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967Y1 - 원적외선 방사난로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방사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967Y1
KR200197967Y1 KR2020000011768U KR20000011768U KR200197967Y1 KR 200197967 Y1 KR200197967 Y1 KR 200197967Y1 KR 2020000011768 U KR2020000011768 U KR 2020000011768U KR 20000011768 U KR20000011768 U KR 20000011768U KR 200197967 Y1 KR200197967 Y1 KR 200197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combustor
radiation
far
gen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호
Original Assignee
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호 filed Critical 정승호
Priority to KR2020000011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9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9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열원에 의한 1차 열방사후에 버려지는 폐열을 모아 다시 2차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원적외선 방사난로에 관한 것이다.
오일이나 가스를 연료로 하여 이를 연소시켜 난방을 수행하는 종래의 난로는는 단순히 연소기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사방으로 확산시키거나 아니면 소정위치에 단순히 반사판을 설치하여 확산되는 열기가 특정방향으로 집중되도록 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난방기기는 연소기에서 발생된 열기가 원거리에 도달되지 못하고 곧바로 상승하면서 외부로 확산되어 폐열의 낭비와 함께 난방효율이 떨어지는 폐단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소기로부터 발생된 열은 1차로 열방사시키고 1차 열방사후에 버려지는 폐열을 모아서 2차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1,2차 열방사시에 원적외선이 발생되도록 하여 방사열이 원거리까지 도달하도록 하며 열반사부에 의한 원거리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폐열의 재활용 내지 효율적인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여 난방기기분야에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 방사난로{Far Infrared Ray Radiating Hearter}
본 고안은 원적외선 방사난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열원에 의한 1차 열방사후에 버려지는 폐열을 모아 다시 2차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한 원적외선 방사난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이나 가스 등을 연료로하고 이를 연소시켜 얻어지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종래의 난로는 그 형태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있으나, 그중에서 대표적인 일례가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형태는 연소기(1)에서 발생된 열이 사방으로 확산되도록 하거나 반사판(2)을 설치하여 어느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 난로는 연소기(1)에서 발생된 열이 외측 사방으로 확산되기는 하겠으나 일반 방사열의 경우 원거리도달의 정도가 낮고, 게다가 물리적인 특성상 상승류 형태의 자연대류현상으로 나타나게 되므로 주로 실내의 천정부분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게 되고 실제로 생활이 이루어지는 실내의 중간부와 하부영역에서는 난방효과가 그다지 높지 아니한 단점이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상승류 형태의 자연대류 현상은 연소기(1)에서 발생된 열중에 단지 일부만이 난방목적으로 활용이 되고 대부분이 그대로 버려지는 폐열형태로 실내의 상층부, 즉 천정과 인접한 영역으로 허비되어 실내 난방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연소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1차로 열방사시킨 다음, 다시 버려지게 되는 폐열을 다시 모아 2차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사 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1, 2차 열방사시에 원적외선의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적외선에 의한 원거리의 열방사가 가능한 방사 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1, 2차 열방사시에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열반사부에 의하여 원거리와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실내의 생활공간부위인 중간 및 하부영역에 집중적으로 곧바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난방효과가 즉시 얻을 수 있도록 한 방사난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2차 열방사부는 열방사표면적을 넓히면서 폐열의 집속과 이동시 유동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고, 사용연료가 연소기의 1차 연소후에 미연소상태로 남게되는 기체 상태의 폐가스가 연소촉진이 이루어져 재차 연소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방사난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제목적을 달성하고자, 오일이나 가스와 같은 연료를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시켜 연소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필요시 연소기 주위에 반사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난방기기에 있어서, 연소기와 인접되고 내부에 연소기로 부터 발생된 열기를 모아 경유하면서 외부로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1차 열방사부;와 상기 1차 열방사부의 상부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1차 열방사부에서 열방사가 이루어지고 남는 폐열기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다시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2차 열방사부;가 결합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방사난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1차 및 2차 열방사부의 표면에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지고, 제2 열방사부는 만곡관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필요시 상기 1차 열방사부의 내측엔 다공성 세라믹판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방사난로가 제공된다.
