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058Y1 - 비상경보 방송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경보 방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058Y1
KR200198058Y1 KR2020000011350U KR20000011350U KR200198058Y1 KR 200198058 Y1 KR200198058 Y1 KR 200198058Y1 KR 2020000011350 U KR2020000011350 U KR 2020000011350U KR 20000011350 U KR20000011350 U KR 20000011350U KR 200198058 Y1 KR200198058 Y1 KR 200198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lephone
amplifier
broadcas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3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재
Original Assignee
한국영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영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영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13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0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2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평상시에는 공장 등의 시끄러운 지역에서 전화왔을 경우에 전화기의 벨신호를 증폭해서 스피커를 통해서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전화신호 표시램프를 점등하고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서 표시하므로, 전화신호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사태 발생시에는 방송신호를 스피커에서 음향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방송신호 표시램프를 점등하고 또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서 비상사태의 발생을 방송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피커에서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전화신호 표시램프 또는 방송신호 표시램프를 점등시켜서 경보하므로 듣지 못하는 장애인 또는 볼 수 없는 소경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화신호를 인지하거나 또는 비상사태를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상경보 방송장치{A BROADCASTING DEVICE FOR WARNING STATE OF EMERGENCY}
본 고안은 공장 등의 시끄러운 지역에서 전화왔을 경우에, 전화기의 벨신호를 증폭해서 스피커, 램프 및 경보등에 신호를 출력하여 음향이나 또는 경보등의 점등으로 신속하게 경보할 수 있는 비상경보 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공장 등의 시끄러운 지역에서는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 오거나 또는 방송시스템을 사용하여 방송할 경우, 공장내에 설치된 장비들의 작동에 따른 소음 때문에 전화벨의 음향을 들을 수 없어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할 뿐만 아니라, 비상사태가 발생해도 경보음향을 들을 수가 없어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없어 비상사태에 신속히 대처할 수 없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경보음향만으로 경보를 알릴 경우에는 음향을 시청할 수 없는 장애자인 경우에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전혀 알 수 없고, 또한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경보등만으로 경보를 알릴 경우에는 볼 수 없는 소경인 경우에는 비상사태가 발생하였음을 전혀 알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공장 등의 시끄러운 지역에서 전화왔을 경우에 전화기의 벨신호를 증폭해서 스피커, 전화신호 표시램프 및 발광다이오드에 신호를 출력하여 음향 및 경보등의 점등으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줌과 동시에, 비상사태 발생시에는 방송신호를 스피커에서 음향으로 출력하고 또한 방송신호 표시램프를 점등하여 비상사태의 발생을 경보할 수 있는 비상경보 방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듣지 못하는 장애인 또는 볼 수 없는 소경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비상사태를 인지할 수 있는 비상경보 방송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화신호 및 방송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 입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절환수단과, 상기 제1 절환수단에 의해서 선택된 신호를 받아서 전력증폭하여 스피커에 출력하는 전력증폭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증폭부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되어서 출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를 받아서 신호를 검출해서 DC로 변환/증폭해서 출력하는 신호검출부와, 상기 신호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점등/발광하는 신호표시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경보 방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경보 방송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신호입력부 11:전화신호 입력부
12:방송신호 입력부 20:제1 절환수단
30:전력증폭부 31:증폭기
32:스피커드라이버 40:스피커
50:증폭부 52:전화신호 증폭수단
54:방송신호 증폭수단 60:신호검출부
62:오동작 방지수단 63:전화신호 검출수단
64:제2 절환수단 65:방송신호 검출수단
