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524Y1 -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24Y1
KR200199524Y1 KR2020000005688U KR20000005688U KR200199524Y1 KR 200199524 Y1 KR200199524 Y1 KR 200199524Y1 KR 2020000005688 U KR2020000005688 U KR 2020000005688U KR 20000005688 U KR20000005688 U KR 20000005688U KR 200199524 Y1 KR200199524 Y1 KR 200199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holder
support plate
concrete
support rod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5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에이텍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2020000005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9/00Investigating materials by mechanical methods
    • G01N19/02Measuring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3/00Testing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불안정한 지정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Precast concrete)을 항타기로 타입시키는 항타공사에 있어 허용 마찰력의 제한규정을 확인하기 위한 최종침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이 쐐기형상으로 된 사각의 틀체를 형성시키되 일측은 상하에 경첩을 설치하고 타측은 걸고리를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케 하였으며 정면의 상하단봉 사이에 별도의 지지봉을 설치하고 지지봉의 중앙에 외측으로 고리가 돌출 설치된 연필홀더를 받침판의 힌지에 결합시키고 받침판에서 연필홀더로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연필홀더가 회전 및 복귀하게 하여 콘크리트 파일에 마킹하여 침하량을 확인하여 허용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게한 것으로 불안정한 지정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C)을 타입시키는 항타작업에 있어서,콘크리트 파일(C)이 타입되는 주위에 하단이 쐐기형상으로 된 고정봉(1)(1')에 상단봉(2)(2')과 하단봉(3)(3')으로 용접결합시킨 사각의 틀체(H)를 형성시키되 개방부(M)는 상하에 경첩(4)(4')을 설치하고 타측은 걸고리(5)를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케 하고 일측의 상하단봉(2)(3) 사이에 별도의 지지봉(6)을 설치하고 지지봉(6)의 중앙에 외측으로 고리(7')가 돌출 설치된 연필홀더(7)를 받침판(8)의 힌지에 결합시키고 받침판(8)에서 연필홀더(7)로 코일스프링(9)을 설치하여 연필홀더(7)가 회전 및 복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Description

최종침하량 측정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the last quantity of sinking}
본 고안은 불안정한 지정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Precast concrete)을 항타기로 타입시키는 항타공사에 있어 허용 마찰력의 제한규정을 확인하기 위한 최종침하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단이 쐐기형상으로 된 사각의 틀체를 형성시키되 일측은 상하에 경첩을 설치하고 타측은 걸고리를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케 하였으며 정면의 상하단봉 사이에 별도의 지지봉을 설치하고 지지봉의 중앙에 외측으로 고리가 돌출 설치된 연필홀더를 받침판의 힌지에 결합시키고 받침판에서 연필홀더로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연필홀더가 회전 및 복귀하게 하여 콘크리트 파일에 마킹하여 침하량을 확인하여 허용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게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불안정한 지반상에서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때는 안정된 지정값을 구하기 위하여 다수의 콘크리트 파일을 타입시키는 항타작업을 수행하는데 단 한본의 파일이라도 허용마찰력의 제한규정인 6mm의 수치내에서 정확하게 타입시켜야 한다.
상기한 항타작업시 제한규정(6mm)을 무시한 부실시공일 경우 구조물의 부동침하 및 균열이 발생되는 등의 위험한 결괴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 파일의 최종 침하량 제한수치를 엄격히 준수하여야 한다.