도1은 종래의 난로에 대한 전형적인 형태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일부 절결 정면도,
도3은 도2의 Ⅲ-Ⅲ선 단면도,
도4는 도2에 있어서 2차방사부를 다른 형태로 예시한 일부 절결 단면도,
도5는 도4의 다른 변형례를 예시한 일부 절결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연소기, 3.반사부, 10.1차 열방사부, 20.2차열방사부, 30.세라믹판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2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연소기(1)와 인접되고 내부에 연소기(1)로 부터 발생된 열기를 모아 경유하면서 외부로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1차 열방사부(10)와, 상기 1차 열방사부(10)의 상부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1차 열방사부(10)에서 열방사가 이루어지고 남는 폐열기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다시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2차 열방사부(20)가 결합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1차 및 2차 열방사부(10,20)의 표면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져 내부에 열기가 통과하면서 표면이 가열되어 원적외선의 방사가 이루어지고, 2차 열방사부(20)는 만곡관체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를 통과하는 폐열기가 유동시 관로의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며, 필요시 상기 1차 열방사부(10)의 내측엔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된 다공성 세라믹판(30)이 설치되어 세라믹판(30)이 고열상태로 가열이 이루어지면 가열기(1)에서 미연소 상태로 배출되어지는 폐가스가 이들 통공(32)을 통과하면서 재연소가 이루어져 2차 열방사부(20)내를 통과하는 폐열기 내부엔 미연소 상태의 폐가스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서 이들 폐열기로 부터 얻어지는 열이 2차 열방사부(20)에 의하여 재차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2차 열방사부(20)의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열방사부(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태로서 상,하 분지관(21,22)과 좌우 만곡관체(23,23)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엘보우(24,25)와 다수의 만곡관체(26)가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설치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도2 및 도3에서와 같은 조합형태를 상하 방향으로 중복 설치하여 구성한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열방사부(20)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1차 열방사부(10)를 경유하여 배출되는 열기가 통과하면서 유로저항을 적게 받고, 열방사 표면적을 넓게 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를 갖더라도 관계 없겠다.
전술한 바와 같이, 1차 및 2차 열방사부(10,20)가 갖추어지는 경우 그 자체로도 지향성이 없이 원적외선 열방사에 의한 난방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겠으나, 지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1차 및 2차 열방사부(10,20)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좌,우 및 후방에 열반사부(3)를 마련하는 경우, 전방으로 지향성을 갖으면서 보다 원거리에 걸쳐 방사열이 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다.
미설명부호로서 4는 연료탱크, 5는 투시창, 6은 개폐문, 7은 공기공급부, 8은 그릴, 9는 배기구를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인 방사난로의 경우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연소기(1)에 점화를 시켜 연소기(1)가 작동을 시작하면, 연료탱크(4) 내부에 있던 연료가 연소기(1)에 공급이 이루어지면서 연료의 연속적인 연소가 이루어지게 되고, 연소기(1)로 부터 발생되는 열기는 1차 열방사부(10)에 전달이 되게 되고 1차 열방사부(10)가 가열되면서 표면에 코팅되어 있던 세라믹에 의하여 원적외선에 의한 1차적인 열방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연소기(1)에서 미연소상태로 발생되는 폐가스는 다공성 세라믹판(30)의 여러 통공(32)을 거치면서 재연소가 이루어지게 되며, 1차 열방사부(10)에 전달되고 남게되는 폐열기는 다시 관체 형태로 이루어진 2차 열방사부(20)로 모아지고 이를 거치면서 표면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져 표면에 코팅이 되어있던 세라믹에 의하여 원적외선에 의한 2차적인 열방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와 같이 1차 및 2차에 걸쳐 열방사가 이루어진 열기는 원거리의 열방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더우기 열반사부(3)가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지향성을 가지고 보다 많은 량의 방사열량이 실제로 필요로하는 난방 공간에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연소기(1)로 부터 원래 발생되는 열기는 1차 및 2차 열방사부(10,20)를 거치면서 대부분 원거리 열방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일부 남게되는 열기는 배기구(9)의 상부에 위치한 열반사부(3)의 일부측에서 다시 반사되어 전방으로 열방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곧바로 실내의 천정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져 허비되는 열량은 최소화 하면서, 대부분이 난방을 목적으로하는 실내의 하부와 중간영역에 지향성을 갖는 원거리 도달방식의 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인 방사난로에 의하면, 연소기(1)에서 