66:제3 절환수단 70:신호표시부
73a:전화신호 표시램프 76a:방송신호 표시램프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경보 방송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경보 방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경보 방송장치의 상세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비상경보 방송장치는 신호입력부(10)와, 신호입력부(10)에 입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절환수단(20)과, 전력증폭부(30)와, 상기 전력증폭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40)와, 증폭부(50)와, 신호검출부(60)와, 신호표시부(7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입력부(10)는 전화신호를 입력받는 전화신호 입력부(11)와, 방송신호를 입력받는 방송신호 입력부(12)로 구성되며, 상기 전화신호 입력부(11)는 전화벨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는 가변저항기(VR3)와, 상기 가변저항기(VR3)에서 조절된 전화신호를 임피던스매칭시킴과 동시에, 절연시키는 제1 트랜스포머(T1)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T1)에서 출력되는 전화벨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27)와, 상기 캐패시터(C27)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여 저항(R28)을 통해서 전력증폭부(30)의 캐패시터(C20)에 출력하는 가변저항기(VR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송신호 입력부(12)는 방송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는 가변저항기(VR4)와, 상기 가변저항기(VR4)에서 조절된 방송신호를 임피던스매칭시킴과 동시에, 절연시키는 제2 트랜스포머(T2)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T2)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30)와, 상기 캐패시터(C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여 저항(R27)을 통해서 절환수단(20)에 출력하는 가변저항기(VR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력증폭부(30)는 상기 제1 절환수단(20)에 의해서 선택된 신호를 받아서 전력증폭하여 스피커(40)에 출력하는 것으로써, 상기 전력증폭부(30)는 제1 절환수단(20)에서 선택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중에서 직류성분의 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는 통과시키는 캐패시터(C20)와, 상기 캐패시터(C20)에서 AC성분의 음향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증폭기(31)와, 상기 증폭기(31)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의 신호를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40)에 출력하는 캐패시터(C21,C22) 및 저항(R11,R12)으로 이루어진 스피커드라이버 (3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증폭부(50)는 상기 신호입력부(10)의 전화신호 입력수단(11)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전화신호 증폭수단(52)과, 상기 신호입력부(10)의 방송신호 입력수단(12)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방송신호 증폭수단(5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은 전화신호 입력수단(11)의 캐패시터(C27)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의 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캐패시터(C28)와, DC12V를 받아서 저항(R16,R17)에 의해 분할해서 전류증폭하는 제1 증폭기(52a)와, 상기 제1 증폭기(52a)에서 증폭된 전류를 반전단자(-)에 받음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C28)에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전화신호를 비반전단자에서 받아 전화벨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52b)와, 상기 제2 증폭기(52b)에서 출력되는 전화벨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은 차단하고, AC성분만 저항(R15)을 통해 신호검출부(60)의 전화신호 검출수단(63)에출력하는 캐패시터(C2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송신호 증폭수단(54)은 방송신호 입력수단(12)의 캐패시터(C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의 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캐패시터(C29)와, 상기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의 저항(R16,R17)에 의해 분할된 전류를 증폭하는 제3 증폭기(54a)와, 상기 제3 증폭기(54a)에서 증폭된 전류를 반전단자(-)에 받음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C29)에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전화신호를 비반전단자에서 받아 방송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54b)와, 상기 제2 증폭기(54b)에서 출력되는 전화벨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은 차단하고, AC성분만 저항(R6)을 통해 신호검출부(60)의 방송신호 검출수단(65)에 출력하는 캐패시터(C2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검출부(60)는 전원인가시에 오동작을 방지하는 오동작 방지수단 (62)과, 상기 증폭부(50)의 전화신호 증폭수단(52)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검출하는 전화신호 검출수단(63)과, 상기 증폭부(50)의 방송신호 