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의 소폭부 이면에 얇은 평판과 이 평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선단부가 원형으로 돌출된 레일로 형성된 연질의 안내레일이 설치되고, 이 안내레일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반원형의 고리로 된 이동구가 구비되며, 이 이동구에 연결줄을 매개로 연결되어 와이셔츠 단추에 끼워질 수 있는 고정캡이 구비되는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와 고정캡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KR2020000010582U 2000-04-14 2000-04-14 넥타이 KR20019978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9610A KR20010096736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10A Division KR20010096736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783Y1 true KR200199783Y1 (ko) 2000-10-16

Family

ID=19664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10A KR20010096736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KR2020000010582U KR200199783Y1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9610A KR20010096736A (ko) 2000-04-14 2000-04-14 넥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96736A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26713U (ko) * 1975-03-24 1976-10-14
JPS6449110U (ko) * 1987-09-22 1989-03-27
US5235730A (en) * 1992-11-23 1993-08-17 Townsend Sue A Concealed necktie holding device
KR0130643Y1 (ko) * 1996-05-17 1999-10-01 방선웅 넥타이 지지기구
KR200193760Y1 (ko) * 2000-03-09 2000-08-16 백부인 넥타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736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4074A (en) Article holding loop on shirt
KR200199783Y1 (ko) 넥타이
US2244167A (en) Garment stay
KR200199788Y1 (ko) 넥타이
KR200199781Y1 (ko) 넥타이
KR200199782Y1 (ko) 넥타이
CN216651358U (zh) 一种连体披肩灵动百褶连衣裙
US2652568A (en) Necktie holder
KR0140598Y1 (ko) 우비(비옷)
KR200165936Y1 (ko) 넥타이
JP3576785B2 (ja) 着物
JPH0232084Y2 (ko)
KR200398676Y1 (ko) 단추 구멍 넥타이
JP2000226710A (ja) ネクタイ
KR20000056945A (ko) 넥타이
KR200181990Y1 (ko) 착용이 간편한 패션 넥타이
KR200165980Y1 (ko) 넥타이
JP3097927U (ja) 日焼け防止用ショール
KR200481322Y1 (ko) 셔츠 고정 넥타이
KR19990008002U (ko) 넥타이 고정띠
KR200350929Y1 (ko) 넥타이 고정장치
KR200199820Y1 (ko) 넥타이 착용구조
KR200258915Y1 (ko) 와이셔츠
JP2756464B2 (ja) 和服用ベルト
KR200342587Y1 (ko) 넥타이용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