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368Y1 - 운반용 절첩식 수레 - Google Patents

운반용 절첩식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368Y1
KR200199368Y1 KR2020000013487U KR20000013487U KR200199368Y1 KR 200199368 Y1 KR200199368 Y1 KR 200199368Y1 KR 2020000013487 U KR2020000013487 U KR 2020000013487U KR 20000013487 U KR20000013487 U KR 20000013487U KR 200199368 Y1 KR200199368 Y1 KR 2001993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plate
transport
handle
c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4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주
Original Assignee
김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주 filed Critical 김길주
Priority to KR20200000134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3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3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3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62B3/02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folding down the body to the wheel carriage or by retracting projec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3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with actuation mechanisms which drive the folding or unfo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4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box-shaped in fold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반용 절첩식 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되어지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펼치거나 접도록 하는 상자 및 수레를 일체로 구비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구성은 이송할 물품을 얹어 놓도록 하는 판형상의 적재부(10)와, 상기 적재부(10)의 하단에 다수개 구비하여 바닥면에 굴림 되어져 이송하기 위한 이송바퀴부(13)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져 손으로 밀거나 운전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31)을 구비한 종래의 일반적인 수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의 상부면에는 절첩 가능한 상자부(40)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지는 핸들(30)에는 상기 핸들(30)이 적재부(10)의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여서 되는 절첩장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운반용 절첩식 수레는 운반되어지는 물품의 크기나 부피 등에 상관없이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아서 운반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 시 쉽게 파손되어지는 물품이거나 다량의 적층할 수 없는 물품 등도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송되어지는 물품이 운반용 수레에서의 이탈 및 파손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자 및 운반용 수레를 일체로 구비하여도 보관하여서 되는 부피를 최소화 하여서 되는 운반용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운반용 절첩식 수레{A bendable cart used to conveyance}
본 고안은 운반용 절첩식 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반되어지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펼치거나 접도록 하는 상자 및 수레를 일체로 구비하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수레에 대해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할 물품을 얹어 놓도록 하는 판형상의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단에 다수개 구비하여 바닥면에 굴림 되어져 이송하기 위한 이송바퀴부와,
상기 적재부의 일측에 구비되어져 손으로 밀거나 운전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 등을 구비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일반적인 수레는 적재부의 상부면에 단지 물품을 올려놓아서 운반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운반되어지는 물품의 크기나 부피 등에 상관없이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아서 운반되어질 수는 있지만, 취급 시 쉽게 파손되어지는 물품이거나 다량의 적층할 수 없는 물품을 한번에 이송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이송되어지는 물품을 상자에 담아 이송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경우 운전 중 급작스런 회전이나 멈춤이 발생할 경우 물품을 담아 놓은 상자가 상기 적재부에서 이탈되어져 상기 물품이 쉽게 파손되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일반적인 상자를 적재부에 고정 구비한다 해도 다양한 크기나 부피를 갖는 물품의 이송에는 곤란한 단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절첩가능하게 구성하여서 선 출원된 실용신안공보 ( 공개번호 제87-12288 호: 합성수지제 절첩상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직사각형 하부판제의 사방의단에 돌출테를 형성하고 전, 후면에는 다수의 고정힌지를 형성하여 이에 두쪽의 판체가 경첩식으로 결속된 전면판과 후편판의 하단 힌지를 결속시켜주며 전면판과 후면판의 중간 접속부에는 서로 반대쪽으로 위치되도록 다수의 스톱퍼를 형성하여 내측으로만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하고 전, 후면판상단은 사각테두리판저면에 하부판체와 동일구성으로 결속시키며 사각테두리판 좌, 우측부에 형성된 구멍에 측판 상단양쪽의 고정핀을 끼워서 양쪽측판의 하단이 내측으로 밀려질 수 있게 하고 그 외단부에는 전, 후면판 및 하부판체의 쾌착편에 쾌착될 수 있도록 돌출테를 형성하여서 된 합성수지제 절첩상자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또한, 절첩가능하게 구비하여서 보관 및 이송 시에 용이한 점이 있지만, 운반용 수레에 올려놓아 이송시키는데 따른 이탈 및 파손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자와 운반용 수레의 부피가 매우 커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운반되어지는 물품의 크기나 부피 등에 상관없이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아서 운반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 시 쉽게 파손되어지는 물품이거나 다량의 적층할 수 없는 물품 등도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송되어지는 물품이 운반용 수레에서의 이탈 및 파손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자 및 운반용 수레를 일체로 구비하여도 보관하여서 되는 부피를 최소화 하여서 되는 운반용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조립되어지는 상태를 보이는 분해상태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절첩상자를 적층한 상태의 조립상태 측면도.
도 4a, 도 4b는 본 고안의 A부 확대단면도.
