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252Y1 -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98252Y1 KR200198252Y1 KR2019970035518U KR19970035518U KR200198252Y1 KR 200198252 Y1 KR200198252 Y1 KR 200198252Y1 KR 2019970035518 U KR2019970035518 U KR 2019970035518U KR 19970035518 U KR19970035518 U KR 19970035518U KR 200198252 Y1 KR200198252 Y1 KR 2001982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f
- panel
- molding
- core
- roof si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group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12—Roof or head li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12—Fastening strips or bars to sheets or plates, e.g. rubber strips, decorative strips for motor vehicles, by means of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루프사이드 몰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 패널 측단부의 몰드홈에 커버체에 철심코어와 패널코어가 결합된 루프몰딩을 위치시키고 루프 사이드 인너레일에는 보강멤버를 위치시켜 보울트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루프몰딩과 보강멤버가 박스구조를 이루며 결합되도록 하여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장착성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공정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루프사이드 몰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루프 패널 측단부의 몰드홈에 커버체에 철심코어와 패널코어가 결합된 루프몰딩을 위치시키고 루프 사이드 인너레일에는 보강멤버를 위치시켜 보울트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루프몰딩과 보강멤버가 박스구조를 이루며 결합되도록 하여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장착성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공정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 충돌사고는 인간이 자동차 문명을 발전시킨 이래 누려온 편의성의 대가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충돌사고시 승객의 사망과 상해를 기술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적용된 충돌안전대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주로 승용차의 정면 충돌시의 승객상해를 감소시키는데 치중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충돌사고 가운데 가장 빈번히 발생하고 승객에게 가장 치명적인 상해를 가장 많이 입혔던 사고가 정면충돌사고였기 때문이다. 물론 측면충돌안전을 위해서도 다소의 노력을 해오기는 했지만, 정면충돌안전대책에 비하면 그 성과가 미미하여, 승용차 충돌사고로 인한 사망자 중 측면충돌사고에 의한 사망자의 비율이 매년 증가해 왔다. 세계 각국에서는 해마다 증가해 가는 측면충돌사고시의 승객사망과 상해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년에 걸친 연구 끝에 승용차의 측면충돌안전성능에 관한 더욱 강화된 법규를 발표하였다.
자동차 설계자들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도어 내부에 임팩트 바(IMPACT BAR)라는 보강재를 추가시켜 왔으며, 근래에는 굽힘강성이 높고, 제작성 및 중량이 가벼운 고장력강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적용해 왔다.
이 규제의 시행으로 승객의 상해를 줄일 수 있기는 했지만, 정면충돌시의 승객상해 감소속도에 비하면 훨씬 뒤떨어져 측면충돌시의 승객 상해율은 매년 증가해 왔다.
이러한 측면충돌에 관계된 차동차 측면구조의 한부분인 루프 사이드부분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 아우터 패널(10)의 측단부를 연장 절곡시킨 플랜지부(10')와 사이드 아우터 패널(11)의 안쪽으로 절곡 구성시킨 플랜지부(11')를 상호 용접시켜 몰드홈(12)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몰드홈(12)에는 몰드홈(12)의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체(13A) 및 이에 결합되는 상부체(13B), 이 상,하부체(13A)(13B)를 외부로 부터 은폐시켜주기 위하여 상부체(13A)에 고정되는 커버체(13C)를 결합시켜 구성되는 루프 몰딩(13)을 장착하게 되는 것이나,
이는 단순히 몰드홈(12)의 용접부위를 은폐시키거나 디자인 측면만을 고려하여 구성된 것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탈착이 까다로워 장착작업이 매우 난해하여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이며,
측면충돌시 상,하부체(13A)(13B)가 쉽게 이탈되면서 플랜지부(10')(11')에서 절곡변형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어있으므로, 충격이 고루 분산되지 못하고 국부에 집중되어 작은 충격에도 큰 변형을 일으키면서 승객의 상해치를 높이게 되는 것이며,
루프 몰딩(13)자체가 몰드홈(12)의 외부에만 한정 위치되는 것이어서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14)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전장 와이어링클립등 부속장치의 설치를 위해서는 별도의 브라켓, 체결부재, 고정면이 소요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노출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루프 패널 측단부의 몰드홈에 커버체에 철심코어와 패널코어가 결합된 루프몰딩을 위치시키고 루프 사이드 인너레일에는 보강멤버를 위치시켜 보울트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루프몰딩과 보강멤버가 박스구조를 이루며 결합되도록 하여 차체의 강성을 증가시킴과 아울러 장착성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공정의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보이는 자동차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이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 은 기존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루프 아우터 패널 2:몰드홈
3:루프 몰딩 3A:커버체
3B:패널 코어 3B',3B":고정부
3C,3C':철심코어 4:보울트
5:보강멤버 6:루프 사이드 인너패널
루프 아우터 패널(1)의 측단부의 몰드홈(2)에 위치되는 장척물형태의 커버체(3A)와, 이 커버체(3A)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양단에 원형으로 절곡된 고정부(3B')(3B")를 일체로 구비하는 패널 코어(3B)와, 상기 패널 코어(3B)의 고정부(3B')(3B")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쌍의 철심코어(3C)(3C')로 구성되는 루프 몰딩(3)과;