종래의 항타작업은 콘크리트 파일을 타입시키는 항타작업 중에 최종 침하수치에 근접하게 되면 작업자가 항타가 진행중인 상태에서 90mm×90mm각의 단목을 콘크리트 파일의 측면에서 항타시 단목의 면에 연필로서 횡으로 마킹을 하며 최종 10회까지 반복하여 마킹시켜서 그 간격이 6mm내의 허용 마찰력 범위에 들어오면 항타기의 해머작동을 정지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방법은 3-5본의 단목을 사용하므로 작업현장 지면에 널려져 있고 항타기가 다음 파일공정으로 신속하게 이동하게 되면 작업자가 단목을 이동시킬 시간이 없어서 다음공정에서 이뤄지는 파일의 마킹작업을 못하고 통과하게 되므로 부실시공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항타기의 해머두부가 콘크리트 파일을 타격하는 순간 기름과 분진이 비산낙하되고 콘크리트 파일이 양생불량으로 파손되면서 낙하되어 파일의 하부에서 마킹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 파일의 항타작업시 허용 마찰력의 측정을 정확하게 실시할수 있게 하고 측정장치의 이동을 신속하게 할수 있게 단일체로 구성시키며 원거리에서 도 작업자가 파일에 마킹작업을 수행하게하여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한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측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하단을 쐐기형상으로 제작한 사각의 틀체를 형성시키되 일측은 상하에 경첩을 설치하여 힌지축으로 하고 타측은 걸고리를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케 하여 콘크리트 파일에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정면의 상하단봉 사이에 별도의 지지봉을 설치하고 지지봉의 중앙에 외측으로 로프를 걸어서 파일의 측면에 횡으로 마킹시킬 수 있는 고리가 돌출 설치된 연필홀더를 받침판의 힌지에 결합시키고 받침판에서 연필홀더로 코일스프링을 설치하여 연필홀더가 회전하여 마킹하고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복귀하게 하여 다음작업을 대기시키게 구성하여 콘크리트 파일의 침하량을 확인하여 허용 마찰력을 측정할 수 있게한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평면구조도
도 3 은 본 고안 연필홀더의 측면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 고정봉 (2)(2') 상단봉 (3)(3') 하단봉 (4)(4') 경첩 (5) 걸고리 (6) 지지봉 (7) 연필홀더 (7') 고리 (8) 받침판 (9) 코일스프링 (C) 콘크리트 파일 (H) 사각 틀체 (M) 개방부
이하 고안의 요지를 첨부된 도면에 연계시켜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2 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의 평면구조도이며,도 3 은 본 고안 연필홀더의 측면구조도이다.
불안정한 지정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C)을 타입시키는 항타작업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C)이 타입되는 주위에 하단이 쐐기형상으로 된 고정봉(1)(1')에 상단봉(2)(2')과 하단봉(3)(3')으로 용접결합시킨 사각의 틀체(H)를 형성시키되 개방부(M)는 상하에 경첩(4)(4')을 설치하고 타측은 걸고리(5)를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케 하고 일측의 상하단봉(2)(3) 사이에 별도의 지지봉(6)을 설치하고 지지봉(6)의 중앙에 외측으로 고리(7')가 돌출 설치된 연필홀더(7)를 받침판(8)의 힌지에 결합시키고 받침판(8)에서 연필홀더(7)로 코일스프링(9)을 설치하여 연필홀더(7)가 회전 및 복귀하게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연필(필기구)이고,(11)은 지지봉의 고정구이며,(12)는 로우프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을 시공하는 지반의 상태가 불안정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C)을 타입시켜 안정화 시킬 때 타입될 콘크리트 파일(C)의 주위에 사각의 틀체(H)를 설치하기 위하여 경첩(4)(4')과 걸고리(5)로 결합된 개방부(M)의 걸고리(5)를 개방시키고 경첩(4)(4')을 힌지축으로 회전,개방시켜 파일(C)의 주위에 쐐기형상으로 된 고정봉(1)(1')으로 고정시키고 개방부(M)를 닫고 걸고리(5)를 체결시킨다.