증폭수단(54)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검출하는 방송신호 검출수단(65)과, 상기 전화신호 검출수단 (63)에서 전화벨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스피커(40)에서 전화벨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전화신호의 출력을 표시하는 신호표시부(70)의 전화신호 표시램프 (73a)를 점등시키고, 또한 신호표시부(70)의 제1 발광다이오드(LED1)를 발광시키도록 절환되는 제2 절환수단(64)과, 상기 방송신호 검출수단(65)에서 방송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스피커(40)에서 방송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방송신호의 출력을 표시하는 신호표시부(70)의 방송신호 표시램프(76a)를 점등시키고 신호표시부 (70)의 제2 발광다이오드(LED2)를 발광시키도록 절환되는 제3 절환수단(6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오동작 방지수단(62)은 증폭부(50)의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의 출력단과 방송신호 증폭수단(54)의 출력단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으로, 캐패시터 (C16) 및 저항(R8,R10)으로 이루어진 시정수회로(62a,62b)와, 도시하지 않은 메인스위치의 스위칭 온시에 서지전압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도록 상기 시정수회로 (62a,62b)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동안 스위칭 온되는 트랜지스터(Q3,Q4)와, 상기 캐패시터(C16)를 통과한 부의 전압을 접지로 바이파스하는 다이오드(D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화신호 검출수단(63)은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의 출력저항(R15)을 통해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받아서 반파정류하는 제1 반파정류회로(D4,D5)와, 상기 반파정류회로(D4,D5)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평활화하는 캐패시터(C1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송신호 검출수단(65)은 방송신호 증폭수단(54)의 출력저항(R6)을 통해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받아서 반파정류하는 제2 반파정류회로(D6,D7)와, 상기 반파정류회로(D6,D7)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평활화하는 캐패시터(C1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절환수단(64)은 전화신호 검출수단(63)의 캐패시터(C18)에서 출력되는 평활화된 전화신호를 증폭하는 달링턴 증폭기(Q2)와, 상기 달링턴 증폭기(Q2)의 스위칭 온시에 스피커(40)에서 증폭된 전화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신호표시부(70)의 전화신호 표시램프(73a)의 점등시키도록 절환되는 제1 릴레이 (RY1)와, 상기 달링턴 증폭기(Q2)의 스위칭 온시에 신호표시부(70)의 제1 발광다이오드(LED1)를 발광시키도록 절환되는 제2 릴레이(RY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절환수단(66)은 방송신호 검출수단(65)의 캐패시터(C17)에서 출력되는 평활화된 방송신호를 증폭하는 달링턴 증폭기(Q1)와, 상기 달링턴 증폭기(Q1)의 스위칭 온시에 스피커(40)에서 증폭된 방송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신호표시부(70)의 방송신호 표시램프(76a)를 점등시키도록 절환되는 제3 릴레이(RY3)와, 상기 달링턴 증폭기 (Q1)의 스위칭 온시에 신호표시부(70)의 제2 발광다이오드(LED2)를 발광시키도록 절환되는 제4 릴레이(RY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및 제3 절환수단(64,66)의 다이오드(D2,D1)는 제1 내지 제4 릴레이(RY1-RY4)의 여자시에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스파크를 제거하는 스파크 킬러이고, 캐패시터(C10,C11)는 제1 내지 제4 릴레이(RY1-RY4)의 여자시에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의 접촉시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이다.
상기 신호표시부(70)는 신호검출부(60)의 제2 절환수단(64)의 절환시(신호검출부의 전화신호 검출수단(63)에서 전화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에 점등되는 전화신호 표시램프(73a)와, 상기 제2 절환수단(64)의 절환시(신호검출부의 전화신호 검출수단(63)에서 전화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에 발광되는 제1 발광다이오드(LED1)와, 신호검출부(60)의 제3 절환수단(66)의 절환시(신호검출부 (60)의 방송신호 검출수단(65)에서 방송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에 점등되는 방송신호 표시램프(76a)와, 상기 제3 절환수단(66)의 절환시(신호검출부의 전화신호 검출수단(63)에서 전화신호를 검출하였을 경우)에 발광되는 제2 발광다이오드(LED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신호표시부(70)의 저항(R2,R3)는 상기 제1 및 제2 발광다이오드(LED1,LED2)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전류제한 저항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상경보 방송장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신호입력부(10)의 전화신호 입력수단(11)의 단자(A,B)에 전화신호가 입력되면, 이 전화신호는 가변저항기(VR3)에서 볼륨이 조절되고, 제1 트랜스포머(T1)에서 전화신호를 임피던스매칭됨과 동시에, 절연되고, 캐패시터(C27)에서 전화벨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되며, 상기 캐패시터(C27)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화신호는 가변저항기(VR1)에서 볼륨이 조절되어 저항(R28)을 통해서 전력증폭부(30)의 캐패시터(C20)에 출력한다.
