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327Y1 - 전기히터 - Google Patents

전기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327Y1
KR200198327Y1 KR2020000012380U KR20000012380U KR200198327Y1 KR 200198327 Y1 KR200198327 Y1 KR 200198327Y1 KR 2020000012380 U KR2020000012380 U KR 2020000012380U KR 20000012380 U KR20000012380 U KR 20000012380U KR 200198327 Y1 KR200198327 Y1 KR 200198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electric heater
support rod
suppo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필
Original Assignee
한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필 filed Critical 한종필
Priority to KR2020000012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전원의 프러스(+) 단자(131) 및 마이너스(-) 단자(132)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코일(140)과, 상기 코일(140)을 내장하며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된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히터(100)에 있어서, 상기 프러스 단자(131)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부재(170)에 의하여 직립 고정되는 지지체(150)와, 상기 지지체(1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된 상부 체결부재(181) 및 하부 체결부재(182)에 조립되어 직립 배치되는 지지봉(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140)은 상기 마이너스 단자(132)에 접속된 후 상기 지지봉(160)의 외주연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어 상기 지지체(150)에 접속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원의 프러스 단자(131) 및 마이너스 단자(132)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코일(140)을 지지체(150)에 의하여 직립 배치된 지지봉(160)에 다수 회 권회시키므로써 코일(140)의 연장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Description