상기 패널 코어(3B)에 끼워진 보울트(4)에 의해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6)의 저부에 고정 체결되는 보강멤버(5)를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7)는 너트이고, (8)는 전장 와이어링클립이며, (9)는 루프 사이드 아우터패널이고, (P1)(P2)(P3)는 각각 루프 아우터패널과 루프 사이드 아우터패널 및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의 플랜지부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루프 몰딩(3)과 보강멤버(5)를 상호 용접된 루프 아우터패널과 루프 사이드 아우터패널 및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의 플랜지부(P1)(P2)(P3)를 사이에 두고 보울트(4)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고정시킴으로써 루프 몰딩(3)과 보강멤버(5)가 그 내부에 소정의 공간를 구비하는 박스형태를 이루며 결합되는 것이므로 몰딩홈(2)에서의 루프 몰딩(3)의 장착 안정성이 매우 견고하게 됨과 동시에 차량에 가해지는 비틀림이나 진동에 대한 버팀력이 매우 우수하게 되며,
지지강성이 우수한 철심코어(3C)(3C')와 보강멤버(5)로 인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루프 사이드 아우터패널(9) 및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6)에 가해지는 충격 분산력과 저항력이 커짐으로써 차량의 구조적변형을 억제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줄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루프 몰딩(3)과 보강멤버(5)가 보울트(4)를 이용하여 임의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므로 루프 몰딩(3)의 장착 작업성이 개선되며,
루프 몰딩(3)을 장착하기 위해서 보울트(4)에 체결된 너트(7)가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6)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써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6)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전장 와이어링클립(8)등 부속장치를 보울트(4)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브라켓, 체결부재, 고정부위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제조공정과 부품의 절감을 기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보울트를 이용하여 루프몰딩과 보강멤버의 결합시 박스구조를 이루며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호 착탈 가능하게 하므로써 루프 사이드에 가해지는 충격 분산력과 저항력이 커짐으로써 차량의 구조적변형을 억제시켜 승객의 상해치를 줄여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루프 몰딩의 장착 작업성이 개선되며,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6)의 내측에 위치되는 각종 전장 와이어링클립등 부속장치를 보울트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브라켓, 체결부재, 고정부위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제조공정과 부품의 절감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루프 아우터 패널(1)의 측단부의 몰드홈(2)에 위치되는 장척물형태의 커버체(3A)와, 이 커버체(3A)의 저부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며 양단에 원형으로 절곡된 고정부(3B')(3B")를 일체로 구비하는 패널 코어(3B)와, 상기 패널 코어(3B)의 고정부(3B')(3B")에 끼워져 결합되는 한쌍의 철심코어(3C)(3C')로 구성되는 루프 몰딩(3)과;상기 패널 코어(3B)에 끼워진 보울트(4)에 의해 루프 사이드 인너패널(6)의 저부에 고정 체결되는 보강멤버(5)를 각각 결합 구성하여서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5518U KR200198252Y1 (ko) | 1997-12-03 | 1997-12-03 |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70035518U KR200198252Y1 (ko) | 1997-12-03 | 1997-12-03 |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3187U KR19990023187U (ko) | 1999-07-05 |
KR200198252Y1 true KR200198252Y1 (ko) | 2000-10-02 |
Family
ID=19515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70035518U KR200198252Y1 (ko) | 1997-12-03 | 1997-12-03 |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98252Y1 (ko) |
-
1997
- 1997-12-03 KR KR2019970035518U patent/KR2001982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23187U (ko) | 1999-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198252Y1 (ko) | 자동차의 루프 사이드 몰딩구조 | |
KR20120040548A (ko) |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 |
KR100324661B1 (ko) | 자동차용카울크로스바구조 | |
KR100282920B1 (ko) | 자동차 라디에이터 지지부재의 결합구조 | |
JPS63112288A (ja) |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 |
KR0137506Y1 (ko) | 차량의 후방차체 보강구조 | |
KR200161928Y1 (ko) | 자동차 센터필라 보강구조 | |
JPH10264830A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 |
KR200161670Y1 (ko) | 자동차 센터루프레일의 강성 보강 구조물 | |
JPH09267774A (ja) |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支持構造 | |
KR0128701Y1 (ko) | 대시 패널의 하단 보강구조 | |
KR200270846Y1 (ko) | 차량용사이드실구조 | |
KR100231560B1 (ko) | 자동차용도어의보강재취부구조 | |
KR200236878Y1 (ko) | 자동차용 토션바의 보강구조 | |
KR200149213Y1 (ko) | 자동차의 도아 오프닝 프레임 보강구조 | |
KR200147046Y1 (ko) | 센터필러어퍼 보강구조 | |
KR0133775B1 (ko) | 자동차 전면기등 하단부의 보강구조 | |
KR200249559Y1 (ko) | 자동차의 도어 임팩트바 커플링 구조 | |
KR970005728A (ko) | 자동차용 도어의 보강재 취부구조 | |
KR19980060041U (ko) |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 |
KR19980055084U (ko) | 자동차 범퍼의 사이드부 지지구조 | |
KR19980045190U (ko) | 자동차의 리어필러 보강대 | |
KR19990027950U (ko) | 자동차 사이드 바디의 보강 프론트 필러 | |
KR19990010907A (ko) | 보강 구조가 구비된 차량의 프론트 플로어 패널 구조 | |
KR19980049921U (ko) | 리어필라의 시트벨트 앵커 취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705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