상기 전력증폭부(30)의 캐패시터(C20)에서는 저항(R28)을 통해서 입력되는 전화신호를 받아 전화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직류성분의 신호를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증폭기(31)에 출력하면, 상기 증폭기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 드라이버(32)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C27)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화신호는 증폭부(50)의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의 캐패시터(C28)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전화신호 중, DC성분의 전화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전화신호만이 저항R23)을 통해서 제1 증폭기(52a)의 반전단자(-)에 인가됨과 동시에, 제2 증폭기(52b)의 비반전(+)단자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증폭기(52a)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16,R17)에 의해 분할된 기준 직류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1 증폭기(52a)에서 전화신호가 1차로 전류증폭되고, 상기 제2 증폭기(52b)에서 다시 2차로 증폭해서 캐패시터 (C23)에 출력하면, 상기 캐패시터(C23)에서는 전화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은 차단하고, AC성분만 저항(R15)을 통해 신호검출부(60)의 전화신호 검출수단(63)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전화신호 검출수단(63)의 제1 반파정류회로(D4,D5)에서는 AC성분의 전화신호를 반파정류하고, 캐패시터(C18)에서 평활화하여 제2 절환수단(64)의 달링턴 증폭기(Q2)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달링턴 증폭기(Q2)가 스위칭 온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릴레이(RY1,RY2)에 전류가 흘러서 여자되어 상기 제1 릴레이(RY1)의 가동접점(a,a')이 각각 고정접점(b,b')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력증폭부(30)의 스피커 드라이버(32)의 캐패시터(C21), 저항(R11), 스피커(40), 제1 릴레이(RY1)의 고정접점(b), 가동접점(a), 저항(R12) 및 캐패시터(C22)에 의해 폐회로가 구성되어 상기 스피커(40)에서 전화신호가 크게 울림과 동시에, 신호표시부 (70)의 전화신호 표시램프(73a)에는 고정접점(b') 및 가동접점(a')를 통해서 AC전원이 인가되므로, 전화신호가 스피커(40)를 통해서 출력되고 있음을 전화신호 표시램프(73a)가 점등되어 표시하고, 또한 제2 릴레이(RY2)의 가동접점(c)이 고정접점 (d)에 접속됨으로써, DC12V가 전류제한 저항(R2)을 통해서 제1 발광다이오드(LED1)를 통해 흐르므로, 상기 제1 발광다이오드(LED1)가 발광되어 상기 스피커(40)에서 전화신호가 출력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한편, 방송신호를 스피커(40)에서 출력하기 위하여 절환수단(40)을 스위칭 온하면, 상기 신호입력부(10)의 방송신호 입력수단(12)의 단자(S,T)에 방송신호가 입력되고, 이 방송신호는 가변저항기(VR4)에서 볼륨이 조절되고, 제1 트랜스포머 (T2)에서 방송신호를 임피던스매칭시킴과 동시에 절연되고, 캐패시터(C30)에서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가 필터링되며, 상기 캐패시터(C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방송신호는 가변저항기(VR2)에서 볼륨이 조절되어 절환수단(20)을 통해서 전력증폭부(30)의 캐패시터(C20)에 출력한다.