전기히터{ELECTRIC HEATER}
본 고안은 전기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사판의 중심에 구비된 소켓에 간단히 나사 조임될 수 있도록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된 하우징의 내부에 코일을 내장시킴과 동시에 베이스 캡으로 체결하여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착탈이 용이한 전기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할로겐(Halogen)은 주기율표 7B족에 속하는 플루오르(F)·염소(Cl)·브롬(Br)·요오드(I)·아스타틴(At)의 5원소로서 할로겐족 원소라고도 하고, 양성(陽性)이 강한 금속원소와 함께 염류(이온성 화합물)를 쉽게 만드는 성질이 있다
그리고, 할로겐의 종류로는 무색 기체인 플루오르로부터 황록색 기체인 염소 및 적갈색 액체인 브롬, 흑자색 고체인 요오드를 거쳐 금속성을 나타내는 아스타틴까지 계통적으로 다양하다.
0족 원소보다 원자번호(核 電荷(핵 전하)나 전자 수)가 1개 적으므로, 전자를 받아들여 1가 음이온이 되기 쉬워 양성이 강한 금속과 이온성이 강한 화합물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양성이 약한 금속 및 비금속과 공유성(共有性) 화합물을 만들 수도 있는 데, 그 속의 화학결합은 일반적으로 극성(極性)이며 할로겐 원자는 음전하를 띄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외부의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것이 바로 할로겐 발열체(1)가 되고, 이 할로겐 발열체(1)로부터 발열되는 고온을 집중 반사시켜 피가열체를 달일 수 있는 것이 바로 히터가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히터에 적용되는 할로겐 발열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히터에 적용된 할로겐 발열체(1)는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됨과 동시에 내열성이 매우 좋은 석영관(2) 안에 다수 회 감겨진 코일(3)을 내장시킨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할로겐 발열체(1)의 열효율을 좋게 하려면 코일(3)의 길이를 연장해야 되는데, 이러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영관(2)의 길이 역시 부득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 처리하여 코일(3)의 연장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시도하기도 하나 석영관(2)의 라운딩처리가 난해할 뿐만 아니라 기대한 만큼의 코일(3)의 연장효과를 구현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원의 프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코일을 지지체에 의하여 직립 배치된 지지봉에 다수 회 권회시켜 코일의 연장효과를 도모하고 반사판의 중심에 구비된 소켓에 간단히 나사 조임될 수 있도록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된 하우징을 베이스 캡으로 체결하여 그 착탈이 매우 용이한 전기히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히터에 적용되는 할로겐 발열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에 적용될 수 있는 지지봉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반사판 11 : 소켓
100 : 전기히터 110 : 베이스 캡
111 : 나사홈 120 : 하우징
131 : 프러스 단자 132 : 마이너스 단자
140 : 코일 150 : 지지체
160 : 지지봉 160a : 석영봉
161 : 구획돌기 162 : 구획홈
163 : 구획편 170 : 고정부재
171 : 고정돌기 172 : 고정 플레이트
181 : 상부 체결부재 181a : 상부 체결플레이트
182 : 하부 체결부재 182a : 하부 체결플레이트
190 : 방열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전원의 프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코일과, 상기 코일을 내장하며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히터에 있어서,상기 프러스 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부재에 의하여 직립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된 상부 체결부재 및 하부 체결부재에 조립되어 직립 배치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은 상기 마이너스 단자에 접속된 후 상기 지지봉의 외주연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어 상기 지지체에 접속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판형의 반사판(10)의 중심에 구비된 소켓(11)에 간단히 나사 조임되어 고온의 열을 발생하는 히터용으로 활용된다. 상기 소켓(11)에는 나사홈(111)을 구비한 베이스 캡(110)이 조임 결합되어 용이하게 착탈되고, 이 베이스 캡(110)에는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된 내열유리로 된 하우징(120)이 장착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내부에는 전원의 프러스 단자(131) 및 마이너스 단자(132)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코일(140)이 내장되는데, 이 코일(140)은 그 길이의 연장효과를 실현할 수 있도록 지지체(150)에 의하여 하우징(120)의 내부에 직립 배치된 지지봉(160)에 다수 회 권회된다.
지지봉(160)은 500∼1000℃의 온도범위에서 내열특성을 갖는 석영봉(160a)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석영봉(160a)에 감겨지는 코일(140)은 직선상으로 펼쳐지는 실제적인 길이보다 수 배의 연장효과를 구현할 수 있어 열효율의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에 적용될 수 있는 지지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지봉(160)에 감겨지는 코일(140)은 플렉서블(flexible)하여 상호 권회되면서 접촉될 경우에는 사용 중 쇼트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그 대안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60)의 외주연 양측방향으로 지그재그 간격으로 돌출 성형되어 코일(140)의 권회간격을 유지하면서 쇼트현상을 방지하는 구획돌기(161)를 구비키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연 양측에 지그재그 간격으로 함몰 성형되어 코일(140)의 권회간격을 유지하면서 쇼트현상을 방지하는 구획홈(162)을 형성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60)의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돌출 성형되어 코일(140)의 권회간격을 유지하면서 쇼트현상을 방지하는 구획편(163)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돌기(161), 구획홈(162) 및 구획편(163)은 지지봉(160)의 외주연에 다수 회 권회된 코일(140)의 유동현상을 방지하며 상호간의 간격을 긴밀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적인 쇼트를 방지하고, 코일(140)의 길이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만큼 더욱 길게 연장할 수 있도록 코일(140)을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지지봉(160)을 직립 고정시키는 지지체(150)는 고정부재(170)에 의하여 하우징(120)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이 고정부재(170)는 하우징(120)의 상부로부터 지지봉(160)을 향하여 돌출 성형된 고정돌기(171)와, 상기 지지체(15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돌기(171)를 휘감는 고정 플레이트(172)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지지체(150)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돌기(171)를 휘감는 고정 플레이트(172)에 의하여 지지체(150)가 하우징(120)의 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제품의 용이한 조립공정을 가능하게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지봉(160)을 직립 고정시키는 상부 체결부재(181)는 지지체(15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봉(160)의 상부를 휘감는 상부 체결플레이트(181a)로 이루어지고, 하부 체결부재(182)는 지지체(15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봉(160)의 하부를 휘감는 하부 체결플레이트(182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바와 같이 지지봉(160)에 다수 회 권회된 코일(140)을 내장한 하우징(120)을 파지하면서 베이스 캡(110)이 반사판(10)의 중심에 구비된 소켓(11)에 나사 조임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시킨 후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코일(140)은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켜 적어도 800∼1000℃의 온도를 발산하게 된다. 이때, 반사판(10)이 있을 경우에는 한쪽방향으로 열이 집중되고, 반면 반사판(10)이 없을 경우에는 전방향으로 열을 제공하여 주변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더불어, 코일(140)로부터 고온의 열이 발생될 경우 자칫 베이스 캡(1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회로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하우징(120)의 하부 내주연에 끼워져 코일(140)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차단하는 방열판(190)을 더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히터(100)에 의하면, 반사판(10)의 중심에 구비된 소켓(11)에 간단히 나사 조임될 수 있도록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된 하우징(120)의 내부에 코일(140)을 내장시킨 후 베이스 캡(110)으로 조립시키므로써 소켓(11)과의 착탈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전원의 프러스 단자(131) 및 마이너스 단자(132)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코일(140)을 지지체(150)에 의하여 직립 배치된 지지봉(160)에 다수 회 권회시키므로써 코일(140)의 연장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더불어, 코일(140)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에 대한 내열성을 갖도록 지지봉(160)을 석영봉(160a)으로 활용하므로써 고온에 대한 안정성이 더욱 높아진다.
그리고, 지지봉(160)의 외주연 양측방향으로 지그재그 간격으로 구획돌기(161) 및 구획홈(162) 또는 나선형의 구획편(163)을 성형시켜 코일(140)의 권회간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쇼트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그 전기적인 안정성이 더욱 좋아지고, 코일(140)의 길이를 사용자가 희망하는 만큼 더욱 길게 연장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한편, 지지체(150)로부터 연장되어 고정돌기(171)를 휘감는 고정 플레이트(172)에 의하여 지지체(150)가 하우징(120)의 내부에 결합되는 구조는 제품의 조립성을 매우 좋게 한다.
아울러, 하우징(120)의 하부 내주연에 방열판(190)을 구비시켜 코일(140)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안정성이 더욱 좋아진다.