도 5a, 도5b, 도5c는 본 고안의 적재부에 마련된 절첩상자의 절첩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적재부 11-힌지부 12-돌출테
13-이송바퀴 20-절첩장치부 21-제1힌지부
22-제2힌지부 23-고정핀 24-안내공
25-걸림부재 26-탄성부재 27-절첩레버
30-핸들 31-힌지부 40-상자부
41-측판 42-힌지부 43-고정홈
44-정면판 44`,45`-상부판재 44``,45``-하부판재
45-후면판 50-상부테두리 51-힌지부
따라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에 대해서 ‘도1’과 ‘도2’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할 물품을 얹어 놓도록 하는 판형상의 적재부(10)와, 상기 적재부(10)의 하단에 다수개 구비하여 바닥면에 굴림 되어져 이송하기 위한 이송바퀴부(13)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져 손으로 밀거나 운전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31)을 구비한 종래의 일반적인 수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의 상부면에는 절첩 가능한 상자부(40)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지는 핸들(30)에는 상기 핸들(30)이 적재부(10)의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여서 되는 절첩장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자부(4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상자부(40)는 상부면 외측둘레의 단을 형성한 내부에는 정면판(44)과 후면판(45) 및 측판(41)을 회동하기 위한 힌지부(11)와 고정하기 위한 돌출테(12)를 구비한 적재부(10)와,
상부면에는 물품을 수납하도록 개구되여져 있는 개구부와 함께 측판(41) 및 정면판(44)과 후면판(45)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한 힌지부(51)를 둘레의 내부에 구비하여서 된 상부테두리(50)와,
상기 상부테두리(50)의 힌지부(51)에 고정되어져 회동 가능한 힌지부(42)와 적재부(10)의 돌출테(12)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홈(43)을 구비한 측판(41)과,
상기 상부테두리부(50)와 적재부(10)의 힌지부(11)(42)에 고정결합하여서 되는 힌지부(42)를 구비한 상부판재(44`)(45`)와 하부판재(44``)(45``)가 서로 내접하여 회동되게 형성하여서 되는 정면판(44)과 후면판(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첩장치부(2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절첩장치부(20)는 적재부(10)의 일측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어져 상기 핸들(31)의 일측끝부분에 형성된 힌지부(31)를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1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제1힌지부(21)와,
상기 회전되어 절첩되는 핸들(30)이 일측끝부분을 고정 및 걸림 하여서 되는 걸림부재(25)와 탄성부재(26)를 제2힌지부(22)에 마련하고,
상기 핸들(30)이 세움 하여서 고정되는 고정핀(23)과,
상기 걸림부재(25)를 발로 밟아 회전하여서 되는 절첩레버(27)와 이의 회전운동을 도와서 되는 장공형의 안내공(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이루는 상자부(40)의 절첩과정에 대해서 ‘도5a’, ‘도5b’ 그리고 ‘도5c’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우 측판(41)을 내부로 밀어 넣어서 하측에서 상측의 상부테두리부(50)로 들어올리는 것이다.
이후, 상부판재(44`)(45`)와 하부판재(44``)(45``)를 이루는 정면판(44)과 후면판(45)을 내측으로 밀어 넣어서 절첩시키면 ‘도5b’의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10)를 이루는 상자부가 평평한 판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후, ‘도5c’에서와 같이 핸들(30)을 적재부(10)로 절첩하여서 보관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며 이를 ‘도3’과 ‘도4a’그리고 ‘도4b’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3’은 조립되어져 있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의 측면을 보인 것이며, ‘도4a’와 ‘도4b’는 ‘도3’의 A부의 확대단면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도4a’는 핸들(30)이 수직상태로 고정되어져 있는 것이며 이는 제1힌지부(21)에 핸들(30)의 일측면에 형성된 힌지부(11)가 고정 결합되어져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이때, 장공을 이루어 형성된 안내공(24)에 마련된 절첩레버(27)를 상부에서 하부로 밟아서 내리면 이와 연결된 걸림부재(25)의 일측끝부분이 상기 핸들(30)의 일측면과 탈락되어져 상기 핸들(30)을 절첩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절첩레버(27)를 놓으면 상기 걸림부재(25)의 내부에 마련된 탄성부재(26)에 의해 상기 걸림부재(25)와 절첩레버(27)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들(30)을 수직상태로 들어올리면 상기 핸들(30)의 일측끝부분이 걸림부재(25)를 밀어 내린 후 원래의 위치로 다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재부(10)를 이루는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어져 절첩되어지는 상자부(40)는 측판(41) 및 정면판(44)과 후면판(45)을 접음에 의해 간단하게 절첩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때, 절첩 후의 상자부(40)는 부피가 큰 물품을 이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절첩 전의 상자부(40)는 다량의 부품 등을 이송하거나 파손이 쉽게 이루어지는 물품 등을 이송하기에 유용한 작용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부테두리부(50)에 규격에 맞는 상자를 적층하여서 이송하여도 급제동이나 급회전 시 상기 적재부(10)에서 이탈하는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핸들(30)도 절첩장치부(20)에 의해 접음하여서 보관이 