그리고 지지봉(6) 중앙의 받침판(8)에 힌지결합된 연필홀더(7)에 연필(10)을 삽입시켜 콘크리트 파일(C)의 측면에 밀착설치시키고 고리(7')에는 로우프(12)를 묶어서 콘크리트 파일(C)로부터 6-8m 정도 이격시킨 상태로 로우프(12)의 길이를 조절시켜서 항타기의 해머가 콘크리트 파일(C)을 타격 후 작업자가 상기한 이격된 거리에서 로우프(12)를 당기면 연필홀더(7)가 회전하면서 연필(10)이 파일(C)의 측면에 횡으로 마킹하고 로우프(12)를 느슨하게 하면 받침판(8)에서 연필홀더(7)에 장착된 코일스프링(9)의 탄발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항타기의 해머가 운전을 정지한 순간 파일(C)의 충격반동으로 튀어 올라간 시점부터 재차 타격시 까지의 약 8-12초 사이에 마킹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본 고안의 측정장치는 파일(C)의 타입위치에서 6-8m 이격된 거리에서도 작업자가 시간적 여유를 가지면서 손쉽게 마킹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마킹작업을 최종 10회의 타격시 까지 진행하여 허용 마찰력의 6mm 범위가 되면 항타작업을 중지시키고 사각 틀체(H)의 개방부(M)을 개방시켜 다음 파일(C)로 이동시켜 연속적으로 측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불안정한 지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을 타입시키는 작업에서 발생되는 기름,분진 및 파손된 파일조각들의 낙하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마킹작업도 현장에서 6-8m 이격된 거리에서 시간적 여유를 가지면서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측정장치의 이동설치 역시 단일체로 형성된 사각 틀체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 항타작업의 연속성을 부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불안정한 지정을 보강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파일(C)을 타입시키는 향타작업에 있어서,
    콘크리트 파일(C)이 타입되는 주위에 하단이 쐐기형상으로 된 고정봉(1)(1')에 상단봉(2)(2')과 하단봉(3)(3')으로 용접결합시킨 사각의 틀체(H)를 형성시키되 개방부(M)는 상하에 경첩(4)(4')을 설치하고 타측은 걸고리(5)를 형성하여 개폐가 가능케 하고 일측의 상하단봉(2)(3) 사이에 별도의 지지봉(6)을 설치하고 지지봉(6)의 중앙에 외측으로 고리(7')가 돌출 설치된 연필홀더(7)를 받침판(8)의 힌지에 결합시키고 받침판(8)에서 연필홀더(7)로 코일스프링(9)을 설치하여 연필홀더(7)가 회전 및 복귀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KR2020000005688U 2000-02-29 2000-02-29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KR200199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88U KR200199524Y1 (ko) 2000-02-29 2000-02-29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5688U KR200199524Y1 (ko) 2000-02-29 2000-02-29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524Y1 true KR200199524Y1 (ko) 2000-10-02

Family

ID=19644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5688U KR200199524Y1 (ko) 2000-02-29 2000-02-29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5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109A (ko) * 2001-09-17 2003-03-26 안삼영 파일 항타시 최종관입량 측정방법
KR20190113134A (ko) * 2018-03-27 2019-10-08 이준협 동재하 시험 및 파일의 지내력 측정용 리바운드 체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109A (ko) * 2001-09-17 2003-03-26 안삼영 파일 항타시 최종관입량 측정방법
KR20190113134A (ko) * 2018-03-27 2019-10-08 이준협 동재하 시험 및 파일의 지내력 측정용 리바운드 체크장치
KR102033506B1 (ko) * 2018-03-27 2019-10-17 이준협 동재하 시험 및 파일의 지내력 측정용 리바운드 체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32477A (en) Wall scaffold
US20110067955A1 (en) Scaffold Element, Arrangement and Method of Use
JP2008069577A (ja) 杭鉄筋籠の建て込み方法および杭鉄筋籠の建て込み装置
NO791582L (no) Forankringsinnretning, saerlig for betong- og sementkonstruksjoner
US8136260B1 (en) Combination anchor bolt holder and concrete form spacer/tie
KR200199524Y1 (ko) 최종침하량 측정장치
JP2012031680A (ja) 基礎施工用装置
US3406460A (en) Bolt hole marker
US5228262A (en) Anchor assembly
US20060107543A1 (en) Column placement template
US6178651B1 (en) Reusable batter board support
US2916245A (en) Adjustable scaffold bracket
KR100777400B1 (ko) 거푸집 지지장치
JP2007056479A (ja) 根張り杭専用法面及び垂直二打設切り替え根出し棒打設機
JP2001131938A (ja) 手延式桟橋の構築方法
JP4247562B1 (ja) 丁張装置
RU195279U1 (ru) Извлекаемый забивной якорь
US20070215784A1 (en) Concrete anchor bolt holder
JP3614489B2 (ja) 桟橋の施工方法
JPWO2017068797A1 (ja) 法丁張装置及び法丁張方法
KR20090126109A (ko) 콘크리트 말뚝 두부의 보호구조
JP3780247B2 (ja) バルコニー設置方法と位置決め治具
JPH0119045Y2 (ko)
CN211200043U (zh) 一种桥梁墩柱钢筋笼定位装置
US1943017A (en) Builder's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