Claims (8)

  1. 적어도 전원의 프러스(+) 단자(131) 및 마이너스(-) 단자(132)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코일(140)과, 상기 코일(140)을 내장하며 할로겐 물질이 봉입되어 진공 처리된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전기히터(100)에 있어서,
    상기 프러스 단자(131)에 접속되며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에 고정부재(170)에 의하여 직립 고정되는 지지체(150)와, 상기 지지체(150)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고정된 상부 체결부재(181) 및 하부 체결부재(182)에 조립되어 직립 배치되는 지지봉(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일(140)은 상기 마이너스 단자(132)에 접속된 후 상기 지지봉(160)의 외주연을 따라 상측방향으로 다수 회 권회되어 상기 지지체(150)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60)은 500∼1000℃의 온도범위에서 내열특성을 갖는 석영봉(16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60)은 외주연 양측방향으로 지그재그 간격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코일(140)의 권회간격을 유지하면서 쇼트현상을 방지하는 구획돌기(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60)은 외주연 양측에 지그재그 간격으로 함몰 성형되어 상기 코일(140)의 권회간격을 유지하면서 쇼트현상을 방지하는 구획홈(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160)은 외주연에 나선형으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코일(140)의 권회간격을 유지하면서 쇼트현상을 방지하는 구획편(1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하우징(120)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지봉(160)을 향하여 돌출 성형된 고정돌기(171)와,
    상기 지지체(15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171)를 휘감는 고정 플레이트(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체결부재(181)는 상기 지지체(150)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봉(160)의 상부를 휘감는 상부 체결플레이트(181a)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체결부재(182)는 상기 지지체(150)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봉(160)의 하부를 휘감는 하부 체결플레이트(182a)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의 하부 내주연에 끼워져 상기 코일(140)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차단하는 방열판(19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히터(100).
KR2020000012380U 2000-05-01 2000-05-01 전기히터 KR200198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380U KR200198327Y1 (ko) 2000-05-01 2000-05-01 전기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380U KR200198327Y1 (ko) 2000-05-01 2000-05-01 전기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327Y1 true KR200198327Y1 (ko) 2000-10-02

Family

ID=1965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380U KR200198327Y1 (ko) 2000-05-01 2000-05-01 전기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3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11B1 (ko) * 2014-06-30 2015-12-02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원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1578655B1 (ko) * 2014-06-30 2015-12-2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분사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원
KR20190012682A (ko) * 2017-07-28 2019-02-11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히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3811B1 (ko) * 2014-06-30 2015-12-02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증발원 및 이를 포함하는 증착장치
KR101578655B1 (ko) * 2014-06-30 2015-12-28 주식회사 선익시스템 분사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증발원
KR20190012682A (ko) * 2017-07-28 2019-02-11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히터
KR101951737B1 (ko) * 2017-07-28 2019-02-25 에스케이실트론 주식회사 할로겐램프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207620A (en) Quartz-halogen infra-red lamp: ceramic pinch seal shield
US7612491B2 (en) Lamp for rapid thermal processing chamber
US9536728B2 (en) Lamp for rapid thermal processing chamber
KR200198327Y1 (ko) 전기히터
KR20220050888A (ko) 전류 피드스루
US4857709A (en) Electric cooking unit having an electric lamp with a helical filament contact with the lamp vessel wall
JP2006294337A (ja) 遠赤外線ヒーター
CN213752626U (zh) 单端供电准分子灯
US6308008B1 (en) IR-source with helically shaped heating element
US5021636A (en) Electrical cooking unit and electrical cook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is unit
JP2004139769A (ja) 発熱構造体
JPS6336607Y2 (ko)
JP3954985B2 (ja) 電気炉
JP2001155692A (ja) 赤外線電球
CN206521522U (zh) 改进mocvd加热器结构和mocvd反应系统
JPS61225753A (ja) 低圧水銀蒸気放電灯
JPH0233148Y2 (ko)
KR100946915B1 (ko) 활성탄소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JP2000150115A (ja) 発熱体
JP2001110365A (ja) ヒータランプ
KR200204243Y1 (ko) 전기히터
JP2005251706A (ja) 炭素系発熱体
JP2001124477A (ja) 溶融金属炉用チューブヒータ
KR100498750B1 (ko) 전기제품용 ptc히터 및 방열판 구조
KR200311696Y1 (ko) 탄소 발열체를 이용한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