상기 전력증폭부(30)의 캐패시터(C20)에서는 저항(R28)을 통해서 입력되는 방송신호를 받아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직류성분의 신호를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증폭기(31)에 출력하면, 상기 증폭기에서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 드라이버(32)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C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방송신호는 증폭부(50)의 방송신호 증폭수단(54)의 캐패시터(C29)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방송신호 중, DC성분의 방송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방송신호만이 제3 증폭기(54a)의 반전단자(-)에 저항(R23)을 통해 인가됨과 동시에, 제4 증폭기(54b)의 비반전(+)단자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3 증폭기(54a)의 비반전단자(+)에는 저항(R16,R17)에 의해 분할된 기준 직류전압이 인가되고 있으므로, 상기 제3 증폭기(54a)에서 방송신호가 1차로 전류증폭되고 상기 제2 증폭기(54b)에서 다시 2차로 증폭해서 캐패시터(C24)에 출력하면, 상기 캐패시터(C24)에서는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은 차단하고, AC성분만 저항(R6)을 통해 신호검출부(60)의 방송신호 검출수단(65)에 출력한다.
이때, 상기 방송신호 검출수단(65)의 제1 반파정류회로(D6,D7)에서는 AC성분의 방송신호를 반파정류하고, 캐패시터(C17)에서 평활화하여 제3 절환수단(66)의 달링턴 증폭기(Q1)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달링턴 증폭기(Q1)가 스위칭 온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제3 및 제4 릴레이(RY3,RY4)에 전류가 흘러서 여자되어 상기 제1 릴레이(RY3)의 가동접점(g,g')이 각각 고정접점(h,h')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전력증폭부(30)의 스피커 드라이버(32)의 캐패시터(C21), 저항(R11), 스피커(40), 제3 릴레이(RY3)의 고정접점(h'), 가동접점(g), 저항(R12) 및 캐패시터(C22)에 의해 폐회로가 구성되어 상기 스피커(40)에서 방송신호가 크게 울림과 동시에, 신호표시부(70)의 방송신호 표시램프(76a)에는 고정접점(h') 및 가동접점(g')를 통해서 AC전원이 인가되므로, 방송신호가 스피커(40)를 통해서 출력되고 있음을 방송신호 표시램프(76a)가 점등되어 표시하고, 또한 제4 릴레이(RY4)의 가동접점(e)이 고정접점(f)에 접속됨으로써, DC12V가 전류제한 저항(R3)을 통해서 제2 발광다이오드(LED2)를 통해 흐르므로, 상기 제2 발광다이오드(LED1)가 발광되어 상기 스피커(40)에서 방송신호가 출력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본 고안은 증폭부(50)의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의 출력단과 방송신호 증폭수단(54)의 출력단에 병렬로 오동작 방지수단(62)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도시하지 않은 메인스위치의 스위칭 온시에 시정수회로(62a,62b)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동안 서지전압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기 위하여 트랜지스터(Q3,Q4)를 스위칭 온시켜서 메인스위치의 동작시에 서지전압에 따른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상경보 방송장치에 의하면, 신호입력부에 입력되는 전화신호를 스피커에서 출력할 경우에는 신호입력부의 전화신호 입력수단에서 전력증폭부에 전화신호가 출력되며, 이때 전력증폭부에서 전화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스피커에 출력하며, 이때 증폭부의 전화신호 증폭수단에서 전화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면 신호검출부의 전화신호 검출수단에서 전화신호를 검출하여 제2 절환수단의 제1 및 제2 릴레이를 동작시켜서 신호표시부의 전화신호 표시램프 및 제1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서 스피커에서 전화신호가 출력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또한 신호입력부에 입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 중 방송신호를 스피커에서 출력하도록 제1 절환수단에 의해 선택하면, 전력증폭부에서 방송신호를 전력증폭하여 스피커에 출력하며, 이때 증폭부의 방송신호 증폭수단에서 방송신호를 받아 증폭하여 출력하면 신호검출부의 방송신호 검출수단에서 방송신호를 검출하여 제3 절환수단의 제3 및 제4 릴레이를 동작시켜서 신호표시부의 방송신호 표시램프 및 제2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서 스피커에서 방송신호가 출력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공장 등의 시끄러운 지역에서 전화왔을 경우에 전화기의 벨신호를 증폭해서 스피커, 램프 및 경보등에 신호를 출력하여 음향 및 경보등의 점등으로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사태 발생시에는 방송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고 또한 경보등을 점등하여 비상사태의 발생을 