용이토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절첩장치부(20)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절첩장치부(20)에 마련된 고정핀(23)은 상기 핸들(30)이 세움 되어졌을 때에 고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상기 걸림부재(25)와 탄성부재(26)는 상기 핸들(30)이 세움 및 절첩되어졌을 때에 고정 및 걸림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운반용 절첩식 수레는 운반되어지는 물품의 크기나 부피 등에 상관없이 다양한 물품을 올려놓아서 운반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취급 시 쉽게 파손되어지는 물품이거나 다량의 적층할 수 없는 물품 등도 한번에 이송시킬 수 있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송되어지는 물품이 운반용 수레에서의 이탈 및 파손됨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자 및 운반용 수레를 일체로 구비하여도 보관하여서 되는 부피를 최소화 하여서 되는 운반용 절첩식 상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이송할 물품을 얹어 놓도록 하는 판형상의 적재부(10)와, 상기 적재부(10)의 하단에 다수개 구비하여 바닥면에 굴림 되어져 이송하기 위한 이송바퀴부(13)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져 손으로 밀거나 운전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31)을 구비한 종래의 일반적인 수레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10)의 상부면에는 절첩 가능한 상자부(40)와,
    상기 적재부(10)의 일측에 구비되어지는 핸들(30)에는 상기 핸들(30)이 적재부(10)의 길이방향으로 절첩 가능하여서 되는 절첩장치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부(40)는 상부면 외측둘레의 단을 형성한 내부에는 정면판(44)과 후면판(45) 및 측판(41)을 회동하기 위한 힌지부(11)와 고정하기 위한 돌출테(12)를 구비한 적재부(10)와,
    상부면에는 물품을 수납하도록 개구되여져 있는 개구부와 함께 측판(41) 및 정면판(44)과 후면판(45)이 회동 가능하도록 마련한 힌지부(51)를 둘레의 내부에 구비하여서 된 상부테두리(50)와,
    상기 상부테두리(50)의 힌지부(51)에 고정되어져 회동 가능한 힌지부(42)와 적재부(10)의 돌출테(12)에 고정결합하기 위한 고정홈(43)을 구비한 측판(41)과,
    상기 상부테두리부(50)와 적재부(10)의 힌지부(11)(42)에 고정결합하여서 되는 힌지부(42)를 구비한 상부판재(44`)(45`)와 하부판재(44``)(45``)가 서로 내접하여 회동되게 형성하여서 되는 정면판(44)과 후면판(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장치부(20)는 적재부(10)의 일측 상부면에 고정 결합되어져 상기 핸들(31)의 일측끝부분에 형성된 힌지부(31)를 중심으로 상기 적재부(10)의 길이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한 제1힌지부(21)와,
    상기 회전되어 절첩되는 핸들(30)이 일측끝부분을 고정 및 걸림 하여서 되는 걸림부재(25)와 탄성부재(26)를 제2힌지부(22)에 마련하고,
    상기 핸들(30)이 세움 하여서 고정되는 고정핀(23)과,
    상기 걸림부재(25)를 발로 밟아 회전하여서 되는 절첩레버(27)와 이의 회전운동을 도와서 되는 장공형의 안내공(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용 절첩식 수레.
KR2020000013487U 2000-05-12 2000-05-12 운반용 절첩식 수레 KR2001993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87U KR200199368Y1 (ko) 2000-05-12 2000-05-12 운반용 절첩식 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487U KR200199368Y1 (ko) 2000-05-12 2000-05-12 운반용 절첩식 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368Y1 true KR200199368Y1 (ko) 2000-10-02

Family

ID=19656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487U KR200199368Y1 (ko) 2000-05-12 2000-05-12 운반용 절첩식 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3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405B1 (ko) * 2022-01-13 2022-03-07 주식회사 피엠오디자인 접이식 박스형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1405B1 (ko) * 2022-01-13 2022-03-07 주식회사 피엠오디자인 접이식 박스형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061B2 (en) Collapsible box with top access, side access and interconnected vertical stacking
US20030136781A1 (en) Folding crate
US5125524A (en) Collapsible basket for storage and transport of manufactured articles
WO2007008175A1 (en) Pallet with foldable platform surface
KR200492292Y1 (ko) 접이식 상자용 카트
KR200199368Y1 (ko) 운반용 절첩식 수레
SK18098A3 (en) Stacking and nesting containers
JP2002308277A (ja) 運搬用容器
JP2518195Y2 (ja) 収納箱
JPH0415633Y2 (ko)
JP2510103B2 (ja) 折りたたみ箱
KR200222192Y1 (ko) 운반용 절첩식 수레
US20160272230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glass and glass products
KR200174911Y1 (ko) 운반용 박스
JP4575090B2 (ja) 折り畳み容器
JP3895852B2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0405217B1 (ko) 컨테이너형 조립식 포장상자
JP3157073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
JPH0356511Y2 (ko)
JPH07172434A (ja) 缶乃至ビン用折り畳み収納容器
JPS594913Y2 (ja) 折畳み式容器
JP3245700B2 (ja) 折畳み式収納容器
JPH027786Y2 (ko)
JP2006321504A (ja) 遊技機運搬用コンテナ
JPH09221129A (ja) 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