발생되는 열을 1차로 열방사시킨 다음, 버려지게 되는 폐열을 다시 모아 2차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내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1, 2차 열방사시에 원적외선의 발생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원적외선에 의한 원거리의 열방사가 가능하며, 1, 2차 열방사시에 발생되는 원적외선이 열반사부(3)에 의하여 원거리와 지향성을 갖도록 하여 실내의 생활공간부위인 중간 및 하부영역에 집중적으로 열전달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난방효과를 즉시 얻을 수 있는 동시에, 2차 열방사부(20)는 열방사표면적을 넓히면서 폐열의 집속과 이동시 유동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고, 사용연료가 연소기의 1차 연소후에 미연소상태로 남게되는 기체 상태의 폐가스가 연소촉진이 이루어져 재차 연소가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폐가스의 배출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난방이 가능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오일이나 가스와 같은 연료를 연소기에 의하여 연소시켜 연소시 발생되는 열기를 이용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필요시 연소기 주위에 반사부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통상의 난방기기에 있어서,
    연소기(1)와 인접되고 내부에 연소기(1)로 부터 발생된 열기를 모아 경유하면서 외부로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1차 열방사부(10);와
    상기 1차 열방사부(10)의 상부에 연결설치되고 상기 1차 열방사부(10)에서 열방사가 이루어지고 남는 폐열기가 내부를 통과하면서 다시 열방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2차 열방사부(20);가
    결합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난로.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열방사부(10,20)의 표면엔 세라믹 코팅이 이루어지고, 2차 열방사부(20)는 만곡관체의 조합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원적외선 방사난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1차 열방사부(10)의 내측엔 다수의 통공(32)이 형성된 다공성 세라믹판(30)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난로.
KR2020000011768U 2000-04-25 2000-04-25 원적외선 방사난로 KR200197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68U KR200197967Y1 (ko) 2000-04-25 2000-04-25 원적외선 방사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68U KR200197967Y1 (ko) 2000-04-25 2000-04-25 원적외선 방사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967Y1 true KR200197967Y1 (ko) 2000-10-02

Family

ID=19653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68U KR200197967Y1 (ko) 2000-04-25 2000-04-25 원적외선 방사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9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800A (ko) * 2002-02-08 2003-08-19 정승호 난로
KR100446906B1 (ko) * 2002-02-08 2004-09-04 정승호 튜브 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800A (ko) * 2002-02-08 2003-08-19 정승호 난로
KR100446906B1 (ko) * 2002-02-08 2004-09-04 정승호 튜브 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39705B2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RU2208741C2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агрегат
US4867673A (en) Condensing furnace
KR200197967Y1 (ko) 원적외선 방사난로
EP0354188B1 (en) Pulse combuster and process
RU2386905C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US20020157659A1 (en) Gas broiler
US2594608A (en) Fuel-burning panel heater
JP2000018729A (ja) 伝熱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US20240175585A1 (en) Stationary infrared radiator
JPH08219553A (ja) 輻射変換及び放射装置
US6481434B2 (en) Gas fired infrared radiant tube heating system using plural burner assemblies and single gas delivery system
CN2133811Y (zh) 火焰折射式载热体加热炉
JPH0351625Y2 (ko)
RU2162192C1 (ru) Тепловой агрегат на твердом топливе
RU2230986C2 (ru) Способ обогрева поверхности и радиационный u-образный нагреватель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705275B2 (ja) 温水熱交換器内蔵型ストーブ
KR100417209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880002237Y1 (ko) 난 로
CN114616425A (zh) 具有悬挂式炉膛的壁炉
KR940008064Y1 (ko) 망사구조의 매체를 이용한 복사전열장치
RU2069823C1 (ru) Газовый обогреватель
JPS6347779Y2 (ko)
RU2126942C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CZ9903117A3 (cs) Způsob zlepšení tepelného výkonu infrazářiče a infrazářič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