경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음향을 출력함과 동시에, 전화신호 표시램프 또는 방송신호 표시램프를 점등시켜서 경보하므로 듣지 못하는 장애인 또는 볼 수 없는 소경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전화신호를 인지하거나 또는 비상사태를 인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화신호 및 방송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입력부(10)와, 상기 신호입력부(10)에 입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제1 절환수단(20)과, 상기 제1 절환수단(20)에 의해서 선택된 신호를 받아서 전력증폭하여 스피커(40)에 출력하는 전력증폭부(30)와, 상기 신호입력부(10)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증폭부(50)와, 상기 증폭부(50)에서 증폭되어서 출력되는 전화신호와 방송신호를 받아서 신호를 검출해서 DC로 변환/증폭해서 출력하는 신호검출부 (60)와, 상기 신호검출부(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받아서 점등/발광하는 신호표시부(7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경보 방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력부(10)는 전화신호를 입력받는 전화신호 입력수단(11)과, 방송신호를 입력받는 방송신호 입력수단(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화신호 입력수단(11)은 전화벨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는 가변저항기(VR3)와, 상기 가변저항기(VR3)에서 조절된 전화신호를 임피던스매칭시킴과 동시에, 절연시키는 제1 트랜스포머(T1)와, 상기 제1 트랜스포머(T1)에서 출력되는 전화벨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27)와, 상기 캐패시터(C27)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여 저항(R28)을 통해서 전력증폭부(30)의 캐패시터(C20)에 출력하는 가변저항기(VR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송신호 입력수단(12)은 방송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는 가변저항기(VR4)와, 상기 가변저항기(VR4)에서 조절된 방송신호를 임피던스매칭시킴과 동시에, 절연시키는 제2 트랜스포머(T2)와, 상기 제2 트랜스포머(T2)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캐패시터(C30)와, 상기 캐패시터(C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볼륨을 조절하여 저항(R27)을 통해서 절환수단(20)에 출력하는 가변저항기(VR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경보 방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증폭부(30)는 제1 절환수단(20)에서 선택된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신호중에서 직류성분의 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는 통과시키는 캐패시터(C20)와, 상기 캐패시터(C20)에서 AC성분의 음향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증폭기(31)와, 상기 증폭기(31)에서 일정레벨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의 신호를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상기 스피커(40)에 출력하는 캐패시터 (C21,C22) 및 저항(R11,R12)으로 이루어진 스피커드라이버(3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경보 방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50)는 상기 신호입력부(10)의 전화신호 입력수단(11)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전화신호 증폭수단(52)과, 상기 신호입력부(10)의 방송신호 입력수단(12)에서 출력되는 방송신호를 받아서 증폭하는 방송신호 증폭수단(54)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은 전화신호 입력수단(11)의 캐패시터(C27)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의 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캐패시터(C28)와, DC12V를 받아서 저항(R16,R17)에 의해 분할해서 전류증폭하는 제1 증폭기(52a)와, 상기 제1 증폭기(52a)에서 증폭된 전류를 반전단자(-)에 받음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C28)에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전화신호를 비반전단자에서 받아 전화벨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52b)와, 상기 제2 증폭기(52b)에서 출력되는 전화벨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은 차단하고, AC성분만 저항(R15)을 통해 신호검출부(60)의 전화신호 검출수단(63)에출력하는 캐패시터(C2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방송신호 증폭수단 (54)은 방송신호 입력수단(12)의 캐패시터(C30)에서 노이즈가 필터링된 신호를 받아서 DC성분의 신호는 차단하고 AC성분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캐패시터(C29)와, 상기 전화신호 증폭수단(52)의 저항(R16,R17)에 의해 분할된 전류를 증폭하는 제3 증폭기(54a)와, 상기 제3 증폭기(54a)에서 증폭된 전류를 반전단자(-)에 받음과 동시에, 상기 캐패시터(C29)에서 출력되는 AC성분의 전화신호를 비반전단자에서 받아 방송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기(54b)와, 상기 제2 증폭기(54b)에서 출력되는 전화벨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DC성분은 차단하고, AC성분만 저항(R6)을 통해 신호검출부(60)의 방송신호 검출수단(65)에출력하는 캐패시터(C2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경보 방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검출부(60)는 전원인가시에 오동작을 방지하는 오동작 방지수단(62)과, 상기 증폭부(50)의 전화신호 증폭수단(52)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검출하는 전화신호 검출수단(63)과, 상기 증폭부(50)의 방송신호 증폭수단(54)에서 출력되는 전화신호를 검출하는 방송신호 검출수단(65)과, 상기 전화신호 검출수단(63)에서 전화벨 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스피커(40)에서 전화벨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전화신호의 출력을 표시하는 신호표시부(70)의 전화신호 표시램프(73a)를 점등시키고, 또한 신호표시부(70)의 제1 발광다이오드(LED1)를 발광시키도록 절환되는 제2 절환수단(64)과, 상기 방송신호 검출수단(65)에서 방송신호가 검출되었을 경우에 상기 스피커(40)에서 방송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방송신호의 출력을 표시하는 신호표시부(70)의 방송신호 표시램프(76a)를 점등시키고 신호표시부(70)의 제2 발광다이오드(LED2)를 발광시키도록 절환되는 제3 절환수단 (6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경보 방송장치.
KR2020000011350U 2000-04-21 2000-04-21 비상경보 방송장치 KR200198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50U KR200198058Y1 (ko) 2000-04-21 2000-04-21 비상경보 방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50U KR200198058Y1 (ko) 2000-04-21 2000-04-21 비상경보 방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058Y1 true KR200198058Y1 (ko) 2000-10-02

Family

ID=19652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350U KR200198058Y1 (ko) 2000-04-21 2000-04-21 비상경보 방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0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7253B2 (ja) 携帯通信端末
US4881058A (en) Combined audible and visual alarm system
GB2379138A (en) Mobile terminal device with controllong incoming call notifying method
GB2313978A (en) A portable telephone with automatic control of ringer volume
US8515022B2 (en) Speakerphone and extension speakerphone for use i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US20110085680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approach distance of a human body and performing different actions according to the detecting results
KR200198058Y1 (ko) 비상경보 방송장치
JPH04295991A (ja) 火災感知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火災警報システム
JP2019215701A (ja) 音声報知装置
KR20160052496A (ko) 비명소리 탐지 비상호출 시스템 및 방법
US4703312A (en) Voice-override alarm system
US4962528A (en) Beeper amplifier
US5014039A (en) Door answering and intruder alert apparatus and method
JPS6184931A (ja) 無線個人呼出用受信機
CN110933560A (zh) 音箱的控制方法、音箱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23188353A1 (ja) 非常放送システム及びスピーカユニット
KR100313358B1 (ko) 다층주택 생활환경 경보기
JPH04332237A (ja) 電話装置
JP2824002B2 (ja) 非常放送装置
JP2504968B2 (ja) 誘導音装置
JPH10326396A (ja) セキュリティインターホン装置
JPH11154284A (ja) 呼出発光チャイム
KR20029758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금지 경고장치
JP3174488B2 (ja) 防災監視制御装置の通話装置
JPH08305974A (ja) 防災監視装置の非常電話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